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OS와 윈도우에서 저장공간 공유하는 스팀덱 하이브리드 파티션 세팅하기 [팡TV]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0 июн 2024
  • 새로 SSD를 구매하실 예정이거나 구매하셨다면 필수 시청!!
    하이브리드 세팅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SSD 설치 방법부터 스팀OS 설치, 윈도우 설치, 하이브리드 파티션 세팅하는 방법까지 모든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천천히 따라 오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클로버나 리파인드 같은 듀얼 부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은 추후 삭제가 어려운 점 때문에 다루지 않았습니다.
    스팀OS에서 업데이트를 통해 "dual-boot wizard"를 배포할 예정이며, 아직은 공식 지원하기 전이기에 당분간은 스팀덱을 켜기 전 -버튼과 전원버튼을 동시에 누르는 Boot Manager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스팀덱 윈도우용 드라이버 설치파일 다운로드 주소
    help.steampowered.com/ko/faqs...
    +Timestamp
    00:00 오프닝
    00:19 사전 준비물 안내
    00:46 [Step 1] 고용량 SSD 교체하기
    06:00 [Step 2] 스팀OS 재설치(Reimage Steam Deck)
    07:05 [Step 3] KDE 파티션 매니저로 하이브리드 파티션 만들기
    09:18 [Step 4] 스팀OS 이어서 설치하기
    10:17 [Step 5] 데스크톱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파티션 설정하기
    14:57 [Step 6] 나머지 파티션에 윈도우 11 설치
    21:11 [Step 7] 윈도우에서 최대 절전 모드 진입 막기
    23:00 마무리
    ---------------------------------------------------------------------------
    © Valve Corporation. The Steam and Steam Deck logos are trademarks and/or registered trademarks of Valve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 Microsoft
    그 외 기타 소개되는 내용에 포함된 프로그램명, 상표명, 제품명 등의 권리는 각 권리권자에게 있습니다.
    ---------------------------------------------------------------------------
  • ИгрыИгры

Комментарии • 319

  • @TheDorix2
    @TheDorix2 Год назад +5

    지지난주쯤 하이브리드세팅했습니다
    스팀덱 최소파티션용량은 64기준 50211 입니다 이거보다 작은파티션으로세팅하면 설치안되니 꼭 50211이상으로하세요
    그리고 윈도우의 최소파티션은 32기가정도입니다. 다만 전 귀찮아서 같은용량으로 설정했네요

    • @TheDorix2
      @TheDorix2 Год назад +2

      13분14초에 한마디 곁들이자면 드라이브라벨과 파티션라벨을 동일시해야 오류가안납니다

    • @TheDorix2
      @TheDorix2 Год назад +2

      그리고 윈도우설치시 되도록이면 로컬계정으로 설치하시는게 더 사용하기에 편하실겁니다
      16분55초쯤 와이파이 설정 페이지단에서 와이파이 연결하지않은상태에 shift+f10을 눌러 도스프롬프트창을 띄운후 oobe₩bysspassnro 입력하면 윈도우설치가 초기메뉴로 다시 띄워지면서 와이파이연결단에서 인터넷연결이되어있지않음(원래는 비활성화되어있는메뉴)누르고 로컬계정으로 설치하는방법이있습니다

    • @TheDorix2
      @TheDorix2 Год назад +2

      그리고 윈도우 자동로그인설정인 netplwiz설정도 해두시는게 편합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고수의 냄새가 나네요!
      로컬계정으로 할 걸 그랬어요.
      제가 쓰려고 설정하는 과정을 녹화하다보니… 하하!
      꿀팁 감사합니다!

    • @TheDorix2
      @TheDorix2 Год назад +2

      오타가있네요 oobe₩bypassnro 입니다

  • @user-jung5678
    @user-jung5678 Год назад +1

    올라오기만을 기다렸어요 ㅎ
    요즘 바빠서 확인을 못했는데
    어서 시도해봐야겠어요 ~^^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하이브리드 파티션이 생각 이상으로 만족도가 있는 거 같아요.
      다만, 윈도우에서의 경험이 스팀OS 보다는 만족스럽진 못해서 스팀OS를 보조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게 되는 거 같아요. (모드나 치트 등)

  • @choiritchey
    @choiritchey Год назад +2

    기존에 듀얼부팅으로 쓰다가 윈도우 전용으로 빼뒀던 드라이브에 스팀os에서도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싶어서 하이브리드 시도했지만 자꾸 쓰기 권한 없다고만 떴는데 이 영상 톺아보고 해결됐어요
    리눅스를 전혀 몰라서 명령어를 자세하게 해석해주신 부분이 특히 좋았습니다ㅋㅋ
    상세한 영상 감사합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오! 다행이네요!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정리해놓은 것이 도움이 되셨나봐요~
      계속 좋은 영상 올릴테니 자주 들러주세요~!

  • @parkzzang29
    @parkzzang29 Год назад +2

    원하던 정보네요. 자세히 설명 잘해주셔서 잘 따라했고, 완벽하게 모방 했습니다. 좋아요, 구독 박고 갑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이야!! 잘 되셨군요! 다행입니다!!

  • @lordkkh
    @lordkkh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그래도 원하는 기능이었는데 싹 밀어버리고 새로 설치를 잘 했습니다.
    범용성이 엄청 좋아졌네요. ^^

  • @qjam3104
    @qjam310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제 보고 세팅 끝냈습니다 너무 감사히 봤습니다! 로갈리로 넘어가셨나본데 이후 세팅은 더이상 없는게 아쉽네요😢 감사한 마음으로 광고 10번 재생하겠습니다 ㅋㅋ

    • @pangtv
      @pang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저 계속 스팀덱 쓰고 있습니다.
      엘라이도 쓰고 있긴 한데 준비하려던 컨텐츠가 엎어져서 엘라이 먼저 준비하느라 스팀덱도 조금 뜸해지고 말았네요...
      앞으로도 계속 올릴 예정이니 걱정 마세요! ^^

  • @user-ox4lf3cq9x
    @user-ox4lf3cq9x Год назад +3

    하이브리드 파티션이라 어마어마한걸 알려주셨네요!!! 그간 파티션 같이 사용 불가하다고만 알려져있어 따로잡아 남는 용량들 아까비 ㅠ 생각들었는데 이런방법이 있다니요 대단하십니다ㅎㅎ커뮤니티나 deck wizard 로 듀얼부트 쓰고있었는데 통으로 다 밀고 작업을 해야할것 같은데 언제 해야할지 겁부터나는건 deck wizard 듀얼부트 설정 푸는거부터 공부해야겠어요ㅜ 윈도우 짜투리 드라이버 삭제할시 아무문젠 없나보네요 겁나서 제거 못한거라 ㅋㅋ 영상 만드신다 수고많으셨습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듀얼부트 프로그램을 따로 쓰고 계신다면 깨끗하게 삭제하는 것이 어렵기에 추천을 드리긴 어렵겠어요.
      곧 공식으로 듀얼부트를 지원한다고 할 때엔 이 부분이 문제가 될 수 있기에 저도 듀얼부트를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은 상태거든요.
      그리고 조금 아쉬운 건 이 방법도 OS 업데이트 때엔 fstab 설정을 다시 잡아줘야 한다는 점인데요.
      방법 자체가 그리 어렵진 않으니 그대로 잡아주기만 하면 끝이지만.... 이 점도 안타깝네요.

