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와 부동산 1부) 인구 소멸과 부동산가격, 국가기관의 전망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47

  • @hkp4266
    @hkp4266 Год назад +3

    다른곳에서 다루지 않은 정보 정말 유익한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Andrew_OTG
    @Andrew_OTG Год назад +17

    오늘도 감사히 볼게요^^

  • @중구답동-v8q
    @중구답동-v8q Год назад +21

    10만수고많으셨습니다오십만 백만가즈아

  • @kind_heart_general_store
    @kind_heart_general_store Год назад +19

    그냥 만담처럼 진행하셔서 너무 재밌어요~ 많이 배우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gyc1343
    @gyc1343 Год назад +14

    항상 챙겨 보고 있어요
    10만 축하 드려요

  • @로또1등당첨자나
    @로또1등당첨자나 Год назад +16

    느오어어무 재밌어서 다른 유튭 못 보겠어요 ㅋㅋㅋㅋ 최고❤❤❤❤

  • @wedaehan
    @wedaehan Год назад +8

    최고의 인사이트

  • @Andre_nim
    @Andre_nim Год назад +14

    관심 가는 주제네요~

  • @임경숙-t6g
    @임경숙-t6g Год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최미숙-m5l
    @최미숙-m5l Год назад +2

    최고의 전문가인데 항상 쉽게 이해가 쏙쏙 되게 풀어주시네요~이제 여기 정착하렵니다^^

  • @lhd1094
    @lhd1094 Год назад +7

    항상 좋은말씀 잘듣고갑니다

  • @Kidd-Alex
    @Kidd-Alex Год назад +14

    10만특집 수고 하셨습니다.

  • @Thankusmile_tv
    @Thankusmile_tv Год назад +2

    오늘도 도움이 되는 영상 고맙고 감사드립니다 😊

  • @콩국수-v4d
    @콩국수-v4d Год назад +51

    공짜로 보기에는 죄송하기까지한 영상입니다~ 항상 겸허한 자세로치우치지않으면서 전문적이면서도 쉽게 알려주시고자 노력하시는 교수님 최고이십니다

  • @geniejang4618
    @geniejang4618 Год назад +13

    박교수님 정품티비 살 수 있도록 열심히 보겠습니다.

  • @Money_English
    @Money_English Год назад +12

    유익했어요~

  • @오지은-l6w6q
    @오지은-l6w6q Год назад +15

    경제 경자도 모르는제가 어렵게 풀지않는 교수님때메 잼나게 잘보고있습니다~ 찐경제만 얘기하는 로컬로 얘기하는 느낌이 들어서 항상 잘보고 있어요👍👍👍

  • @그래그래살자
    @그래그래살자 Год назад +6

    와 이거는 진짜네요 제가 그토록 원했던 이런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잘 정리해서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경희한-o6i
    @경희한-o6i Год назад +7

    축하드려요! 20만 갑시다~♡

  • @Sapwbxu
    @Sapwbxu Год назад +1

    내 최애 채널..늘 감사히 봅니다.

  • @데로시로시
    @데로시로시 Год назад +35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다만 제시해주신 두 자료의 발간일이 모두 코로나 이전이라 두가지 아쉬운 점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1. 코로나 이전이면 출산율이 1.5명대 수준으로 회복될 것을 기대하던 의견이 지배적이라 인구 감소 파급효과가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2. 미중 무역분쟁과 탈세계화가 가시화 되기 이전이러, 구조적인 인플레이션과 중금리가 뉴노멀이라는 현재의 매크로환경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부동산의 수요부분을 지탱하는 큰 요인이 금융인데 금융비용이 증가하면 수요감소로 하락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리며, 날이 차가운데 건강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호호-y9j
      @호호-y9j Год назад +8

      정확하게 짚어주셨습니다. 심지어 인구감소가 시작된지가 언제인데 2030년부터 감소한다는 언제쩍 엉터리자료를 가져와 맨날 부동산업자처럼 집값방어포지션을 취하는지 모르겠습니다. ㅋ ㅋ
      그런데도 감사하다하니 위에 댓글같은 것들이 달리지요

    • @이준희-i9f
      @이준희-i9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5년도에 발표된 보고서의 총인구 감소 시기가 2030년에서 2020년에 앞당겨서 왔으니... 보고서의 연구결과(집값하락시작)가 이미 영향이 있다고 볼수도 있지 않을까요? 또한 여러 물가 상승, 경기침채등 악재들이 추가 되었으니...

