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시리즈] 9강. 국부론과 자본론 -신동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인문학 시리즈] 9강. 국부론과 자본론 -신동기
    *2011년 영상 입니다.
    [강연의 시대]는 대한민국의 소중한 강연자료들을 모아놓은 아카이브 채널입니다
    본 영상은 오간지프로덕션과 (주)석세스티브이가 공동 제작한 강연입니다.
    #국부론 #자본론
    #인문 #고전 #인문학
    #철학 #강연의시대

Комментарии • 196

  • @형도이-u3t
    @형도이-u3t 3 года назад +48

    참 좋은 세상입니다
    국부론과 자본론의
    핵에 힘 들이지 않고
    접할 수 있으니

  • @김칵
    @김칵 2 года назад +12

    파편화된 지식을 연결해주고, 사이를 매꿔주는 훌륭한 강의

  • @nableglobal
    @nableglobal Год назад +6

    이거 진짜 명강입니다. 그동안 조각난 지식들이 머리 속에서 완전히 정리가 되었네요.

  • @jhpark274
    @jhpark274 3 года назад +12

    할머니들도 이해하게끔
    너무재밋네요

  • @kanatahn
    @kanatahn 3 года назад +19

    이처럼 쉽고 재밌게 하십니까요 ?
    제가 막 지식인 듯한 맘으로 잘 들었습니다.

  • @백두부-i2v
    @백두부-i2v 3 года назад +24

    세속의 철학자들 읽으며 도움을 많이 받아 고맙습니다.

  • @bodybuldingboykim
    @bodybuldingboyki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훌륭한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이렇게 좋은강의를 유튜브에 올려주신 강연의 시대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 @yawoon
    @yawoon Год назад +4

    고맙습니다.
    많이 배웁니다.

  • @미란진-b1n
    @미란진-b1n Год назад +4

    혼자 읽었으면 다소 어렵고 이해하기 힘들었을 내용을 쉽게 강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 @user-on1cc6hq22
    @user-on1cc6hq22 3 года назад +13

    감사합니다

  • @흔들흔들-x4b
    @흔들흔들-x4b 3 года назад +20

    강의가 훌륭

  • @난황금시계
    @난황금시계 3 года назад +23

    이런 강의를 듣는게 너무 좋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

  • @조영석-u9n
    @조영석-u9n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쉽고 유익한 최고의 명강의 감사합니다

  • @나원준-g5q
    @나원준-g5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저의수준에서는 금과옥조와같은말씀으로들림니다 조은강의감사드림니다.!

  • @DK-ll4ym
    @DK-ll4ym 3 года назад +14

    이해가 쉽고 열정적인 강의네요

  • @두번은없다
    @두번은없다 2 года назад +7

    진짜 너무 좋은 강의 입니다. 많이 배우고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재식-n8e
    @김재식-n8e 2 года назад +7

    신동기교수님 최고 ^^

  • @jinnam6822
    @jinnam6822 2 года назад +3

    방송 감사 합니다

  • @roychung1063
    @roychung1063 2 года назад +4

    막힘 없이 유연한 논리와 강의 ~ 잘 들었읍니다

  • @Jqkqazwsx
    @Jqkqazwsx 2 года назад +11

    와우....집중해서 듣게되네요.20대때는 귀에 들어오지도 않더니...

  • @크리미-g7b
    @크리미-g7b Год назад +2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ainic23
    @ainic23 3 года назад +7

    처음 보는데 신동기님 명 강연이네요

  • @김마리아-i2c
    @김마리아-i2c 16 часо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가르침에

  • @나한길-w4i
    @나한길-w4i 3 года назад +8

    감사드려요

  • @hunkybrain
    @hunkybrain 2 года назад +4

    이런 걸 경제학사 강의라 해야 할까, 경제철학 강의라 해야 할까? 이미 경제학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자칫 소홀할 수 있던 부분을 전체적으로 보완해 줄 수 있는, 누구에게도 유익한 강의인 듯.... 마치 Charles Poor Kindleberger 와도 가튼 분이시네요...

  • @신정남-f8z
    @신정남-f8z 2 года назад +4

    펙트에 의거한 간결한 강의, 고등학교 샘이네? 많이 배우고 갑니다

  • @두유-q2i
    @두유-q2i 2 года назад +5

    감사합니다 재밌었어요

  • @goforit77777
    @goforit77777 2 года назад +3

    신동기 선생님
    어떻게 이리 모든 과목을 섭렵하시는지 신기할 지경;; 감사드려요!

  • @백호현-y8u
    @백호현-y8u 3 года назад +9

    감사드립니다,!