  • @qjam3104
    @qjam3104 Год назад +2

    아니 왜 알고리즘이.. 좋은 영상 많이 올라왔네요 잘 보겠습니다 고생하셨어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아닛?! 알고리즘에 무슨 문제라도?!?!?!
      하하! 감사합니다!

  • @nautymac
    @nautyma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 @pangtv
      @pang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넵! 감사합니다!!

  • @user-kr9gc4sn1q
    @user-kr9gc4sn1q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위대합니다 선생
    선생님이 없었으면 시도도 못 했을 것입니다

  • @c.h3810
    @c.h3810 Год назад +1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시청 후 저도 바꾸고 싶어서 ssd 구매했습니다.
    날 잡고 한번 셋팅 해봐야겠네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잘 하실 수 있을 겁니다!
      확실히 큰 용량으로 바꾼 다음부터는 게임 설치가 더 편해진 것 같습니다.
      속도도 MicroSD보다 빠르고요.

  • @user-di7bq2ef6c
    @user-di7bq2ef6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유익했어요😭😭😭 덕분에 잘 적용해서 잘쓰고있어요. 고맙습니다.

    • @pangtv
      @pangt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아... 감사합니다!

  • @ggmnb
    @ggmnb Год назад +2

    조만간 휴일에 따라해봐야겠네...
    유용한 정보 늘 감사합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오늘이 그 휴일이네요!
      잘 되길 빌겠습니다!!

    • @ggmnb
      @ggmnb Год назад +1

      ​@@pangtv 저번 주에 시도해봤다가 하이브리드ssd가 마운트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한참 고생하다 미뤄두고, 오늘 다시 꺼내서 2시간 가량 붙잡고 간신히 마운트에 성공하여
      윈도우 cmd에 명령어 입력 후 절전 끄는 작업까지 완료했습니다.
      오래 걸리긴 했지만 만족스럽네요
      늘 좋은 가이드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ggmnb 잘 되었다고 하니 정말 다행이네요!
      다음에도 좋은 영상으로 찾아오겠습니다~ ^^

  • @sanghunjeong7312
    @sanghunjeong7312 Год назад +1

    영상 퀄 미쳤네요 ㅋㅋ 감사합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하하!! 감사합니다~

  • @epdy100
    @epdy10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덕분에 세팅 잘했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 이제 윈도우를 사용안하겠다는 가정하에 스팀 os 설정에서 공장초기화버튼을 통하면 파티션이라던가 여러 설정을 다시 할 필요없이 그냥 다 원상복구 되는걸까요?

  • @jonghyunju9896
    @jonghyunju9896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팡님
    하이브리드 듀얼OS설정 정말 감사하게 잘 봤습니다.
    너무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런 영상 만드시는데 시간도 많이 드셨을건데 정말 디테일하게 잘 알려주셔서 어려움없이 설정가능했습니다.^^
    윈도우설치는 덕분에 어렵지 않게 되었습니다만.
    혹시 윈도우에서 스팀덱의 자이로등의 기능은 쓸수 없을까요.
    윈도우가 아무래도 편해서 UMPC로 설정을 해서 애뮬도 돌려보고 싶었습니다만 이부분은 쉽지가 않네요 ^^;
    아무튼 항상 감사하게 잘보고 있습니다.
    건강 잘 챙기시고 화이팅입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잘 된다니 다행이네요~!
      스팀덱의 자이로 기능을 제가 거의 안쓰다보니 윈도우에서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스팀OS에서만 된다고 했던 것 같은데, 저도 윈도우에서의 스팀덱 사용은 초보나 다름 없습니다. 하하!
      아직은 윈도우가 완벽하게 지원되는 것은 아닙니다. 설치되지 않은 드라이버도 남아있고요.
      그런 의미에서 앞으로도 계속 해외 채널들이나 레딧 등 커뮤니티도 참고하면서 좋은 정보 있을 때마다 잘 다듬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jonghyunju9896
      @jonghyunju9896 Год назад +1

      @@pangtv 그렇군요 ㅎ 밑에 다른분들 친절하게 답주신 부분에서 아직 스팀덱에 윈도우OS는 스팀OS에 비해서 떨어질수밖에 없는거 같네요 ㅎㅎ
      너무 좋은 영상에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ㅎ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아직은 완벽 지원이라고 보기 어렵거니와 윈도우 자체가 휴대용 기기에 적합한 OS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그래서 윈도우를 위한 팁을 전하기보단 스팀OS를 위한 팁을 위주로 소개를 드렸던 것이고요.
      이번 영상도 주 요점은 윈도우를 위해서라기보단 두 운영체제를 쓰게 될 때 양 쪽에서 편리하게 쓸 수 있는 하이브리드 파티션 설정이기에 다루었던 것이기도 합니다.
      자주 놀러오세요! 감사합니다! ^^

  • @user-sk3uv8sq7f
    @user-sk3uv8sq7f Год назад +1

    영상 잘 봤습니다. 주말에 세팅할 생각에 너무 기쁩니다.
    하우징도 너무 이쁘네요 하우징 정보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하우징이라 하심은.... JSAUX 백 플레이트를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저는 직구로 구매했지만 현재는 국내에도 런칭해 JSAUX 백플레이트 하우징 세트 라는 이름으로 판매 중인 제품입니다.

  • @kbgyhy
    @kbgyhy Год назад +1

    기다리고 기다리던 자료네요. 고생하셨습니다. 스팀 OS와 Windows 를 왔다갔다 하려면 듀얼부팅이 아닌 이상 리커버리로 접속을 해야 하는게 맞나요? 영상에서는 각 운영체제로 전환하는 방법은 안보여서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영상에 나와있긴 한데 꺼진 상태에서 -버튼과 전원버튼을 동시에 누르고 비프음이 들릴 때 떼면 부트 매니저가 뜨고요.
      여기서 가동할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아무 설정 없이 켜기만 하면 자동으로 윈도우가 부팅됩니다.

    • @kbgyhy
      @kbgyhy Год назад +1

      네. 감사합니다.

  • @DaehaKim
    @DaehaKi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십니까 영상을 보면서 잘 따라 했는데요
    질문이 있는데 파티션을 잘 분리 해서
    기존에 sdcard에서 사용하던 폴더 그대로
    nvme ssd 하이브리드 위치에 이동해서
    스팀 앱에서 잘 돌아가는 것을 확인 했는데요
    스팀앱에서도 잘 설치 되고 용량도 확인 잘됩니다.
    설정 > 저장공간 에 서도 올바르인식이 잘 되어 있습니다.
    그 이외의 proton 으로 돌아가는
    gog ubisoft 앱에서
    설치시 파티션이 7777mb 또는 7788bm로 고정이 되어서
    설치가 안되는 부분이 발생합니다. 이부분이 해결될 방법이 있을까요>

  • @user-hb7pw5xu6u
    @user-hb7pw5xu6u Год назад +2

    질문있습니다. 파티션을 나누고난뒤 sd카드를 넣으면 어떻게 되나요?
    말그대로 저장장치로 사용할수 있는거내요?
    그리고 sd카드는 공유파일이 아니여서 그냥 스팀os용량늘리거나 윈도우 용량 늘리는걸로 쓸수 있겠네요. 파티션공유로는 추가할수 없는거군요 ㅠ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일단 파티션 작업 이후…
      스팀OS에서 처음 메모리카드를 삽입하면 리눅스에서 쓸 수 있는 EXT4란 파일 시스템으로 변경됩니다.
      반대로 윈도우(외장 메모리 드라이버 설치 이후)에서 처음 메모리카드를 삽입하면 용량에 따라 FAT32나 exFAT가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을 하게 될 겁니다.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는 한 먼저 삽입한 쪽의 OS에서 인식될 겁니다.

