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비밀병기 "Su-47 베르쿠트" / 미국의 F-22를 넘보는 세계 최강 전투기?! [지식스토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913

  • @adams6213
    @adams6213 4 года назад +432

    수호이는 진짜 디자인 하나는 예술...수호이 사는 프라모델 부서를 신설하라ㅋㅋㅋㅋ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71

      ㅇㅈ 수호이전투기가 디자인이 정말 뛰어나죠.
      프라모델부서 신설하면 진짜 좋을텐데

    • @Peanutairlines
      @Peanutairlines 4 года назад +29

      @@YSH-pb4rq 전투기 개발사에서 만든 모형이라니 ㄷㄷㄷ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38

      @@Peanutairlines 전투기제작사에서 프라모델 출시하면 진짜 멋지고 고증에도 충실하겠네요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25

      @@Peanutairlines 그런의미로 보잉, 록마, 노스룹그루먼, 수호이, 미그, 다쏘, BAE, KAI에서 프라모델 출시 읍읍

    • @sunnybang4575
      @sunnybang4575 4 года назад +3

      @YSH 0318 전 인민 땅끄 T-34/85 프라모델 가지고 있어요. 아르마타 프라모델이 있긴 한데 아르마타도 시제품 전차라 딱히 사고 싶진 않더라고요.

  • @핳핳-w4g
    @핳핳-w4g 4 года назад +142

    5:29 다들 조용히 손내리고 있는데 혼자 만세 만만세 하는 느낌...

    • @jaeun1234
      @jaeun1234 4 года назад +18

      만세 자세로 항복하로가는 전투기

    • @모랴너옴조애
      @모랴너옴조애 4 года назад +5

      ㅋㅋㅋㅋㅋㅋㅋㅋ

    • @누렁이업진살
      @누렁이업진살 4 года назад +1

      ㅈㄴ 기엽넼ㅋㅋㅋㅋㅋㄱㅋㄱㅋ

    • @피자도우-b2k
      @피자도우-b2k 4 года назад +1

      엌ㅋㅋㅋㅋㅋ 혼자 부엥에ㅔㅇㅇ엥 하고있엌ㅋㅋㅋ

    • @윤채-o8r
      @윤채-o8r 4 года назад +1

      아이씨 그러니까 진짜 귀엽게 보인다ㅋㅋ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32

    수호이47처럼 또다른 전진익을 채용한 X-29도 있는데 X-14를 이어서 나온 재활용 기체로 처음에는 F-16을 기반으로 만들려고 하였으나 예산 문제로 상대적으로 구형인 F-5의 동체를 가져다 만들었습니다. 게다가 개량형인 F-5E도 아니고 최초양산형인 F-5A의 동체를 활용한거였죠.
    전진익은 비행중 날개 끝의 앞부분이 위로 들리면서 이 부분의 양력이 증가, 결국 날개 끝 부분 전체가 위로 들어올려지면서 날개가 전반적으로 위로 휘는 현상이 생깁니다. X-29의 주 날개는 당시 금속재료를 쓰던 타 군용기와는 달리, 복합소재를 사용하였죠. 날개가 휘는 탄성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여 날개가 휘는 현상을 바로 잡았습니다.
    덕분에 기존 전진익 항공기보다 전진각을 더 크게 만들 수 있었으면서도 복합소재를 사용하였기에 날개의 무게를 경량화하는게 가능했습니다. 기존 전진익 항공기들은 이 날개가 위로 크게 휘는 현상때문에 전진각을 30도 이상 줄 수 없었을 뿐더러 날개를 튼튼하게 만들어야 하였고 복합소재도 쓰지 않았기에 굉장히 무거웠기 때문입니다.
    근데 문제는 정작 X-29를 만들었는데 전진익이란게 성능이 크게 좋은것도 아니고, 만드는데 드는 가격과 노례에 비해 전진익치고 기동력이 크게 좋아진것도 아니었죠. 게다가 스텔스 설계가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전진익은 RCS에서 불리하였습니다. 전진익보다 상대적으로 제작하기 쉽고 비용도 덜 들고 효과도 더 뛰어난 추력 편향 노즐 기술이 등장하면서 결국 X-29 및 전진익은 사장되었죠

  • @조현주-m3f
    @조현주-m3f 4 года назад +19

    베르크트같은 전진익 기의 취약점----날개,
    날개가 전진익이면,공기 흐름을 가로막아 피로도가 높아져서,날개에 크랙이 쉽게 발생함,
    대신에 날개뒷부분에 발생하는 와류 현상이 사라져서 기체 조종 반응성이 뛰어남.
    후퇴익 기들의 날개 끝을 구부리거나,모서리 처리를 둥글게 하는 이유가 날개 뒷편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줄이기 위함임.

  • @limetree9381
    @limetree9381 4 года назад +127

    러시아: 그렇지만 에어쇼는 가능하다구!

    • @wooqak4637
      @wooqak4637 3 года назад +11

      그건진짜인정합니다예그렇고말고요.........

    • @이유-h2i
      @이유-h2i 2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ㅋ맞는말
      그치만 러시아는 만이 짜증날것같아요

    • @gunday63
      @gunday63 2 года назад

      이게 진짜였다

  • @조광래-w1i
    @조광래-w1i 4 года назад +13

    동영상에서 봤는데 su57은 접시처럼 납작해서 360도 수평 회전이 가능함 그러면 도그 파이터에서 뒤따라오는 전투기를 향해 잠시동안 거꾸로 날며 공격이 가능하다는 얘기 마치 달리던 말안장에서 뒤돌아 보면서 활을 쏘는 것 같은 전투방법임
    어쨌든 러시아의 전투기와 만나면 거리를 두고 싸우세요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85

    여담이지만 미그와 수호이는 설계나 기타 자료를 많이 공유하는 편이라 기체 형태는 비슷한 경우가 많은 편이죠

    • @KYH_1980
      @KYH_1980 4 года назад +2

      와 이분은 ㅋ

    • @송승원-x3h
      @송승원-x3h 4 года назад +2

      이번건 많이 달라보이네요 근데 진짜 멋지게 생겼다

    • @조승현-o9p
      @조승현-o9p 4 года назад +4

      @Lockheed Martin 와...진정한 밀덕이시네..

