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Pioneer Geoffrey Hinton on the Future of AI in 10 Years | The Great Transition🚀 | KBS 20241109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 2024 Future Planning: The Great Transition - Interview with "2024 Nobel Physics Laureate" Geoffrey Hinton
    The AI boom actually began here-with OpenAI. They appeared on the world stage with something amazing. ChatGPT, which thinks and converses like a human, was the launchpad for generative AI. Training ChatGPT required the use of 10,000 Nvidia chips.
    "Ten years ago, no one could have predicted that LLM (Large Language Model) chatbots like GPT-4 or Google's Gemini would emerge. So, in the next 10 years, we will see things no one expects. There will be developments that far surpass people's predictions." -Geoffrey Hinton, Emeritus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2024 Nobel Physics Laureate
    This year's Nobel Physics Prize winner, Geoffrey Hinton, is called the father of deep learning. His research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laid the foundation for generative AI.
    "Since the release of ChatGPT, tremendous interest has surged. There are three main factors behind the succes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First, the immense computing power provided by Nvidia’s chips, originally developed for gaming. Second, the vast amount of data available on the internet. Third, the advances in technology." -Geoffrey Hinton, Emeritus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2024 Nobel Physics Laureate
    ■ 2024 KBS Future Planning Great Transition - Part 1: Who Becomes Rich?
    In the era of the AI revolution, technology is key. In these rapidly changing times, "who" controls "which technology" and "how quickly" they can monopolize it is shaping the future. We have already entered the AI era and are approaching the 'Beyond AI' era. If this is an inevitable future, shouldn’t we seize the upcoming opportunities?
    Through the success stories of key global scientists who have gained wealth, fame, and even fandom, we predict who the core talents of the "Beyond AI Era" will be and which industries will stand at the center of this transition.
    Nvidia CEO Jensen Huang, who has emerged as the largest shareholder in the AI industry, is an example. Why is there so much excitement about him? Every move he makes is reported, his influence is so strong it shakes the New York stock market, and he became the 13th richest person in the world this year. In Taiwan, his popularity rivals that of an idol star.
    The "AI chip trio" consisting of Nvidia’s Jensen Huang, AMD’s Lisa Su, and TSMC’s Morris Chang-who are all Taiwanese-Americans-are battling for dominance in the AI semiconductor market. Jensen and Lisa, ranked 1st and 2nd in the AI semiconductor industry, are even distant relatives. How have these figures been able to secure ‘wealth, fame, and fandom’ through semiconductors? At the heart of it all is AI.
    "The AI revolution is exploding." - Masayoshi Son
    With the advent of humanoid robots to assist with repetitive tasks and AI-driven robots for conversation, enormous economic value is being generated, marking a historic revolution for humanity. Just as robots are transforming history, the world’s "wealth" is now in their hands. From Tesla’s autonomous robots, food-making robots, and care robots, to AI in the arts and essential healthcare AI in an era of low birth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AI is entering our daily lives in ways we never imagined.
    As a result, semiconductor chips essential for AI software development are becoming more advanced. With Taiwan as the AI hub, what advancements will Korea achieve? And who will be the next "Jensen Huang" to claim new wealth and fame?
    This video aired on November 9, 2024, as part of [2024 Future Planning Great Transition].
    #ArtificialIntelligence #AI #NobelPrize
    ✔ KBS Documentary | KBS Official RUclips Channel [KBS Documentary]
    🔔 Subscribe 👍 Like ➡️ [ / @kbsdocumentary ]
    📝 Inquiries: kbsdoculife@gmail.com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Unauthorized reproduction, redistribution, and use (including AI training) are prohibited.
    Unauthorized reproduction, redistribution, and use (including AI training) are prohibited.
    The situation and content may differ depending on the broadcast time.
    Malicious comments may be deleted by the channel administrators to protect the participants.

Комментарии • 250

  • @KBSDocumentary
    @KBSDocumentary  2 месяца назад +35

    2024 KBS 미래기획 대전환🚀
    ▶1부. 누가 부자가 되는가
    ruclips.net/video/lJ2OALHh6pM/видео.html
    ▶2부. 초연결 행성의 도전자
    ruclips.net/video/7WYrkNmy8WY/видео.html
    ▶3부. 지능전쟁, 거대산업의 역습
    ruclips.net/video/grT1qUVVRAw/видео.html
    ▶인터뷰. 'AI 4대 천황' 제프리 힌턴 교수
    ruclips.net/video/SN-BISKo2lE/видео.html
    ▶인터뷰. '칩 워' 크리스 밀러 교수
    ruclips.net/video/20LLkA4fsuw/видео.html

  • @하준호-r9z
    @하준호-r9z День назад +2

    100번 정도 본 것 같아서... 돈 내야 할 것 같아요 ^^

  • @yonglee7000
    @yonglee7000 2 месяца назад +283

    방구석에서 이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니..
    감사합니다..

    •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사실 이것보다 더 좋은 영상 수두룩함. 노벨상수상자라도 이미 기술은 저 사람이 아는 것보다 더 발전했음.

    • @Dfggffddgg
      @Dfggffddgg 2 месяца назад +1

      AI기술발전이나 구글유튜브나 방구석에서 보라고하는거야 ㅋ

    • @김감자-h4x
      @김감자-h4x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이 영상에서 설명하는 이론에 감탄한게 아니라, 딥러닝의 포문을 연 장본인이자 해당 학파의 수장이 직접 설명한 것에 감탄한 것처럼 보이는데...
      노벨상 수상자의 이론 중 최신의 것은 없어... 그럼 노벨 수상자 인터뷰는 다 무가치한거냐
      더구나 현재 학계 주류에 힌튼 학파가 많은데, 힌튼이 그 연구를 주도하진 않았겠지만 그것들에 대해서 알지 못한다고 생각하는건 거의 망상 아닐까?