    • @김해숙-p4o
      @김해숙-p4o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삶에 이익이네요~~😅

  • @brinko24able
    @brinko24able 2 года назад +9

    너무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 @nableglobal
    @nableglobal Год назад +2

    "강의 내용이 너무 좋으나 말이 너무 빨라요" 라고 쓸려고 했으나
    내가 1.5배속으로 듣는 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네요. ㅋㅋ.
    이 강의는 1배속으로 놓고 노트하면서 들어야합니다. ^^

  • @patroclass
    @patroclass 2 года назад +9

    순수과학에서의 실험은 이상계 실험입니다. 물이 만들어 질때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물이 되지만 물이 되기 위해서는 이상계가 되야 화학반응이 일어나죠. 국부론도 이론적으로는 정부의 규제를 제거한 완젼 자유지만 현실의 세계는 이상계가 아닙니다. 적은 규제가 민간의 욕망을 최대한 끌어낼수 있으며 그것이 국가간의 교역에서도 상대적 우위에 있게 되어 무역 흑자를 낼수 있죠. 무역에서 상호 이익이 되야 교역이 되지 일방적인 손실이 발생하게 되면 그 거래는 결국 오래 갈수 없게 되죠. 스파르타의 금욕주의도 결국 전쟁의 패권국이 되면서 너무도 싶게 무너졌습니다. 인간은 그 속에 욕심이 있죠. 지금 중국이나 러시아도 어느 국가보다 자본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 @하늘위구름-b8e
    @하늘위구름-b8e 3 года назад +14

    훌륭한 강의시며 평소 막연한 지삭을 정리해주십니다 감사합니다

  • @이종원-b6l
    @이종원-b6l 2 года назад +14

    자본론과 국부론을 함께 이해할 수 있는 유익한 강의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 @truegrit5411
    @truegrit5411 3 года назад +25

    강의중에 착각하거나 틀린것이 보입니다. 그중 맑스가 레닌을 만낮다고 하는데 레닌은 맑스를 만난적이 없어요. 엥겔스이겟죠. 맑스는 1883년에 죽고 그때 레닌은 러시에서 13세 엿고요. 엥갤스는 1895년에 죽어나 역시 레닌은 마난적이 없어요. 맑스의 영국생활도 프랑스에서 만난 평생 절친 엥겔스의 도움이 컷다고 봅니다.

    • @cSyaK69
      @cSyaK69 Год назад +2

      그런 것을 어떻게 알았나요?

    • @truegrit5411
      @truegrit5411 Год назад

      @@cSyaK69 조금 찾아보면 다나올걸요. 제기역이 틀릴수도 있어요.. 아니면 요즘시대니까 궁금하시면 chatgpt에물어봐도 확인해줄지도요...

    • @북두칠성-c4l
      @북두칠성-c4l Год назад +3

      책에서 만난거겠지요
      렌닌(1870)과 막스(1818)는 나이차이가 많이남
      엥겔스(1820)와 막스는 동년배수준으로 학문과사상을 같이 하였다봄

    • @배부른대지
      @배부른대지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대충 알아들어야죠

    • @joongbinahn9348
      @joongbinahn934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옳바른 지적 이십니다
      평생동지는 엥겔스가 맞아요 ㅋ
      등장인물이 많다보니
      실언 하신거죠 뭐 ㅜㅜ
      엥겔스는 75세 까지 살았으니
      레닌과 만났을 법한데 공식기록은 찾을수가 없네요
      비록 엥겔스가 죽었을 때
      추도사를 쓰기는 했지만요 😊
      막스는 변호사의 아들 이었고
      엥겔스의 아버지는 부유한 상인이자 방적공장의 주인
      이었죠. 부와 성공이 보장된 자신들의 출신계급을 버리고 초기 자본주의 하에서 비참한
      생활을 영위하던 노동자편을 든것은 아무나 할수 있는 일은 아닐겁니다
      점심대신 오염된 더러운 강물을 마시고
      어린아이들이 공장에서 일하는 끔찍한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던 인도주의자들 이었죠
      60년대에 초등동창도 진학대신 철공소에서 일했어요
      물론 역사가 그들이 꿈꾸었던대로
      흘러가지는 않았지만
      자본주의의 모순을 날카롭게 비판하므로서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자본주의가 더 건강해 진것은 부인하지 못할 사실입니다
      수렵과 채집으로 먹고살던 원시사회는 목가적 이거나 낭만적 이지는 않았을듯 합니다
      돌화살로 토끼 한마리 잡기도 어려웠을듯
      오지에 사는 원시부족 탐사프로그램을 봐도
      풍요로움과는 거리가 멀던데요 ?
      기껏해야 쥐를 잡아먹던데 ...