    • @이혜진-v9s
      @이혜진-v9s 4 года назад +2

      @Lockheed Martin 공부 진짜 열심히 하신거 같네요.. 저는 반의반의반도 안돼네요

    • @김진욱-n6g
      @김진욱-n6g 4 года назад +3

  • @lifeinvader8015
    @lifeinvader8015 4 года назад +16

    신덴ㅋㅋㅋ 설정은 엄청난데, 실제로 저 형상으로 전투기를 만들면....
    카나드 팔랑팔랑 귀엽네요.

    • @FrontlineofLiberalAlliance
      @FrontlineofLiberalAlliance 3 года назад

      실제 저 디자인으로 비행도 마침
      근데 스텔스 안되고 불안감을 느껴서 시제기만 몇 대 만들고 스텔스 되는 안전빵 후퇴익 디자인으로 새 전투기 만들어 최근 배치중

  • @adidas566
    @adidas566 4 года назад +49

    내가 신청한거다!!!
    잘보고 있어요 지식스토리님! 사랑합니다.

    • @제7기동군단42
      @제7기동군단42 4 года назад

      @Lockheed Martin 야!!!! 그걸여기달면 어떻해!!!!!!!!

    • @이승진-b2s
      @이승진-b2s 4 года назад

      @Lockheed Martin위에달아야지!!!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11

    Su-47은 수호이사가 만든 기술실증기입니다. 카나드익과 전진익을 채용한 기체죠. 특이하게 후퇴익이 아니라 전진익을 채용하였습니다. 기존의 수호이27 계열과는 다른 디자인을 갖고있습니다. 수호이 계열들은 디자인이 좋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수호이47이 가장 디자인이 좋은거같아요

  • @pepsi950
    @pepsi950 4 года назад +136

    비행기 ㅈㄴ멋있게 만드네..... 소뽕에 오랜만에 취해본다

    • @바라기-b3b
      @바라기-b3b 4 года назад +8

      저 나라모토가 크고 멋있게 현실은 깡통ㅜㅜ

    • @kost4281
      @kost4281 4 года назад +6

      소뽕하면 떼34

    • @kost4281
      @kost4281 4 года назад

      @t- 80u ? 그럼 ㅈ구아심?

    • @amws5095
      @amws5095 4 года назад

      마치 스타워즈에 나오는 전투기 같음..

    • @t-7297
      @t-7297 4 года назад

      @t- 80u 엇 t80?

  • @박형준-b3k
    @박형준-b3k 4 года назад

    아시나요~들으면 들을수록 기분좋습니다~

  • @codyrapter4929
    @codyrapter4929 4 года назад +5

    드디어 ....정말로 감사드립니다ㅠㅠ

  • @kim-green
    @kim-green 4 года назад +9

    궁금 했었던 정보들 였는데 간편하게 리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막걸리스위트
    @막걸리스위트 4 года назад +30

    9:08 이게 비행기냐 로켓이냐

  • @뉴비밀덕
    @뉴비밀덕 4 года назад +3

    오늘도 재밌습니다:)

  • @ahimotuv6797
    @ahimotuv6797 4 года назад +10

    멀리서 총으로 싸우는 시대로 바뀌었는데 멋진 칼을 만들어 놓은 꼴.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76

    수호이전투기들은 성능도 좋지만 디자인이 진짜 멋짐...
    수호이27, 수호이30, 수호이35, 수호이47, 수호이57등등 하나같이 디자인이 뛰어남

    • @피자도우-b2k
      @피자도우-b2k 4 года назад +2

      나는 앞쪽이 너무 구부정한것 같아서 좀 별로님

    • @아조프
      @아조프 4 года назад

      ㅇㅈ

    • @뭐지-k9q
      @뭐지-k9q 4 года назад +3

      ㅇㅈ 진짜 멋있음

    • @Peanutairlines
      @Peanutairlines 4 года назад

      내가 유일하게 좋아하는 소련제 전투기들

    • @lm-ww2vm
      @lm-ww2vm 4 года назад

      근데 난 공기 흡입구가 맘에 않듬

  • @김민종-b3w
    @김민종-b3w 4 года назад +33

    2:25 여기서도 나오는 독일은 정말..

    • @도망가자-u4w
      @도망가자-u4w 4 года назад +11

      외계인 고문의 시초국 나치....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2

      전쟁말기 나치는 비록 시제품이었지만 스텔스폭격기도 만들었다하니...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5

      독일 기술력이 엄청나죠. Ju-287 전진익기가 실제로 배치되었다면 세계 최초의 전진익기가 되었을 듯

    • @JOY는BOZY
      @JOY는BOZY 4 года назад +5

      독일은 진짜 패망안하고 히틀러땜에 전쟁에서 안졌으면 어쩌면 지금 미국보다 더 뛰어난 국가였을지도...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2

      @@JOY는BOZY 나치가 패망하지 않고 지금까지 있었다면 적어도 기술력은 현재 미국보다 더 뛰어났을 수도 있죠

  • @alexyoon4983
    @alexyoon4983 4 года назад

    오오 이거 언제 해주시나 기다렸는데!!!
    감사합니다 주말님 특급님!!!ㅎㅎㅎ

  • @회색물감-s7q
    @회색물감-s7q 4 года назад +90

    소련 및 러시아의 무기의 특징이 디자인에서 미국보다 단순함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뭔가 복잡해보이고 형태의 변형이 많은 디자인.....기술이 발달할수록 디자인의 단순함이 많아지는데...

