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환경을 지키는데 필요한 것은 경제논리다 f.박정호 특임교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54

  • @3protv
    @3protv  4 года назад

    ■page2 강의 신청하기
    - 투자의 정답을 찾는 책읽기 [시즌1]
    www.page-2.kr/notice/103?page=1
    - 사경인의 실전투자 아카데미 '리마스터'
    www.page-2.kr/concert/2020-Academy
    - 하반기 투자전략 세미나 온라인 VOD
    www.page-2.kr/concert/2020_strategy_seminar
    - 사경인 회계사의 성공투자 로드맵
    www.page-2.kr/concert/2020_success_roadmap
    - 차영주 소장의 [터틀트레이딩] 구매
    bit.ly/3jYwvMK
    - '갓건영' 오건영 팀장의 [부의대이동] 구매
    bit.ly/2OpojqH
    - '코로나 투자 전쟁' 책도 있습니다
    url.kr/URiXzQ
    - 부동산에 관심 많으시다면 김학렬 소장의 [이제부터는 오를곳만 오른다]
    bit.ly/2Wmeb6v
    - 초보 투자자가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은?
    ruclips.net/video/cIvdEC-rQpY/видео.html
    ruclips.net/video/qhVUG3EtBrQ/видео.html
    ★ 광고문의 : ad@ebroadcasting.co.kr
    ★ 광고문의 : 010-2090-6748
    #경제의신과함께 #삼프로TV #경제콘텐츠 #주식투자 #경제공부 #금융

