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장님 안녕하세요 실기 이론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현재 이론 진도를 나아가고 있는데 2장에서 고조파 기기에 주는 영향에서 예를 들어 콘덴서 변압기 유도 전동기 케이블 형광등 통신성 등 이런 영향 글자 그대로 외워야 되는건가요? 다른거는 플리커인데 플리커 정의 그대로 외워야하는건가요? 수용가측 대책도 플리커 부하 전류의 변동분을 억제하는 방식 말하시면서 (직렬 리액터 방식)이 있다하고 읽고 넘어가셨는데 다른 파트에서는 외워라라고 하신부분은 정확히 외우고 넘어가는데 이렇게 읽어주는 부분은 읽고 넘어가면 되나요? 제가 현재 아침 일찍 일어나서 전날 복습하고 하루에 강의 8개 정도 들으려고 노력하는데 5~6개가 최대여서 ,,, 공부방법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론강의 19분짜리 강의 인데도 머리에 넣고 외우려면 1시간 ~ 1시간 30분 정도가 걸려서 너무 오래걸립니다. 1번에 해당되는 플리커나 고조파 기기에 주는영향부분은 읽고 숙지 하면되나요? 2. 그리고 공부 방법을 제가 어떤식으로 하면 좋을까요 계획표에는 10일안에 끝내라고 하셔서 저에겐 터무니 없는거 같습니다.. 3. 전기기사 실기 과년도는 2월중에 나온다고 하셨던걸로 기억하는데 카페에서 3월초쯤에 나올 수 있다고 얘기를 봐서 혹시 정확한 날짜는 정해졌나요?
안녕하세요... 1. 단답문제의 답안을 작성할 경우, 필수 단어가 들어가도록만 답해주시면 됩니다. 최대한 교재의 답안과 동일하게 작성해 주시면 좋으나, 반드시 동일하게 답해 주실 필요는 없습니다. 단순히 읽고 넘어간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출제 비중이 높지 않았던 부분이며 완벽히 준비하신다면 숙지해주시면 좋습니다. 2. 1회 필기시험에 합격하신 분들은 시험까지 약 7주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분들의 경우 실기 정규반을 2주 정도 공부하신 후 남은 시간 과년도 문제풀이에 올인하시면 됩니다. 지금 정규반을 공부하신다면 아직 시험까지 시간적인 여유가 있기 때문에 최대한 꼼꼼하게 공부해 주셔도 됩니다. 3. 실기 과년도 교재의 경우 2월중순 혹은 말경에 출시를 할 예정입니다. 아직 정확한 계획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최선을 다해 출시토록 노력하겠습니다.
선생님 덕분에 계산기 사용법 잘 익히고 있습니다.
저는 연산을 하고나면 선생님처럼
일의 자리수 × 10의 제곱근이 안나오고 10의 제곱근없이 바로 소수자리로 답이 나오옵니다.
선생님은 다른 설정을 하셨을까요?
같은 모델입니다 !
안녕하세요...
혹, 계산기를 리셋 하신 후에 다시 계산해 보시길 권해봅니다.^^
질봤습니다!
따봉~♡♡♡
대끼리~~~^^
원장님 3분에 자기학 문제에서 계산기로 계산하니 0.00020751265가 나옵니다. 라디안 모드나 다른 모드로 다 해봐도 계산결과가 똑같네요.. 계산식도 정확히 넣었는데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혹, 계산 결과가 다르게 나올 경우
계산기를 리셋시키신 후 다시 한번 계산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작은 도움이라도 더 될수 있도록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갓종인 원장님 궁금한게 한가지 잇는데요.
전기산기 필기 대비 과년도 6개년 5회독 vs 10개년 3회독 중에 하나만 고를 수 잇다면 어떤걸 추천하시는지랑 이유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보통 집중해서 공부한다면 3회독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5회독을 한다고 마음먹으면
다음으로 넘기는 방법...문제 자체를 암기하는 방법으로
공부할 가능성이 많아지기 때문에
좀 더 집중해서 10개년 3회독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원장님 전기산기 실기 쓰면서 연습할때 어디에 하는게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실제 시험처럼 연습하시면 좋습니다.
답없는 과년도 문제를 인쇄하셨다면 여기에 바로 답해주시고,
그렇치 않은 회차를 공부하실 경우
A4용지 등에 쓰면서 공부해 주시면 좋습니다.
1. 원장님 안녕하세요 실기 이론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현재 이론 진도를 나아가고 있는데 2장에서 고조파 기기에 주는 영향에서 예를 들어 콘덴서 변압기 유도 전동기 케이블 형광등 통신성 등 이런 영향 글자 그대로 외워야 되는건가요? 다른거는 플리커인데 플리커 정의 그대로 외워야하는건가요? 수용가측 대책도 플리커 부하 전류의 변동분을 억제하는 방식 말하시면서 (직렬 리액터 방식)이 있다하고 읽고 넘어가셨는데 다른 파트에서는 외워라라고 하신부분은 정확히 외우고 넘어가는데 이렇게 읽어주는 부분은 읽고 넘어가면 되나요?
제가 현재 아침 일찍 일어나서 전날 복습하고 하루에 강의 8개 정도 들으려고 노력하는데 5~6개가 최대여서 ,,, 공부방법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론강의 19분짜리 강의 인데도 머리에 넣고 외우려면 1시간 ~ 1시간 30분 정도가 걸려서 너무 오래걸립니다.
1번에 해당되는 플리커나 고조파 기기에 주는영향부분은 읽고 숙지 하면되나요?
2. 그리고 공부 방법을 제가 어떤식으로 하면 좋을까요 계획표에는 10일안에 끝내라고 하셔서 저에겐 터무니 없는거 같습니다..
3. 전기기사 실기 과년도는 2월중에 나온다고 하셨던걸로 기억하는데 카페에서 3월초쯤에 나올 수 있다고 얘기를 봐서 혹시 정확한 날짜는 정해졌나요?
안녕하세요...
1. 단답문제의 답안을 작성할 경우,
필수 단어가 들어가도록만 답해주시면 됩니다.
최대한 교재의 답안과 동일하게 작성해 주시면 좋으나,
반드시 동일하게 답해 주실 필요는 없습니다.
단순히 읽고 넘어간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출제 비중이 높지 않았던 부분이며
완벽히 준비하신다면 숙지해주시면 좋습니다.
2. 1회 필기시험에 합격하신 분들은 시험까지 약 7주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분들의 경우 실기 정규반을 2주 정도 공부하신 후
남은 시간 과년도 문제풀이에 올인하시면 됩니다.
지금 정규반을 공부하신다면
아직 시험까지 시간적인 여유가 있기 때문에
최대한 꼼꼼하게 공부해 주셔도 됩니다.
3. 실기 과년도 교재의 경우
2월중순 혹은 말경에 출시를 할 예정입니다.
아직 정확한 계획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최선을 다해 출시토록 노력하겠습니다.
전 왜 에러가 뜰까요.. 첫번째 문제만요
합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공사기사 실기는 전기기사를 공부하셨다면
크게 어렵지 않으실 것입니다.
조금만 더 힘내주세요...^^
원장님 기사따고 공사기사 준비하는 학생입니다.
출시될 실기과년도 문제집에 몇개년정도 수록할 예정이신지 궁금합니다
안내영상을보니 2010년부터 수록하신다고 하셨는데 10개년봐서 합격이 가능할지..
안녕하세요...
공사기사의 경우 과년도 문제의 중요성이 전기시사에 비해 크게 낮으며,
견적의 비중이 시험에서 높습니다.
과년도 문제를 풀어보시면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공사기사, 공사산업기사까지 모두 풀어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