  • @qptv1111
    @qptv1111 4 года назад +1

    핫한 정보 감사합니다

  • @문성-c4h
    @문성-c4h 4 года назад +57

    ufo를 넘보는 또 다른 ufo

    • @이혜진-v9s
      @이혜진-v9s 4 года назад

      엌ㅋㅋㅋㅋㅋ 이거 나올거 같았어 ㅋㅋㅋ

    • @sususuimm
      @sususuimm 4 года назад

      Lockheed Martin 이렇게 정성스럽게 다신걸 왜 답글에 다시나요 ㅜㅜ 댓글로 쓰시지

  • @user-og8tx7yu8e
    @user-og8tx7yu8e 4 года назад

    오늘은 영상이두개!(너무 좋아요)

  • @tv-lw5gy
    @tv-lw5gy 4 года назад +3

    재밋는설명 자세한설명
    영상을 잘보고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juyounglee3248
    @juyounglee3248 4 года назад +19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기체가 소개되었군요!! ^^ 전진익기의 가장 큰 약점은 날개와 동체의 전면 접합부라고 들었습니다. 가장 힘을 많이 받는 부위라 웬만한 경도의 물질로는 감당조차 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찾은 대안이 "델타익" 과"전진익"을 섞은 F-22, F-35의 일명 "5각형" 날개라는 이야기를 주워들은 적이 있는 것 같아요.

  • @윤진찬
    @윤진찬 4 года назад +28

    우와... 하루에 영상이 두개...

  • @jakepilot21
    @jakepilot21 4 года назад

    요즘 주제가 너무 재밌고 흥미진진 하네요ㅎㅎ
    지식스토리 흥해라 흥!
    흥하니까 콧물이 ㅈㅅ

    • @믾쟇
      @믾쟇 4 года назад +1

      방앗간은 전투기가 아닙니다 비둘기입니ㄷ... 읍읍

    • @jakepilot21
      @jakepilot21 4 года назад

      @@믾쟇 그럼 격납고 전투기?ㅋㅋ

    • @믾쟇
      @믾쟇 4 года назад +1

      방앗간 전투기-호너 FA-18C 오호 젛은데요

  • @Sicilianhyperaccelerateddragon
    @Sicilianhyperaccelerateddragon 4 года назад +2

    전장:22.6m
    중량:16.3톤
    승무원:1명
    최고속도:마하 2.21(시속 2,705.04km)
    저공비행:마하 1.16(시속 1,419.84km)
    항속거리:3,300km
    하드포인트:14개
    엔진:2개
    추력편향노즐(엔진 출력 방향을 바꿈)장착
    5:47 제칙번호
    10:05 너무 빨라서 꼬리날개랑 오른쪽 날개가 못따라옴
    10:12 꼬리날개랑 오른쪽 날개 삭제

  • @남자배근주
    @남자배근주 3 года назад +1

    미국의 엄처난 자본금이 아니고 엄청난 바가지.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3

    3:07 완제품이 아니라 시제품에서 끝난거라 문제가 많을겁니다.
    여담이지만 Ju-287 시제품을 만들었던 융커스 사는 그 유명한 급강하 폭격기인 Ju-87과 중폭격기인 Ju-88, Ju-90도 만든 독일의 대표적인 항공부문방산업체였습니다

  • @80kg20
    @80kg20 4 года назад

    힉? 하루에 두개씩?
    감사합니다 🙏

  • @tomato6730u
    @tomato6730u 3 года назад +8

    1:53 톰캣 합성한겈ㅋㅋ

    • @Hsk_1936
      @Hsk_193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

  • @BiggieSmalls-_
    @BiggieSmalls-_ 2 года назад

    수호이시리즈는 앞대가리가 굴곡진게 매력임 생긴게 멋짐

  • @shinstephen3059
    @shinstephen3059 4 года назад +7

    '~를 아.시.나.요?' 이렇게 소개멘트할때 넘 귀여움. 중독성있음. 사랑해요 누나.

  • @단발머리-l4d
    @단발머리-l4d 4 года назад +1

    카나드익 까딱거리는거 귀엽다 고양이가 귀 터는것 같음

  • @하얀나무-i1d
    @하얀나무-i1d 4 года назад +19

    소련도 미국의 록히드마킨, 보잉처럼 국가 내부의 전투기 제조사들이 경쟁하는 구도로 알고 있는데요? 미그기, 수호기는 각각 다른 집단에서 만드는 거에요.

    • @E50ausfM
      @E50ausfM 4 года назад +1

      마킨 --> 마틴

    • @자몽맛미니언
      @자몽맛미니언 4 года назад

      @@E50ausfM ㅋㅋㄱㅋㄱㅋㄱㅋㄱ

    • @Peanutairlines
      @Peanutairlines 4 года назад

      그 두 회사가 다여서 그런걸로 알고있습니다

    • @azlion2003
      @azlion2003 4 года назад +4

      미그와 수호이의 경우 서로 다른 급의 전투기를 주로 생산하는지라(MiG: MiG-29와 같은 경전투기, Su: Su-27와 같은 중전투기) 경쟁사라고 보기에는 조금 애매합니다.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인 Su-57과 같은경우 록히드 마틴이 자체개발하여 YF-23과 경합에서의 승리를 통해 채택된 F-22와는 달리 기술 실증기 단계에서 수호이 사의 Su-47이 승리하여 수호이 사가 개발을 주도하면서 미그, 야코블레프 사가 도와주는 방식으로 개발되었고요. PAK-FA가 조금 예외인 케이스로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 @25eo
      @25eo 4 года назад +1

      소련 붕괴 후 러시아 푸틴 주도로 러시아 항공 산업 전반이 개편되었습니다. 러시아 내 항공기 제작 회사의 완전 무한 경쟁이 아닌 회사들이 각 분야를 담당해 국가가 자신이 담당하는 분야의 항공기를 필요로 하면 개발하는 방식이고, 필요하다면 상호간 헙력의 체제가 되었습니다.