  • @game_taegi
    @game_taegi Год назад +2

    구독자입니다 항상잘보고있어요!
    1테라바이트 업그레이드 상태인데 기존에 스팀 o. S설치하고 게임몇개깔았는데
    공장초기화 안하고 데스크탑모드로 들어가서 파티션나눈다음 윈도우설치하면되나여?!ㅎㅎ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하하! 감사합니다!
      이미 설치한 뒤라고 해도 파티션 리사이즈를 통해 공간을 만들어주면 가능합니다!

  • @leafgreen1194
    @leafgreen1194 Год назад +2

    팡님 질문하나만 더 드려도 될까요??
    1. 디아블로4 설치따라하기 영상 보다가
    하이브리드 SSD에 디아4설치해서 하려면 윈도우모드에서 하이브리드에 디아4설치하고 스팀에 비스팀제품 등록한다음에 스팀os로 다시 재부팅해서 실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해 했는데…처음에 윈도우에서 디아를 설치할때까지는 하이브리드 파티션도 잘 잡히다가 스팀os로 재부티와면 계속 마운트가 해제됩니다. 데스크탑모드들어가서 계솟 마운트를 해줘야하는 건가요?? 아니면 os를 바꿔서 재부팅해도 계속 하이브리드 파티션은 자동으로 마운트되는게 정상인가요??
    2. 윈도우os로는 디아4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스팀os로 재부팅했는데 데스크탑모드로 하이브리드파티션을 마운트하면 데스크탑모드에서의 스팀에서는 D드라이브 디아블로런쳐 파일이 찾아지긴해서 비스팀등록이랑 실행은 되는데 갑자기 무슨 추가설치같이 설치경로를 정하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그래서 추가설치가 있는줄 알고 윈도우모드로 재부팅해보면 추가설치가 없는데 재부팅해서 스팀os로 다시 켜보면 또 하이브리드 마운트가 다 해제되어있고 데스크탑모드로 들어가서 다시 마운트하면 또 설치경로를 정하라하는데 d드라이브가 보이질 않습니다…윈도우통해서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디아4를 설치하고 스팀os에서 또 해야할게있나요?? 프로톤은 8-3으로 했습니다.
    3. 마지막으로 하이브리드 파티션이 마운트 해제되어서 데스크탑모드로 다시 마운트해도 게이밍모드에서는 게임설치시에 하이브리드 파티션이 활성화가 안되는데 이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ㅠㅠ 지금 이틀 밤새면서 디아4좀 스팀os로 해보려고 씨름중인데 도저히 답이 안나와서 문의드립니다 ㅠ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2

      1. 방법은 맞습니다.
      다만, 윈도우에서 절전모드로 돌입하게 되면 하이버네이트 파일이 생성되기에 이를 방지하는 작업이 제대로 완료되어야 합니다.
      저도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지만 어느 순간 방지 작업이 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추측하기론 윈도우 업데이트나 설정이 변경되는 무언가가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그 상태에서 스팀OS로 접속하면 스팀OS의 마운트가 풀리고, 이 역시 재작업을 해도 자동으로 마운트가 안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하이브리드 작업 이후엔 되도록 윈도우는 간단한 작업만 하고 스팀OS 위주로 작업하는 게 낫습니다.
      2. 스팀OS의 비스팀모드는 게임 하나 당 프로톤 환경(가상의 윈도우 환경)을 세팅하게 되는데요.
      디아블로4의 실행파일을 설정하더라도 디아블로 실행파일에 배정된 프로톤 환경에 배틀넷 런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설치를 진행하는 겁니다.
      이 때, 배틀넷은 그냥 프로톤 환경 내부인 C드라이브에 그대로 설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 혹 데스크톱 모드에서 마운트 후 게이밍 모드로 이동했는데 보이지 않는다면 데스크톱 모드에서 마운트 후 스팀을 통해 아무 게임이나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설치를 진행하고 게이밍 모드로 접속하면 보일 거에요.

    • @leafgreen1194
      @leafgreen1194 Год назад +1

      @@pangtv 해결한 것 같습니다!!!
      마운트 문제 가장 큰 문제가 지금보니 제가 윈도우모드로하다가 스팀os로 켜려고 하던 과정에서 강제종료하고 재부팅했었는데 그때 윈11이 절전모드가 되면서 하이브리드 파티션이 읽기전용?으로 전환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절전모드 안되도록 cmd에 입력해서 설정하고 스팀os로 오니 데스크탑모드에서 이상없이 잘 됩니다!
      그리고 스팀os 디아블로 추가설치부분은 191메가 정도 파일을 받아야한다는데 처음에 아무리 찾아봐도 c드라이브만 있어서 하이브리드 파티션을 마운트해도 식별이 안된다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고
      설치경로를 정할때 z드라이브 안에 user/media/하이브리드파티션이 있더라구요 거기안에 디아블로 폴더로 설정해주니 잘 설치되고 지금 스팀os로도 실행이 됩니다 ㅠㅠㅠ 바쁘실텐데 어제도 답글달아주시고 오늘도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나 추후에도 막히거나 궁금한 점 있으면 팡님 영상보면서 공부좀 하겠습니다 ㅎㅎ
      팡님 영상을 기초로 해서 막히는 부분들을 팡님 다른영상이나 구글링하면서 드디어 세팅 제대로 다 마치고 디아도 실행했습니다 ㅠㅠ 복받으세요 감사합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잘 된다니 다행이네요!
      사실 저는 윈도우를 거의 사용 안하다보니 스팀OS만 쓰고 있었거든요.
      많이 사용을 안하다보니 스팀덱의 윈도우 사용이 불편해서… 하하!!
      감사합니다. ^^

  • @81manaman
    @81manaman Год назад +2

    팡님 구독해서 잘보공 있습니다. 질문 좀 드릴게영~
    1. 꼬인거 같아서 듀얼부팅햇던거 싹밀고 팡님꺼 보고 다시 하려는데
    스팀덱 겔러리에서 듀얼부트 프로그램 rEFInd 했었는데요. 해도 될까요? 아님 그냥 리커버리 모드로 할까요?
    2. 제가 OS를 재설치 한게 히로익 쓰다가 누트리스 쓰다가 꼬인거 같아 나중엔 실행이 안되거나 에러뜨더라구요.. 원래 하나만 써야 하는건지 두개써도 되는건지요?
    3. 제가 게임이 다 흩어져있어서,,,에픽(게임 다수).gog(위쳐 1,2,3 등). 락스타(레데리2,GTA 등)., 유비(어써신시리즈 등 ) 런처를 다깔아야 하거든요...
    다 돌리려면 어떻게 하는게 추천이실까요?? 머리아프네요 ㅜㅜ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답변을 드리자면...
      1. 듀얼부트 프로그램은 나중에 메이저 업데이트 시 "dual-boot wizard"가 나올 가능성이 있어서 영상에 따로 소개하지 않았습니다.
      일단 급할 건 없다보니 듀얼부트용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하지 않고 쓰셔도 될 것 같습니다.
      2. 루트리스나 히로익런처나 둘 다 각자 개별로 돌아갑니다.
      윈도우는 하나의 거대한 환경 안에서 서로 복작복작 하며 쓰다보니 특정 프로그램 때문에 다른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리눅스, 그것도 Platpak 환경으로 설치한 프로그램은 외부에 영향을 주지 않은 샌드박스형으로 구동되므로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3. 해당 런처를 모두 설치하실 거면 사실 루트리스가 제일 좋은 선택지이긴 한데요.
      특히 유비소프트 커넥트가 잘 연동이 안되는 편이라, 써보시고 잘 안되는 것들만 골라서 비스팀모드로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네요.
      물론 모두 비스팀을 통해 설치 및 플레이가 가능하므로 편의에 따라 익숙한 방법을 쓰시는 것을 가장 추천드립니다!