  • @aks0106
    @aks0106 Год назад +17

    실버 버튼 축하 드립니다.

  • @user-qz8ic8yr8s
    @user-qz8ic8yr8s Год назад +20

    인구도 중요하지만 금리및대출과의 관계도 중요한것 같습니다

  • @jiyoon8905
    @jiyoon8905 Год назад +7

    십만 ᆢ 축하드려요❤

  • @박현정-x1z4d
    @박현정-x1z4d Год назад +12

    백만가자 화이팅

  • @KHR3104
    @KHR3104 Год назад +6

    다음 시간도 매우 궁금하군요~~

  • @capriccio1121
    @capriccio112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최근 10년간 집값은 인구보다 양적 완화와 제로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인구가 감소한 프랑스 등의 집값이 상승한 이유는 그 때문입니다. 인구감소로 인한 집값 하락론자들의 주장이 안 맞았던 이유죠. 그런데 앞으로 중금리시대가 되는 게 맞다면 집값 거품은 상당히 꺼질 것입니다. 인구감소는 그 하락을 더욱 부채질 할 걸로 봅니다.

  • @Sweet_mom2016
    @Sweet_mom2016 Год назад +12

    Good!

  • @박경희-t5g
    @박경희-t5g Год назад +1

    저도 편안한 마음으로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감사 합니다^^

  • @sooshin3569
    @sooshin3569 Год назад +14

    감사합니다.

  • @user-yz8xk
    @user-yz8xk Год назад +4

    2015년이면 지금처럼 0.7까지 출산율이 떨어질거라고 예상하지도 못했을 때네요. 그사이 코로나가 있었던거랑 코로나때 찍어낸 돈이 많다는 것도 변수여서 역시 주택가격을 예상하는건 어려운 일 같습니다.

  • @또로록땍때굴
    @또로록땍때굴 Год назад +8

    앞으로는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진 지역으로만 사람들이 더더욱 집중될겁니다. 사람이 떠난곳엔 병원도 학교도 뭣도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집을 살거면 지금 가장 비싸다는 상급지부터 사세요.
    서울시를 메가시티로 만들자고 하거나 며칠전 GTX 추가계획 발표한것도 다 그 취지입니다.
    지방은 포기한다. 대신 수도권을 더 크게 키울테니 다 여기로 모여서 살아라. 이거죠.

  • @종이-q7y
    @종이-q7y Год назад +7

    너무 재미있네여 성수동..ㅋㅋ 아 다음편 빨리 ..ㅠㅠㅠㅠㅠㅠㅠㅠㅠ

  • @나숙희-u5x
    @나숙희-u5x Год назад +11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늘 고맙습니다 ❤

  • @FMEC
    @FMEC Год назад +12

    오~ 삼탠바이미^^ 다음엔 전자칠판 삽세~!!

  • @박하사탕-b3o
    @박하사탕-b3o Год назад +2

    디플레이션만 안되면 집값은 오른다 이게 맞을듯 일본도 제로금리 계속되니까 잃어버린30년 지나고 지금 도교집값 계속 오르는중
    하지만 결론은 미국에 투자하자ㅋ

  • @Honey_Fun_Economic_Lab
    @Honey_Fun_Economic_Lab Год назад +12

    실버버튼 곧 도착하겠네요^^

  • @윤석영-r1v
    @윤석영-r1v Год назад +2

    외국인들이 이민 등으로 들어오면
    집값은 변할 수도 있겠지요...
    부자들이 많이 오면 주택가는 오를 수 있고, 힘없는 사람들이 많이 오면 다를 수도 있습니다.