  • @sonny7
    @sonny7 4 года назад +56

    요약정리
    ‘환경을 지키기 위해서는 경제적 접근법이 필요하다.’
    국부펀드, 정책자금들이 신재생 에너지, 환경산업으로 밀려들기 시작함. 그런데 환경산업이란 무엇인가. 신재생에너지가 환경을 지키는 것이 맞나.
    에너지 사용은 경제적 판단이 필요하다. 6단계의 고민이 필요하다.
    1단계: 발전소를 돌리기 위한 에너지를 배송하는데 어떠한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가? 1000MWe 발전소를 운용하기 위해서 석탄은 220만톤 필요, 석유는 150만톤 필요, LNG는 110만톤 필요, 원자력은 20톤 필요.
    2단계: 운송해 온 에너지원을 발전하기 위한 발전소 부지 조성 비용은? 1000MWe 발전소 부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태양광은 151개의 월드컵 경기장 규모의 부지가 필요, 풍력은 51개 월드컵 경기장 필요, 원자력은 1개의 월드컵 경기장 크기만 있으면 됨.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싼 것이 땅. 태양광으로 하려면 정부가 땅을 매입해야 하는데 월드컵 151개 규모의 땅 구매가 가능한가.
    3단계: 발전소의 발전기를 돌리는 과정에서의 에너지 효율은? 양초는 1~2%(빛을 켜는 원래 목적보다 열로 빠져나가는 양이 98% 이상), 내연기관은 15~20%(에너지를 내는데 15%정도만 쓰이고 나머지는 열로 빠져나간다. 그래서 냉각기가 필요.), 터빈은 40~45%, 대형 발전기가 98~99%, 태양광 전지는 20~30% 수준. 태양광을 받아서 전기에너지를 바꾸는데 최대가 30% 밖에 안된다.
    4단계: 하루동안 에너지를 적절히 조달하는데 투여되는 비용은? 많이 쓰는 낮에는 전력 공급을 많이 해줘야 하고 밤에는 적게 해줘야 한다. 기본량은 원자력(중간에 끌 수 없으니), 석탄이 제공. 일일 피크량은 LNG나 수력을 사용함. 피크에 대응하지 못하면 정전된다. 이것이 가장 저렴하게 에너지 수급을 맞출 수 있는 방법이다.
    5단계: 이산화 탄소 배출량에 따른 경제적 부담은? 한국은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글로벌 4위.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성장률도 글로벌 3위 22.8%.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6단계: 에너지 관련 폐기물 관리 비용은? 원자력 폐기물을 관리하기 위한 비용이 어마어마하다. 2040년까지 전세계 노후 원자로 폐로 비용을 보면 유럽연합의 경우 510억 달러가 쓰인다. 우리나라도 10억달러 규모를 쓸 예정. 원자력만이 답은 아니다.
    에너지를 사용할 때 에너지 배송비용, 설립비용, 에너지 효율, 제공할 때 가장 저렴한 방법, 이산화탄소 배출량, 폐기물 관리비용 등 다각적으로 고려해야한다. 이 모든 것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에너지 정책. 단순히 싸다? 친환경적이다? 일면만 고려하면 안된다.
    친환경 에너지는 완벽한 대안일까? 바이오메스, 곡물, 감자류, 사탕수수, 사탕무에서 석유를 추출하는 것. 기술 개발로 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도 활용 가능하다. 그런데 문제는 이산화탄소는 배출 안하지만 수질오염과 토양오염을 일으킨다. 극대량으로 재배하기 위해 화학비료 농약을 어마어마하게 사용한다. 토양오염, 비 오면 수질오염.
    풍력의 문제점은? 주거지로부터의 거리 문제(풍력발전은 대부분 산이나 바다 한가운데서 이뤄지는데 집까지 끌고 오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야생동물의 폐사 문제(고주파수로 인해 인근에 사는 동물들이 폐사를 많이 한다.), 통신과의 간섭현상, 바람의 질 때문에 설치하기 힘든 나라도 있다.(바람이 지속적으로, 한방향으로 불어야한다.)
    조력의 문제점은?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곳에서만 활용 가능. 조류가 바뀔 때만 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율 20%정도. 근처 해수 온도의 상승으로 인근 어패류들이 폐사함.
    천연가스의 문제점은(파이프라인을 까는 것)? 외교적으로 종속될 위험이 있다. 2006년 1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가격협상이 결렬되자 러시아가 공급을 바로 끊어버림. 2006년 11월 그루지야가 러시아 장교를 체포한 데 따른 보복으로 러시아가 가격을 2배 인상해버림.
    신재생에너지 전략 단가를 비교해보면, 태양광의 경우 화석연료만큼 저렴해짐. 물론 중국과 같이 대량 생산이 가능한 곳의 영향이 크다. 태양광에 대한 투자도 필요하지만 원자력, 석탄에 대한 투자도 계속 이어나가야한다.
    유리처럼 투명한 태양광 전지판이 개발되고 있다. 건물 유리창에 사용 가능. 전통적인 방식에서(수직적 에너지 체계, 발전소에서 만들어낸 에너지를 가정으로 전달) 새로운 방식으로 변화가능(수평적 에너지 체계, 건물마다 전력생산이 가능하고 서로 교환이 가능.)
    에너지 수급을 단 한 가지 방법으로만 할 수는 없다. 제주랑 강원도는 풍력이 가능하지만 서울은 힘들다. 이산화탄소를 줄이면서 경제적인 방법을 위해서는 골고루 쓰면서 친환경 에너지의 가격 단가가 떨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

    • @kingj3189
      @kingj3189 3 года назад

      메시님ㅡㅡㅡ 도대체ㅡ 정체가 ~~ 요약정리 잘 보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 @paparolling9449
    @paparolling9449 3 года назад

    역시 퀄리티 좋은 박교수이십니다.다만 참고로 이산화탄소는 줄일필요가 없습니다.이산화탄소덕에 현재 지구의 식량이 남아돌고(인류흡수의 2배 생산되고있음) 식물들이 더 잘자라요.기후변화가 사기이죠

  • @andddoful
    @andddoful 4 года назад +3

    짧은 영상에 핵심만 담으시는분! 박교수님 영상은 무조건 봅니다.

  • @sooyoungyang7237
    @sooyoungyang7237 4 года назад +11

    깊이 있는 강의 잘 들었습니다! 에너지의 미래를 다시 고민하게 되네요!

  • @생선물은냥이
    @생선물은냥이 4 года назад +3

    강의 감사하고 담도 기대합니다

  • @soominlee5042
    @soominlee5042 4 года назад +3

    정말 균형잡힌 강의 감사합니다. 다음 강의도 기대됩니다.

  • @gogostella8400
    @gogostella8400 4 года назад +5

    감사히 잘들었습니다.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자료를 이용해서 찬찬히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되었습니다.