    • @81manaman
      @81manaman Год назад +1

      친절하고 소중한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항상 큰힘이 되고있씁니다!!

  • @Woodyskwj
    @Woodyskwj Год назад +3

    현재 스팀덱 세팅도 거진 다 끝내고, 유저한글패치 적용한 게임도 있어서
    아이고 귀찮아~
    근데, 자기 전에 이 영상 보고,
    "조만간 날 잡고 따라해봐야겠다. 이거 대박인데" 라고 생각함ㅎㅎ
    //
    아 그리고 현재 sd카드에 있는 윈도우 포맷해야할텐데, 그 드라이브도 하이브리드 sd카드로도 쓸 수 있을까요? 저 길다란 명령어 비슷하게 사용하면 되려나요? UUID=블라블라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영상에서 보여드린 KDE 파티션 매니저를 통해 UUID 보는 방법 보셨지요?
      거기 나온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저 UUID는 제 코드이니 그대로 쓰시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그리고 SD카드도 하이브리드로 쓸 수 있지만 추천드리진 않습니다.
      저 방법의 맹점이 하나가 있는데...
      스팀 게임 중에 리눅스 버전을 지원하는 게임은 스팀OS에선 리눅스 버전으로 설치하고, 윈도우에선 윈도우 버전으로 설치하거든요.
      둘 다 지원하는 경우 각 OS로 갈 때마다 재설치를 하기 때문에 차라리 메모리카드는 스팀OS용으로 쓰고 리눅스 버전을 지원하는 게임은 메모리카드에 설치해서 쓰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zeroneclone
    @zeroneclone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하이브리드를 해보려고 천천히 따라해봤습니다! 다만 문제점이 윈도우에서는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게임이 스팀OS로 들어왔을땐 실행이 안되서 데스크탑모드로 들어갔더니 마운트가 안되있어서 마운트를 진행하고 다시 게임 실행을 하였는데 실행이 되는것도 안되는것도 있어서요 ㅠㅠ 실행이 안되는건 철권7 뱀서 였고 실행이 되는건 어몽어스였습니다. 뭐가 잘못된걸까요?ㅠㅠ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잘 안된다니 저도 속상하네요.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하이브리드 파티션의 마운트가 풀렸다는 건 어딘가의 설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영상 중 STEP 5 부터 천천히 살펴보면서 다시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이후 양쪽 OS를 오가더라도 하이브리드 파티션이 풀리지 않고 잘 된다면, OK입니다.
      2. 스팀OS에서 하이브리드 파티션이 풀려서 이를 다시 마운트 한 뒤 플레이를 시켜보았다면 스팀OS 내의 프로톤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플레이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존에 설치된 게임들은 먼저 삭제를 진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게임은 스팀OS의 데스크탑 모드에서 먼저 설치하는 게 좋습니다.
      기본 경로가 드라이브 최상단의 Steamapps 폴더로 설정될 텐데요.
      이렇게 하면 게이밍 모드에서 문제 없이 게임이 확인될 거고요.
      이후에 윈도우에서도 스팀 게임을 설치할 때 경로 지정을 D:\Steamapps 폴더를 지정해서 설치하면 모두 같은 경로로 설치되기 때문에 앞으로는 OS를 오가더라도 문제 없이 플레이가 가능할 겁니다.

  • @GHN-fk7wr
    @GHN-fk7wr Год назад +1

    잘보겠슴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감솨함돠!!

  • @rise_yobi
    @rise_yobi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영상보고 따라했더니 설정이 잘 되었습니다.
    혹시 설치 마무리 이후에 각 파티션 용량을 바꿀 수 있을까요?
    윈도우는 그렇다쳐도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스팀os는 용량이 크게 필요할것 같지 않아보여서 하이브리드 쪽에 용량을 좀 더 할애하는게 어떨까 해서 여쭤봅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잘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마무리 이후에도 파티션 용량은 바꿀 수 있습니다.
      스팀OS의 경우 셰이더 캐시나 compatdata가 차지하는 부분이 있다보니 용량을 마냥 줄이는 건 추천드리지 않고요.
      개인적으로는 250GB 정도면 좋을 것 같아요.
      물론 사용하시면서 이후에도 조정 가능하니 참고만 하셔요. ^^

    • @rise_yobi
      @rise_yobi Год назад

      @@pangtv 그렇군요ㅠ 친절하고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채널 떡상 기원!

  • @MJSeo13
    @MJSeo1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가이드영상 감사합니다. 한가지 여쭤볼 게 있는데요,
    reFINd GUI를 사용해서 듀얼부팅, 하이브리드 파티션 둘 다 쓸 수 있게 세팅해놨는데
    되긴 되는데, 스팀OS로 부팅하면 꼭 데스크탑 모드에서 드라이브를 활성화(?) 시켜줘야 스팀OS 상에서 드라이브가 인식하더라구요. 혹시 해결법을 아시나 싶어 댓글 남겨 봅니다.

    • @pangtv
      @pang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리파인드랑 상관 없이 윈도우로 접속해 본 영상의 스텝7을 다시 진행해보세요.
      꼭 C드라이브나 D드라이브에 hiberfil.sys 파일이 이ㅛ다면 꼭 삭제해주시고요.
      그럼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잘 될 거에요.

    • @MJSeo13
      @MJSeo1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pangtv 감사합니다!

  • @Dachshund-Village
    @Dachshund-Village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영상 잘보았습니다. 1테라 기준 파티션 용량은 어느정도 씩 잡아주는게 좋은가요?

    • @pangtv
      @pangtv  4 месяца назад

      주사용 OS를 위주로 잡아주면 되겠습니다.
      메인이 아닌 쪽의 운영체제라 하더라도 최소한 256gb는 잡아주는 것이 나중을 위해서도 좋다고 봅니다.

  • @Yun_Adventurer
    @Yun_Adventurer Год назад +1

    와 새롭다 !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하하! 감사합니다~

  • @donnykim2969
    @donnykim296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가 순서대로 다하고 마지막 제일 중요한 스텝7일 빼먹고 스팀os를 열어서 마운트해제가 되어버렸는데요.. 스팀os만 다시 깔수도 있나요? 아니면 처음부터 다시해야할까요 ㅠㅠ?

