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님들 바둑은 어렸을 때 한 번 엄마랑 같이 두고 포로? 잡는 것만 배웠습니다 .7분 57초에 흑 돌이 자책 수로 가운데에 두어서 모두 죽이는 방법은 앞에 룰 설명 해주시는 것으로 했을 때는 안되는 거로 알겠는데 전략적으로도 나쁜 것 인지 궁금합니다. 흑 돌 입장에서는 잡히는 입장이고, 바둑에서도 희생 수가 있을 것 같아 여쭤봤습니다. (바둑은 알 까기, 오목 밖에 안 해봤지만 궁금했습니다 ㅎㅎ)
좋은 질문이십니다^^ 교육적 관점에서 포로는 다시 살려돌아와야 하고, 그래서 종국에 내 집으로 데려온다고 이해하시면 편하실 겁니다. 룰이기 때문에 상대도 이를 지켜야 하고, 계가 시 내 집으로 데려와 아무 곳에나 놔도 됩니다. 다만 구구단이 적용될 수 있도록(계산이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모양으로 집을 다듬습니다^^
네^^ 이 부분의 설명을 조금 덧붙인다면, 상대에게 잡힌 내 돌들은 일단 포로가 됩니다. 그후 바둑이 끝나고 계가를 하는 단계에서 마치 전쟁에서 포로를 교환해 살려 돌아오게 하듯, 내 집이 많다면 포로를 얼마든지 데려올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내가 잡은 상대의 돌로 상대의 집을 메꾼다고 하도 같은 의미이지만, 교육적인 차원에서 내 돌을 살려 돌아오게 한다는 의미로 말씀드렸습니다:)
바둑 입문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신진서 九단 영상보고 바둑에 흥미가생겨서 입문 영상 찾고있었는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바둑 기초 정말 고마워영 감사해영 열심히 한번 배워 볼께영 ..
바둑 시작하면서 왔어요
잘 듣고 가요😊
초보만나서 승급했습니다 개꿀😂😂
신진서에게 반해서 바둑 입문 합니다!
좋네요
7:49 이미 이 시점에서 모든 흑돌들이 잡힌건줄 알았습니다.
꼭 백이 X에 두어야 흑돌들을 잡을수 있는건가요? 🤔
저도 초보긴한데 알려드리자면 백이 x에 안 두면 아직 흑의 활로가 있어서 잡지 못하는 걸겁니다
형님들 바둑은 어렸을 때 한 번 엄마랑 같이 두고 포로? 잡는 것만 배웠습니다 .7분 57초에 흑 돌이 자책 수로 가운데에 두어서 모두 죽이는 방법은 앞에 룰 설명 해주시는 것으로 했을 때는 안되는 거로 알겠는데 전략적으로도 나쁜 것 인지 궁금합니다. 흑 돌 입장에서는 잡히는 입장이고, 바둑에서도 희생 수가 있을 것 같아 여쭤봤습니다. (바둑은 알 까기, 오목 밖에 안 해봤지만 궁금했습니다 ㅎㅎ)
네. 해당 부분에서 흑돌이 가운데에 두게 된다면 스스로 모든 활로를 없애는, 숨막히게 되는 수라 착수 금지의 자리가 됩니다. 즉 두면 반칙패가 되는 자리입니다.
네^^ 7분 57초의 흑돌은 자충수로 상대에게 잡히는 수이기 때문에 전략적으로도 좋은 수가 아닙니다. 바둑에서도 때로는 희생 수가 필요하지만, 그 희생을 통해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흑돌의 경우에는 희생을 통해 얻는 이익이 없어 자충수라고 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ㅎㅎ
굳이 돌을 따먹지 않아도 동서남북이 막혀있는곳도 집이라고 인정이 되는지궁금합니다!
네 맞습니다~! 울타리가 사방으로 튼튼하면 상대 돌을 따내지 않아도 집입니다.
바둑판의 이름을 알려주는 부분의 사진에 백돌이 깔려있는 부분은 어떤 곳에 포함되는 자리인가요? 예를 들어 우하귀와 우변 사이의 백돌은 우하귀에 포함되는 건가요 아니면 우변에 포함되는 건가요?
바둑 처음 접하는 쌩초보입니다.. 마지막에 포로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올 수 있다고 하는데 왜그렇게 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왜 굳이 데려오는건가요?? 데려왔을 때 이점이 있나요??