  • @mattkuk6747
    @mattkuk6747 Год назад +22

    외모는 귀엽고 뇌는 섹시하고. 😊😊

  • @조형준-b7b
    @조형준-b7b Год назад

    감사삽니다

  • @jinhokim3693
    @jinhokim3693 Год назад +3

    돈 주고 봐야하는 자료입니다. ❤

  • @genosyde78
    @genosyde7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로보틱스와 인공지능은 미래 경젱.ㅣ 희망이라는 점은 인식 하고 있어요.
    다만, 말씀 하신데로 성취감은 인간의 행복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인데 이런걸 상실하고 제대로 살아갈수 있을런지....
    연쇄살인, 무능, 우울, 소심 여러가지 심적 문제가 일어나겠네요.

  • @whiteasasa
    @whiteasasa Год назад +2

    아니 2015년에는 당연 틀리지요.. 당시에 코로나를 예상합니까
    저기 예상에서 물가상승이나 경제성장률정도는 곱하고 마이너스 계산을 해야하지 않나요.

  • @창백한푸른점-y3j
    @창백한푸른점-y3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출산율 0.7 이전의 보고서들이고 유례없는 0.7 출산율에도 같은 방향성이 적용이 될 것인가?

  • @한밤의드라이브
    @한밤의드라이브 Год назад +3

    구독자 10만 축하합니다. 🎉🎉🎉

  • @김영남-o9r6f
    @김영남-o9r6f Год назад +1

    이런 유익한 강의를 무료로 볼 수 있어서 정말 감사합니다.

  • @KOEMDoc
    @KOEMDoc Год назад +3

    인구가 감소하면 결국 우리나라도 이민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을 겁니다. 지금도 외노자는 많이 오고 있는 데 더 많아지고 이민도 본격적으로 받겠지요. 한국어가 능통하기만 하면 받아주거나 한국군에 복무하면 시민권 주거나 할지도 모르지요. 그러면 인구문제나 주택가격이 또 변하겠지요.

  • @DennisKimTV
    @DennisKimTV Год назад

    잘 봤습니다

  • @goodbuster6189
    @goodbuster6189 Год назад +14

    그런데 우리나라는 누구도 예상치 못한 말기암급 저출산이라
    전치3주급 정도되는 다른나라들과 비교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회복이나 약간의 반등도 될거 같아 보이지도 않고요.

  • @심심풀이땅콩-c5g
    @심심풀이땅콩-c5g Год назад +12

    여의도 파출부 잠실한테 따잇당했잖아 이제 서울도 강남만 살아남고 양극화 오지게 날듯

  • @jadenlee3379
    @jadenlee3379 Год назад +8

    집값의 가장 중요 지표는 인플레이션 아닌가요? 일본과 영국의 물가 상승율 비교가 없군요

  • @Kevin-pr2tw
    @Kevin-pr2tw Год назад +3

    막사라 대출받고 아파트값 계속 띄워라. 하늘 끝까지 올리자. 렛쯔 기릿

  • @Ikmujn
    @Ikmujn Год назад +6

    인구감소는 확정된 미래지만 2000년 합계출산율 1.48에서 20년째 감소하고서도 체감하지 못했던 이유는 수명도 계속적으로 늘어나서이다.
    하지만 수십년 출산율 감소의 체증효과를 모두가 자기 일상에서 느끼고 있다.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지방대학 폐교, 유아 아동용품 시장 축소, 대학상권 몰락, 예식장 및 장례식.. 등등 내수 시장이 축소되고 있다.
    한편 1인가구 세대 증가, 양극화 심화 현상을 내세워 부동산 회복을 주장하는 측도 있다.
    현 70-80대가 돌아가시는 20년 후 인구 분포를 보면 총수요가 너무 부족하다.
    양의 양극화가 아니라 음의 양극화가 예상된다.
    구 전체가 아니라 몇몇 선호도 높은 단지는 제 값을 유지하겠지만 그 외는 모두 하락이 예상된다.
    제일 큰 우려는 확정된 축소 미래에 대한 우울증으로 사회 경제 활력이 떨어지는 현상이다.

    • @호호-y9j
      @호호-y9j Год назад +1

      19년부터는 사망자수가 출생아수를 넘어서 인구자연감소가 시작되었고 그 폭은 점점커지고있습니다. 최근 한국경제를연구원 보고서에 의하면 지금의 두배인 1.4프로의 출산률을 유지한다는 가정을해도 2030년에 경제성장률은 1프로미만으로 보고있습니다 .경제성장이 없는 나라의 집값이 유지 내지 상승한다고 하는 박교수의 컨텐츠들은 여기서 그에게 감사하다고 하는 바보들을 우롱하는 일이아닐까요?

