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잇소리/ 마굿간인가, 마구간인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0 сен 2024
  • #사잇소리#언어와매체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아랫니, 잇몸, 냇물, 빗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뒷일, 깻잎, 나뭇잎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 자릿세, 전셋집, 찻잔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곗날, 제삿날, 훗날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Комментарии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