마지막에 게임이 모두 끝나고 집이 누가 더 많나 세야 할때 잡은 포로들을 상대 집에 채움으로써 상대 집을 줄이는거죠
@@기명-x1y저도 초보인데 포로는 마지막에 집 어느곳으로든 놓을수있나요? 위치는 누가정하나요?
집 개수가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위치 상관 없고, 보통 집을 세기 쉽게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 수 있게 놓는 것이 대부분입니다@@비탑-g5p
좋은 질문이십니다^^ 교육적 관점에서 포로는 다시 살려돌아와야 하고, 그래서 종국에 내 집으로 데려온다고 이해하시면 편하실 겁니다. 룰이기 때문에 상대도 이를 지켜야 하고, 계가 시 내 집으로 데려와 아무 곳에나 놔도 됩니다. 다만 구구단이 적용될 수 있도록(계산이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모양으로 집을 다듬습니다^^
사석은 상대방이 @@비탑-g5p
00:42 바둑판의 이름에서 좌상귀나 우상귀등은 백돌 기준인가요?흑돌 기준인가요?
공통의 기준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흑을 잡은 사람이 바둑판을 바라볼 때 오른쪽 위 부분은 우상귀 부분이 되는데, 마주 앉은 백을 잡은 사람은 같은 부분을 바라볼 때 왼쪽 아래, 좌하귀가 되는 부분을 바라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바둑배우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어요~
6:41 나: 검은돌이 흰색을 잡았는데 자기집? 흰집으로 데려올 수 있다고요? 무슨 말인지 헷갈리네요
저도 들으면서 헷갈렸네요
자기집으로 데려올 수 있다는 설명보다 상대집을 메워 마지막 집 계산할 때 상대방의 집을 줄인다고 설명하시면 더 덜 헷갈릴듯 합니다
네^^ 이 부분의 설명을 조금 덧붙인다면, 상대에게 잡힌 내 돌들은 일단 포로가 됩니다. 그후 바둑이 끝나고 계가를 하는 단계에서 마치 전쟁에서 포로를 교환해 살려 돌아오게 하듯, 내 집이 많다면 포로를 얼마든지 데려올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내가 잡은 상대의 돌로 상대의 집을 메꾼다고 하도 같은 의미이지만, 교육적인 차원에서 내 돌을 살려 돌아오게 한다는 의미로 말씀드렸습니다:)
@@Baduk포로를 데려오면 내 집 개수가 줄어드니까 손해 아닌가요?
저희 아빠도 안 알려주시는걸 감사합니다❤
7:17 착수 금지라는 룰이 영상에서 처럼 저렇게 1개만 비었을때 만인가요? 아니면 공간이 2개든 3개든 20개든 집이 먼저 만들어져 있는 경우라면 안에 착수 금지인가요?
2개이상 집이면 활로(숨구멍)이 존재하기 때문에 놓을 수 있습니다. 놓는 즉시 활로가 없는 상태가 착수금지입니다. 단, 놓으면서 상대 돌을 따먹는 상황이 돼서 활로가 생긴다면 착수가능합니다.
네^^ 맞습니다. 공간(숨구멍)이 하나이든 2개이든 10개이든 사방이 상대의 돌로 막혀 있다면 두지 못합니다. 두는 수간 숨막하는 곳은 못 둔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뮈든지 배우자❤
알파고 형님한테 개뚜드러 맞았습니다 4점 먹고 시작했는데 ㅋㅋㅋㅋㅋㅋ바둑 어렵네요
ㅋㅋㅋㅋㅋㅋㅋ 4점 접바둑으로 이길려면 준프로 정도는 되야 될걸요 ㅋㅋ 프로도 2~3점으로 해야 이길수있거든요
@@사람-e2l6w 그런가요?
조훈현 선생님의 고수의 생각법 책을 읽고 찾아왔습니다
1선, 2선, 3선, 4선에만 돌을 둘 수 있나요?
물론 5선이든, 6선이든 돌을 원하는 곳에 둘 수 있지만 효율을 따지자면 초반에는 주로 3선과 4선에 돌을 놓는 것이 좋습니다.
어렵다
수비는 4방향, 공격은 8방향으로 가능하구나
어렵네요
저바둑대왼
아 이거 쌩초보강의였네
저 같은 사람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