  • @민재김-k8t
    @민재김-k8t 4 года назад +6

    근데 아무리 기동성이 좋아도 파일럿이 그정도의 중력가속도를 버터줄수있음?
    전직익은 진짜 요즘 공대공 전투상황에선 맞지 않는 기체인듯.

    • @정의준-k7y
      @정의준-k7y 4 года назад

      이 기체에 프레데터 같이 무인 기술이 탑재되는 날이 온다면...
      그땐 더 좋은 전투기가 넘쳐 나겠지

  • @이다준-b7s
    @이다준-b7s 4 года назад +22

    한국해군 함정들 총 정리!! 공군처럼요!!

    • @물음표-z4m
      @물음표-z4m 4 года назад +1

      그냥나무위키에 한국해군치면 다나옵니다.

    • @Ihitdaughtereveryday
      @Ihitdaughtereveryday 4 года назад +1

      @@하성철 꺼무위키 나라

  • @orchidlove-kz2ky
    @orchidlove-kz2ky 3 года назад

    thank you friend🔔👈🙏

  • @박정민-p8q
    @박정민-p8q 4 года назад +6

    제가 제일 좋와하는 기체가 su47입니다
    저 기체를 보면 마크로스 델타의 기체가 많이 생각이 나네요

    • @북학인-p3t
      @북학인-p3t 4 года назад

      전투요정 유키카제에 대놓고 나옵니다 ㅋㅋㅋ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2

    3:07 시제기라서 그런것도 있겠지만 독일군 무기들이 대체로 그렇듯이 하드웨어 성능만 뛰어나다거나 부품, 즉 기계적 성능은 뛰어난데 설계적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죠

  • @jakepilot21
    @jakepilot21 4 года назад +20

    2:07 에이스컴뱃 어썰트호라이즌에 있어서 사용해봤는데
    좋아요

    • @레이오트
      @레이오트 4 года назад +3

      뭔가 해서 보니 신덴II 이군요.

    • @codyrapter4929
      @codyrapter4929 4 года назад +3

      에이스컴뱃 인피니티에도 있고 이번에 7에도 출시된다고 하네요(ㅎㅎ좋다고 하시니까 나중에 나오면 사야지~)

    • @jakepilot21
      @jakepilot21 4 года назад +2

      @@codyrapter4929 7 이미 나왔는데요?
      1년 넘었습니다

    • @codyrapter4929
      @codyrapter4929 4 года назад +3

      @@jakepilot21 아니 저 전투기가 7에 곧 나온다는 얘기였습니다

    • @codyrapter4929
      @codyrapter4929 4 года назад +3

      @@jakepilot21 ruclips.net/video/E2_0EbAQtwI/видео.html 2주전에 업데이트 안내

  • @youtubehuni2655
    @youtubehuni2655 4 года назад

    굉장히 멋지네요 역시 대단한 소련..우리나라랑 국방분야에서 정말 비슷한점이 많은 국가죠

  • @I_love_Tiananmen0604
    @I_love_Tiananmen0604 4 года назад +68

    F35신청합니더

    • @여의봉-c3k
      @여의봉-c3k 4 года назад +4

      인정합니다

    • @홀리몰리-m7g
      @홀리몰리-m7g 4 года назад

      킹정

    • @데숙네
      @데숙네 4 года назад

      킹정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2

      F-35A, F-35B, F-35C 시리즈로ㄱㄱ

    • @user-gp1hb3qt5z
      @user-gp1hb3qt5z 4 года назад +2

      @@YSH-pb4rq 굳이? 파생형을 시리즈로? 역대 소개들 보면 다 묶어서 하는디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2

    스텔스 성능을 높이려면 디자인이 매끄러워야하고 공기흡입구도 변경해야하며 외부무장을 최소화해야합니다.
    애초에 카나드익과 전진익을 채용했기때문에 스텔스는 물 건너갔긴했지만...

  • @기린이-g1l
    @기린이-g1l 4 года назад +15

    딴건 몰라도 간지하난 작살나네

  • @둥가둥가-f5z
    @둥가둥가-f5z 4 года назад

    누나 주말에는 셔야죠 !!

  • @박범수-d2e
    @박범수-d2e 3 года назад +7

    (2:13): 복잡한 과학적 원리에 설명하자면 su-47의 구조는 앞쪽 날개로 되어 있고 무엇보다 다른 대부분 미공군전투기들은 날개가 뒤쪽으로 되어있지만 러시아 전투기는 속도 추진력을 위해서 앞쪽으로 날개를 만들어야 했고 그 때문에 전투기 속도 추진력 덕분에 이렇게 미공군 전투기보다 더 빠르게 갈 수 있었습니다.(흡사 미래 영화에서 나온 앞쪽날개 전투기같네요.)

  • @young017
    @young017 4 года назад +2

    파일럿이 저 중력가속도를 제어할 수 있을 정도라면 엘리트일텐데, 현대전에서 눈에 보이지도 않는 스텔스기를 상대로 정예 자원이 마중 나가서 도그파이트를 강제 한다는게 아이러니..
    건담의 미노프스키 입자 같은 공상과학이 없는 이상..

  • @ST0LZ595
    @ST0LZ595 4 года назад +36

    su-47 인파이터
    f-22 아웃복서..인데 눈에도 안보이고 잽싸기도한 녀석

    • @댓글로만구독자10만
      @댓글로만구독자10만 4 года назад

      ㅋㅋ 아웃복서이긴한데 팔한쪽길이가 5미터 쯤 되는

    • @tv-ns7le
      @tv-ns7le 4 года назад

      죄송한데...인파이터가 뭐고 아웃복서가 뭐에요?

