21. P2C11-3. 고급회귀분석(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구)독자를 위한 유튜브 방송강의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개정증보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 안녕하세요.
    저자 노경섭입니다.
    오늘은 회귀분석의 중급과 고급을 모두 마무리하고 마지막에 있는 군집분석까지 모두 마무리 하고자 합니다.
    *중급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 5분 휴식
    위계적 회귀분석 : 5분 휴식
    더미변수 회귀분석 : 10분 휴식
    고급회귀분석
    조절변수 회귀분석 : 5분 휴식
    매개변수 회귀분석 : 5분 휴식
    로지스틱 회귀분석 : 5분 휴식
    로지스틱 회귀분석 : 10분 휴식
    *군집분석
    위와 같이 하여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방송강의에 동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의 영상강의와 향후의 예정에 대해 조금이라도 이해를 돕고자 아래에 간단한 설명을 드립니다.
    1. 강의에 필요한 사항은 • Video 을
    미리 참고하셔서 시간을 절약하시기 바랍니다.
    2. 실습파일은 책에 url이 있으니 직접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3. 향후 별도의 온라인 강의는 책이 바뀌지 않는 한 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4. 추후 영상으로는 업데이트가 없을 것이므로, 나중에 듣는 분들을 위하여
    주제별로 방송을 귾었다가 다시 시작하는 것을 양해 바랍니다.
    5. 영상의 시작번호는 01부터 다음 강의의 번호로 오름차순으로 정할 것이니,
    나중에라도 영상의 번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영상번호는 영상제목의 제일 앞 2자리 입니다.)
    6. 교재의 내용이 모두 방송 된 후에 이외의 내용을 다룰 예정입니다.
    (주 1회 내지 2회의 시간을 별도로 공지하고 질문과 응답을 방송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7. 댓글이나 메일, 채팅으로 아이디어를 주시면, 향후의 구성에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10

  • @이형철-y1g
    @이형철-y1g 2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교수님
    이항로지스틱의 경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어떻게 확인하면 되나요ㅜㅜ

  • @오노사-m6r
    @오노사-m6r 4 года назад +1

    교수님.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를 챙겨듣고 있는 석사과정생입니다ㅎㅎ^^ 다름이 아니라 hosmer-lemeshow 적합도는 독립변수가 1개일 때는 제대로된 값이 나오지 않더라구요.. 독립변수 1개(갑을병)*종속변수 1개(yes or no)일 때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는 게 아닌건가요..?

  • @김태우-h2e
    @김태우-h2e 5 лет назад +2

    이항로지스틱 모형검정에서 0.05보다 커야한다고 말씀하셨는데 귀무가설 적합하지않다 연구가설 적합하다라고 한다면 귀무가설 기각영역이 0.05보다 작아야 하는것 아닌가요? 교수님 결국 여기서는 0.05보다 크기때묹에 귀무가설이 채택되어 모형이 적합하지 않은것 아닌가 해서요

  • @wellnessway8024
    @wellnessway8024 3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교수님 이 사용하는 책을 알려주시면 됩니까 ? 사와서 같이 들으면 너무 좋을 거 같아서 :)

    • @ksnoh
      @ksnoh  3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노경섭, 2019’입니다.

    • @wellnessway8024
      @wellnessway8024 3 года назад

      @@ksnoh 너무 감사합니다. 잘 읽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교수님 ~~ ^^

  • @mijinkang2561
    @mijinkang2561 5 лет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고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범주형에 들어가서 표시자에 마지막으로 참조 범주를 정해주었는데 그 이유와 나온 결과값 해석에서 EXP(B) 값 해석하는법이 궁금합니다. 어디에 문의글을 남겨야 될지 몰라 여기 댓글에 남깁니다.

    • @ksnoh
      @ksnoh  5 лет назад

      안녕하세요.
      Expected Value ... 그러니까 기대값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상한과 하한으로 구분한 것은 유의수준 내에서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표시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mijinkang2561
      @mijinkang2561 5 лет назад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범주형에 들어가서 표시자에 "마지막"으로 참조범위를 정해주셨는데 그 이유도 궁금합니다. "처음"으로 정했을때와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 @김태우-h2e
      @김태우-h2e 5 лет назад

      이항로지스틱 모형검정에서 0.05보다 커야한다고 말씀하셨는데 귀무가설 적합하지않다 연구가설 적합하다라고 한다면 귀무가설 기각영역이 0.05보다 작아야 하는것 아닌가요? 교수님 결국 여기서는 0.05보다 크기때묹에 귀무가설이 채택되어 모형이 적합하지 않은것 아닌가 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