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사 수업09📙| 반드시 알아야 할 바리새인들의 특징 | "가이사의 것과 하나님의 것"이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바리새인들의 출현, 기원, 영향을 살펴봅니다.
    이들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떤 영향을 신약 시대에 미쳤는지 이해합니다.
    그리고 "가이사의 것과 하나님의 것"을 명확하게 이해하려고 합니다.
    #중간사수업 #신구약중간사 #바리새인

Комментарии • 27

  • @quantumjump3927
    @quantumjump392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동하-n1t
    @동하-n1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눈을뜨게하시고 마음을 열게하시니. 항상. 감사드립니다. .

  • @신비-f8o
    @신비-f8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실의 눈으로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지식 전달을 주시니 하나님의 선하신 뜻에 가까이가는 지혜로 마음을 새롭게 할 수 있는 큰 도움 인도함받는 은혜를 받습니다. 감사합니다.샬롬

  • @태다하우스
    @태다하우스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단순한 이구절에 이런 배경이 ..
    감사합니다. 더 깊이 더 많이 성경을 묵상해야겠네요.

  • @강윤식-x3x
    @강윤식-x3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성경을 역사적이며 통전적으로 읽어야 하는 의미를 알겠습니다

  • @김영미-n5h
    @김영미-n5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수님 말씀이 시대와
    배경으로 변질 되었군요 ~ 감사합니다 강건하세요

  • @김혜진-b6s8i
    @김혜진-b6s8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하나씩 하나씩 예수님을 알아갈수록 마음이 아리고 코끝이 시큰합니다. 귀있는 자가 되기 원합니다.😅

  • @shalom0365
    @shalom036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예수님께서
    그래서 그러셨군요..
    마르다에게도
    바리새인들에게도..
    나사로의 죽음앞에
    눈물을 흘렸던것도...
    예수님을
    슬프게했던 것들이
    오늘날의 교회가
    너무도 닮아서
    회개합니다..
    교회의 유전
    교파의 유전..
    그 교회의 유전이라고
    직분도 사고있는것 아닌지..

    • @church_education
      @church_educatio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대 문헌과 역사를 접하면서 지금도 반복되는 현실을 보게 됩니다. 흑흑흑 ㅠㅠ

  • @5995ful
    @5995ful 22 дня назад

    + 찬미 예수님
    가톨릭신자입니다.
    목사님 말씀 들으면서 가톨릭신앙이 한층 업그레이드 됩니다.
    초대교회 교부님들은 이것을 다 이해하고 계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수많은 교부님들의 작품들안에 살아 있는 예수님의 말씀이 이를 증명해 줍니다.
    목사님께서 2000년 전의 이스라엘 문화와 역사를 접해서 성경을 해석하셔서 이런 결론을 내리는 것 이겠지만 저는 교회사를 통해서 이와 같은 이해를 하셨을 교부님들을 배우고 있습니다. 수많은 사도교부와 호교교부와 변증 교부들의 작품이 아직도 바티칸 도서관에 있습니다.
    시대가 아무리 변해도 예수님을 믿는 하나의 믿음은 살아 있을 것입니다.

  • @그냥부평
    @그냥부평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풀어주신데 감사합니다

  • @파란하늘-s1w
    @파란하늘-s1w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씀너무감사합니다

  • @KYUNGHORYU
    @KYUNGHORY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그 당시 산헤드린 공회에서 사두개파와 바리새인들은 적대적이지만 어떻게 함께 지냈을지 궁금하네요.

    • @church_education
      @church_educatio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우선 지내는 영역이 달랐습니다. 사두개인은 종교 요직을 차지했고 바리새인들은 랍비라는 형태로 민중 속에 있었습니다. 공존한 곳은 산헤드린이었지만 일부 바리새인만 가담했기에 보편적인 바리새인들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 @김혜진-b6s8i
    @김혜진-b6s8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귀한 시간에 하나님을 더 알기 소원합니다.
    수고와 섬김을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복하고 축복합니다. 아멘.❤

  • @이번엔-j2y
    @이번엔-j2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작은 소리의 떨림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