    • @소마-j6h
      @소마-j6h 4 года назад

      인파이터:근접에서 상대를 조짐
      아웃복서:원거리에서 상대를 조짐

    • @tv-ns7le
      @tv-ns7le 4 года назад

      @@소마-j6h 아하

    • @소마-j6h
      @소마-j6h 4 года назад

      su47은 f22보다 비교적 근거리, 중거리에서 상대를 공격하고
      f22는 레이더, 스텔스등을 이용해서 적의 시계밖 교전을 통해 상대를 공격하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 @정의란-q8k
    @정의란-q8k 4 года назад

    근접도 속도가 안나오면 근접전 하기전에 도망갑니다 무슨 자재를 쓰는지도 모르는데 다음에는 남들이 잘 모르는 정보 부탁합니다 요즘은 복합재 위주로 씁니다

  • @metabeauk6367
    @metabeauk6367 4 года назад +4

    코만치 스텔스 헬기 리뷰 부탁해용 존경하는 지스님^^

  • @hannibal4514
    @hannibal4514 4 года назад

    번번히 가 아니고 "빈번히" 가 맞는말 입니다! 일반적 으로 잘 틀리는 단어중 일절 도 "일체" 가 맞는말 이지요!
    확실하게 모르는 단어는 사전을 활용하면 실수를 예방할수 있습니다!

  • @김신우-v3b
    @김신우-v3b 4 года назад +6

    오늘도 나오는 '그'대사 3:40

  • @teach3555
    @teach3555 4 года назад +1

    디자인 하나는 진짜 끝내주게 잘한다 ㅋㅋㅋㅋ

  • @이영민-w9n3w
    @이영민-w9n3w 4 года назад +23

    날개 수명이 짧어서 .. 전투기 활용 될수 없는 항공기 였죠..

    • @tv-pebb6553
      @tv-pebb6553 4 года назад

      영민이 여기도있네ㅋㅋㄱㅋㄱㅋㅋㅋㅋ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러시아전투기들의 고질적 문제의 엔진 내구성도

    • @이영민-w9n3w
      @이영민-w9n3w 4 года назад

      @@tv-pebb6553.. 스토커 .. 누구..

    • @tv-pebb6553
      @tv-pebb6553 4 года назад

      @@이영민-w9n3w ...? 이젠 스토커드립이니..역겹다진짜

    • @초민-z8l
      @초민-z8l 4 года назад

      @@tv-pebb6553 ...?

  • @user-bluering
    @user-bluering 4 года назад +2

    2:33 항속거리가 길다는 것은 같은 거리를 갈 때 연료 소비가 적다는 것이니
    여객기, 수송기에 유리 할 것으로 보이는데
    저걸 사용한 기체가 없다면 다른 단점이 큰가 보군요.

    • @우라오쓰
      @우라오쓰 4 года назад

      뒤젖힘 날개는 공기가 동체쪽에서 날개 끝으로 흘러가서 응력이 적게 발생합니다 그래서 내구성이 좋죠
      근데 전진익은 양력이 더 많이 발생한다 해도 날개 끝에서 동체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날개와 동체의 이음새 부분에 많은 응력이 발생합니다. 쉽게 지렛대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까요? 또한 조종성이 좋으면 안정성이 안좋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장시간 비행해야하여 응력이 많이 누적되어 먼 거리를 이동하는 수송기나 승객을 태우고 가는 편안함이 우선인 여객기에는 맞지 않습니다.

  • @dhlee7196
    @dhlee7196 4 года назад +4

    결론 간지나는 표적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4 года назад

    전진익 디자인이 멋지네요(스텔스랑 받음각은 꽝이지만)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9

    1대만이 완성된 실증기이지만 무장배선이나 화력관제 레이더 등은 전부 탑재되어있어 실전 투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정식으로 받은 제식번호는 Su-47이죠. 검독수리라는 별명이 있으며 실제로 도색이 새까맣게 되어있죠.

  • @shkwon6556
    @shkwon6556 4 года назад

    X29는 아시는지. 전진익의 고기동성은 전진익을 감당할 소재강성 문제로 실전배치 안되고 있어요. 저 컨셉은 낡은겁니다. BVR과 스텔스가 없는 소련이 내놓은 서글픈 대안이...근접공중전, 고 기동성. 미사일 만능주의 스텔스 만능주의는 마땅히 타기해야 할 것이나, 현재 공중전은 BVR 없이는 안되요. 그럴려면 스텔스는 필수. 저 모양으론...ㅠ.ㅠ

  • @JYH-hd3co
    @JYH-hd3co 4 года назад +4

    지식스토리님 다음엔 인도vs중국 군사력비교 컨텐츠 올려주세요

  • @jhl3889
    @jhl3889 4 года назад

    와!베르쿠트까지!요구르트도 부탁합니다!

  • @2dh0rka
    @2dh0rka 4 года назад +42

    독파이팅에 특화된 기체라........21세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전투기입니다.

    • @홍은혜-q7n
      @홍은혜-q7n 4 года назад +5

      22세기에 필요한 기체죠

    • @xingkey
      @xingkey 4 года назад +1

      @@홍은혜-q7n 실제 무인기에서는 독피이팅이 다시 중요해 질지도...

    • @양식열-c3k
      @양식열-c3k 4 года назад

      미사일전주 피해서 설사 미국이 이긴다고해도 연료전부 더써써 무조건 붙으면 F22는 격추임 순간출력 쵀대치가 3ㅔ분만에 연료전부 씀 일단 10대불량먼 존재해서 실상은 몰라도

    • @서재민-x9x
      @서재민-x9x 4 года назад +23

      @@양식열-c3k 먼소리야..한국어좀해봐요..