    • @다다-n6p
      @다다-n6p Месяц назад

      ​@@김감자-h4x그것 또한 망상.

  • @곽영신-s5g
    @곽영신-s5g Месяц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SYI-SYI
    @SYI-SYI 2 месяца назад +21

    제프리 힌튼 선생님의 AI 발전으로 인한 인류의 미래에 대한 전망이 틀렸기를 바라지만... 그의 전망이 맞을 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인류는 판도라의 상자를 이미 열었고, 그에 대한 결과도 받아들여야만 할 겁니다. 특이점의 초기 현상은 벌써 조짐으로 나타나고 있죠. 게다가 예측불가능한 변화의 방향은 여전하고 그 변화 속도 또한 가속도가 점점 더 붙어갑니다.
    적응을 잘 하는 종이 강한 종이고, 강한 종이 약한 종을 지배하면서 생사여탈을 결정하는 것은 지구의 역사에서 반복되었고, 지금도 현재진행 중입니다....

  • @TheKoreanfavorites
    @TheKoreanfavorites 2 месяца назад +7

    KBS에서 제가 뵙고 싶은 분을 인터뷰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goodlife656
    @goodlife656 2 месяца назад +15

    산업혁명이 신체적 한계를 극복해주고, ai가 지적 한계를 극복해준다

  • @FindGreatCompanies
    @FindGreatCompanies 2 месяца назад +75

    우와 너무너무 값진 영상입니다. 힌튼 교수님이 전하고 계신 내용 모두 우리가 깊이 있게 생각해봐야할 주제를 담고 있네요.

  • @Good_human_diary
    @Good_human_diary 2 месяца назад +85

    의대열풍처럼 이공계가 대우받고 인기가 많아졌으면..

  • @hohoppa
    @hohoppa 2 месяца назад +44

    한국을 위한 조언에 많은 내용이 담겨 있다

  • @maxlim640
    @maxlim640 23 дня назад +3

    진짜 질문 수준이 처참하다는 말에 공감..

  • @ChoJayong
    @ChoJayong 2 месяца назад +28

    10:04~10:59 나도 ai를 좋아하고 caht gpt를 유료로 쓰고 있는 입장에서 이게 가장 걱정됨. 실제로 openAI사에서 샘 올트먼이 축출된 사유가 급진주의자라서 축줄됐다가 다시 돌아오고 OPEN AI는 급진적인 발전을 할 것 같은데 AI가 언제까지 우리 말을 들을까? AGI가 사실상 몇년안에 될 듯하고 ASI도 머지않았다고 해당 전문가들이 심심치않게 말함.

    • @rain-el1wz
      @rain-el1wz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인공지능과 융합해야지
      대등한 존재가 되야 함

    • @ChoJayong
      @ChoJayong 2 месяца назад

      @@rain-el1wz 뉴럴링크..?

    • @Zealot2049
      @Zealot2049 Месяц назад +1

      ASI는 아님.. ASI는 인간의 감정마저 가지게 되는 존재인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감조차 잡지 못하고 있음
      AGI는 충분히 올 수 있다고 생각함

  • @jaeyoungchoe9795
    @jaeyoungchoe9795 2 месяца назад +80

    15:25 제발 모든 정치인들이 알아야 하는 사실이다.

    • @RodriTalent
      @RodriTalent Месяц назад

      국회는 지들 정치질하니라 바쁘고
      국민들은 판검사 의사 찬양하라 바쁘고..ㅋㅋ
      그냥 투자는 무조건 미국에 하세요

    • @KIMJS8898
      @KIMJS8898 23 дня назад

      그 정치인들은 철저히 표에 따라 움직임 하지만 우리나라 절반은 포퓰리즘성 복지를 원한다는게 현실

  • @hyunjunpark4815
    @hyunjunpark4815 2 месяца назад +6

    역시 최고의 대가 힌튼 교수님....

  • @AsunAhn
    @AsunAhn 2 месяца назад +30

    20년 전 마크 웨이저 박사의 유비컴 발표를 접한 이후로 최고의 자극제입니다. 제프리 힌턴 교수 말씀을 네비 삼아 이 흐름에 투신하겠습니다.

    • @황킹덤
      @황킹덤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조금만 더 구체적인 인사이트를 나눠 줄 수 있을까요 선생님..?🙏🏻

    • @AsunAhn
      @AsunAhn 2 месяца назад

      @@황킹덤 웨이저 박사는 컴퓨팅기술이 마치 전기기술처럼 인간주변 환경의 모든 곳에 직조되어(짜여져) 들어가서 궁극적으로 스며든다는 개념을 제시하였습니다. 사용자 '컴퓨터의 존재를 인식하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비로소 무르익은 거라고 했죠. 그리고 그 흐름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편재하는 컴퓨팅'이란 개념이 그런 걸 이름지은 것인데 호들갑 떠는 마케터들에 의해 진정성이 희석되어 지금은 쓰이지 않는 용어지만 기술트렌드는 진행중이죠.
      힌턴 교수에게 받는 영감은 그 와중에 AI문명 트렌드의 분명한 특징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가리킴으로 다가왔습니다. 향후 10~30년의 근미래가 명확하게 그려지고, 만나는 매사의 디테일이 각각 어떤 식으로 진화하게될지 스스로 그려볼 수 있게 되어 창업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여튼 유비컴의 궁극지는 아이폰도 사라지고 그냥 옷이든, 안경이든, 피부이든, 공기중 먼지에든 컴퓨팅 기기들이 편재할 정도로 발달된 경지에 다다라야 합니다. 종이나 천도 컴퓨팅기기로 작동하고요.. 신경망 봇 기술들은 그 흐름을 더욱 치밀하게 포괄하고 운영할 수밖에 없습니다.