  • @번빈농축
    @번빈농축 3 года назад +18

    중상주의, 중농주의, 국부론, 자본론.
    인간은 이기적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비록 사회적 동물일지라도, 이기적 유전자를 잘 제어하지 못하면 파멸의 길을 가게됩니다. 잘 제어한다는 목적으로 교육을 도그마식으로 하게되면 많은 사람들이 가축화됩니다.

  • @hahaha1533af
    @hahaha1533af 3 года назад +12

    6:30 1845년 아일랜드 대기근에 대해 잘 배웠습니다.^^

    • @Ohganziproduction
      @Ohganziproduction  3 года назад +1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자주 들려주세요^^

  • @junseoul5025
    @junseoul5025 3 года назад +19

    오늘날 주류경제학에선 토지를 자본으로 귀속해 헨리 조지가 문제 제기한 토지문제 회피하고 있다고 봄...

    • @whctjsdlfqhrlfprl
      @whctjsdlfqhrlfprl 2 года назад +1

      와우. 100퍼 동의 합니다. 토지문제를 제기하지 않고는 경제문제가 풀리지 않습니다.

  • @tspark1071
    @tspark1071 3 года назад +10

    중상주의 - 중농주의 - 고전학파 - 사회주의 vs 신고전학파 - 케인지안 - 통화주의

  • @서재송-c7o
    @서재송-c7o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 @cannonpark5297
    @cannonpark5297 3 года назад +9

    희한한 일이다,,,도대체 이 어떻게 으로 둔갑할 수 있을까? 짐작컨대, 을 일본 학자가 으로 번역한 것을 수십 년 전에 어느 한국 학자가 중역한 것을 아무런 문제의식 없이 지금까지 그대로 쓴 결과인 것 같다,,,원전을 읽지 않고도 강연은 할 수 있으나 원전의 제목을 함부로 바꾸는 것은 저자에 대한 모독이다. 이제는 원저명을 찾아줄 때도 됐다,,,

    • @감자굴러온
      @감자굴러온 3 года назад +3

      그래서 원제목이뭔가요? 궁금..

    • @김승기-m4s
      @김승기-m4s 2 года назад +3

      ㅎㅎ
      다스 케피탈이란 말이
      자본론이란 말

  • @Allin7days
    @Allin7days 3 года назад +14

    자본론의 한계:
    노동을 시대의 보여지는 몸중에 손과 발을 힘들게 움직이는 것만 필요노동으로 보고, 머리를 쥐어 짜고 손으로 정교하게 이루어 내는 것을 잉여노동으로 보았다는 것. 3-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어울리지 않는 말.

    • @Ohganziproduction
      @Ohganziproduction  3 года назад +1

      탁월한 식견이십니다:)

    • @현상계박
      @현상계박 3 года назад +2

      자본론을 이해를 못했군.
      자본론은 인간의 이기주의 개인주의 경고한 것 임

    • @AgainKorean
      @AgainKorean 3 года назад +2

      @@현상계박 그 이기주의로 니가 잘먹고 잘살고있다

    • @현상계박
      @현상계박 3 года назад

      @@AgainKorean 축생아 짓어라.

    • @김성일-c3k
      @김성일-c3k 2 года назад

      자본투자의 위험성을 외면 ? 성공자본의 재투자의 반복이 더 나은 문명을 창출하였던 과거의 계속진행이 오늘이고
      문명의 혜택을 우리는 누리고
      맑스가 희망했던 자본주의의 완전정착다음에 공산주의가 실현 가능하다는 말은 영원히 실현이 불가능하다는 말이지.
      개선이란 인간의 자연스러운 욕구충족 행위의 결과물인데
      인간의 이기에 의한 탐욕심에 과연 상한선이 있을 수 있을까
      감성주의자 맑스가 간과했지.

  • @user-on1cc6hq22
    @user-on1cc6hq22 3 года назад +5

    ❤❤❤❤❤

  • @현상계박
    @현상계박 3 года назад +12

    생산과 파괴를 끊임없이 이루어져야만 사회가 돌아가고 경제가 활성화돼는 경제론은 영원할수 없다.
    우주삼라만상중에 어떤것이 영원한것이 있던가..?
    자원은 한계가 있고 인간이만든 모든 상품 물질은 그 생명이 다하면 환경을 오염시키고 파괴하고있지 않은가!