  • @user-jl2kr9be9q
    @user-jl2kr9be9q 20 дней назад

    기존 듀얼부팅 사용중인대
    새로설치해야 가능한가요? 기존상태에선 불가한가요?
    OS설치...귀찮...

  • @user-od5um5pd6m
    @user-od5um5pd6m Год назад +2

    최근에 루트리스로 로아가 막힌거같아 팡이님영상보구 하이브리드 셋팅하려합니다
    그렇게하면 스팀os에서 윈도우로 설치한 로아를 비스팀등록하여 게임할 수 있을까용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그 부분을 포함해 알아보고 있는 중이지만 아직 잘 되는 버전을 찾지 못했네요.

  • @KarasGGulBul
    @KarasGGulBu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팡님 구팀덱에서 올레덱으로 ssd 넘겨주기 영상은 어려울까요??
    기존 쓰던 스팀덱 ssd를 oled덱에 이동하면 된다는데
    영상들이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 ㅜㅜ

    • @pangtv
      @pangt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한번 해보고 말씀드릴게요. ^^

  • @evankim2927
    @evankim2927 Год назад +3

    매번 큰 도움받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듀얼부팅과 대비해서 이 하이브리드라는 방식의 장점이 뭔가요? 두 OS가 공유할수있는 드라이브가 생긴다는 점을 어떻게 활용할수있는건지 잘 와닿지가 않아서요..
    윈도우에서만 실행할수있는 부류의 게임을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넣으면 스팀OS에서도 실행할수있다거나 그런 장점이 있나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4

      본 영상은 하이브리드 파티션을 세팅하는 방법에 치중해서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네요.
      단순 듀얼 부팅은 크게 보면 파티션을 둘로 나누어 하나는 스팀OS, 하나는 윈도우를 쓰는 거죠.
      스팀OS는 스팀OS대로, 윈도우는 윈도우대로 별개의 환경으로 이용하게 됩니다.
      A라는 게임을 두 환경에서 모두 이용하려면 스팀OS와 윈도우에 각각 설치해야 한다는 점이 아무래도 아쉬운 부분이죠.
      하이브리드는 세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지는데요.
      스팀OS와 윈도우가 설치되는 파티션은 공간이 작고 하이브리드라는 양쪽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파티션은 큰 공간으로 배정됩니다.
      윈도우에서 스팀 프로그램으로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게임을 설치하고 난 뒤엔 스팀OS에서도 그대로 이어서 플레이가 가능해지며 반대로도 가능하죠.
      A라는 게임을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한 번만 설치하면 스팀OS에서도 윈도우에서도 플레이가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이 점을 이용하면 (스팀OS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한글패치나 모드 설치 난이도가 매우 쉬워집니다.
      그리고 비스팀 게임 역시도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하이브리드 세팅은 윈도우가 더 편한 사람들을 위해 조금이라도 더 쉽게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방식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 @evankim2927
      @evankim2927 Год назад +1

      @@pangtv 윈도우로 쉽게 세팅한뒤에 스팀os에서 플레이할수도 있는거군요 호오.. 감사합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evankim2927 그 설명이 빠진 건 조금 아쉽지만 이미 올린 다음이라... 하하;;;

    • @kcg3029
      @kcg3029 4 дня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들어와봅니다.. 너무 늦은감이 있는것 같은데 혹시 댓글 읽게 되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제가 동영상을 보고 정확히 따라했다고 생각했는데... 스팀OS에서 하이브리드 드라이버가 안잡혀서요 ㅠㅠ 데스크탑모드까지는 폴더가 정상으로 잡혀있습니다. 어느 부분을 확인해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user-cx2mz7fx7z
    @user-cx2mz7fx7z Год назад +1

    팡이님 질문이 있습니다~!
    저도 팡이님과 같이 하이브리드 파티션을만들어
    스팀덱 os/ 윈도우 os/ 저장공간 만드셔서 따라하고
    이전 에 올리신 루트리스로 다른런처 실행하는 영상을보고 따라해 루트리스로 에픽런처를 다운받았습니다, 에픽에서 게임을 설치할때 경로를 어디로해야 하이브리드 파티션으로 보낼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루트리스에서 에픽 런처를 처음 설치하기 위해 실행하면 경로를 설정할텐데, 그 때 해주시거나 또는 에픽 런처 설치 프로그램이 설치될 때 경로 설정 시 하이브리드로 경로를 변경해주면 됩니다.
      하이브리드 경로는 가상 윈도우 드라이브로 적용할 때엔
      Z:/run/media/deck/HybridSSD/ 이후로 설정하면 됩니다!

    • @m.1.n.0-pf8ee
      @m.1.n.0-pf8ee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팡님:) 알려쥬신대로 잘 구동되고 있습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잘됐네요!! ^^

  • @user-vu8wi5pb9w
    @user-vu8wi5pb9w Год назад +1

    드디어 올려주셨군요. 지난 번 댓글 남겼던 것처럼 기존 스팀OS와 윈11을 이미 설치한 유저들도 새로 지우지 않고 가능할까 하는 관점으로 영상을 쭉 봤습니다. 충분히 가능해 보이지만 스팀과 윈도우에서 실행하는 게임이 완벽하게 나뉘는 경우(예를 들어 윈11에서는 겜패스만 돌린다거나)에는 하이브리드를 굳이 새롭게 시도할 필요까지는 없어 보이는군요. 특히, 이미 한글패치 등의 셋팅까지 끝낸 사용자라면....
    만약, 기존 기 설치 유저가 하이브리드를 시도한다면 예상컨데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하면 될 듯 합니다.
    1. 스팀OS와 윈11에 기존 설치된 게임들 삭제.
    2. 복구 스팀OS로 진입.
    3. KDE 파티션 매니저를 통해 스팀OS와 윈11의 드라이브 용량 줄이기.
    4. 이렇게 생긴 잔여 공간을 하나의 NTFS 파티션으로 병합 생성.
    5. 나머지 과정은 영상의 후반부와 동일하게 진행.
    6. 셋팅이 완료되면 게임 설치.
    위에 언급한대로 스팀게임은 스팀OS에서만 즐기고 윈11에서는 게임패스 게임만 즐기는 경우에는 이미 윈도우즈에 할당된 드라이브 용량이 그리 크지 않을 것이므로 하이브리드 셋팅의 이점으로 인한 용량 확보가 재설치나 재조정의 번거로움 대비 크지 않을 수 있어 보입니다. 물론, 단 몇십기가라도 소중한 상황이라면 당연히 매우 효율적인 셋팅법이며 지금 새롭게 설치하는 이용자라면 하이브리드 셋팅을 추천할만하다 생각합니다.
    항상 디테일하고 좋은 영상, 그리고 좋은 목소리 감사하며 보고 있습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세상에 이런 장문의 글을!!
      감사합니다. ^^
      기존에 이미 세팅하신 분들은 꼭 이 하이브리드 설정을 힐 필요는 없지만 모드나 한글패치 등에 이점이 있으니 고민해보고 결정하시면 될 거 같아요.

    • @user-vu8wi5pb9w
      @user-vu8wi5pb9w Год назад

      @@pangtv 팡님께서 올려 주시는 영상의 퀄리티에 비하면야 ㅎㅎ 어서 1만 구독자 가시죠!