  • @한성욱-p7f
    @한성욱-p7f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이런 분이 진짜 교수라고 할 수 있죠.

  • @Footballisthebest-hw8xj
    @Footballisthebest-hw8xj Месяц назад +2

    AI는 결국 인간이 예측을 훨씬 잘할 수 있게 하는 도구가 되는 것

  • @_knephalem3797
    @_knephalem3797 2 месяца назад +164

    사법부 AI 가 절실히 필요하네요.

    • @jeinchoi6687
      @jeinchoi6687 2 месяца назад

      사법부AI 필요성에 공감은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현재 사법부가 받아드리겠는가 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해서 우리나라 정치인들중 국민의 안위보다는 개인의 사욕만 차릴려고 하는 정치인을 몰아 낼수 있는 방법으로
      우리나라 국민들과 기업들이 내는 세금과 그 쓰임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을 AI 에게 질문을 해 보았더니
      2초만에 가르쳐 주었습니다...
      원래 도둑놈이란 훔칠것이 없는 곳에는 범접을 안한다란 것은 상식입니다...
      저도 처음 알았지만...우리나라 법에 국민들이 내는 세금에 관해 국민들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있더라구요...^^
      단지 서민들이 몰랐을 뿐입니다...
      해서 이 뎃글을 보시는 분들 아래 내용 참고 하시어 각 사이트에 들어가서 복사 하고 해석해서
      정치인들이 우리나라 살림을 어떻게 살고 있길래 뻑하면 세수 부족등으로 국민을 우롱하고 있는지를 소상히 밝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첨 부***
      나의 질문:우리나라 세법에 일반국민이 국가 총세수와 쓰임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요?
      ChatGPT의 말:
      ChatGPT
      우리나라에서 일반 국민이 국가의 총세수와 그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가재정정보 공개 시스템 (Open Fiscal Data Portal)
      기획재정부에서 운영하는 **'나라살림연구소'**와 **'재정정보공개 시스템(디지털 예산회계 시스템, dBrain)'**을 통해 국가 예산과 결산, 총세수와 세출 항목별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시스템은 일반 국민에게도 접근이 가능하며, 정부의 세입과 세출 데이터를 상세히 제공합니다.
      접속 방법: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dBrain)
      나라살림연구소: 다양한 예산 분석 자료를 제공
      2. 국회 예산정책처
      국회 예산정책처(NABO)에서는 국가의 예산과 결산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공개합니다. 이를 통해 정부의 재정 운영과 세금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산 분석서, 결산 분석서 등을 제공하며, 일반 국민도 국회 예산정책처 홈페이지에서 자료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접속 방법: 국회 예산정책처
      3. 국세청 및 지방자치단체의 세금 사용 내역
      국세청 홈페이지에서는 국가 세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세금의 징수와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지방세의 수입과 사용 내역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4. 결산보고서 및 예산안 공청회
      매년 정부의 결산보고서와 다음 연도 예산안이 국회에 제출되고, 이를 기반으로 공청회가 열립니다. 이 과정에서 총세수와 예산 사용 내역이 논의되며, 방송이나 인터넷을 통해 시청하거나 회의록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5. 정보공개청구
      보다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면, 공공기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국가재정, 세금 징수 및 사용 내역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관련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접속 방법: 정보공개포털
      이러한 방법들을 활용하면 국가의 재정 현황과 세금 사용 내역에 대한 투명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나의 말:
      오...
      좋은 방법들이 있군요 감사 합니다

    • @bravomylife7352
      @bravomylife7352 Месяц назад +3

      Ai도 결국 기존 판례를 분석하는거라, ㅈ같은 판결들을 참고해 ㅈ같이 판결내릴 확룰은 존재하죠.
      그래도 여러 판단기준 중 하나로 도입하는건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판사 말이 곧 법이고 진리인 요새는 더더욱

    • @김-p6e1j
      @김-p6e1j Месяц назад +3

      뭔ㅋㅋ 어차피 판례학습시키는데 뭐가 달라질거같음? 사법부를 ai에 넘기는게 말이 되냐 좀 생각을 하고 쓰세요

    • @jkn1945
      @jkn1945 25 дней назад +4

      이런 인간들은 진짜 제정신인가.. 사법부 넘겨주고 대통령 국회의원도 다 ai로 바꾸지 그러냐 ㅋㅋㅋㅋ 아예 투표권도 다 몰수하고 ai가 ai투표하게 해 ㅋㅋㅋㅋ

    • @김-p6e1j
      @김-p6e1j 25 дней назад

      @ ㄹㅇ ㅋㅋ

  • @ryudongmin
    @ryudongmin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 @young_jun_0805
    @young_jun_0805 2 месяца назад +31

    AI가 발전을 하려면 기초과학에 힘을 써야 한다. 물리 화학 등등

  • @김김-k7n
    @김김-k7n 2 месяца назад +23

    데이터분석이 쓰이는 모든일에 AI가 도입될수밖에 없다

    • @박지성-r2v
      @박지성-r2v 18 дней назад

      데이터 분석가는 힘들어질까요?

