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관리를 하려면 어떤 공부와 준비를 해야 하는가?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강사소개 : 삼성그룹 기술아카데미 교수
삼성그룹사 신입(경력)사원 기술면접관(생산, 기술)
기업에서 생산관리 업무를 하려면 어떤 공부를 사전에 해야 하고 어떤 준비를 해야 할 까요? 회사는 8대 프로세스에 의해 움직이고 운영되게 되어있습니다. 이 중에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가 생산관리입니다. 물건을 만들고 팔아야 공장이 운영이 되는 것이죠. 그럼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smart_factory@naver.com
생산관리에 부서변경 준비중인데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생산관리를 하시게 되면 회사 전체의 일들이 흘러가는 과정을 볼 수 있고, 관리할 수 있어서 너무 좋은 기회를 얻게 되셨네요, 향후 생산담당 임원이 되고, 부사장까지 올라갈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흘러가는 각 업무의 전문성까지 별도로 공부하시게 되면 BEST TOP 입니다.
@ 좋은 말씀 참 감사합니다, 말씀개로 공부해나가고 있는데 강의거 너무 도움이 되고있어요, 향후애도 좋은 영상 부탁 드립니다.
생산관리 취준생인데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좋은 결과를 확신합니다.
좋은강의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름 준비를 해서 강의를 했습니다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건승하시고, 성공하세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제공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이번에 산업용 AI 머신비전을 다루는 회사에서 인턴으로 일하게 되었는데, AI 개발자로서 스마트팩토리의 생산 및 제조 흐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할 것 같아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선생님의 훌륭한 강의들 중 스마트팩토리와 관련된 내용을 어디서부터 들으면 도움이 될지 조언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답변 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재생목록에서 "제조현장 개선방법 및 사례"와 동영상에서 "생산최적화 사례" 1 ~ 8까지를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스마트팩토리가 추구하는 방향이 단순히 센서를 적용하거나, 로봇을 이용하는 수준이라면 툭별히 동영상 강의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그냥 하드웨어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면 되니깐요, 그러나 말 그래도 스마트한 팩토리는 현명한 공장이라는 의미이므로 현명한 제조라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현명하다는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생산최적화 사례 1 ~ 8까지는 진정한 현명한 제조라인은 이렇게 해야 된다는 철학이 담겨져 있으므로 잘 생각해보시고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smart_factory 자세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해주신 영상을 시청하고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 남기겠습니다~☺️
좋은강의감사합니다 선생님
현재 자동차부품 회사 생산기술관리 쪽
같이 일하고있는데요
공부하면서 성장하려면 어떻게 기록하며
일하는게 좋을까요
어려워서요ㅠㅠ
사실 일을 한다는 것이 매일 똑 같은 업무를 반복하게 되면 성장이 쉽지 않다고 봅니다. 성장을 위해서는 항상 어제와 다는 오늘, 오늘과 다른 내일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죠. 따라서 저는 일상을 업무를 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항상 무언가를 바꾸는 것, 무언가를 더 좋게 변화 시키는 것에 관심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내에 누군가 보고 배울수 있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하고 똑 같이 행동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다 보면 나만의 스타일과 생각이 추가되어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일을 할때에 하나의 프로젝트를 수행한다고 생각하고 일의 과정을 정리하게 되면 매우 좋은 기록과정이고 기록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6시그마를 하지 않지만 6시그마의 가장 좋은 점이 과제를 하면서 기록을 한다는 것이 었습니다. 따라서 6시그마는 아니지만 DMAIC 로드맵에 따라 일을 기록하고 정리하게 되면 많은 좋은 결과가 따를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선생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생산관리 부서에서 업무를 하고 있는데, 현장직 관리 및 현장 VOC해결, 구매 업무 등을 하면서 능력개발이 되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아서 걱정입니다. 상사들에게 업무역량을 더 쌓고싶다고 말해도 뭐하러 더 고생하러 하냐는 말을 들었는데, 생산 데이터 분석쪽으로 능력개발을 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할지 조언해 주실 수 있을까요? 입사 1년차 입니다.
네, 고민을 하신다는 것 자체가 남들과는 차별화된 전략을 구상하고 계시다는 것이죠, 아주 좋은 마인드라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생산데이타 분석이라고 하면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타인데요, 목적에 따라 데이타 종류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우선 무엇을 하기 위한 목적인지 먼저 정하셔야 하고요, 그리고 분석하는 tool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 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Python이나 R 등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 먼저 공부를 하시면 어떤 데이타가 주어지든 여러가지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실수 있습니다. 제가 공부하는 과정을 먼저 말씀드리면 우선 어떤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할 것인지 먼저 정하십시요. 엑셀을 이용할 수 도 있고요, 아님 요즘 대세인 위에서 말씀드린 Python이나 R등을 먼저 배우십시요. 배우는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유튜브에 워낙 많은 강의 동영상이 있어서 동영상으로 공부하시면 어렵지 않게 데이타 분석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목적을 정하십시요. 생산성 분석인지, 품질 분석인지, 생산량 분석인지, 라인 또는 작업자 분석인지를 입니다. 그리고 위에서 공부한 Tool을 다시 접목시켜 보시면 비교적 용이하게 공부하실수 있습니다. R 이나 Python은 워낙 강력한 그래픽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경영진 보고서에 첨부하면 아주 좋아하실 겁니다.
@@smart_factory 감사합니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