  • @brunogiordano6535
    @brunogiordano6535 Год назад +1

    국토연구원 연구의 트렌드 전망에서 중요한 툴이 빠져있습니다.
    2019년에 작성된 한계로 코로나 이후 국면의 화폐의 양적 증가 및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동산가격의 추세적 하락국면, 그리고 주택수요자의 소득대비 부동산 가격 지수 추세 등 가장 민감한 변수가 빠져있네요.

  • @김명선-e1o
    @김명선-e1o Год назад +4

    가계ㅣ부채가 넘 많아서 경제성장률을 많이높이지못하고 인구감소가 넘 심해져서 만약 집값 더 오르면 대한민국은 인구소멸이 더 빨라질듯요

  • @구름나무-o5e
    @구름나무-o5e Год назад +12

    국토연구원에서 2019년에 예측한것인데 코로나로 집값이 상승한것에 대한 부채등도 포함된 결과인가요?

    • @FMEC
      @FMEC Год назад +12

      2019-05-07 배포면, 미반영?

    •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Год назад +2

      19년도에 25프로면...16년도 가격인데....지금 가격에 딱 반토막

  • @롱치-c6u
    @롱치-c6u Год назад

    많이 배우고 갑니다~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layerre3428
    @playerre3428 Год назад +1

    정해진 미래는 없습니다. 어떤 방향으로 부동산 방향이 움직일때 내가 더 리스크가 생기는지를 판단해보고 결정하시길

  • @sjy1398
    @sjy1398 Год назад +3

    둔춘주공단지가 4만가구 분양이라고 하던데, 2022년, 2023년 사망자-출생자가 각 12만명 해서 2년동안 24만이 줄었어요.. 사망자-출생자, 수는 매년 늘고 있어서, 집값이 오를상황은 아닌것 같아요

  • @잘키워
    @잘키워 Год назад +39

    한번도 가본적이 없는길을 가는중인데 2019년도면... 우리나라 출산률 다시 올라가서 1.4된다고 하던 시기아닌가....결론은 나락가고 0.6이다

  • @hk-hv3oc
    @hk-hv3oc Год назад +1

    이론대로 가지않는게 인생사~

  • @LifeQnA3
    @LifeQnA3 Год назад +4

    교수님. 인구가 어떻게 되든 어떤 상황이 되든 오르는 것은 오르고 내리는 것은 내리고.
    각각의 가격 추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격을 평균적으로 생각하면 될 문제가 아니고요.

  • @godchang2
    @godchang2 Год назад +10

    뜸했습니다 호플릭~~~

  • @bmck58
    @bmck58 Год назад +1

    그냥 지방소멸되면서 수도권으로 몰려 살겠죠.
    정치인들이 수도권 죽이면서 지방발전시키겠습니까?
    소멸지역도 신축은 건축비가 있으니 여전히 비쌀태고 구축아파트는 일본처럼 거의 0원에 수렴하겠죠. 철거비가 더드니..

  • @신지섭-w4r
    @신지섭-w4r Год назад +10

    난또 장비구매하셨다 해서 농구골대 구매하신줄 알았는데 아니네요

    • @Andrew_OTG
      @Andrew_OTG Год назад +10

      농구 골대는 사무실에 이미 있던데요^^
      ruclips.net/video/ZScgpAq3xIo/видео.html

  • @망고-x2w
    @망고-x2w Год назад +16

    영상 잘 봤습니다 교수님. 혹시 기회가 된다면 '통일이 될 경우 부동산의 전망'이 어떻게 될지를 컨텐츠로 만들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북한과의 교역 증가로 인해 서울의 서북부 지역과 파주지역이 발전할지, 아니면 강남의 위상이 지금보다 더 높아질지 궁금합니다!