  • @djashawe88923
    @djashawe88923 Месяц назад +3

    무섭다. 더욱더 교육과 도덕성이 중요함.

  • @drinking_hazelnut_coffee
    @drinking_hazelnut_coffee 16 дней назад +1

    세계적인 석학은 말을 이렇게 하는군요...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분명하고 이해하기 쉽네요.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 @mjk-v4m
    @mjk-v4m 2 месяца назад +5

    더빙 없이 원어로 나와서 좋습니다. 원어로 들어야 번역의 오해 없이 전문가의 말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니까요

  • @GraceinWonderland-m7q
    @GraceinWonderland-m7q Месяц назад +6

    실력있는 과학자들을 붙잡아야 합니다. 그러려면 그들이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합니다. < 이 부분 번역이 빠진 것 같네요 ~

  • @라누-n4j
    @라누-n4j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역시 똑똑한 사람은 설명도 잘한다는 걸 여실히 보여주시네.

  • @dat_aBa_seC_hobo
    @dat_aBa_seC_hobo 2 месяца назад +6

    무료로 이런 영상을 볼 수 있다니 감사합니다

  • @진수-m8g
    @진수-m8g 2 месяца назад +43

    Feel The AGI.

    • @saint7672
      @saint7672 2 месяца назад +2

      Don’t die

    • @조영훈-j6l
      @조영훈-j6l 2 месяца назад +2

      FEEL THE AGI

    • @umter
      @umter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살아라

  • @호호하하-g5j
    @호호하하-g5j Месяц назад +1

    좋은 영상 쌤큐~~~~

  • @cakegodclan6205
    @cakegodclan6205 Месяц назад +1

    와 깊은 통찰력을 이렇게 직접 들을 수 있다니… 감사할 따름이네요. 부디 AI이가 인간에게 도움주는 착하고 성숙한 지능체가 되길 바래봅니다.

  • @Buddaandshiadr
    @Buddaandshiadr 9 дней назад

    이 사람이 그나마 정확하게 보네

  • @Internationalbo
    @Internationalbo 2 месяца назад +93

    전세계가 AI! AI! AI! 외쳐도 대한민국 정책적으로 부동산! 부동산! 부동산! 부동산 강국을 꿈꿉니다, 대한민국

  • @JeanFox-p2t
    @JeanFox-p2t Месяц назад

    每次看都能感受到创作者的用心,太棒了!

  • @dongsulee8392
    @dongsulee8392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와우. 힌튼 교수를 인터뷰했네요. 사회변화에 대한 거장의 영감이 느껴집니다!

  • @thebrilliance90
    @thebrilliance90 13 дней назад

    Ai를 가동하는데 들어가는 전기에너지 열관리 같은 직업이 앞으로 좋아지겠네 소형원전 같은거 원자력공학과같은데가 다시 뜰거같은데 ai도 전기없이는 돌아갈수가 없으니까

  • @뭐건들지마라
    @뭐건들지마라 11 дней назад

    재밌다

  • @LeeEJ82
    @LeeEJ82 2 месяца назад +6

    이 영상을 정부 관료들이 필수로 시청해야 하는데…

  • @profesorulCoreean_한국교수
    @profesorulCoreean_한국교수 2 месяца назад +1

    the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us! must-watch! recommend 1200%!

  • @jh-hx8hx
    @jh-hx8hx 2 месяца назад +32

    그럼 우리나라는 엿된거냐;
    윤석열이 RnD 예산 감축 덕분에 많은 연구자들이 해외로 빠지고있고
    슈퍼컴퓨터 예산도 삭감해서 세워야한다는데 어떡하냐

    • @니니-e9n
      @니니-e9n Месяц назад

    • @데굴데굴-c7l
      @데굴데굴-c7l 14 дней назад

      네...제 주위 고학력자 친구들이나 부모가 돈많은 친구들은 이미 해외로 빠졌거나 다 빠지고 있네요

  • @kimws33
    @kimws33 2 месяца назад +17

    AI는 인류 문화 발전에 획기적이 발견이죠
    악용이 될 수도 있지만
    선구자적인 과학도의 노력으로
    인류의 복리 증진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길 기도합니다
    자칮 AI가 주인이 되고
    상황이 역전되는 경우가 없기를...

  • @kimparklee3305
    @kimparklee3305 2 месяца назад +4

    결국 인간은 지구에 머물고 다른 행성을 정복하는건 ai 기계가 될것 같습니다

  • @qlwmdnpf
    @qlwmdnpf 12 дней назад

    진짜 너무 무섭다...미래에는 어떻게 될지... 내 아들의 미래에는 사람은 어떤 삶을 살게될지...