    • @nad4438
      @nad4438 3 года назад

      아마 당신 주장이 영원할 걸@,@ㅋㅋ

    • @현상계박
      @현상계박 3 года назад

      @@nad4438 영원이란 존재할수 없다.
      그전에 인류가 멸망 할테니까

  • @상규변-w6f
    @상규변-w6f 2 года назад +2

    국부론과 자본론 신동기 편!
    자본주의 역사의 흐름을 빠르게
    인식할 유투브 내용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현시대적 경험 인식이 부족한것으로 인식되는 교수님의 강의는. 교과서 달달 외워서 학생들이나 유튜브 시청자들에게 강의하는 단조로움으로 일관된 느낌 입니다.
    강연 소재의 경험 인식들을 체험한다면,흥미진진한 내용들로 재구성해,듣는 이들에게

  • @김성일-c3k
    @김성일-c3k 2 года назад +6

    장하준 생각을 예로 들었는데
    장하준의 착각이라고 봅니다.
    맑스가 영국 근로자의 비참한 생활을 보고 인간적 동정심에
    자본의 부도덕성을 말했지만 "비참한 생활"이란 부유했던 맑스 자신에 대한 상대적 관점 일 뿐입니다. 당시 근로자들은 자본가에 비하면 비참하지만
    근로자 이전의 생활 보다는 더 나은 삶으로 개선되었겠지요.
    다시... 장하준의 생각이 증명 될려면 우리나라가 절대강국 즉 제국이 되어야 가능합니다.
    국제관계의 질서를 도덕적인 기준에 둔 착각의 소산입니다.
    국제관계는 강자가 주도하는 불평등을 인정하고 대처함이 옳은데 1 : 1 평등을 말하면서 중공을 대하는 순종적 자세는 스스로가 모순을 드러 냅니다.
    장하준의 편향적 경제논리지 경제이론이 아니지 않습니까.
    말씀 중 "공리주의" 에서 "공"
    바로 알게 됨에 감사드립니다.

    • @mirr660
      @mirr660 2 года назад +1

      산업혁명 당시의 근로자들 노동과 생활 환경의 비참함에 대해 알지 못하면서 함부로 지껄이지 마시요…
      지금도 우리나라는 많이 나아졌지만 개발국가들에서는 수많은 노동자들이 인간 이하의 삶을 살고있소…
      나는 노동을 하지 않아도 되는 투자자로서 항상 어떤 나라가 투자에 적합한지 따지는데 가장 위험한 사회는 소득의 불균형이 극심하고 노동환경이 열악하고 국가가 일반 국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관심이 없어 항상 불온한 기운이 감도는 사회를 투자 기피해야 할 국가로 보고있소…노동자들에게 좋고 일반인들에게 좋은 사회가 투자자에게도 가장 이상적인 사회요…

  • @정진영-y9m
    @정진영-y9m 3 года назад

    1:17:00

  • @이재완-b8q
    @이재완-b8q 2 года назад +1

    신선생님 강의 유익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근데, 말씀이 너무 빨라서 내용이 부실하게 들리네요. 무엇에 쫓기는 분 같아요.

  • @하늘-p7y2f
    @하늘-p7y2f Год назад +3

    이게 공짜라니 ㄷㄷ;;

  •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 2 года назад +5

    교수님 말씀대로 마르크스 자본론은 자본주의 문제점에 대해서 비판할려고 쓴거지
    공산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보여줄려고 쓴 게 아니죠.
    어찌되었던 시장 경제 중심 체제의 자본주의가 마르크스 자본론의 영향을 받아서 복지에 대해서 신경 쓰게 되었고
    공산주의 국가들은 오히려 국가 중심의 개발에 치중하고 권력 집중만을 신경 쓰면서 오히려 국민들을 더욱 못 살게 괴롭히고 있네요

  • @chpark-vk4gd
    @chpark-vk4gd 4 месяца назад

    근대 경제학의 아버지 아담스미스는 부자가 되는 법을 알려줬습니다 노동 토지 자본(월급, 부동산, 주식) 에 투자해야 부자가 될수있습니다 노동을 통해서 열심히 벌어서 주식과 부동산에 꼭 투자해서 돈이 돈을 버는 구조를 꼭 만드세요 이분보다 내가 더 강연을 잘할수있을것같은데 ㅋㅋ

  • @명탐정꿍꿍이
    @명탐정꿍꿍이 3 года назад +13

    디게 잘 가르친다..