  • @트레비좋아
    @트레비좋아 Год назад +5

    교수님 그냥 교수님 생각도 알고 싶어요

  • @choiwongu
    @choiwongu Год назад +10

    자연인구감소에 더해서 인구구조도 바뀐 소멸성 수요감소 상황입니다. (신생아가구감소 + 사회초년생감소 + 노령층사망증가)

  • @sun9kang
    @sun9kang Год назад +1

    근데 미쿡만 왜? 고공 행진이죠? 4년전에비해 2배 올랐어요.

  • @제비족-y1w
    @제비족-y1w Год назад +2

    0.7이면 산술적으로 30년 마다 1/4토막씩 줄어드는거라 다음세대에는 한해 출생아수가 5만명 정도 될 듯 하네요 ㅋ

    • @호호-y9j
      @호호-y9j Год назад +5

      작년에 24만이니 그다음세대는 0.7프로라면 8.4만이죠. 58년개띠 형님들이 100만이었으니 10의1토막도 더나는건데 .
      2030년에 인구감소가시작된다(인구 자연감소는 2019년부터 시작됐는데)는 언제쩍 엉터리자료를 들고와 집값이 보합내지 상승한다는 얘기를 하는지...
      웃음밖에 안나오네요

  • @robinjee5059
    @robinjee5059 Год назад +12

    출산율로만 부동산을 따질 수는 없지요. 회사에 외국인 채용하는 절차가 5년 전보다 많이 간소화 됬어요. 외국인들 많이 들어와서 채용하기 좋아졌어요. 년 5만명 정도인데 아직까지 이민 적극적인국가에 비하면 들어오기 힘든 상태인데 요즘 점수제도 등 많이 완화 하고 있어요. 우리나라 들어오고 싶어하는 외국인들 많아요.

    • @요비요비-w9v
      @요비요비-w9v Год назад

      ​@@빈데이터
      영주권,귀화조건 완화하면
      필연히 부동산시장과 연계될수 밖에없음

    • @숏튭
      @숏튭 Год назад +6

      근데 외국인은 한국에 집 안사요ㅎㅎ 많은 사람들이 착각함ㅎㅎ 결국 한국에서 돈 벌고 자국으로 넘어갑니다. 의미없죠.

    • @요비요비-w9v
      @요비요비-w9v Год назад

      @@숏튭
      귀화라고 조건이 붙였는데,글 대충 읽지마세요

  • @불꽃-w8l
    @불꽃-w8l Год назад +2

    수도권만 급등이다

  • @LevisKIM
    @LevisKIM Год назад +3

    이 채널이 가장 합리적인 시각이라고 생각해요.
    다른 채널은 하향호소인, 상향론자들 예배같음.
    사실 주택은 필수재이면서도 최고의 투자재이기도 하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만으로 부동산 전체를 해석할려고 하는 사람들보면 좀 답답해요. 인구가 주니까 금값이 영향 받을 겁니다랑 비슷한 느낌이랄까? 금을 살 인구가 줄 긴 줄테니까 금 시세의 영향이 없다고 얘긴 못하겠는데..그렇다고 그게 메인는 아닐꺼 같은 느낌.
    발전된 도시에서는 주택은 투자재처럼 움직이기 때문에, 소비재처럼 수요 공급 곡선에서 동작하지 않죠. (극단적으로 집들이 막 붕괴되면 그럴게 될까? 그럼 이미 경제 자체의 붕괴일꺼 같은데.. 지진나면 집값 오르나요? ㅎㅎ 그냥 다 곤두박질 할 듯)
    안정기에 적절히 떨어진 가격은 미래의 잠재적 수익을 의미하기 때문에, 좋은 투자재로 소문나기 시작하면 부동산은 오버슈팅하는게 일반적이죠. 다만 다른 투자재랑 다르게 실생활이랑 연관되어 있다보니까 오버슈팅하면 거품무는 사람들이 나와서 그렇지...

  • @iRobot527
    @iRobot527 Год назад +17

    영국 부동산 시장은 전세계 투자 자본들이 모이는 시장인데 이 자료에서 표본으로 지표하네

    • @kevinkwak7568
      @kevinkwak756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국부동산이 뭔 서계 투자자본이모여? 쌉소리 하고있네... 영국 전체가 홍콩 뉴욕이냐?

