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에 컴을 하나 조립했습니다. 진짜 아무 생각 없었는데 알리 광군절에 7500F가 87.5 달러 라길래 이걸 사 말아? 라고 머리는 생각중인데 손가락이 이미 결제를 눌렀어요...이게 배송이라도 느렸으면 되팔렘을 할지 충분히 고민했을 텐데 며칠만에 도착...무지성으로 질렀습니다. 허허... 3번째 조립인데 전 운이 좋았는지 한번도 조립 실패 한 적이 없네요. 어차피 보급형(이라고 해도 전부 i5급인데 이게 보급형 맞나...?)이라 조립은 간단하지만요. 그리고...이제는 뭐 크게 문제 없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불안해서 램은 4800으로. 삼성 이슈 있는 건 알고 있으니 다른 회사 제품으로. ㅋ 삼성 시금치 렘 안 쓴 건 이번이 처음이네요. 램이 검정색인 것도 이번이 처음이고 말이죠. 스스디도 3.0 쓰다 4.0으로 올라오니 로딩이 두배?! 정도 빨라진 느낌입니다. ㄷㄷ 5600에서 7500F 뭐 체감이 되려나 싶었는데 다른 부품들도 한단계씩 올라간 느낌이라 체감이 되긴 하네요. 이쁜 흰색 어항 케이스 쌔컴이라니...쌔컴뽕이 아직 안빠지고 있습니다. ㅋㅋ
유튜브 보면 조립이 쉽다는 영상들이 많은데, 막상 조립하다가 문제 생겼을 때 여분의 부품이 없으면 해결할 때까지 시간적, 정신적인 손해가 발생한다는 말은 안해주더군요. 조립할 줄 알아도 매장에 맡기는 이유가 시간을 아끼고 마음 편하려고 그러는 건데요.(추가로 선정리도 하는 것도 귀찮고요) ㅎㅎ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면 될 수도 있습니다. 삼성 메모리가 요즘 호환 문제가 좀 있는데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지원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삼성램 비추입니다. 요즘 초기 불량도 많고 기본클럭에서 오류도 많다고 하더라구요. 5600이 특히나 그렇답니다. 가격도 더 저렴하고 lifetime warranty되는 제품 사세요. 램도 요즘 불량 꽤 있고 종종 AS 받을 일 있는데 삼성은 겨우 1년 보증이고 그것도 잘 안해주려고 한다고 하더군요.
삼성 메모리 보증기간 안인데 새제품 교환시 4만원 청구 하면 AS 의미가 있나요?? 그나저나 삼성램 요새 인식이 안좋네 ㅠ.ㅠ 대한민국 살리려면 삼성꺼 마니 씁시다 ㅠ.ㅠ 저같은 경우는 메모리 방열판 달린 제품을 주로 고르긴 하죠 삼성램 마지막 으로 써본게 4세대 4670 쓸때가 마지막 인듯.. 현재는 5800X3D 에 팀그룹 3600 게이밍 램 쓰는데..
요즘 삼성이 맛가는이유가
보이네요
삼성껀 정리해야겠음 남은 주식 정리
동감합니다
@@윤각하만세 ㅉㅉ;;;
팔고 제발좀꺼저
저는 저렴해졌을 때...
장기적으로 보구....
구매 해놓을려고 합니다.
언젠가는 오릅니다.
(빠른 시기 일 수도 있음)
(저는 보통 배당금 받기 위주라 )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생하셨습니다.
공정미세화 되면서 원래 거의 의심안하던 CPU,DRAM 둘다 불량 부쩍 많아진듯합니다
그래서 저는 사무용 PC여도 게이밍 메모리 사용을 합니다 불량나두 세트로 새걸로 교환받을수 잇기 때문이죠 이래서 저는 시금치 메모리는 안씁니다
잘보고 갑니당
예전에는 삼성램 아니면 컴퓨터에 사용 안했는데 이제는 하이닉스램을 쓰고 있네요 거기다 P31 하이닉스...
PC IS GOOOOOOOOOOOOOOOD 😃😃😃😃😃👍👍👍👍
그동안 구경만 하고 구독을 못 눌렀네요~ 지금이라도 구독 누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ㅠㅠ삼전.....옛 영광은 어디에
저도 ddr5 하이닉스 시금치 A다이 언락 쓰고 있지만, 진짜 ddr5 초기라 그런가 아쉽긴하네요.
이제 초기라 하기도 좀 지난 것 같긴한데 참...
시대가 가면 갈수록 불량률이 상승하는듯하네요. 그만큼 단가대비 수익 창출을 할려고 하다보니 무언가 예전만 못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며칠 전에 컴을 하나 조립했습니다. 진짜 아무 생각 없었는데 알리 광군절에 7500F가 87.5 달러 라길래 이걸 사 말아? 라고 머리는 생각중인데
손가락이 이미 결제를 눌렀어요...이게 배송이라도 느렸으면 되팔렘을 할지 충분히 고민했을 텐데 며칠만에 도착...무지성으로 질렀습니다. 허허...