  • @남성개룡산머털남
    @남성개룡산머털남 3 года назад +12

    자본론이 실수한게 자본주의 다음에 왜 공산주의냐 자본주의 다음은 로봇시대 인간멸종시대지

  • @sunchicciju6993
    @sunchicciju6993 2 года назад +5

    정보의 바다에서 강사가 어떠한 사람인지 적시해 놓는게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hjkim8021
    @hjkim8021 2 года назад

    좀 과장이 되어 있는듯. 스파르타에서는 전사집단이 있었고 진시황 때도 군사집단이 있었지요, 고려 시대에도 사병이 존재 했고요.

  • @오경근-i3s
    @오경근-i3s 3 года назад +5

    종말은 없다 안간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면 몰라도,,

  • @bgn6814
    @bgn6814 2 года назад

    그럼 상인은 뭐지?

  • @kangkang7404
    @kangkang7404 3 года назад +8

    [임나일본부의 망령의 부활]
    소방관, 군인, 경찰관 은 우리의 삶을 지켜주는 영웅입니다. 임진왜란과 일제강점시기 수많은 영웅을 우리는 늘 감사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왜구를 존경하고 강도 일본인을 자랑스럽게 여겨야하는 참담한 일이 벌어 지고 말았습니다.
    대학교의 강단사학자는 일본서기의 왜구가 249년 신라를 정벌하고 가야를 멸망시키고 임나일본부를 설치하여 646년 임나가 없어지는 그 날 까지 한강 이남을 일본의 식민지로 통치하였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야마토왜의 임나소국의 수장이 합천 남원 김해 함안 등 한강 이남의 지역에 2,000 여기 이상의 고분에 묻혔다고 합니다. 전혀 근거 없는 사실 이지만 역사적 사실이라고 국민을 윽박 지르고 있습니다. 강단사학자 들은 역사를 왜곡하여 그 시체의 무덤을 영웅으로 모시고 가야를 침탈한 수장으로 그의 훌륭한 통치업적에 감사함을 영원히 잊지 않기 위하여 2021년 3월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에 1차 자료를 등록 하였습니다. 2021년 말 2022년 초 유네스코 실사단의 현장방문을 마치면 세계가 인정하는 세계문화유산 고분군이 됩니다.
    강단사학자는
    대한민국의 국민에게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무덤 앞에 정성과 존경의 뜻을 담아 한 잔의 술을 두 손 모아 왜구의 무덤에 바치라고 합니다.
    이렇게 참담한 일은 강단사학자가 역사의 권력을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강단사학자의 뒤를 좀비와 같이 따르는 자가 문화재청, 남원시, 합천군청 입니다.
    가야고분군은 우리의 조상 무덤입니다. 왜구의 수장층 무덤이 아닙니다. 일본서기의 기록은 일본열도에서 일어난 사건이고 허구의 기사입니다.
    우리가 독도의 이름 대신 일본이 주장 하는 죽도(다케시마)를 유네스코에 등재하는 것과 다를바 없습니다.
    임나일본부는 정한론의 명분으로 내세우는 일본제국의 논리 입니다. 임진왜란과 일제강점35년을 정당화 시키고 가야의 영토를 침탈 하려는 것입니다.
    국민 여러분 우리의 가야를 지켜 주십시오.
    역사의 권력을 장악한
    강단사학자는 일본서기를 신봉하고 무서워하지만, 역사의 주권을 가진 국민을 개돼지와 같이 무시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토착왜구가 아닙니다. 토착왜구의 자손이 아닙니다.
    강단사학자와 맞서 싸워 주십시오. 유네스코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남원의 기문국, 합천의 다라국을 삭제하여 주십시요•ㆍㅇㆍ

    • @김씨네마천쿡
      @김씨네마천쿡 2 года назад

      나주고분군 직접답사해보았습니다 나도 임나일본부 허구라고 생가햏으나 무덤양식이 일본식이라 이게 사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하게되더군요 무조컨 반일ㅇㅣ 아니라 역사적 실체가 나오면 인정하는게 올바른 역사관이 아닌가...
      임나일본부 실체를 반다하기위해서 직접 나주 고분군을 답사한 일인이...

  • @오경근-i3s
    @오경근-i3s 3 года назад +3

    웃끼는 소리이지,, 동물농장 이들의 소리는 서열이 생기고 인생이 또 서열이 생기고 해서 전쟁의 빌미를 주고,,, 또 감성이 이성을 두들겨서 질서를 바꾸고,, 이리왓다가 저리로 요리로 갔다가 와서 돌아가서 또 돌아가는기 인문학 역사이지..