  • @nelrilky
    @nelrilky Год назад +8

    좋군요.
    자유민주주의-최소한?의 자유의지를 헌법으로 보장.
    자본주의- 한 국가의 시스템을 움직이는 법칙. 돈.....사람을 효과적으로 움직이는.....
    인구감소+역부양률=집값하락....(1+1=2 라는 이치와 같음..)하지만 현실은 이론과는 많이 다름...즉...2가 않되는 요인을찾기...(집값변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역세권, 일자리, 이민, 빈부격차(슬럼가), 수도권지방, 앞으로의 발전전망(중국이라는 거대 시장을 위한 교두보..전라남북도-거대한 인천...미래), 정치(이권카르텔-자기가 못 먹으면 재를 뿌리는 상황이 올수도 있음. 이익 앞에선 국익은 공허한 소리...) 이렇게 많은 요소를 생각하면 결국 특정지역은 여전히 오르던가? 유지?....그 외 기타지역은 내리겠죠.
    아마 기타지역은 ==>인구감소+역부양률=집값하락 이 맞을가능성이 높지않을까 생각 되네요.

    • @user-yz8xk
      @user-yz8xk Год назад +1

      자유민주주의 라는 단어는 뉴라이트 집단에서 주장하는 용어인건 알고 쓰시는거죠?

  • @매리미리
    @매리미리 Год назад +1

    인구소멸로 주택가격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데 다른 경제학 교수님은 그럴 일이 없다는데 누구 말이 맞는거에요?
    논리적으로 보면 감소 할 것 같다 하는데 왜 아니라고 하는 거죠??

  • @myskynet2
    @myskynet2 Год назад +9

    가장 중요한 부분을 강조안하네요.
    1인당 주거면적 증가.. 이게 가장 큰 핵심인데....
    국평 34평이 40평으로 늘어나면서 아파트 가격은 계속 오를겁니다
    가구당 아파트숫자로 보면 하락만 할것 같지만 1인당 주거면적 상승 추세를 보면 결과는 전혀 다르게 나오죠

    • @부의상징-l8i
      @부의상징-l8i Год назад +10

      1인당 주거면적 증가요? 관리비는 생각안하는가봐요?

    • @myskynet2
      @myskynet2 Год назад +4

      @@부의상징-l8i 아파트 안살아봤어요???

    • @myskynet2
      @myskynet2 Год назад

      @@빈데이터 네 그 1인가구의 평수가 넓어지고 있습니다

  • @이수영-c8b
    @이수영-c8b Год назад

    아파트 매도 하지않고 월세받았는데
    매도를 해야되는지
    판단이 어렵네요
    시청잘했습니다

    • @흔적날개-g7d
      @흔적날개-g7d Год назад +1

      맞습니다 매도하지말고. 유지하셔야합니다.

  • @존피어폰트
    @존피어폰트 Год назад +1

    국토연구원은 ㅋㅋㅋ 원래 건설사 대변인이지. 문제는 유효수요야. 내국인 이건 외국인 이건 비싸게 사주는 인간이 있으면 안 떨어져. 없으면 떨어지겠지. 어떨 것 같어?

  • @YokohamaHamako
    @YokohamaHamako Год назад +16

    부동산은 인구보다 전부 정책에 더 많이 좌지우지 한다고 느껴지네요

    • @JK-xy3zn
      @JK-xy3zn Год назад +1

      한국에서는 특히 정책적인 영향이 큽니다.

  • @2-bg7fr
    @2-bg7fr Год назад +1

    10만 하고 더하기 1 임다

  • @noserune
    @noserune Год назад +13

    25%??? 90%겠지 출산율 0.1명 찍고 열토막 확정...

  • @taechoclub
    @taechoclub Год назад

    총인구가 2030년부터 줄어든다는 자료는 오래전 자료 같습니다. 인구감소는 2022년부터 시작했습니다.

  • @jimtim9190
    @jimtim9190 Год назад +3

    인구소멸에 세도 안빠지는 공실이 장기간 유지되는데 집값이 어떻게 될지는 바보 아니면 다 알겠죠

  • @Under200Chandala
    @Under200Chandala Год назад +4

    25%? 너무 적게 보시는거 아닌지...
    뒤에 0 하나 빠져야 정상화라 생각합니다

  • @임헌귀
    @임헌귀 Год назад +1

    2~300%폭등이 정상인가

  • @8비트코인
    @8비트코인 Год назад +1

    2015년도 출산율 1.2. 지금 출산율을 예측했을까.