    • @c.monster2645
      @c.monster2645 4 года назад +5

      @@양식열-c3k 몇번을 읽어봐도 무슨말인지..

  • @nengey0103
    @nengey0103 4 года назад

    is 중전차 시리즈 해주세유~~!

  • @윤성용-p2z
    @윤성용-p2z 2 года назад +2

    러시아의 전략은 미국의 스텔스기와 bvr교전에서 4세대 전투기를 희생양으로 내어주고 그때 파악한 미국의 스텔스기를 멀티밴드 레이더를 갖춘 5세대 전투기로 격추하는 것이다.방어적 작전으로 쓴다면 러시아의 전투기는 미국을 상대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하겠다!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수호이47에 달린 엔진은 D-30F6엔진으로 여느 항공기가 그렇듯 터보팬엔진을 달았습니다.
    터보팬엔진은 연료의 연소배기가스 및 터빈 외측의 팬으로 압축된 공기로 추력을 얻는 제트엔진입니다. 바이패스 제트죠.
    요즘에는 터보팬 엔진을 장착한 항공기가 대부분이죠.
    터보제트와 생긴 건 비슷하지만 터보제트는 축류압축기라는 여러 겹의 팬들만 있습니다. 하지만 터보팬은 축류압축기가 있는 것까지는 터보제트와 같지만 축류압축기 앞에 더 큰 팬 블레이드가 달려있죠. 여담이지만 터보제트는 저바이패스 터보팬을 닮은거같습니다. 이 정면 팬으로 가속된 공기가 바이패스 공기인데 이 엔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터보팬 엔진은 2종류의 기체를 뿜어냅니다. 팬으로 가속된 바이패스 공기가 연료가 연소된 배기가스를 둘러싸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팬과 구동계 터빈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터보제트 엔진과 동일하죠. 터보제트에서 구조적으로 복잡해진거죠. 동력원은 연소된 공기이며, 바이패스 공기가 연소되는 에너지를 이용해 엔진 앞쪽의 팬을 돌려 바이패스 공기를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터보팬의 바이패스된 공기로 돌아가는 팬의 경우 터보프롭의 프로펠러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다만 터보프롭과 다른 점은 터보팬의 경우 팬을 감싸주는 덕트가 존재하는반면 터보프롭은 덕트없이 프로팰러가 외부에 장착되었죠. 터보팬의 경우, 노즐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는 줄어들지만, 배출되는 공기의 질량은 늘려 효율을 높이는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 @믾쟇
    @믾쟇 4 года назад +22

    내 형제다

    • @문성-c4h
      @문성-c4h 4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

    • @adidas566
      @adidas566 4 года назад

      ㅖ 형님
      밑에 수호이 정모 생김 구경하고가삼

    • @믾쟇
      @믾쟇 4 года назад

      ADI DAS 머가리 박겠습니다 삼선 추리닝

    • @모스크바
      @모스크바 4 года назад +1

      나한테 매연뿜은 새×끼가 너지?

    • @adidas566
      @adidas566 4 года назад

      @@믾쟇 사실 상병 마크로도 쓸 수 있음 ㅋㅋ루

  • @비공개-t5s
    @비공개-t5s 4 года назад +1

    이 채널은 가끔식 섬네일로 무리수를 둔단 말이야..

  • @고대경-b6d
    @고대경-b6d 4 года назад +14

    우리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도입에 대해서도 다루어 주세요. 마린온 상륙기동헬기 기반의 무장헬기가 공격헬기가 될 수가 있을까요?

    • @Rokmc1219
      @Rokmc1219 4 года назад +2

      전 좀 힘들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3

      무장을 장착한 공격헬기가 되었다면 마리온이 많이 둔해지겠는데요?

    • @수퍼MM
      @수퍼MM 4 года назад +2

      공격헬기와 무장헬기는 개념이 좀 다르죠.
      베트남전에서도 무장헬기를 쓰다가 손해가 커서 별도의 공격헬기 코브라를
      개발했는데요.
      거기에 미국은 신형 헬기 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성능이 기가 막히죠.
      그 미국도 신형은 공격헬기를 개발하고 무장헬기를 개발하지 않는것을 보면
      역시 무장헬기로는 좀 많이 아쉽습니다.

    • @고대경-b6d
      @고대경-b6d 4 года назад +1

      @@수퍼MM 마린온 상륙무장헬기를 공격헬기에 가까운 준공격헬기로 만드는 것이 가능할까요?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2

      UH-1헬기에 무장해서 무장헬기로 만들었더니 문제가 많아서 아예 공격을 주로 담당하는 코브라 공격헬기를 만든거

  • @은하수-u7x
    @은하수-u7x 4 года назад

    전진익은 실제 과거에도 시험된 비행기 날개입니다. 그러나 테스트 도중에 전진익의 특징성으로 동체의 날개 연결 부위에 공기가 과도하게 모여, 날개가 공체에서 떨어져나간 사례도 있죠. 전진익의 단점이라면 불안정한 내구성입니다. 바깥으로 빠져나가 날개, 동체에 크게 무리가 없는 후퇴익에 반해, 그냥 비행만 해도 동체에 무리가 가는 이상한 내구성을 자랑하죠