  • @정진영-y9m
    @정진영-y9m 3 года назад +1

    6:00

  • @단디-w1q
    @단디-w1q 2 года назад +2

    이 자는 막스주의자군

  • @LetItBe250
    @LetItBe250 3 года назад +15

    막스가 제안한 대안이 대부분 현실에서 박살남

    •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2 года назад +2

      하지만 그의 설득으로 비극적 결과는 있었지만 논리적 구조의 설계와 설득방식은 배울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근단적인 방법에는 근단적인 결과가 나올뿐

    • @Hyuchan1002
      @Hyuchan1002 2 года назад +1

      현실에 맞지도 않는 경제학 다 때려 치워라 ㅋㅋㅋㅋ 경제박사가 돈 버는거 봤나 ㅋㅋ

    • @2847ksw
      @2847ksw 2 года назад

      돌대가리 시키들.. 막스가 있었으니 자본주의 절충안이 나오는거지 지금 현 상황을 두고 경제학 때려치란다 에유…

    • @Hyuchan1002
      @Hyuchan1002 2 года назад

      @@seungwoojoo 님은 말귀좀 ㅋ

  • @나요나-x3f
    @나요나-x3f 2 года назад +1

    마르크스 찬양 강연인가요?

    • @나요나-x3f
      @나요나-x3f 2 года назад

      @@jhchae9216 즌라도 홍어 좌파 한명 낚였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귀엽다 귀여워 ㅋㅋㅋ

  • @kim232-n9c
    @kim232-n9c 3 года назад

    그렇죠? 아닌데요~

  • @정진영-y9m
    @정진영-y9m 3 года назад

    17:00

  • @tacon4441
    @tacon4441 3 года назад +13

    국부론은 본인이 자수성가해서 부자가 될수있는 반면 자본론은 그럴수없다

  • @JS-tu3lu
    @JS-tu3lu 2 года назад +2

    웃기는 분이네.
    스미스가 머리가 나쁘다?
    개념은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학자가 정리하는거에요.
    시대가 흐르면 그 시대에 개념을 재정리하게 되죠. 헛소리 맘대로 하니 참 편하네,
    국부론의 내용은 지금도 대다수 유용한데, 앞뒤 가리지 않고 머리를 운운하니, 참 웃기네!

  • @숲앤숲
    @숲앤숲 3 года назад +4

    아시겠습니까? 아시겠습니까?
    한마디 하고 또 아시겠습니까?
    재차 아시겠죠? 강의 듣는 분들은 무시하시는 듯한 말은 아니길 바랍니다 .
    알고 모름의 차이는 없습니다 . 강사님도 몇일 먼저 안 것일 수도 있고 지금도 제대로 모를 수도 있습니다

    • @凡所有相皆是虛妄
      @凡所有相皆是虛妄 3 года назад +3

      아이구..삶이 팍팍하시것다

    • @가온누리-y6g
      @가온누리-y6g 3 года назад +2

      왜~ 그러시죠
      안타깝다

    • @Daynova89
      @Daynova89 3 года назад +3

      불편러 납셨네 진짜 ㅋㅋ 내용을 공부해라 ㅋㅋ 공부하라는 영상에 말투로 태클걸고 앉아있으니 그 꼬라지로 살지 ㅋㅋ

  • @유필상-k8j
    @유필상-k8j Год назад

    경제강의는 잘들었네요..
    사심이 많이들어가 선동이늦게지네요...내려놓으세요.

  • @오경근-i3s
    @오경근-i3s 3 года назад +2

    떠들면 들어주는 사람들이 있지,, 신동기씨가 세상에는 이해할 수 없는것들이 후후 고시급제한 사람 중에도 이해는 못하고 외우기박사들이 20%는 된다고 그들중에서 하는 말이있다,, 당신네들이 이성을 이기는 감성에 대해서 깊은 이해력이 없는 단순무식한 사람들이 될수도 있겠지야,,,, 그러나 그만하자..

  • @Zeesoro
    @Zeesoro 2 года назад

    아시겠습니까 때문에 너무 어지러워요. 제발..

  • @정진영-y9m
    @정진영-y9m 3 года назад

    30:00

  • @misterhoops8408
    @misterhoops8408 2 года назад

    yo where da letters at

    • @misterhoops8408
      @misterhoops8408 2 года назад

      fr how am i ever suppose to learn this. hop oin val and maybe youll pick up a thing or 2 aboujt communication

  • @병화손-b6b
    @병화손-b6b 2 года назад

    마르크스는 평생을 가난하게 살고 가족도 못먹여살이미서 자본론이란 책을 썼다는것은 상상조차 할수가없네요 ???