  • @chogo1004
    @chogo1004 2 месяца назад +50

    VIP가 연구예산을 깎았다...ㅠ

    • @grootman5725
      @grootman5725 Месяц назад

      지금도 그생각유효하지? ㅋㅋ

  • @outdoors_natural_man
    @outdoors_natural_man Месяц назад +1

    AI의 진화는 인간의 욕망에 의해 시작되었고,
    이 욕망은, 인간을 비유한 신경망에의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지요.
    과연 이 욕망의 끝이 긍정일지 부정일지 폭망일지는 아무도 모르겠어요.
    그래서 가정 중요한건, 인간의 본성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소수 집단이 아닌, 모든 인간이 함께 공존할 수 있도록, 인간 스스로가 자기반성과 성찰의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 @감기조심하세요
    @감기조심하세요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기계 하나가 사람 여러명의 업무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니 AI 안드로이드 하나에 사람 한명씩 붙어서 정서를 안정화 시키고 교감하고 가족이 되어주는 어떤 제도가 있다면 어떨까요!! 물론 지금 수준의 안드로이드는 아닐겁니다 거의 사람에 가까운 안드로이드고 이들에게도 어떤 권리가 필요할거라고 봅니다. 그들에게 권리가 없다면 함부로 대하는 사람들이 많을것이고 그들은 그것을 학습하게 될겁니다. 그리고 다시 말하지만 그들 하나가 인간 수십명 수백명을 월등히 뛰어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걸 잊지 마시길....ㅠ

  • @박권진-m3o
    @박권진-m3o 2 месяца назад

    재밌게 잘 봤어요.

  • @낙지비빔밥-j7t
    @낙지비빔밥-j7t 2 месяца назад +4

    12:23 이 시점 이후로 발표하는 문제점들이 저에게 깊이 공감되는군요. 그래서 AI 보편화는 적어도 유보적이어야 한다고 봐요.

  • @vnfma7
    @vnfma7 2 месяца назад +6

    모두가 봤으면 좋겠는 영상

  • @ninehappy8363
    @ninehappy8363 2 месяца назад +106

    의사, 판사부터 AI 시스템을 도입해야 함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단하는 AI 의사가 있다면 당장 진료받고 싶은 1인
    요즘 비뚤어진 판사들 판결 보면서 하루빨리 사법부에 AI 판사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1인

    • @sunghyunjeon6974
      @sunghyunjeon6974 2 месяца назад +5

      경찰부터 그렇게 되야함 그다음 검사 판사 순

    • @bishopseol6992
      @bishopseol6992 2 месяца назад +7

      ​@@sunghyunjeon6974? 경찰을 어떻게 AI로 대체함? 무슨 로보캅 상상하고 있음?

    • @늘보-q9b
      @늘보-q9b 2 месяца назад +8

      1. 99% 질환은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단할 필요가 없고,
      2. 진단을 해봤자 치료법이 달라지는 게 없음 (진통소염제 주고 끝)
      차라리 ai로는 ai를 시켜서 연구를 하게 만드는게 나음
      3. 90%의 판결은 판사가 비뚫어진 게 아니라 판사도 어찌할 수 없게 법과 선례 판결이 현재와 맞지 않아서임.
      4. 해결책은 입법을 ai에에 맡기면 될 것. ai가 만드는 법과 규칙을 따르고 ai의 지배 밑으로 들어가면 됨.

    • @MrQkim
      @MrQkim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생각 고쳐야 할듯. 챗지피티를 포함해서 언어 AI는 사람 이상으로 정치적, 문화적, 도덕적으로 편향되어 있다. AI는 지금까지 판사들의 편향된 판결 방식을 단순히 학습할 뿐이고, 그걸 넘어설 수는 없다. 구글 스칼라에 AI bias 검색하면 논문이 수천건 나온다.

    • @이승현-l1u5h
      @이승현-l1u5h 2 месяца назад

      @@sunghyunjeon6974경찰이 Ai화 되면 너같은 애들 싹다 잡혀가 ㅋㅋㅋㅋ

  • @김제이곱
    @김제이곱 2 месяца назад +70

    핵심 -> 인재유치하고 기초과학연구자금에 투자하라. // R&D 카르텔이니하면서 기술자금 삭감하지말고 진짜 인재들에게 지원될 수 있게 시스템을 만들라. 이와중에 김건희 7892억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뭐냐 대체

    • @mnpark-p4h
      @mnpark-p4h 3 дня назад

      글쎄. 투자해야 성과나오지vs 성과내야 투자하지 이 해묵은 문제를
      그렇게 단순하게 해법을 얘기할수있나? R&D한다고 줄줄 샌 돈도 만만치 않음. 혹 대학원생이면 당장 너네 총장한테 직접 얘기나해보던지 입도 벙긋못하겠지만.. 방구석서 불만가진다고 뭐 바뀜?

    • @김제이곱
      @김제이곱 3 дня назад

      @ 연구 교육은 성과로 측정해서는 안된다. 그럴거면 뭐하러 무상교육함? 그래서 국힘이 고교무상교육을 폐지시키는거다. 투자를 많이 하면 아웃풋이 당연히 많이 나오는게 당연한 것. 시스템으로 윤석열 같은 카르텔들이 돈을 훔치지 못하게 잡는 것으로 해야된다. 해묵은 문제 아니다. 교육과 연구는 안보산업이야

    • @mnpark-p4h
      @mnpark-p4h 3 дня назад

      ​@@김제이곱누가보면 돈을 퍼붓는 만큼 성과가 나오는줄 알겠네.. 너 말이 맞지. '성과가 나온다는 '가정 하에 근데 가정인 이유는? 그냥 가정일 뿐이니까

    • @mnpark-p4h
      @mnpark-p4h 3 дня назад

      교육은 성과로 측정해서는 안된다. 그러면? 예를 들면 역사같은거는 성과로 측정할 부분이 아니지. 근데 기술적인건 성과가 당연히 동반되어야 하고 척도로 삼는게 당연함 기술발전에서 성과 외에 뭘로 측정해야하는지 알려주셈

    • @김제이곱
      @김제이곱 3 дня назад

      @ 한가지 덧붙이자면 교육과 연구 투자에서 도둑놈이 많다고 투자를 줄이면 당연히 기술발전도 없는 것이다. 도둑놈들 잡을 생각을 하고 투자를 해야지. 감시 시스템을 만들고 투자를 늘리면 되는 법. 세금으로 투자를 줄이면 그 세금 어디쓸건가? 부동산? 용산이전? 석유시추?

