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고도 이해가 안간다.. 납이랑 금을 같은크기에 같은 무게 질량이 한쪽이작다면 속만 무게에 맞춰 비게끔해서 넣어서 같은 무게의 금이랑 비교한다면? 다르다는건가???? 여기 3년전 영상인데 댓글 갯수가 꼴랑 4개; 이댓글이 올라가면 5개일텐데 미래의 학자여 나에게 해답을 부탁하노라..
아르키메데스가 유레카를 외친 이유? -> 부력이라는 개념을 처음 발견함. 물건이 잠겨있을 때는 부피만큼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확인. 물건이 떠 있을 때는 물건의 무게만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가 빠져나감. 이게 부력임.. 배가 떠 있으면 배가 밀어낸 물의 양은 배의 무게와 같은 것. 이게 부력의 기본 원리. 1. 무게 = 부력 = 밀도(로) x 중력(g) x 부피(V) 2. 같은 무게더라도 금이 은보다 밀도가 더 높기 때문에, 부피가 더 작다. 1번의 식에서 무게가 같으려면 중력값은 고정이기에 밀도가 크면 부피는 작아져야 무게값이 동일하겠죠? 3. 왕이 판별하라고 한 금관을 확인하기 위해, 순도 100%의 금을 가지고 같은 무게를 가진 금관을 만들어서 물에 넣어봤더니? 왕이 준 왕관보다 물이 덜빠져나가네?? 금보다 밀도가 낮은 은이 섞여있어서 순수금만으로 제작한 왕관보다 질량은 같은데 부피가 큰것을 확인. 그래서 금관이 가짜구나! 라고 안 것임.
감사합니다 뜻의 이유😊
듣고도 이해가 안간다.. 납이랑 금을 같은크기에 같은 무게 질량이 한쪽이작다면 속만 무게에 맞춰 비게끔해서 넣어서 같은 무게의 금이랑 비교한다면? 다르다는건가???? 여기 3년전 영상인데 댓글 갯수가 꼴랑 4개; 이댓글이 올라가면 5개일텐데 미래의 학자여 나에게 해답을 부탁하노라..
질량 대신 밀도로 채워보시는건 어떤가요?
밀도는 물체의 고유 성질로 물질마다 밀도가 다름 그리고 밀도는 질량/부피로 왕관이랑 순금의 질량을 같게 해도 밀도는달라야 하니깐 부피가 다르기 때문에 물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서로 달라 물이 넘치는 정도가 다릅니다.
아르키메데스가 유레카를 외친 이유?
-> 부력이라는 개념을 처음 발견함.
물건이 잠겨있을 때는 부피만큼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확인.
물건이 떠 있을 때는 물건의 무게만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가 빠져나감. 이게 부력임..
배가 떠 있으면 배가 밀어낸 물의 양은 배의 무게와 같은 것. 이게 부력의 기본 원리.
1. 무게 = 부력 = 밀도(로) x 중력(g) x 부피(V)
2. 같은 무게더라도 금이 은보다 밀도가 더 높기 때문에, 부피가 더 작다. 1번의 식에서
무게가 같으려면 중력값은 고정이기에 밀도가 크면 부피는 작아져야 무게값이 동일하겠죠?
3. 왕이 판별하라고 한 금관을 확인하기 위해,
순도 100%의 금을 가지고
같은 무게를 가진 금관을 만들어서 물에 넣어봤더니? 왕이 준 왕관보다 물이 덜빠져나가네??
금보다 밀도가 낮은 은이 섞여있어서
순수금만으로 제작한 왕관보다 질량은 같은데
부피가 큰것을 확인. 그래서 금관이 가짜구나!
라고 안 것임.
저 온라인수업으로 보고있어요
댓글 왤케 없냨ㅋ
조0울 선생님 대학 후배라던데
유레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