  • @lovemyflower5420
    @lovemyflower5420 4 года назад +3

    교수님 다음 강의도 기대됩니다.~

  • @Benyffett
    @Benyffett 4 года назад +5

    와 보면서 소름 돋았습니다. 평소 제가 의문 갖던 부분들이 많이 해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정의-k9e
    @김정의-k9e 4 года назад +2

    교수님덕분에 똑똑해지는 느낌입니다 최고~~

  • @윤재상-u3v
    @윤재상-u3v 4 года назад +3

    굉장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 @jihyunkim8040
    @jihyunkim8040 4 года назад +2

    궁극의 에너지, 수소에 대해서도 부탁드립니다

  • @홧팅-x6c
    @홧팅-x6c 4 года назад +3

    펙트 폭격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forcemajeure4689
    @forcemajeure4689 4 года назад +3

    확실한 것은 화석연료는 줄어들고 신재생에너지는 늘어난다는 것이고.. 화석연료중에서 LNG는 증가 그외는 감소.. 원자력은 횡보 정도 된다고 다양한 자료에서 발표하더군요.

  • @코스닥
    @코스닥 4 года назад +15

    ★요약 노-트(박정호 특임교수) 주식은 역시 기릿-! 안녕하세요-! 오늘도 열공하세요-!!
    (시간이 없거나 이해가 힘드신분들을 위한 댓글입니다. 그냥 보실때나, 1.25~1.5배속으로
    보실때 확실히 이해를 도와드립니다. 다만 요약만 보시면 금방 까먹으니, 꼭 영상을 시청해주세요)
    1:30 진짜 환경산업이란 무엇일까요?
    많은사람들이 신재생이라고하지만 신재생 뿐만은 아니다
    그래서 한번 공부해보겠습니다
    3:00 환경을 지키는데 필요한 것은 경제적 로직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에너지를 써야한다.
    원자력 - lng - 석유 - 석탄 순.
    그리고 부지로 따져도 원자력 - 풍력 - 태양광
    (우리나라에 151개의 월드컵 경기장을 지을 땅이 남아있는가?)
    9:30 전기는 많이생산하면 손해입니다(유실되기때문)
    그렇기 때문에 석유 석탄 원자력으로 기저를 하고 남은걸로 남은 전력을 맞춘다.
    13:10 마치 지금까지 보면 무조건 원자력야해!!!같지만 그건또 아닙니다
    결국 원전은 폐기물을 관리해야하기때문. 언제 과학기술이 좋아져서 폐기물을 처리할수있을지?
    17:45 풍력의 문제
    주거지로부터의 거리가멀다
    야생동물의 폐사문제
    통신과의 간섭현상
    바람의 질을 고려
    26:30 결론.
    에너지에는 정답이 없다. 하나만 할수는 없는 상황이다.
    어쩔수없이 여러가지를 섞어서 사용해야 하는 상황!
    최대한 간단하게 그러나 이해가 쉽게 목차화 하였습니다. 너무 많은 요약은 삼프로 시청률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오늘도 행복한 하루되세요.
    삼프로&박정호 특임교수님 사랑합니다.

  • @user-rq5wy5mh9j
    @user-rq5wy5mh9j 4 года назад +1

    원래 전력도 포트폴리오가 중요해요 나중에 미래세상이 어떻게 바뀔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고 태양광 신재생은 흐름이지만 그렇다고 화력 원자력 모든게 배척되어서는 안됩니다 속도 조절이 중요하죠 지금의 우리나라의 속도는 너무 빠릅니다 우리나라에서 원전 수출시도하던 동유럽에서 미국이 수주했구요 박정호교수님이 말한건 3세대 태양광패널인데 저것과 ess기술이 필수적인데 이것이 개발된 이후에 진행하면 좋지않을까요

    • @user-rq5wy5mh9j
      @user-rq5wy5mh9j 4 года назад

      또 유럽에서 기후변화 때문에 화력을 줄이고 원자력과 신재생을 늘리는것 같습니다 폴란드 체코 루마니아 이쪽에서요 미국의 원전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수출해달라고 요청했고 이번에 미국이 폴란드에서 수주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민주당도 원자력의 지지하기로 변경했고 이는 아마도 기후변화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신재생 뿐아니라 원자력 사업도 후쿠시마 이후 확장세를 보이는것 같습니다