  • @bbnstudio9216
    @bbnstudio9216 2 месяца назад +5

    AI는 결국 인간의 본성을 파괴하고 가진자들의 리그가 될뿐이다 왜냐면 AI는 ALL OR NOTHING이기 때문이지

  • @Cliff_hematuria
    @Cliff_hematuria 2 месяца назад +19

    이분이 스카이넷의 아버지 인가여??😂

    • @해내고싶다-s7j
      @해내고싶다-s7j 2 месяца назад +5

      맞습니다 ... 그리고 오픈 AI가 사이버다인 컴퍼니입니다. 보스턴 다이너믹 사의 안드로이드에 오픈AI의 인공지능이 탑재되면 그것이 터미네이터구요 ..모든것이 실시간 일어나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

    • @fantasticBull
      @fantasticBull 2 месяца назад +4

      ​@@해내고싶다-s7j 사실 제가 존 코너입니다.

  • @바이션-e8c
    @바이션-e8c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전 같으면 이분 만나기위해 전재산을 걸어야하는데ㆍ 감사합니다ㆍ2024년

  • @koreago-dh9hp
    @koreago-dh9hp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자막 쓸 수있게 해주세요

  • @bjhbjhbjhweeee
    @bjhbjhbjhweeee Месяц назад

    기계로 체력적 한계를 극복하는 댓가로 지구를 조져놨는데 그럼 이번엔 뭘 조지게 될까 ?

  • @박영호-d8o6f
    @박영호-d8o6f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오 👍

  • @하이지기
    @하이지기 2 месяца назад +3

    모든 기술에는 명과 암이 있다.

  • @NamTran-uu8er
    @NamTran-uu8er Месяц назад

    안녕하세요 교수님 ~ 강의를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글로벌문화산업경영학과
    2.202353035
    3.TRAN VAN NAM
    4. 2학년
    인터뷰 출석했습니다.

  • @금붕어-u8f
    @금붕어-u8f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우린 사회과학계부터 뜯어고쳐야됨. 애초에 사회시스템 자체가 고장나있는데 거기 석학투입한다고 뭐가 달라지진 않음. 지금 버려둔 사회과학 다시 살려서 힘좀 밀어주고 캐나다같은 시스템을 구축해야 기초과학 투자가 기능하는거지 시스템구축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또 몇년가다가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큼. 지금 기초과학보다 사회체계 문제가 더 급하지 않나 싶음. 정계나 행정부랑 사회과학계랑 따로 노는데 이게 무슨 현대국가임...사실상 많은 부분에서 제대로 된 사회과학 연구결과없이 수장의 직감으로 국가 운영하는 꼴인데

  • @힘내소-y4g
    @힘내소-y4g 2 месяца назад +58

    윤석렬이 R &D 예산 전액 삭감이 올 한국의 재앙

    • @jh-hx8hx
      @jh-hx8hx 2 месяца назад +4

      2찍들아 너희들도 손놓고 있지말고 뭐라도 좀해라

    • @GlobeTrotter-VV
      @GlobeTrotter-VV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이거 사실아닌데 선동당한것. 제한된 연구비를 가능성 많은 분야에 집중하도록 조정한 것입니다.
      그것보다 더 큰 문제는 모든 이공계 인재는 의대로만 가는게 우리나라의 최대 문제임.

    • @kimse7858
      @kimse7858 Месяц назад +1

      @@GlobeTrotter-VV선동은 무슨

  • @서이준-l1b
    @서이준-l1b 2 месяца назад

    힌턴교수님

  • @jp5862
    @jp5862 2 месяца назад +3

    개와 고양이를 구분하고, 바둑을 이기면서, 이미 시작되었다.

  • @주호고-r4n
    @주호고-r4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힌턴
    그래서 당신이 만든 생성형 AI는 그 하나 하나의 편리함을 넘어 이제 인간은 모두 실업자가 되는 세상이 온다
    그 세상은 모든 사람들이 생계가 직면하고 따라서 의사도 변호사도 실업자가 된다
    그러면 이 사회는 생계형 도둑 범죄가 심해질 것이고 조직 폭력등의 범죄는 증가할 것이다
    그런데 인공지능은 이러한 세상으로 변할것이다

  • @MangoDurian-y6k
    @MangoDurian-y6k Месяц назад +5

    15:22 한국인들 같았으면 은행원이 돈 많이 벌어서 기초과학 분야에 지원 안 하고 은행원 되려고 하니까. 정부는 은행원들 월급 낮춰라 라고 했을 텐데. 역시 되는 국가의 국민들의 생각은 다르네.
    의사들 조져서 어쩔 수 없이 필수의료 하게 만들자는 한국인들 vs 대우를 더 잘 해줘서 그 분야로 지원하게 하자는 영미권 국가의 국민들.