  • @jdkim3313
    @jdkim3313 3 года назад +7

    마르크스 사회주의는 자본주의의 비판 정도 선에서 멈춰야지 더 깊게가면 결국 모순에 빠지게 되어있지 그걸 추종하는 나라들 하나같이 그 꼬라지들 봐라

  • @정선-o4n
    @정선-o4n 3 года назад +10

    강의를 듣고 있자니 이명박 대통령 이 생각 납니다 ㆍ경제대통령ㆍ그때그시절 고용 시장은 좋았었는데ᆢ우리는 열번 잘하는것보다 한번 잘못 한것은 죽일 놈이되는것입니다 용서는 없다ㆍ

  • @朱宰寬
    @朱宰寬 2 года назад +1

    ★★★★★

  • @JS-tu3lu
    @JS-tu3lu 2 года назад

    실천도 못하는자들이 사다리문제가 많다고 겁나게 부르짖고 부를 얻고, 그것도 모자라서 개미들에게 엄청 큰 손해 듬뿍 안겨주고 사기죄로 고소당했나, 주제들이 말이 아니죠

  • @고광필-x4m
    @고광필-x4m 2 года назад +1

    그렇죠 ^^

  • @서민주-s1f
    @서민주-s1f 3 года назад +9

    내용의 이해 및 찬반을 떠나서 '마르크스'가 아니라 '맑스'로 발음해야 합니다. 마르크스는 일본식 발음입니다. 일본어로는 '맑스'로 발음할 수 없어 일본인이 '자본'을 번역할 때 마르크스로 번역한 것이고 우리나라는 일본 책의 영향으로 무비판적으로 따르는 것입니다. 또한 자본론이 아니라 '자본'입니다. 이 또한 '론'자를 붙이기 좋아하는 일본이 그리 부른 것이고 우리는 그대로 따라 하는 것입니다.....똑 같은 용어를 사용하더라도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여 댓글 답니다. 용어가 인식을 규정합니다.

    • @Daynova89
      @Daynova89 3 года назад +2

      치욕스러운 일제시대도 역사의 일부분이고 이걸 받아들이지 못하고 무조건적으로 부정하는 것도 정신병임. 10명 중 9명이 마르크스 라고 부른다면 일본이 그렇게 쓰고 안쓰고를 떠나서 이미 마르크스로 쓰여지고 있는 거임.

    • @privatenumber2299
      @privatenumber2299 3 года назад +2

      @@Daynova89 None will understand you if you pronounce Marx with [Ma-r-k-s] at all. The name of his works is Das Kapital, About Capital never the Theory About Capital either. Take a good care of yourself. ❤️

    • @Daynova89
      @Daynova89 3 года назад

      @@privatenumber2299 Every language has its own characteristics so you can't really say that. Why does it have to be understood by you, or any others rather than Koreans? Based on what you said, words like Rome, Italy, and Georgia should be changed too. If you say M a r k s in Korea, everyone gets it.

    • @JAY.K
      @JAY.K 2 года назад +1

      @@privatenumber2299 동의

    • @JAY.K
      @JAY.K 2 года назад +1

      맑스의 발음중 R발음이 연구개 마찰음, 혹은 구개수 전동음으로 발음되지만, 한국어의 ㄺ받침발음에서 연구개 폐쇄음으로 발음된다는 우연덕분에 맑스라는 발음이 얼추 비슷한것처럼 들리게됨. 하지만, 이것도 원래의 발음을 표현한 것이 아니란 것임.
      일본인이 번역한 것을 사용할 수 밖에 없던 것은 한국인의 지적 게으름 때문이라 생각함
      주식·회사·연애·개인·사회·문화·자연·자유·공간·시간·평등·권리·인권·정의·의무·도덕·경제·대통령·민주주의·공산주의·긍정·부정·능력·정치·전화·방송·발명·생산·실내·중심·공원·기관·물질·사진·과학·철학·우편·운동·야구·유격수·복지·진화·간부·만년필·영화·공항·숙제·산소·수소·교육·대학·매상·소포·수입·건물·선불·후불·수하물·엽서·입장·조합·추월·취급·할인·합승·견적·각서·시합·주식·충치·할증·계주·역할·할인·수당·개시······
      이런 단어들, 근대 이후에 만들어진 개념의 명명이 일본으로부터 이루어졌음.
      그 당시의 한국의 상황은 차치하더라도, 지금에 와서 이러한 단어 전체의 표현을 바꿀수 있을까를 생각해본다면, 너무 많아서 불가능하다고 생각될 정도임.
      용어가 인식을 규정한다. 하지만, 모든 용어를 올바르게 바꾸는 작업은 어떻게 해야할까
      무의식의 흐름대로 댓글 다는 것 같긴한데, 일본의 영향을 벗어나야한다는 강박관념은, 큰 문제를 지엽적인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 같아서 아쉬움.