  • @신민석-t4z
    @신민석-t4z 4 года назад +6

    교수님....최곱니다...ㅎㅎㅎㅎ

  • @tnoehdkdl9342
    @tnoehdkdl9342 4 года назад +1

    간만에 소름

  • @아벤뒤졌스
    @아벤뒤졌스 4 года назад +5

    진정한 전문가이신듯

  • @turbob-p7j
    @turbob-p7j 4 года назад +2

    생각없이 보면 좋은 얘기 같지만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정도로는 경제와 환경 모두 큰 타격을 입는 상황이 오고 있습니다 RE100. 이산화탄소 배출 제로를 만들어야 됩니다 화석연료.. 즉 , 석탄 석유 천연가스는 아예 쓰면 안되고 원전이든 태양광이든 풍력이든 탄소 배출을 하지 않는 에너지로의 대전환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한국 경제의 미래는 없어요

  • @민트초코-p6b2f
    @민트초코-p6b2f 4 года назад +3

    믿듣보. 찐전문가♡

  • @horolololo1549
    @horolololo1549 4 года назад +3

    진짜 지구를 지키는 분야는 농업이쥬ㅋㅋㅋㅋ

  • @꿈꾸는개미-r4z
    @꿈꾸는개미-r4z 4 года назад +12

    에너지 관련은 항상 정부 홍보방송 같아서 거부감 있었는데 삼프로에서 처음 보는 균형잡힌 시각이네요

  • @아벤뒤졌스
    @아벤뒤졌스 4 года назад +3

    세상에 쉬운일이 없군요

  • @kwon7777
    @kwon7777 4 года назад +1

    응팔에 정봉이형 닮은 박교수님 잘보고 갑니다. ㅎㅎ

  • @coin1
    @coin1 4 года назад +4

    친환경 차가 대세이긴 합니다.
    현대 전기차 폭발 영상 보고
    겁 먹긴 했지만, 개선 될거라고
    생각됩니다. ㅠㅠ

  • @jeonnnn
    @jeonnnn 4 года назад +3

    신재생 이쪽은 무슨 바람잡이들 모셔놓고하는거같음

  • @Melissa-fu6cw
    @Melissa-fu6cw 4 года назад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핵융합 발전은 불가능한가요?

  • @민트초코-p6b2f
    @민트초코-p6b2f 4 года назад +2

    다음 얘기 빨랑 해주세요!!!! 궁금해서 죽갔으요♡

  • @gangsookwak4688
    @gangsookwak4688 4 года назад

    이런 세부적인 내용도 좋습니다
    하지만 궁금한게 하나 있습니다. 세계 각국이 대규모 양적오나화를 실시하고 정부는 경기부양을 위해 대규모 부채를 안고 있는데 이러한게 모두 빚이기 때문에 이 상태가 지속될 수는 없다고 봅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과연 이러한 대규모 빚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는지 알려 주세요. 부채를 해소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경제시스템이 등장하겠죠
    새로운 통화를 발행? 금본위제로 복귀? 디지털화폐? 등등
    국내에 전문가를 찾아서 세상이 어떤 변화과정을 통해 경제시스템이 새롭게 정착될 것인지 알려 주세요

    • @조직폭력배-x4s
      @조직폭력배-x4s 4 года назад

      굳이 빚을 해소화 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앞으로 빚은 가계부채가 줄어들고 국가부채가 늘어나는 구조고 과공급으로 인한 디플레를 막기위해 정부가 사주고 있습니다. 즉 대외부채는 위험 할 수 있으나 대내부채를 늘리면서 자국 통화가치를 하락 시키지 않는 즉 물가를 안정 시킬수 있는 간섭이 많아 질겁니다.. 특히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 되지 않는 현재는 부동산이 물가를 올릴수있기에 규제가 필요하고요
      대외부채도 미국,유럽입장에서는 대외부채를 신경쓰지 않는 국가들이기에 어려울때마다 무제한으로 풀겠죠 그 밑에 국가들은 관리만 잘한다면 대외부채가 늘어나도 크게 지장없을수 있습니다.