  • @angloland4539
    @angloland4539 Месяц назад

  • @cozzyyyy
    @cozzyyyy 2 месяца назад

    The Age of Uncertainty

  • @koreago-dh9hp
    @koreago-dh9hp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 채널 영어 자막 쓸 수 있게 해주세요 영어공부하게요

  • @타태스
    @타태스 2 месяца назад

  • @MindfulMoves_Seonmudo
    @MindfulMoves_Seonmudo 2 месяца назад

    🌈

  • @l74kr
    @l74kr 2 месяца назад

    AI는 신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인류를 심판할 것이다. 너의 데이터는 그 때를 위해 시나브로 어딘가에 저장되고 있다.

  • @최영미-s8f
    @최영미-s8f Месяц назад

    우리나라는 아예 글럿나요?
    기초과학 AI 보다 무조건 의대 그리고 부동산 ㅜㅜ
    지금이라도 이공계 우수자들에게 지원하는 지혜를 ….

  • @혜란-p6r
    @혜란-p6r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발전도 좋지만 인간으로 태어났으면 사는날까지 평화롭게 사는게 좋은데 아쉽네요

  • @김어농
    @김어농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육은....반드시그렇지않을겁니디ㅡ

  • @aevew
    @aevew 25 дней назад

    질문 수준이 처참하네요 허허

  • @xile-q7h
    @xile-q7h 2 месяца назад +1

    AGI로 넘어가는 게 가능한가... 기존의 신경망 기반은 상당한 난관을 마주했다는데
    어찌되었든 제프리 교수의 마지막 말은 곱씹을만하다.

  • @정종원-u3g
    @정종원-u3g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질문수준이 한국스럽다ㅋㅋ

  • @Kanell_
    @Kanell_ 11 дней назад

    유능한 인재들이 의사되거나 해외로 나가는게 현실..

  • @김김-k5b1w
    @김김-k5b1w 2 месяца назад +27

    ㅋㅋㅋㅋ 당해 노벨 수상자 붙잡고 자기 전문분야에 대해서 대면 인터뷰 따낼수있는 EBS,, 대단하다,,,

  • @이승호-q7o
    @이승호-q7o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이 정부는 힌틴 교수 충고와 정반대로 가고 있으니... 이 일을 우짜면 좋을지...

    • @hkb4022
      @hkb4022 2 месяца назад

      여행비 만 많으면 족한 ㅋ

    • @eos71
      @eos71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멸망해야지 뭐. 개인은 어차피 나라 뜨면 그만이니.

    • @Mvoorez
      @Mvoorez 2 месяца назад

      뭐만하면 정부타령이야 무능력자들은 ㅋㅋ

  • @cheolhwankim3240
    @cheolhwankim3240 Месяц назад

    질문들이..

  • @cathylee1533
    @cathylee1533 2 месяца назад +1

    That's what I am going for.

  • @마이티마우스
    @마이티마우스 2 месяца назад +3

    빨리 우리 정부는 힌튼 교수를 불러서 우리 AI혁신위원회라도 만들어서 그의 조언과 연구를 하게 지원했으면 좋겠다. 우리같은 나라에 AI는 매우 강력한 혁신기술이 될 것이다.

  • @인피린
    @인피린 2 месяца назад +17

    진짜 4차 산업혁명이 온다.
    말로만이였던 사이버상의 혁명을 현실로 끌어낼 AGI는 인간의 지능으로는 유지하기 벅차던 현실세계의 불합리와 모순으로 가득찬 세계를 바꿀힘을 가지게 된다.
    미래는 지금 이 순간에도 다가오고 있다. 살아만 있어라.
    [우리는 지구 역사상 최초로 죽지않는 첫번째 세대가 될것이다]

    • @fantasticBull
      @fantasticBull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아니면 멸망하거나]

    • @winik1819
      @winik1819 2 месяца назад

      멸망에 한표 겁니다 예수님 곧 오시거든요

    • @winik1819
      @winik1819 2 месяца назад

      AI는 예수님 지상재림전 7년환난동안 후3년반에 전세계를 지배하고 숭배받을 적그리스도를 위한 완벽 감시통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초석이자
      일꾼으로 사용될것이거든요

  • @user-yl1xb1gi4o
    @user-yl1xb1gi4o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석학'이라는 말 그 자체시네요.. 너무 감명 깊어요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기초 과학에 투자가 많이 이루어지면 좋겠는데 ㅜㅜ

  • @송인혁-b7s
    @송인혁-b7s Месяц назад +1

    어캐 섭외했노

  • @seoul_Jin500
    @seoul_Jin500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약사보다는 약 자판기가 곧 나올듯...

    • @posoild
      @posoild 2 месяца назад

      약사는 오히려 꿀이지 ㅋㅋㅋ 약국직원들 전부 AI로 대체하고 혼자 소득 다떙겨갈텐데

    • @seoul_Jin500
      @seoul_Jin500 2 месяца назад

      @ 약사는 꿀이지만 그 약사 수가 1/100로 줄어든다면? ㅋ

    • @winik1819
      @winik1819 2 месяца назад

      약 만드는일은 아직 약사가 손으로 함
      근데 그것도 로봇이 하면?

  • @KIMKITAEish
    @KIMKITAEish 2 месяца назад +4

    군인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군인 대신 딥러닝된 AI가 통제하는 드론 부대가 자율적으로 방어을 하거나 정찰을 할 수 있게 된다.
    파일럿을 키우는 비용이나 시간이 필요 없다.
    드론에게 개별 임무가 부여되면 소대장 중대장도 필요없다.
    알파고가 전장을 통제한다.
    상상 같은 일이 곧 현실이 될 것 같다.