  • @tv-ns7le
    @tv-ns7le 4 года назад +4

    진짜 러시아가 돈만 있었으면 소련의 영광을 되찾을 수 도 있었을듯

  • @pqoails1395
    @pqoails1395 4 года назад

    자료
    예전에 한번 이슈가 되었던 카나드가 스텔스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내용이 없었습니다. 카나드가 스텔스성을 악화시킨다는 내용의 책이나 논문은 찾지 못하였으나 "관계 없다"라는 내용의 글도 못 찾았기에 결국 추측을 할 수 밖에 없었지요. 카나드가 주익 전방에 위치하면서 가동되는 물체이기에 카나드의 각도에 따라 전방 RCS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했었지만, F-22를 제외한 대부분의 전투기가 수평미익이 주익의 후류를 피하기 위해 주익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었고, 이는 전방에서 레이더 뿐만 아니라 수평미익 역시 레이더에 탐지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죠. 즉 같은 조종면이기에 최소한 카나드가 RCS에 영향을 미친다면 수평꼬리날개 역시 RCS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F-117 처럼 아예 수평미익 자체를 없앤 V-Tail을 채택하거나 F-22 처럼 전방후류의 악영향을 감수하면서라도 수평미익이 주익에 파묻힌 형상으로 설계할 수 밖에 없을듯 합니다.
    한편 카나드의 그 각도가 크게 변할 정도로 변하게 되면 전투기 역시 그 기수의 위치를 바꾸어 진행방향을 변경하게 됨을 의미하며, 이는 더 이상 전방 RCS가 중요시 않게 됨을 의미합니다. 이미 레이더에게 전투기가 전방을 보이고 있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카나드는 의외로 변위각이 적습니다. 이는 수평미익을 갖춘 기체와 달리 낮은 받음각에서는 전통적인 꼬리날개 없는 삼각날개 기체와 마찬가지로 Elevon으로( en.wikipedia.org/wiki/Elevon#/media/File:Elevon_(F-102A).svg ) 기체를 제어하기 때문이지요. 전체 가동형 카나드가 사용되는 이유는 주로 높은 받음각에서의 자세제어 때문이라 합니다. 높은 받음각에서 주익 바깥쪽에 있는 에일러론은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데, 카나드가 양쪽이 반대 방향으로 가동하여 에일러론의 역할을 보조하지요.
    F-16이나 F-22 등의 수평꼬리날개도 동일하게 작동하여 에일러론의 역할을 하며, 그래서 이런 기체들의 수평미익을 Elavatoreron (Elevator + Aileron)이라 부릅니다. (이스라엘 공군의 F-15가 훈련도중 충돌로 인하여 한쪽 날개가 잘려나간 상태에서 자세제어가 가능했던 것도 수평미익의 역할덕에 가능했던 것이라 봅니다.) 게다가 위에 언급한대로 무게중심이 중기보다 크게 앞쪽에 있지 않기에 평시 비행시 트림등을 위해 거의 카나드의 각도가 바뀔 필요는 없고 트림은 Elevon 만으로 충분한듯 합니다.
    전방 RCS의 경우엔 공기흡입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캐노피, 레이돔 및 레이더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주익과 수평미익의 앞전 부분이라 하지요. 주익과 수평미익은 주로 전방 보다는 20~40도 정도의 대각선 방향에 대해 RCS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주익 및 미익의 후퇴각의 영향입니다. (참고로 일반적인 전투기 형상에서 가장 RCS가 큰 부분은 90도 측면이며, 이는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미익의 영향이라 합니다. 그 다음이 후방 RCS인데 이는 후방 노즐과 후퇴각 혹은 전진각이 없는 주익,미익의 뒷전이 영향이라고 합니다. 의외로 전투기 전체 RCS중 가장 작은 부분은 전면 입니다. 물론 이는 일반적인 전투기도 전방 RCS를 줄이기 위해 인테이크에 RAM (Radar Absorbent Material -레이더파 흡수물질)등을 바르는 영향도 있는듯 합니다.)
    출처 -이승진(xwing)님

  • @젠슨황-o8t
    @젠슨황-o8t 4 года назад +3

    진짜 영화에서 최종보스에 걸맞는디자인

  • @Hyuchan1002
    @Hyuchan1002 4 года назад +1

    전진익은 위그선에 찰떡일 듯.

  • @일더하기일-z1x
    @일더하기일-z1x 4 года назад +3

    갠적으로 디자인 완전 멋지네요

  • @기암도당
    @기암도당 4 года назад +2

    역날개 문제는 내구력이 참 징글징글하죠 몇번날리고 금이가는 그건 미국이 22만들때 했던기술 아닌가요 ? 미국에서도 엄청난 전투기들이 있어지만 내구성이 없다면 종이비행기 일뿐이죠 저런걸 전력화 한다면 조종사는 일회용 일뿐이죠

    • @신재경-f9q
      @신재경-f9q 4 года назад

      일회용이 뭐가 문제죠 소련때부터 이어지던 인명경시사상이 담긴 무기를 만들었을뿐

  • @호랑좌
    @호랑좌 4 года назад +5

    00:06 Opening
    11:06 Endcard

  • @master4813
    @master4813 4 года назад

    팰렁스 리뷰 해주실수있나요

  • @goja425
    @goja425 4 года назад +4

    옛날에 한게임 골드윙에서 간지나서 f22대신 샀던 전투기 ㅋㅋ

    • @킹알렉산더-s4h
      @킹알렉산더-s4h 4 года назад

      간지 좔좔 흐르네여!!

    • @GEZZI
      @GEZZI 4 года назад

      진짜 간만에 보네요 ㅎ 골드윙을 했던 사람이 있었다니

    • @goja425
      @goja425 4 года назад

      @@GEZZI 빙고!빙고!

    • @대왕문어-v3o
      @대왕문어-v3o 4 года назад

      골드윙 재밌었죠...ㅎㅎ

  • @khankorea3938
    @khankorea3938 4 года назад

    우리가 최신 스텔스기로 f-22보다 한단계 우수한 비행기를 만들었다면 이름은 뭘로 할까요? 기것해야 이세종 이순신 장영실같은 중국식 석자 이름 지을려할사람들이 많을텐데 가-100은 어떤가요?

