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5 if a > 2: # 조건은 참 print("사과") # 출력 : 사과 else: print("수박") print("토마토") # 출력 : 토마토 ⋅파이썬은 블록구조 언어이며, 들여쓰기 문법을 엄격하게 지켜야 한다.(4칸) ⋅파이썬은 들여쓰기를 이용하여 제어구조의 미치는 범위를 결정한다. ⋅파이썬에서 기호 #은 주석이다.
if True: # 조건은 항상 참(True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print("사과") # 출력 : 사과 print("포도") # 출력 : 포도 else: print("수박") print("오이") print('토마토') # 출력 : 토마토, 단일따옴표로 묶음 ⋅파이썬에서 참, 거짓은 기본적으로 True(1)와 False(0)로 취급할 수 있다.
참으로 취급하는 것 : True, 1, 2, 3.14, 0.0001 등 거짓으로 취급하는 것 : False, 0, None, ' ', " ", (), [], {} ⋅파이썬에서 숫자는 0만 False로 처리한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단일따옴표(') 또는 이중따옴표(")로 묶어도 된다.
a, b = 1, 2 # 다중대입문
a, b = b, a # a=2, b=1
if a > b: # 조건은 참
pass # 특별하게 기술할 것이 없을 때
else:
print("수박")
print(a) # 출력 : 2
print(b) # 출력 : 1
n = 1
s = 0
while True: # 조건은 항상 참(True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s += n # 누적
if n >= 5:
break # while 블록 탈출
n += 1 # 1 증가
print(s) # 1 + 2 + 3 + 4 + 5 = 15
a = 5
if a > 2: # 조건은 참
print("사과") # 출력 : 사과
else:
print("수박")
print("토마토") # 출력 : 토마토
⋅파이썬은 블록구조 언어이며, 들여쓰기 문법을 엄격하게 지켜야 한다.(4칸)
⋅파이썬은 들여쓰기를 이용하여 제어구조의 미치는 범위를 결정한다.
⋅파이썬에서 기호 #은 주석이다.
if True: # 조건은 항상 참(True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print("사과") # 출력 : 사과
print("포도") # 출력 : 포도
else:
print("수박")
print("오이")
print('토마토') # 출력 : 토마토, 단일따옴표로 묶음
⋅파이썬에서 참, 거짓은 기본적으로 True(1)와 False(0)로 취급할 수 있다.
참으로 취급하는 것 : True, 1, 2, 3.14, 0.0001 등
거짓으로 취급하는 것 : False, 0, None, ' ', " ", (), [], {}
⋅파이썬에서 숫자는 0만 False로 처리한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단일따옴표(') 또는 이중따옴표(")로 묶어도 된다.
# 1에서 10까지 합
s = 0
for a in range(1, 11): # 1에서 10까지 반복, 11인 것에 주의!
s = s + a # 누적
print(s) # 출력 : 55
# 배열 리스트 처리
list = ((1,'홍재연'), (2,'이순신'),(3,'안중근')) # 배열 리스트 정의
for id, name in list: # 배열 리스트
print(id, name)
# 출력
1 홍재연
2 이순신
3 안중근
# 1에서 10까지 홀수 합
s = 0
list_a = [1, 3, 5, 7, 9] # 리스트 정의
for a in list_a: # 홀수
s += a # 홀수 누적
print(s) # 1 + 3 + 5 + 7 + 9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