  • @freena4407
    @freena4407 Год назад

    인구유지를위한예산투입과자식에게주택을사주는데들어가는비용 상속세감소등에
    관한 연구가있나요

  • @jj4814
    @jj4814 Год назад +3

    어제 성수동 트리마제 39평 22,5억전세 실거래가 떴는데 호갱노노에 실시간 트리마제 보고 있는 사람 4500명이나 있었음 정말 부자들 많고 부동산 관심 많다고 봅니다 쉽게 부동산 떨어지지 않을듯요 23년1월이 최저점이었다고 봅니다

    • @빨강머리앤-z6d
      @빨강머리앤-z6d Год назад +1

      39평이 22.5억?? 전세가 아닌가요??? 28평 매매가도 그보단 비쌀 듯

    • @jj4814
      @jj4814 Год назад +1

      @@빨강머리앤-z6d 네 다시 보니 전세

  • @BondiBeache
    @BondiBeache Год назад +2

    2019년도에 35년까지 1%오른다고 한거면 19년으로부터 17년간 1%씩 상승해서 18% 상승한다는 뜻인가요?
    그렇다면 21년까지 200%가까이 급상승한 가격에서 원래 예측치로 재계산하면 35년까지 고점 대비 -41%하락한다는 뜻 아닌가?
    이 정도면 거의 저주 수준인데?

    • @박신혁-i5o
      @박신혁-i5o Год назад

      복리로 계산해야되는거 아닌가요?

    • @BondiBeache
      @BondiBeache Год назад

      @@박신혁-i5o 복리계산해서 18%요. 1%라서 복리효과는 미미함. 복리아니면 17%인데 복리라서 18%된거죠.

  • @반전매력-f8u
    @반전매력-f8u Год назад +1

    2015년에 kdi는 2023,4년 출생률이 0.7 밑으로 떨러질 줄은 몰랐을 것이다. 적어도 두 배는 생각하고도 저만큼 떨어질거라 예측했을텐데 그게 빗나갔다고 좋아들하고 있네.

  • @송형근-e8o
    @송형근-e8o Год назад +1

    설마 25%만 떨어질까요?

  • @짱아오빠-q9y
    @짱아오빠-q9y Год назад +17

    향후 인구 감소가 확실하니 집값도 반드시 하락할것이다! 이렇게 단정 짓고 살면 본인 인생은 정말로 망할수도 있는겁니다! 정확한 년도는 생각이 안나지만 서울의 인구는 1995년 즈음에 1,200만명대로 정점을 찍고 1기 , 2기 신도시로 서울의 인구가 분산되면서 2023년 12월 기준 938만6천명 입니다 대략 30년동안 260만명이 줄었습니다! 그런데 서울 집값이 30년전 대비 하락 했나요? 잠시 잠깐의 하락이 있을순 있어도 그리고 1인당 소득이 꾸준하게 하락한다면 또 모를까 1인당 GDP가 늘면 인구 감소와 상관없이 집값도 같이 상승합니다! 참고로 2035년엔 우리나라의 1인당 GDP가 5만달러대가 될거라고 IMF에서 예측 하고 있습니다.

    • @FMEC
      @FMEC Год назад +13

      그러게요 서울은 여전히 비싸겠죠 ㅠㅠ

    • @akdlkeeudiocud
      @akdlkeeudiocud Год назад +7

      인당 GDP는 올라가더라도 5만달러 버는 사람은 줄어들지 않을까요?
      GDP합계는 줄어들거 같은데요? 결국 비싼 집을 살 사람이 줄어들지 않을까요?