3번째 조립인데 전 운이 좋았는지 한번도 조립 실패 한 적이 없네요. 어차피 보급형(이라고 해도 전부 i5급인데 이게 보급형 맞나...?)이라 조립은 간단하지만요.
그리고...이제는 뭐 크게 문제 없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불안해서 램은 4800으로. 삼성 이슈 있는 건 알고 있으니 다른 회사 제품으로. ㅋ
삼성 시금치 렘 안 쓴 건 이번이 처음이네요. 램이 검정색인 것도 이번이 처음이고 말이죠.
스스디도 3.0 쓰다 4.0으로 올라오니 로딩이 두배?! 정도 빨라진 느낌입니다. ㄷㄷ
5600에서 7500F 뭐 체감이 되려나 싶었는데 다른 부품들도 한단계씩 올라간 느낌이라 체감이 되긴 하네요.
이쁜 흰색 어항 케이스 쌔컴이라니...쌔컴뽕이 아직 안빠지고 있습니다. ㅋㅋ
아오 삼전은 진짜.. 메모리 불량률이 아직도..
DDR5 로 세대교체 되면서 삼별이 디램이 맛탱이가 제대로 갔음. 초기 불량도 아니고 지금 수년이 지났음에도 변한게 없음 ㄷㄷ
기술력에 투자안했다고 하더니 이젠 아예 손을 놓은건가 봄 ㅋㅋ
시금치의 명성은 이제 역사속으로인가.. (클레브 메모리를 끼우며)
개인이 조립 할때 저런식으로 문제 하나 하나 생기면 진짜 등에 식은땀 납니다.
삼성 메모리는 인식 성능 호환 다 꽝입니다. 심지어 메인보드 리스트에서 삼성은 리스트에 없어요.
기본 메모리도 QVL 있습니다.
어차피 jdec 표준이라 삼성램만 안좋다는건 말이 안되고, 저건 불량품만 의도적으로 유통시킨거네요. 12600 꽂혀있거 그런거 보면 어디서 특가 드래곤볼 하신거 같은데 안타깝네요
개인이 조립하다가 메모리, 보드등 쇼트나는 경우가 많음
초기불량 저렇게 걸렸는데 집에 예비부품 없으면 돌아버리죠. 예비부품 없으면 돈들어도 맞기는게 속편함
'또 삼성' 이군요. 시금치램에 대한 환상이 아직도 있긴 한거 같아요 .그냥 방열판 달린 제대로된 거 사서 쓰는 게 맞을듯. ddr6 나올때나 다시 쳐다봐야 할듯요.
i5 K붙은 Cpu 쓰기엔 메인보드 급이 아쉽네요. 케이스에 돈 쓴 만큼 메인보드도 급을 올렸으면... 근데 삼성램 2개 다 불량인건 안타깝네요. DDR5 만큼은 하닉 램이 답
이제 저거 AS갔는데, 센터에서 정상판정나면...갑갑해지겠네요..ㅠㅠ
아무래도 13,14세대 인텔 cpu 이슈가 많다보니 12세대를 선택한 것 같네요.
그리 큰 작업은 아닌 것 같고 안정성 우선으로 예산에 맞게 조립한듯요.
호환과 안정성의 삼성 램이었는데 이슈가 많다는건 첨 알았네요.
유튜브 보면 조립이 쉽다는 영상들이 많은데, 막상 조립하다가 문제 생겼을 때 여분의 부품이 없으면 해결할 때까지 시간적, 정신적인 손해가 발생한다는 말은 안해주더군요. 조립할 줄 알아도 매장에 맡기는 이유가 시간을 아끼고 마음 편하려고 그러는 건데요.(추가로 선정리도 하는 것도 귀찮고요) ㅎㅎ
삼성이 자사 파운드리 안쓰고 TSMC 에 외주줘서 만든 CPU로 갤럭시 25에 넣는다고 하죠. 그게 결국 DDR5 메모리 마저 저렇게 개판으로 만드니 자기들도 확신을 못하는 겁니다. 삼성이 하닉이나 마이크론 보다 불량률이 압도적으로 많아요.
샘숭램 ddr5램 두개 팔아야하는데 엄청 후려쳐서 내놔야 팔리겠군요 ㅠㅠ
ㅠㅠ
요즘 DDR5는 삼전께 불량이 많나보네요. DDR4도 삼전램 32GB A다이 사용중인데 이건 참 좋은데 DDR5는 하이닉스가 정답인것같네요.
가격 비싸지 시금치라 놀림받고 불량률 높고 as는 1년 해주니 누가 살까요 요새 주가가 말해주는듯
바이오스 최신으로 올려보고 않되면 불량 이고 보드가 잘 안 팔리고 창고에 굴러다니다 어쩌다 팔리는 경우 바이오스 버젼 확 떨어져서 필히 램과 문제 생기면 업데이트부터 해줘야 합니다 특히 삼성램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면 될 수도 있습니다. 삼성 메모리가 요즘 호환 문제가 좀 있는데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지원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삼성램 비추입니다. 요즘 초기 불량도 많고 기본클럭에서 오류도 많다고 하더라구요. 5600이 특히나 그렇답니다.
