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가지 스파르타식 삶의 규칙 (정신적으로 강해지는 방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스파르타는 역사상 가장 강인한 시민을 길러내는 데 열중했던 전사 문화였습니다.
    그들은 약함을 혐오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고, 약함의 징후를 보이는 사람을 크게 수치스러워했습니다.
    그들의 삶의 규칙과 역사적 가르침에서 지혜를 가져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명언 #삶의지혜 #인간관계 #오디오북 #성공 #자기개발 #동기부여

Комментарии • 7

  • @박재완-k2n
    @박재완-k2n Год назад +1

    감명깊게 잘 봤습니다. 혹시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 @todayWT
      @todayWT  Год назад

      영상 잘 봐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해당 스파르타인의 15가지 라이프룰은 역사적 문서에서 직접 인용한 것이 아니라 누군가가 스파르타의 원칙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거나 적용하여 만든 것이라 여겨집니다. 거기에 대한 정확한 출처는 없습니다. 지혜비타민에서 여러가지 카테고리의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명대사 시리즈를 준비하는 중에 스파르타 300을 보면서 감명을 받고난 후 검색을 통해서 외국의 좋은 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참고가 되셨나요?

  • @user-torisister
    @user-torisister Год назад +1

    스파르타 왜 망했지? @.@ 인간의 본성은 정반대라서?

    • @wasabi3470
      @wasabi3470 Год назад +2

      스파르타는 청빈주의인지라 화폐경제도 거의 거부한거나 다름없었습니다. 쇠막대기를 화폐로 썼다고 하는데, 말기로 갈수록 문란하거나 부패한 사람이 나왔다고 합니다.

    • @todayWT
      @todayWT  Год назад +1

      훌륭한 질문과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많은 역사학자들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스파르타의 멸망을 설명합니다.
      전쟁에 대한 의존: 스파르타는 군사적 탁월함으로 유명했지만, 이로운 군사 교육과 전쟁에 대한 집중이 다른 측면들을 방해했을 수 있습니다. 스파르타는 농경이나 예술 등 다른 측면에서는 다소 소극적이었기 때문에 전쟁에서 성공하지 못하면서 몰락할 수 있었습니다.
      내부 갈등: 스파르타는 내부적인 정치적 갈등과 사회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약해질 수 있었습니다. 헬라스 전체에서 스파르타는 민주주의와의 대립에서 힘을 잃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외부 압력: 플로비아 전쟁 중에 스파르타는 실리아 동맹에게 패배를 당하고, 테베에서도 중요한 전투에서 패배했습니다. 외부 압력과 전쟁에서의 실패가 몰락에 기여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어떤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이유들이 결합되어 스파르타의 몰락을 초래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스파르타의 몰락에 대한 정확한 이유는 여전히 역사학적 논의의 대상이며 명확한 답은 없을 수 있습니다.

    • @user-torisister
      @user-torisister Год назад

      @@todayWT 말씀을 들어보니 한가지 추론되는게 아테네가 상업을 이용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스파르타에 정치적 혼란을 야기시키는 세력(간자?)을 키웠던 것은 아닌가 싶네요. 예로부터 전쟁과 국가의 패망은 내부에 권력다툼이 심해지고 지배력이 불안할때 생기기 쉽다고 했으니까요.
      국가가 가난했으니 내부에 간자가 생겼을테고 내부의 간자를 없애자니 공포정치를 해야하고 공포정치를 하자니 경제적 생산과 자유에 신경을 못쓰고...악순환의 무한반복. 스파르타의 패망은 스파르타의 가난과 자금력을 앞세운 아테네의 지략에 의한 이간질? 결국 가장 이상적인 국가형태는 아테네인건가..^^;; 상세한 말씀 감사합니다.

    • @user-torisister
      @user-torisister Год назад

      @@wasabi3470 결국 스파르타의 패망은 인간의 욕망을 무시한 가난이 맞나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