    • @user-vu8wi5pb9w
      @user-vu8wi5pb9w Год назад +1

      @@pangtv 팡님! 궁금증을 못 참고 살짝 테스트해 봤는데 의외의 복병에서 막히네요 ㅎㅎ
      먼저, 기존 게임들 삭제 했다가 이도저도 안 되는 경우가 나올 듯 싶어서 KDE를 통해 윈11과 스팀OS에서 각각 100기가씩만 사이즈를 줄여서 빈공간으로 만들었는데 어이없게도 이렇게 만들어진 빈공간이 서로 합쳐지지 않습니다. -0-;; 리사이즈를 하면 인식이 안되서 결국 각각의 100기가 짜리 드라이브로 만들어야 하더라구요. 아마 게임들 지우고 잔여 공간 더 확보해도 동일하게 각각의 용량들만 드라이브 생성이 가능할 듯 싶습니다. 물론, 마운트를 여러개 해서 드라이브를 복수로 두는 방법도 있으나 이건 좀 삐꾸?같은 방법이니 ㅎㅎ;;
      이 문제 관련해서 혹시 아시는 바나 해결점 알고 계신 것 있으실까요? 이 문제만 해결하면 나머진 정말 일사천리... 오히려 기존 유저들이 더 쉽게 하이브리드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아! 글을 쓰다 보니 문뜩 떠오른 것인데 클로버 멀티 부팅 셋팅이 영향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언젠가에도 윈11 드라이브 용량을 줄이고 스팀OS를 늘리려 했으니 잘 되던 용량 확보가 안되었던 경험이 있는데 잘 되던 때와 안 된 이후를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클로버 설치 시점 이후인 듯 싶네요. 이게 무슨 연관이 있을까요? 실제 빈공간을 만들고 보면 양쪽에서 비운 공간이 합쳐서 표시되지 않고 따로 표시되는데 KDE 파티션 리스트 상에서 보면 분류 맨 앞에 물리적 드라이브 할당 표시가 별도로 되어 있긴 하거든요. 어쩌구저쩌구10, 어쩌구저쩌구11 이런 식으로요.(어쩌구저쩌구 부분은 정확한 문자가 안 떠올라서 ㅎㅎ)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파티션의 조정 같은 경우 주로 초기 세팅할 때나 사용하다보니 저도 이와 비슷한 사례가 너무 예전에 있었던지라 정확하지 않지만 예전 기억을 더듬어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파티션8에 home, 파티션9에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양 쪽에서 공간을 줄여 하이브리드로 만들려고 하셨으리라 예상됩니다.
      파티션8에서 After space에 공간을 빼고,
      파티션9에서 After space에 공간을 빼면…
      … / 파티션8 / 빈 공간 / 파티션9 / 빈공간
      위와 같이 나뉘는데요.
      이 때엔 빈 공간끼리 합쳐지지 않습니다.
      파티션9와 앞의 빈 공간을 합치고, 다시 리사이즈를 통해 After space로 공간을 빼야 비로소 파티션9 이후로 모든 빈 공간이 합쳐지는 것이죠.
      파티션이 마치 선형 구조를 띄고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이 분야에 있어서 전문가는 아니기에 추측하기론 이러한 파티션이란 개념이 생겼던 때가 과거 물리적인 디스크에 기록하던 시기에 생겨난 점과 파티션 생성 순서에 따라 번호가 배정되는 방식 등, 여러 이유로 이렇게 되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 @user-vu8wi5pb9w
      @user-vu8wi5pb9w Год назад +1

      @@pangtv 자세한 말씀 감사합니다. 문제는 예시처럼 첫번째 파티션에서 확보된 빈공간은 두번째 파티션 리사이즈 시 아예 인식이 안됩니다. 즉, 어떤 경우에도 앞파티션에서 확보한 빈공간을 뒷파티션과 합쳐 줄 방법이 없는 상황인거죠. 정확한 원인을 모르니 해결 방법도 떠오르질 않네요 ㅎㅎ 이게 재밌는게 정확한 시점은 기억나질 않지만 과거엔 가능해서 파티션 크기 조정을 했었거든요. 그래서 언제부터 안된거지?라고 생각해 보니 대략적으로 클로버 멀티부팅을 의심하게 된 것이구요. 아... 이것만 해결되면 바로 하이브리드인데 ㅎㅎ

  • @user-vf2wu4pl6l
    @user-vf2wu4pl6l Год назад +2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질문하나 남겨도될까요 ?파티션을 나눠서 윈도우 듀얼 부팅응 설치했다가 생각 보다 마음에 안들어 윈도우파티션을 제거하고싶은데요 os 재설치 하듯이 똑같이 진행하고 ’konsole‘에서 파티션 재분바하면될까요?(스팀os초기화되도상관없습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윈도우만 제거하고 싶다면 꼭 다시 설치할 필요는 없고 KDE 파티션 매니저에서 윈도우 설치한 파티션만 제거 후 리사이즈를 통해 home 파티션에 합쳐주면 됩니다.

    • @user-vf2wu4pl6l
      @user-vf2wu4pl6l Год назад +1

      @@pangtv 답변감사합니다! 이것저것 해보다가 뭔가 잘못된것같아서 싹다시 밀었네욬ㅋㅋ 스팀덱덕에 오랜만에 컴퓨터 처음 접할때 배워가던 재미와 신기함 불안감(?) 느껴보내욬ㅋ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user-vf2wu4pl6l 하하! 파이팅입니다~!

  • @Alchemist-salt
    @Alchemist-sal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힐링영상이구만

  • @damonlee5716
    @damonlee571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영상대로 os 설치 이후 파티션 나누고 세팅까지 전부하여 하이브리드ssd 설정했습니다!
    그나저나 궁금한것이 있는데요 혹시 윈도우에서 설치한 모던워페어2 같은경우 윈도우 상에서 구동하면 잘되는데 스팀os로 넘어와서 구동하면 실행중 뜨다가 다시 꺼지더라구요. 아마 스팀os는 윈도우와 공유하는것이 아닌 리눅스와 여전히 공유 하는것 같더라구요.
    그리고 에픽게임즈 같은 비스팀게임을 윈도우 상에서 추가해도 스팀os 상에 안뜨던데 혹시 해결법 아시는분 계시나요?..

    • @pangtv
      @pang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윈도우에서 추가한 것과 달리 스팀OS에선 별도로 비스팀 등록을 해야만 가능합니다.
      그리고 일부 게임은 윈도우에선 문제 없으나 스팀OS에선 구동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안티치트가 적용된 게임이 그렇습니다. 이 경우는 아직 미지원인 경우엔 윈도우에서만 플레이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MR.kim_sang_cheol
    @MR.kim_sang_cheol Год назад +1

    그냥 무지성으로 보면서 따라하기 너무 좋아서 팡님보고 쉬지말고 올려달라고 했는데 ㅋㅋㅋ 이건 좀 어렵네요 ㅋㅋㅋㅋㅋㅋ 마음의 준비를 좀 해야겠어요 ㅋㅋ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할일이 많아서 그렇지 그대로만 하면 그대로 누리실 수 있습니다!