가격도 더 저렴하고 lifetime warranty되는 제품 사세요. 램도 요즘 불량 꽤 있고 종종 AS 받을 일 있는데 삼성은 겨우 1년 보증이고 그것도 잘 안해주려고 한다고 하더군요.
바이오스 한번 올려 볼걸 그랬네요~ 동일 삼성램으로 켜져서 생각을 못 했습니다. 참고해서 다음번에는 해보겠습니다~
메모리는... Hynix
이젠 SK 하이닉스 (에센코어 클레브 메모리 / 솔리다임 SSD 포함)가 대세...삼전 ㅉ
D4 서버시장에서 먼저 검증되고 일반 소비자 풀렸는데 D5 검증도 없이 나오니 안전성에서 많이 떨어지는듯 하다
AMD 만의 문제가 아니었군요 인텔도 메모리문제가....
삼성 DDR5라 그럴겁니다
삼성 시금치 메모리가 인식을 인식이 안되다니...
삼성이 예전의 호환성 기술을 보여주지 못하는군요...
ddr5 시대에 삼성램쓰는건 너무 큰 모험인거 같네요
삼성램 맛탱이 많이 갔네 진짜
삼성전자 주식 가지고 있어도 삼성램 안 샀음. 지금 삼성전자 문제가 심각.
아직도 삼성램이 이런다니
제품구성보니깐, 아마존이랑 알리랑 드래곤볼 한듯
새걸 저렇게 맞춘거면;;
저게 참 ㅈ같은데 다른 보드에 끼면 정상적으로 잘 될 수도 있음 ...
삼성 메모리 수출용 불량 적다고 들어는데
ddr4 는 맞지만 ddr5는 아닙니다
미국 사는데 시금치 메모리는 잘 팔지도 않아서 거의 안씀.
@@jayj1621 시금치로 안 팔고 침으로 팔조
시금치로 파는 데도 잊겠지만
삼성 램은 걸러야겠네요
어쩌다 삼성이 이렇게됐낭
삼성 메모리 보증기간 안인데 새제품 교환시 4만원 청구 하면 AS 의미가 있나요?? 그나저나 삼성램 요새 인식이 안좋네 ㅠ.ㅠ
대한민국 살리려면 삼성꺼 마니 씁시다 ㅠ.ㅠ
저같은 경우는 메모리 방열판 달린 제품을 주로 고르긴 하죠 삼성램 마지막 으로 써본게 4세대 4670 쓸때가 마지막 인듯..
현재는 5800X3D 에 팀그룹 3600 게이밍 램 쓰는데..
무상보증 끝난 제품입니다
@@pajucom 그렇군요 그냥 새제품 사는 가격 이네요 무의미 ㅎ
삼돌이 제품을 전혀 사용 안 하는 1인.
삼성수율 70%
삼숭 인탤 다 맛갔네
삼성이 언제 이렇게 되었냐 ㅜㅜ
DDR5 에서 삼성이 호환성 완전 떨어집니다.
삼성 뭐하는 짓이냐
12600k 는 머지 이해가 안가는 구성이네
삼성 맛이 갔네.....
요즘 삼성 메모리 제품 수율이 너무 안좋네요
두개 다 불량이라뇨..
실망이 너무 크네요
설마 설마 하면서 했는데... 역시 였습니다;; 두개 다 인식이 안 될 줄이야...
삼성램이 문제가 아니라,
조립을 스스로 한게 문제.
불량은 멀 사도 다 있는건데, 전문조립업체에 맡기면, 구매자는 불량걱정을 할 이유가 없음.
나도 1달전에 i3-14100 에 삼성5600램 햇지만, 전문업체에서 조립해서 신경쓸꺼 1도 없었음.
NVME 드라이브에 방열판을 장착한다는 아이디어를 전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아니면 단지 트렌드일까요? 🤷♂
열빼주는건데 어떤게 이해하기 힘드시지
그러게 열 빼줄라 하는 건데. 그것도 서비스로 해주는데.
Nvme 발열이 심합니다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면 쓰로틀닝 걸려서 속도 저하(버벅임,카피나 로딩느려짐)생기죠 방열판 필수라고 봅니다.
PCIE 3.0이하의 NVME는 방열판 없이도 가능하지만 PCIE 4.0기반 제품은 방열판 사용이 권장입니다.
PCIE 5.0 제품은 대형방열판은 필수고 쿨러까지 달아야 제대로 쓰로틀링을 막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시청 감사합니다. 큰 이유는 없고 과 부하 걸리면 온도가 좀 높게 올라가서 조금이라도 내려 볼려고 넣었습니다 ^^
화면이 나오는지부터 보고 조립을 하시지
일단 12600 산거에서 탈락,,
아쉽지만 ㅜ.ㅜ 탈락 맞습니다
전 다른데서 요며칠 삼빠들과 배틀뗘서 이영상이 더 웃기네요ㅋㅋㅋ
삼성 램이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