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붓다, 바람과 사자와 연꽃의 노래] 제1강. 탄생의 사자후 - 하늘 아래 나 홀로 존귀하다! | 고미숙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5

  • @조강운-y2r
    @조강운-y2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해전 다오해. 이지요

  • @kinow5259
    @kinow5259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우! 고선생님의 지적 통찰이 저를 이렇게 안내해 주셨네요. 저도 특정 종교를 가지지 않아도 어떻게 살것인가 죽을 것인가를 이해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삶, 죽음의 질문을 던지면 항상 이런, 저런 종교로 설명하는 것 뿐, 제 마음은 열리지 않고, 이제야 제가 찾고자 하는 진리가 이 방향이 아닌가하고 강력한 울림이 올라옵니다.
    그 깨달음 그리고 현재 삶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실천으로 정진해보겠습니다.
    깨달았다고 삶은 변하지 않는다 내가 그걸 실천하는 매일의 습관이 수행이다를 기억합니다.
    감사합니다.

  • @양양이-t4g
    @양양이-t4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생 한방아니고 여러방 이더라구요~^^

  • @shb5345
    @shb5345 Год назад +7

    존재자체가 보시야😊👏👏👏👍🏻😁

  • @성희-t4t
    @성희-t4t Год назад +15

    곰샘 강의 들으면서 크리스챤인 저는 예수의 윤회를 생각해봅니다 . 해탈하신 예수! 그리고 부쳐님의 부활 및 구원, 마호멧의 자비 혹은 연민. 더불어 플라톤과 장자 등을 들을 수 있는 감이당에 고마움을 전합니다. 더듬더듬 걷다가.

  • @김지아-v8b
    @김지아-v8b 3 месяца назад

    고선생님
    항상 경청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한방 얻어 맞은 기분입니다

  • @정영희-h2m
    @정영희-h2m Год назад +2

    이시대 참필요하신분이네요 저도 강원도정선이라 더 응원합니다

  • @chum_hee
    @chum_hee Год назад +8

    감사합니다 :)!

  • @yszombie8137
    @yszombie8137 Год назад +7

    ❤❤감사합니다 잘 들을게요

  • @윤종潤從
    @윤종潤從 Год назад +5

    쉽게 지혜 로 풀어 강의 해 주시는 고박사님 의 설법 감사 합니다 🙏🏼🙏🏼🙏🏼

  • @지복-i7e
    @지복-i7e Год назад +6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은경이-t1i
    @은경이-t1i Год назад +8

    지혜를 재밌고 시원하게 나누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정선임-t9z
    @정선임-t9z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동입니다
    지금백수가
    다음단계로 진짜어려운 나간다는 말씀
    저는 위로가 되네요
    저는 천주교 신자입니다
    훌륭하십니다

  • @민보라-n3j
    @민보라-n3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1:40 완전성을 향해 나가가지 않으면
    삶이 너무 공허하고 지루하고 권태로와진다
    53:00완성을 향해 나가는 법은 '보시' 와 '발원'이다

  • @좌원-x1z
    @좌원-x1z Год назад +1

    붓다평전.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 @TV-rb7vg
    @TV-rb7vg Год назад

    겨울 ❤건강하세요!😊

  • @김경숙-r1m9z
    @김경숙-r1m9z Год назад +1

    주역은 인생에 필독서 이지만 단락단락 구성되어 있어 십대와 육십대의 원리를 알아야 이해가 쉽습니다.
    노동이란 60대까지 이며 그 후는 정신적 성찰에 있습니다.
    이미 꽃은 떨어지고 쇠잔해지니 빛이나지 않기 때문이며 눈물과 한탄이 이어지지 않는 삶을 위해 주역을 알아야 합니다.
    부처님의 설법은 최고의 지적 경지에 오르는 방법론 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이행구-o6h
    @이행구-o6h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 도업, 아! 좋은 강의, 법문입니다. 보는 관점이 좋아요. 깨달아라. 무엇을? 진리를. 진리가 무엇인데? 法이야. 법이 뭔데? 법은 인연과법이야. 법은이치야. 이치는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야. 마치 흐르는 물처럼, 바람처럼, 그렇게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거야.
    그런데 그 법은 無形야. 無色이야. 언제 어디에나 충만해 있어. 그 법은 항상 있어. 붓다 왈, 법은 내가 오기 전에도, 온 지금도, 내가 떠난 후에도 항상 하는 존재다. 그것을 이름해, 고대 인도인들은 부라만이라 했고 유대민족은 여호와라 했고 700년 쯤 후 마호멭은 알라, 중국인들은 옥황상제 道라 했다. 우리 조상들은 천지신명, 하늘님이라 했는데 한국 기독교인들은 하나님 하느님이라고 부른다.
    그것들은 모두 이름일 뿐이다.
    하여 노자 왈, 名可名 非常名이요 道可道 라 하면 非常道라 했다.
    어리석은 인간들이, 그 허명에 님자를 붙여 인격화해 놓고 벌주고 상주는 괴물로 만들었도다.
    좋은 법문 잘 듣고 갑니다.

  • @SOYEON01KR
    @SOYEON01KR Год назад +2

    조선시대평균수명은 30세. 그때 29세이면 평균수명인 나이라고 하던데요..

    • @krsubhadda1
      @krsubhadda1 Год назад +1

      부처님 당시엔 120살 되는 비쿠도 있었습니다.

    • @하은순
      @하은순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아사망율이 높아서 평균수명이 낮은거예요~

  • @user-dt2zo5qu1v
    @user-dt2zo5qu1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33 에 '오해하더라도' 라고 하신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