  • @Gundalf_Game
    @Gundalf_Game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스팀덱 구원자 팡티비님ㅋㅁㅋ!
    드디어 윈도우 컴퓨터를 구해서 본 작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스팀덱 설정에 있는 공장초기화를 해놓은 상태라면,
    영상의 '[Step 2] 스팀OS 재설치(Reimage Steam Deck)' 는 스킵하고,
    바로 '[Step 3] KDE 파티션 매니저로 하이브리드 파티션 만들기' 과정부터 진행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되도록 reimage가 좋습니다.
      이유는 리이미지는 아예 파티션부터 전부 새로 생성하는 작업을 거치므로 완벽하게 리셋된 상태에서 쓸 수 있지만, 시스템 내의 공장초기화는 주요 시스템 폴더를 wipe 하는 방식이라 잔여 파일이 남는 경우가 있고, 이 파일들로 인해 오류 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되도록 리이미지를 권장합니다. ^^

    • @Gundalf_Game
      @Gundalf_Game Год назад +1

      @@pangtv 답변 감사해요 팡티비님~! 왠지 리이미지 해야할 것 같아서 아예 처음부터 다 따라했는데 다행이네요ㅋㅁㅋ!
      그런데 잘 따라오다가 14:47 에서 막혔습니다.. 스팀OS-저장공간에서 내장드라이브 248GB 짜리만 보이고 /run/media/deck/HybridSSD 는 보이질 않네요. 흐엉엉.. 싹 밀린 상태라 다시 받은 게임이 없어서 그런가 싶기도 한데 일단은 무시하고 계속 진행해보겠습니다!

    • @Gundalf_Game
      @Gundalf_Game Год назад +1

      @@pangtv 후.. 팡님! 덕분에 윈도우 설치까지 잘 마쳤는데요. 앞서 질문드린 스팀OS 내에서의 HybridSSD 저장공간만 안뜨는 상황입니다 흑흑.. 늘 많은 분들께 친절히 설명해주시느라 바쁘실거 잘 알지만 염치불구하고 이렇게 다시 한번 질문드려요ㅠㅠㅋ..
      지금이라도 해결할 방법이 있을까여,, 만약 없다면 그냥 스팀과 윈도우를 각각 1TB씩 나눌까 싶네요.

    • @Gundalf_Game
      @Gundalf_Game Год назад +1

      @@pangtv 오오 팡티비님 찾아냈어요! 데스크톱모드의 스팀으로 들어가서 '설정-다운로드-STEAM 라이브러리 폴더' 클릭하면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넣을 수 있네요ㅠ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Gundalf_Game 아이고 고생이 많으셨군요.
      대본 쓰다가 다시 들어와서 댓글달다가 왔다갔다 하는 중이다보니 답이 좀 늦었습니다. ㅠㅠ
      잘 해결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user-pg3en2kz3d
    @user-pg3en2kz3d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딱 1주일 전에 영상보고 윈도우 설치 전까지 마우스 커서 방향까지 똑같이 따라 했는대 아래 뎃글 님 처럼 "An error occurred while accessing '1.4TiB internal drive (nvme0n1p10)',the system responded: The requested operation has failed: error" 오류 떠서..... 포기하다가 오늘 혹시나하고 fstab에서 다시 저장하고(건드린거 없음 단순히 컨트롤+s) 리셋하니... 하이브리드 파티션이 정상 동작 하네요..ㅎㅎㅎ 혹시나 저처럼 똑같이 했는대도 안되시는 분들은 몇일 던져 놨다가 다시 설정 해보세요 ㅠㅠ 괜히 2t ssd만 욕했네요 ㅠㅠ 어찌되었든 타 사이트에서 글로만 써져있는 거보다 영상으로 따라하니 더 쉽게 접근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S 막상 듀얼셋팅하니... 아수스 마렵네요ㅠ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잘 된다니 다행이네요!
      이러한 설정들이 정식으로 지원하는 기능은 아니다보니 까다로운 부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영상을 올리더라도 여러 차례 검토하고 올리는 편이지만, 그럼에도 잘 안된다고 하시는 분들도 많아 안타까운 상황인데요.
      이렇게 잘 된다는 글이 달릴 때마다 정말 다행이다 싶기도 하고 기분 좋네요! 감사합니다! ^^

  • @nidho99
    @nidho99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OLED로 입문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1TB 유저인데 그냥 윈도우만 설치 하고 싶으면 STEP3부터 진행 하면 되는걸까용?

    • @pangtv
      @pangtv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 맞습니다.
      하지만 온라인 게임만 힌다거나 그런 게 아니라면 역시 스팀OS를 써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솔직히 윈도우가 완전 네이티브로 구동되는 건 아니라서 결국 키보드 마우스를 지참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그러다보면 내가 차라리 PC를 하고 말지 왜 이러고 있나 하는 마음이 스멀스멀 올라오기 시작하죠.
      한 번 세팅만 해놓고 게임 플레이를 위주로 한다면 솔직히 스팀OS가 매우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는 게 사실이기 때문에 스팀OS를 먼저 충분히 맛보시길 강력 권장합니다!

    • @nidho99
      @nidho99 6 месяцев назад

      @@pangtv 아앗 답글 감사합니다. 사실 게임패스게임을 로컬로 돌려보려는 욕심이 있었어서 그랬어요 ㅎㅎ; 스팀덱이 윈도우기반 umpc완 다르게 정말 게이밍 기기이다 라는 경험을 주는건 맞는거 같습니다.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_+

  • @evankim2927
    @evankim2927 Год назад +2

    하이브리드 파티션을 다 설정했고 보여주신부분이 전부 정상작동하는 것 같습니다.
    다만, 하이브리드 파티션을 활용하면, "윈도우에서 설치->스팀OS에서 플레이"가 되는 줄 알았는데, 결국에는 스팀OS에서 또 proton이나 시작옵션 세팅을 해야 하는 것 같네요.. 제가 뭔가 잘못 사용하고 있는 걸까요?
    하이브리드 파티션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이득을 전혀 모르겠습니다 ㅠ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1. 단순 듀얼부팅은 윈도우 영역과 스팀OS 영역이 분리되어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지만, 하이브리드 파티션은 각자의 OS 영역과 별개로 함께 공유하는 공간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전보다 더 효율적으로 공간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치트나 한글패치를 윈도우에서 적용한 뒤, 스팀OS에서도 이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일부 앱은 불가능)비스팀 모드로 어렵사리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실행 파일을 찾아 헤매던 이전 방식과 달리, 윈도우에서 하이브리드 폴더에 설치하고 스팀OS에선 설치한 폴더의 실행파일만 등록하는 것으로 적용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4. 스팀 게임을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설치하면 어느 OS든 재설치할 필요 없이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일단 생각나는 부분은 이러한데요.
      사실 이 외에도 얼마든지 편리한 부분을 찾아낼 수 있을 겁니다.
      이 하이브리드 파티션은 반드시 해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존 윈도우와 스팀OS의 듀얼부팅보다 조금 더 나은 솔루션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 @evankim2927
      @evankim2927 Год назад +1

      친절한 답글 감사합니다!
      저는 스팀OS에서 안돌아가던 게임이 이 방법을 통해 돌릴수있게 되는것으로 생각했었는데 그런건 아닌가보군요.
      스팀의 복잡한 폴더구조 대신 직관적이고 익숙한 윈도우로 세팅을 할수있다 라고 봐야하는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 @Chaos-ih1yw
    @Chaos-ih1yw Год назад +2