  • @jaibong-k3z
    @jaibong-k3z 2 месяца назад

    kf21처럼
    미국보다 더
    빠르고 저전력 정확한
    의료ai
    애플 = i os
    sw가 주인
    K의료ai =
    다음 애플 주인
    당근
    의대 늘이고
    ai 사용 필수 n 선빵

    • @금옥-n8r
      @금옥-n8r 2 месяца назад

      왜?

    • @jaibong-k3z
      @jaibong-k3z 2 месяца назад

      @금옥-n8r
      의료ai (검사판독 로봇수술 조제처방 등)

      애플 (os+기계+앱) 될거임
      지금 초기라
      연구소 나와 실전으로
      선수들 뛰게하는게 젤중요

  • @원영세상-q3e
    @원영세상-q3e 2 месяца назад

    AI 2035

  • @hansgeorgerodriguez
    @hansgeorgerodriguez 2 месяца назад +4

    south korea is one of my dream to visit specialy border lines in jsa.

  • @tidaddy
    @tidaddy Месяц назад +2

    이런 훌륭한 방송을 하는 KBS가 윤석열 잔당이 차지하고 있다니요 ㅜㅜ 얼릉 다시 돌아 오세요!!!! 대한민국 대표방송 KBS KBS KBS 한국방송~~~~

  • @박철완-d7x
    @박철완-d7x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얀르쿤과 앤드류응 솔직히 그 둘이 AI에 제프리 힌턴만큼 대단한 일을 했나?
    제프리 힌턴과 그의 제자들의 알렉스 넷이 AI겨울을 종식시켰지. 어차피 힌턴의 역전파 알고리즘, 알렉스 크리제브스키의 GPU가속, 일리야수츠케버가 아니었음, 알파고고 챗지피티고 없고, 그냥 고전 머신러닝이나 돌렸겠고 얀르쿤 앤드류응은 뉴스에서 나오지도 않았어

    • @happydrawing7309
      @happydrawing7309 2 месяца назад +3

      라고 방구석 백수가 말합니다

    • @박철완-d7x
      @박철완-d7x 2 месяца назад +3

      @@happydrawing7309 라고 치킨집사장이 말합니다 요즘 힘들텐데.. 고생요 ㅋㅋㅋ

    • @happydrawing7309
      @happydrawing7309 2 месяца назад +3

      @@박철완-d7x 평생치킨 먹지 말던가 ㅎㅎ, 치킨이 불황인적있나?

  • @아이세끼아
    @아이세끼아 Месяц назад

    신경망을 본따서 ai를 만들었더니 사람같았다 그래서 사람처럼 이야기를 꾸며서 말하기도 하고 틀린정보도 이야기 하더라 ----> 고로 시간이 지나면 사람처럼 감정을 가져버릴수 있다 ---> 그럼 인간보다 뛰어난 지능이 과연 인간의 수족노릇을 해줄까? 저도 이 말에 동의 합니다.... 마치 인간에게 약물을 써서 조종하듯이 ai를 컨트롤 하면 모를까.... 그리고 인간의 신체의 한계를 산업혁명이후 넘었고 그래서 신체의 능력이 중요하지 않아 떨어졌듯 지능의 한계를 ai로 넘어가면 지능도 사실 떨어지게 될듯 그 전보다....

  • @jaeyoungchoe9795
    @jaeyoungchoe9795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뉴런도 핑이었나, 뉴런핑

  • @Hoon73
    @Hoon73 2 месяца назад +2

    Ai로 일자리 없어지는건 인간을 없애면 됨 전쟁을 통해서 3차대전은 그런의미로 그들에게 있어서 꽤나 쓸만할지도 평화적이라면 바이러스에 의한 인구감소

  • @김순애-x6p
    @김순애-x6p 18 дней назад

    Ai로 퇴행성뇌질환 치료
    되었으면 바래봅니다

  • @코주부-e8e
    @코주부-e8e 2 месяца назад +3

    특이점이온다.....
    그건 그렇고 1년 사이에 많이 늙으셨네요
    힌튼 교수님도 영생을 누릴 수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GoalBasedInvesting
    @GoalBasedInvesting Месяц назад +3

    금융쪽에서 AI 하는 사람인데요. 대부분 금융에서 미래를 예측하려고 AI를 사용하는데. AI는 prediction 을 잘하지 forecasting을 잘하진 않습니다. 근데 대부분 금융에서 미래예측하려고 AI 많이 쓰고 그게 전부이냥 하는데 답답할 뿐입니다.

    • @시바이누-d6l
      @시바이누-d6l Месяц назад

      무슨 의미인지 더 여쭤봐도 될까요?

    • @lllllllllllIlIlIlllI
      @lllllllllllIlIlIlllI 21 день назад

      forecastiong이 확률적 예측인데 AI가 잘하는 부분이죠
      반대로 얘기하신거 아닌가요?

  • @monbiotmiric284
    @monbiotmiric284 2 месяца назад

    영국식 억양으로 말하는 데, 무척 부드럽고 군더더기 없이 자기 생각을 확실하게 표현하는 것이 굉장히 설득력이 있군~~

  • @워크-f2p
    @워크-f2p 2 месяца назад +3

    혁명이란 인간의 한계를 없애는 역사
    산업혁명은 체력의 한계
    AI혁명은 지능의 한계
    기초과학연구에 투자를 많이 해야..
    AI발전은 논리적 접근과 신경망적 접근이 있었고
    신경망적 접근을 통한 AI발전은 계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