    • @jini-f8g
      @jini-f8g Год назад +7

      중심지들은 몰리니 떨어질수없죠

    • @포도과수원원원
      @포도과수원원원 Год назад +8

      잘 고르셔야 합니다
      인구감소로 양극화가 더 심해질 겁니다

    • @짱아오빠-q9y
      @짱아오빠-q9y Год назад +6

      @@akdlkeeudiocud 평균이 그렇다는 거구요 그리고 국가 전체 gdp 보다는 1인당 gdp가 높아야 개개인의 삶의 질이 올라가는 겁니다 전세계에서 제일 잘사는 나라 룩셈부르크는 1인당 소득이 12만달러가 넘지만 국가 gdp는 820억달러 수준 밖에 안됩니다 우리나라의 22분의1 수준 입니다 그렇다고 룩셈부르크 사람들이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삶의 질이 더 높으면 높았지 떨어지는게 아니잖아요 반대로 인도의 국가 gdp는 세계 5위지만 1인당 gdp는 2300달러 수준 밖에 안됩니다 인도의 국가 gdp순위는 우리나라 보다 월등히 높지만 삶의 질은 우리나라 60년대 수준 밖에 안되잖아요 솔직히 국가 gdp가 높다고 해서 개개인의 삶에 있어서는 의미는 없습니다.

  • @ytmmv4
    @ytmmv4 Год назад

    예를 들어 세입자가 전세보증보험 들어서 (세입자 자본이 1억이고, 대출이 2억이라면), 시세는 3억 4천.
    보증보험에서 만기일이 되어서,( 집주인한테 3억이 통장으로 들어옵니다. 세입자에게 직접 주지 말고, 은행을 통해 거래하라 합니다.)
    등기우편으로 집주인한테 오는데, (보증보험 전세값 3억을 은행에 주면, 임차인이 보증금을 빼고 나가면..., 그 전세의 3억 이자는 집주인이 내는 것입니까?)
    아니면, 대출금 2억의 이자만 집주인이 내는 것입니까?(***직접적으로 세입자에게 돈을 주지 않았으니, 3억의 이자를 내는 것일 확률 큰데?***)
    역전세는 아닌데, 세입자가 볼 것 없다고, 나간다고 하니...난감하긴 한데요. 팔기도 시간이 부족하고, 세입자 구하기도 그렇고....,어떠한 합의도 없더군요.
    이런 손해는 어떡해 합니까? 처음에 4년이상을 산다고 했다가 갑자스레 나간다고 하니...., 1개월 전에 만기연장을 해야하는데...참!!!! 시간도 촉박하고...아! 세입자도 잘 받아야 하나 하는 헛탈함.
    다시 설명하자면.....,
    가령 세입자 자본이 1억이고, 2억이 대출이면,
    전세보증보험 기관에서 집주인에게 3억을 주어서, 집주인이 (은행)에서 세입자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부담을 집주인이게 전체 금액의 (원금+이자)를 내야합니까?
    아니면, 집주인75% + 세입자가 25% 인가요?
    ( 보증보험 기관=> 집주인 => 은행 => 세입자에게.) 부담 비용?

  • @황성욱-u8c
    @황성욱-u8c Год назад

    다음시간에......

  • @이제부터-u9p
    @이제부터-u9p Год назад +1

    20% 하락보다
    2015~2016념 아파트 가격이
    소득대비 적정 가격으로 보임.

  • @성일이-o6w
    @성일이-o6w Год назад +1

    학자들이 장기적 예상을 맞춘적이 없다 1년 언저리 정도 운좋게 들어맞은 적은 있지만 ㅋㅋㅋㅋ
    쓰잘때기 없는 짓 그만하고 나가서 알바나 해라

  • @숏튭
    @숏튭 Год назад +2

    슬슬 온다. 부동산 멸망의 길ㅋㅋㅋㅋ구경 꿀잼

  • @stickyricecake8967
    @stickyricecake8967 Год назад +3

    전형적인 공급부족론자..... 무슨 영상을 봐도 결론은 공급니 부족해져서 하락이 안온다는 것으로 가네 ㅋㅋㅋ 꾸준히 미는거 보니 훗날 이익실현 탈출을 꿈꾸는가.....ㅋㅋㅋ 단언컨대 울나라 특성상 공급부족은 죽었다 깨어나도 나타나지 않는다.... 항상 공급 과잉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가 망하든 말든 사든말든 항상 공급은 충분할 수 밖에 없는 경제구조다.

  • @힐한
    @힐한 Год назад

    이분 상승론자인데?? 몇달전에 토론때도 상승에 자리했는데?? 무슨 일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