  • @벨쿹
    @벨쿹 4 года назад +3

    드디어....

  • @kle5187
    @kle5187 4 года назад

    영상좋아요@

  • @zenive
    @zenive 4 года назад +5

    파나비아 토네이도 해주세요 ^^

  • @mirr2471
    @mirr2471 4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링스와 레드백도 가능할까요?

  • @YSH-pb4rq
    @YSH-pb4rq 4 года назад +5

    여담이지만 수호이에서 전투기를 개발했지만 엔진은 수호이27계열에 쓰인 엔진인 AL-31이 아니라 미그31의 D-30F6을 장착하였죠. 원래는 AL-31을 개량한 AL-37FU를 장착하려 했으나 개발지연이 되었고 기체 테스트를 위해 결국 D-30F6을 장착했는거죠

  • @illim7903
    @illim7903 4 года назад +1

    그런데 전진익 보다 랩터에 달린 추력편향 추진장치가 더 좋다고 하던데요.

  • @조세연-c5f
    @조세연-c5f 4 года назад +7

    그리펜 해주세요

    • @user-ns9zs6ye7z
      @user-ns9zs6ye7z 4 года назад +1

      그리펜 개인적으로 디자인이 맘에 드는 기체

  • @m134762
    @m134762 4 года назад

    또다른 전진익기인 SR-10도 해주세요 ㅎㅎ

  • @Hyeon_3895
    @Hyeon_3895 4 года назад +4

    다른건몰라도 디자인하나만큼은 끝장나는 녀석..머리로는 소련을 부정해도 아랫도리로는 부정할수가 없다!

  • @pitot0philo207
    @pitot0philo207 2 года назад

    날개가 부러질만큼 큰 양력이 발생하는게 아니라...
    날개끝에서 발생하는 박리현상이 날개뿌리에서 발생하면서 날개끝에서 양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날개뿌리에 굽힘스트레스가 과도하게 가해져서 부러지는겁니다...

  • @CasterArtoria
    @CasterArtoria 4 года назад +4

    소련은 그놈에 돈이문제네 ㅋㅋㅋㅋ

  • @-_-5867
    @-_-5867 4 года назад

    아시나요 모음집 언제올라오나요?ㅠㅠㅜ

  • @yonghokim8014
    @yonghokim8014 4 года назад +18

    Su-47 디자인 불안정 카나드 달고 음속에 날개를 교환 불안한 전투기 스텔스 아니고 어중간한 전투기

  • @냄비폭풍
    @냄비폭풍 4 года назад +1

    문제는 극한의 선회력을 사람이 버틸 수가 있느냐도 간과한...

  • @은하수푸른하늘-v3g
    @은하수푸른하늘-v3g 4 года назад +4

    F-22도 20g넘게 견딜 수 있는데 사람이 견딜 수 있는 한계가 9g라서 안전문제 때문에 비행 중 조종으로 가능한 가동한계를 9g로 한거라고 나왔는데..

  • @Fourth_Reich
    @Fourth_Reich 2 года назад

    게임 레드얼럿2에서 한국군 특수유닛 보라매 전폭기도 전진익이었죠 대단히 멋진 디자인

  • @펜펜-c3c
    @펜펜-c3c 4 года назад +2

    사실상 전투능력은 없다보는편이 맞는 실험적인 기체라..
    그냥 러시아의 항공기술은 이정도고 이정도도 우린 만들수 있다라는 수호이사의 상징성의 기체라고 보는게 맞음

    • @jinsungg.4548
      @jinsungg.4548 4 года назад

      ㅇㅇ.. 돈없어서 테스트기만 만들고 말았었죠..

  • @jkpark3773
    @jkpark3773 4 года назад

    원래 에어로 다이나믹스나 전투기의 기동은 러시아쪽이 미국보다 앞서있는게 맞습니다
    도그파이팅이라면 러시아기체가 앞서는게 맞고
    에어쇼에서 놀라운 기동을 보이는것도 러시아공격기 쪽이 앞섭니다
    하지만 실전에서는 전자전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는거죠 먼거리에서 타겟팅하고 맞춰버리는데 기동이 무슨 소용이겠습니까

    • @jkpark3773
      @jkpark3773 4 года назад

      @@aaaaaaa122239 대한민국 3년연속 탑건을 포함한 전투기 조종사들의 대화를 근거로 드린말씀인데
      그분들보다 전문가신가봐요?

    • @jkpark3773
      @jkpark3773 4 года назад

      @@aaaaaaa122239 네 그렇군요
      초음속 전투기 타시는 분들을 방구석에서 쳐발라버리시니 어떤 의미에선 대단하시네요

    • @jkpark3773
      @jkpark3773 4 года назад

      @@aaaaaaa122239 영상첨부 가능하실까요 이러고있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방구석에서 쫀심챙기느라 애쓰고 앉았다
      su 27 비행 메뉴얼? ㅋㅋㅋㅋ 아 그러시구나 국방부연구소 근무하시고 러시아어 마스터 신가보네 ㅋㅋㅋ
      영상첨부 ㅇㅈㄹ ㅋㅋㅋㅋㅋㅋㅋ

    • @jkpark3773
      @jkpark3773 4 года назад

      @@aaaaaaa122239 모르면 가만히 있으면 되는걸 나무위키 찾는게 뭔 벼슬인줄알고 ㅋㅋ
      탑건이 뭔 기종 타는 줄은 아냐? 별 찐따 찌끄레기를 다보겠네

    • @jkpark3773
      @jkpark3773 4 года назад

      @@aaaaaaa122239 진짜 돌머리랑 얘기하려니 귀찮고 힘드네
      su-27 메뉴얼 읽는다는 돌대가리 구라 비꼬는 말에 미국 드립을 치네
      얼마나 돌대가리인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