  • @오경근-i3s
    @오경근-i3s 3 года назад +2

    거짓말,, 땅따묵기는 10만년전부터 주인이 생기지,,, 어이구 비르먹을..

  • @김하늘-c5y
    @김하늘-c5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슨 내용인지 모르겠네요 이런게 인문학 인가요?

  • @안동식-s3y
    @안동식-s3y Год назад

    공산품 자본주의 공산품

  • @핵자전거
    @핵자전거 2 года назад +2

    말도 안돼는 소리를 하는 군요. 에휴 참나...

  • @JS-tu3lu
    @JS-tu3lu 2 года назад +2

    항상 전해오는 이론과 철학은 시대정신을 반영, 스미스는 그 시대정신 창조적으로 반영, 마냥 스미스는 무능하고 한참후의 인물인 마르크스는 유능하고 헛소리하다가,
    본인의 강의료 합리화에서는 열과 성을 다해 스미스 찬사?
    당신은 진정 지성인이 맞는가?

  • @배라헤
    @배라헤 Год назад +1

  • @비정한세상
    @비정한세상 3 года назад +4

    비정한 세상.. 피 토하는 음악..ㄹ

  • @朱宰寬
    @朱宰寬 2 года назад

    절름발이 교육/

  • @riverhangang
    @riverhangang 3 года назад +1

    매우 거짓된 에지주장

  • @JS-tu3lu
    @JS-tu3lu 2 года назад +3

    완전히 숙지하지 못한 지식으로 당당함은 하늘을 찌를 듯

  • @일주일에한권씩
    @일주일에한권씩 3 года назад +1

    강의가 머랄까
    장황하네
    헛똑똑이들

  • @틴마운
    @틴마운 2 года назад +1

    강의 중간에 ..아시겠습니까 라는 멘트 좀 안하면 안됩니까. 도대체 몇번을 말합니까.
    무지 거슬립니다.습관입니까?

  • @정진영-y9m
    @정진영-y9m 3 года назад +1

    ㅂㅇ

  • @스바농
    @스바농 3 года назад +1

  • @riverhangang
    @riverhangang 3 года назад +4

    억지주장

  • @피닉스-b9r
    @피닉스-b9r 3 года назад +5

    공산주의가치는 반면교사로서의 가치뿐이다

  • @JS-tu3lu
    @JS-tu3lu 2 года назад

    ㅍ 웃기네. 노예제도폐지는 노예들의 인권개선차원이 아니라 노에주들의 이득을 위해서라는 주장이군. 그러면 노예주들은 비판의 대상이 아니라 구제해준 평가받을 대상이라는 말? 다른데서 노에주에 대한 딴소리하지 말기

  • @jac256
    @jac256 2 года назад

    무식하네. 순수 자본주의는? 케인즈죠,밀턴프리드먼하고

  • @홍연식-n3s
    @홍연식-n3s 3 года назад +2

    아마도 마르크스주의는 지옥에 있을 것이다

  • @단양장수한의원어지럼
    @단양장수한의원어지럼 3 года назад +2

    사투리만 안쓰시면 더욱 좋은 강의일텐데ᆢ

    • @Allin7days
      @Allin7days 3 года назад +3

      어느 부분이 사투리라서 그런 느낌을 받았는지...

    • @Daynova89
      @Daynova89 3 года назад +4

      마치 사투리 사용하는 사람들을 열성적인 것으로 여기는 듯한 뉘앙스네 ㅉㅉ 강사가 억양이 있는거지 지방에서만 쓰는 지역적 단어를 쓴것도 아니고 ㅋㅋ 공부해서 한의원은 개원했어도 친구는 많이 못사궜을듯 ㅋㅋ ㅂㅅ

    • @단양장수한의원어지럼
      @단양장수한의원어지럼 3 года назад +4

      배배꼬인 환자들이 많죠.
      행간을 읽을줄도 모르고 보이는것도 제대로 못보는ᆢ

    • @modu-modu
      @modu-modu 3 года назад +3

      @@단양장수한의원어지럼 겨우 한 문장 써놓고 행간을 읽으라니 ㅋㅋㅋㅋㅋ

    • @김현동-r6q
      @김현동-r6q 3 года назад +3

      자본론에 라도사투리가 귀에 쏙쏙 박히는구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