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 파우치형 셀 열폭주 실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리튬이온 파우치형 셀.
    히팅방식으로 열폭주를 유도하는 실험 입니다.
    가압지그가 없는 상태에서 열폭주 발생시 열폭주의 경향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저의 이트라이언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연구소 기업으로 다양한 배터리 실험 및 배터리팩 주문 제작등을 하고 있습니다.
    열폭주 실험 문의는
    ineriner@naver.com

Комментарии • 2

  • @당근샤벳
    @당근샤벳 9 дней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추천영상이 떠서 보게 되었습니다. 혹시 이런 열폭주 현상은 어떠한 이유로 일어날까요? 실험의 환경통제요소가 궁금합니다.

    • @세상의모든기술
      @세상의모든기술 7 дней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우연히 댓글을 보게 되어 답변합니다. 해당 영상에서 보신 열폭주 현상(Thermal Runaway)은 주로 배터리, 화학 반응, 또는 열에 민감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 상승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현상은 여러 요인에 의해 촉발될 수 있으며, 실험에서 이를 제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환경 통제 요소가 중요합니다.
      열폭주 현상의 주요 원인
      내부 발열 (Self-Heating): 반응 속도가 온도에 비례하여 가속되는 경우, 열이 계속 쌓이면서 폭주가 시작됩니다.
      열 방출 속도 부족: 생성된 열을 충분히 방출하지 못하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합니다.
      물리적 손상: 배터리의 내부 단락(Short Circuit)이나 재료의 변형이 열폭주의 촉매가 될 수 있습니다.
      화학 반응 속도 증가: 온도가 상승할수록 반응이 더욱 빨라져 제어하기 어려운 상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실험 환경에서 통제할 요소
      ✔ 온도 제어: 냉각 시스템(예: 공랭식, 액체 냉각), 온도 센서 활용
      ✔ 압력 관리: 밀폐 용기의 압력 해소 장치(밸브 등)
      ✔ 반응 속도 조절: 촉매 사용, 반응물 농도 조절
      ✔ 안전한 실험 설계: 환기 시스템, 방폭 설비, 긴급 차단 시스템 구축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에서의 열폭주는 내부 단락, 과충전, 외부 충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활용하여 전압과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혹시 특정한 사례나 실험 환경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드릴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