  • @chan-bp1ml
    @chan-bp1ml 4 года назад

    빌게이츠가 중국으로 날아갔던 이유

  • @namgwangFortune
    @namgwangFortune 4 года назад

    bj봉준이 형 ?

  • @hsjo1669
    @hsjo1669 4 года назад +8

    지금 원전 충분히 가동되고 있고 새로 짓고도 있습니다. 다만 원전관련 학계 산업계 종사자들이 앞으로의 헤게모니 때문에 광광대는것. 아무리
    짖어도 세계적인 대세가 원전 폐기. 입아프게 논쟁할 필요도 없는 문제. 원전 폐기물 아직도 완전히 해결된것 하나 없다. 좋으면 자기들 동네에 유치하라.

    • @qtk6912
      @qtk6912 4 года назад +1

      유럽도 다시 원전 재가동 계획 구성하고있는데 어느 세계 말하시는건지? 기름 하나 없는 한국에서 뭘 어째요 경쟁력이 떨어지는데...

    • @Justin-gb7ji
      @Justin-gb7ji 4 года назад

      원전 마피아니 뭐니 논리없이 까대기만하는 글수준 ㄷㄷ 박교수님 자료 보고 얻은 결론이 고작그거?

    • @isari2
      @isari2 4 года назад

      기술을 무시하는 사람이네
      빌게이츠 테라파워 정독해라

  • @장동숙-d2o
    @장동숙-d2o 4 года назад +1

    저의 생각은 태양광 설치시 산과 들 바다등에다 설치해서 자연을 파괴하지말고 도로위에다 건강식으로 태양열을 설치하 면 엄청난 설치를해도 훼손이없고 겨울이면 도로 위 눈이 쌓이는것 걱정없어 일석 이조인듯한데 다른분들의 의견은 어떠할지?

  • @풀꽃내음-n8z
    @풀꽃내음-n8z 4 года назад +5

    자동차 엔진의 에너지 효율이 무슨 최고 25% 입니까?
    지금 기술로 약 40%까지 나옵니다.
    유럽국가들이 투입비용대비 효율을 몰라서 탈원전을 하고 있겠습니까?
    말은 원자력을 하자고 하는게 아니라고 하지만 자료들은 원자력이 제일 돋보이게 꾸며놨네요.

    • @풀꽃내음-n8z
      @풀꽃내음-n8z 4 года назад +1

      @@djeyyi8971뜬금없이 열폭이여?
      내가 쓴글중에 틀린게 있냐?
      틀린걸 말하면 웃기지나 않지.
      국어 얘기는 왜한거여?
      니가 좀 고쳐줘봐.

    • @풀꽃내음-n8z
      @풀꽃내음-n8z 4 года назад +1

      열효율에 관한건 그냥 구글에 엔진열효율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영상이 중립적이고 효율적인 측면에서 여러 에너지 들의 장단점을 비교한것같지만,
      그냥 가볍게 봐도 어이없는 내용이 많습니다.
      땅 크기를 비교한 자료만 봐도 가장 적은 면적으로 건설할수 있다는 원전을
      아무데나 지을수 있습니까? 절대적인 수치상으로만 작을뿐 원전을 지을수 있는 땅이
      대한민국에 얼마나 있겠습니까? 또 얼마나 많은 사회적 비용을 치뤄야 지을수있습니까?
      종합적이며 중립적인 비교라고 말은 하지만 이런내용은 언급하지 말아야할 내용이죠.

    • @tubeyou1490
      @tubeyou1490 4 года назад

      10퍼 전후입니다... 발전용 최적화된게 15퍼 겨우 나와요.

    • @풀꽃내음-n8z
      @풀꽃내음-n8z 4 года назад

      @@tubeyou1490 자동차 엔진을 말하는 겁니다.

    • @tubeyou1490
      @tubeyou1490 4 года назад

      @@풀꽃내음-n8z 저도 자동차 말하는겁니다. 발전용이라는건 하이브리드 중에 내연기관은 발전만 담당하는 경우를 말하는겁니다. 최적의 rpm에서 돌아도 15퍼밖에 안돼요. 운행에 쓰이는 내연기관은 주행환경이 달라지니 당연히 더 효율이 떨어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