    파티션 256000 256000 그대로 놔두는 부분에서 똑같이 했는데 에러메시지 뜨더라구요 ㅜㅜ 그래서 재부팅했더니 스팀os만 설치되었는데... 이상태에서 다시 파티션 나누는 방법은 없나요? 처음부터 리이미지해야하나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영상 다시 한 번 보고 진행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에러 메시지는 어디서 어떻게 떴는지를 알려주지 않으시면 경우의 수가 무한대라 알 수가 없습니다. ㅠㅠ
      파티션은 가급적 복구 USB를 연결하고 USB로 부팅한 뒤, KDE 파티션 매니저를 이용해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도저히 해결이 안된다면 사실 리이미지부터 다시 차근히 진행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user-cn5ps2xk7i
    @user-cn5ps2xk7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에 해놓은 설정이 풀려서 다시 하드를 잡아
    았는데 스탭5번을 다시하면 UDD: 전에 잡혀있는 시리얼로 나는데요 새로잡은 UDD: 변경 할수 없나요?
    데스크톱 모드에서는 스팀 키고 게임설치시 하드 설정하면 잡히는데 재부팅 하면 UDD: 달라서 그런지 계속 풀리네요 게이밍 모드에서 들어가면 하드 설정이 풀려서 계속
    데스크톱 모드에서 하드설정후 해야되서 UDD: 를 변경하는 방법은 없나요?

  • @leafgreen1194
    @leafgreen1194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올려주신영상 보고 따라하다가 제가 스팀os파티션 256까지는 완료하고 새로운 파티션 만들기
    직전에 usb가 건드려져서 갑자기 스팀덱이 반응없이 아무런 화면도 뜨지 않아서 당황해서 다시 재부팅했더니 스팀os 초기설정(언어설정부터)으로 계속 이동이 되는데 이런경우에서는 어떻게 해야 KDE파티션 나누는 화면으로 다시 가지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아니면 이게 잘못되어버린거면 어떻게 해야 맨처음 세팅할때로 돌아갈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ㅠ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다시 설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스팀 복구용 USB 연결 후 전원을 켜 북구 USB로 부팅한 뒤, KDE 파티션 매니저를 켜고 모든 파티션 삭제 후 처음부터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leafgreen1194
      @leafgreen1194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해결했습니다!

  • @user-dw8fc8rl4v
    @user-dw8fc8rl4v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SSD 구매해서 세팅 해볼 예정인데 윈도우 10으로 해도 후반부는 동일하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네, 맞습니다.
      최대절전모드는 윈도우10에도 있었던 만큼 작업 내용은 동일합니다.
      다만, 윈도우10으로 테스트를 한 적은 없다보니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는 있습니다.

    • @user-dw8fc8rl4v
      @user-dw8fc8rl4v Год назад +1

      @@pangtv 네 감사합니다 스팀덱 쓰면서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
      .

  • @m.1.n.0-pf8ee
    @m.1.n.0-pf8ee Год назад

    하이브리드 셋팅 컨텐츠를 알려주셨으니 이제 폭을 더 넓게 지금까지 설치한것들을(윈도우에도 설치가 가능할시) 설치법도 알려주세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지금까지 설치한 것들이 혹시 제가 영상을 올려드렸던 것들을 말씀하시는 거라면...
      스팀OS에서 쓰는 녀석들이라 윈도우에선 딱히 필요가 없습니다.
      혹은 제가 생각한 거랑 다른 내용이라면 언제든 질문주세요! ^^

    • @m.1.n.0-pf8ee
      @m.1.n.0-pf8ee Год назад +1

      아 팡님께서 올리셨던 영상을 말씀드린게 맞습니다:)
      그럼 질문을 조금만 변경해서 드리겠습니다.
      지금 하이브리드 셋팅으느 os를 나누어쓰고있지만 스팀os에서는 데스크톱으로 나가기와 게임모드로 돌아가기를 반복적으로 시도(데스크톱모드에서 볼일들을 다보고)하면 뻗는현상(검은 화면에 커서)가 나타나면서 오랜시간 그상태에 머무르고, 다운로드속도도 제각기라 실행취소하고 재실행해주고, 등등 오류가 많아너 윈도우os도 스팀덱에서 호환성이 좋다면 주로 윈도우 os를이용하면서 두기런처, 레트로덱 등을 스팀os에서 이용한것처럼 에뮬게임 고전게임도 하고싶어서요 두기런처야 윈도우에서 호환이 더 좋았으니 오케이인데 레트로덱같은경우 에물레이터 모음같은 대체품이 있을까요?
      정리해서
      스팀덱에서의 오류로인해 윈도우 os를 주로 사용하고싶은데 호환성에 불편함이 없을까요?
      레트로덱의 대체 에뮬레이터모음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에뮬 게임을 하나로 묶는 프론트엔드 프로그램은 굉장히 많습니다.
      다만 대부분 세팅이 어려운 편이며 에뮬 역시 별도로 설치하고 그에 맞춰 세팅을 진행해야한다는 점이 있겠네요.
      그나마 DsNo님이나 배고픈마리오님이 공개한 EmuELEC나 어트랙트모드 등을 이용하는 편이 차라리 나을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스팀OS가 아직 완벽한 OS라고 하긴 어렵지만 스팀덱이 아무래도 스팀OS와 궁합이 잘 맞다고 할 수 있겠는데요.
      윈도우는 아직 완벽 호환이라 부르기 어렵습니다.(특히 컨트롤 및 기타 설정 등)
      그래서 되도록이면 듀얼부팅으로 두 OS를 쓰면서 부족한 부분을 반대쪽에서 해결하는 것이 현재로썬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겠네요.

  • @user-nf2ig1nx4t
    @user-nf2ig1nx4t Год назад +2

    형님~ 하이브리드말고
    듀얼부팅으로 쓰는데요
    그냥 저절로 부팅될또 윈도우말고 스팀으로 부팅되게
    최우선순위를 스팀으로 할수있나요?
    재부팅할때마다 플러스키 전원누르고 부트매니저 들어가기 귀찮네요~~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그게 지금 안됩니다.
      직접 데이터 수정도 해봤는데 원상복귀되는 거로 봐선 지금은 수정이 안되는 거 같고요.
      추후에 나올 dualboot wizard가 정식으로 나오게 되면 그 때부터 수정이 가능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 @m.1.n.0-pf8ee
    @m.1.n.0-pf8ee Год назад +2

    팡님! 혹시 유투버 다너님이 하신 레지던트이블 팬게임같은 윈도우 프로그램 게임을 리눅스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알려주실 수 있으 실까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2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제일 쉬운 건 첫 번째 방법이네요.
      1. 게임을 다운 받아 압축을 푼 다음, 비스팀으로 실행파일을 등록해서 실행하는 방법
      직접 해보니 GE프로톤8-3에서 아주 원활하게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
      2. 루트리스에서 설정으로 들어가 연동되는 서비스 중에 itch.io를 활성화, 계정 연동 후 뜨는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물론 계정 연동 전후로 itch.io 계정 로그인 후 해당 게임을 구매(후원)해 내 계정에서 해당 게임을 활성화 해야합니다.
      잠깐 해보니 재밌는 거 같아요!

    • @m.1.n.0-pf8ee
      @m.1.n.0-pf8ee Год назад

      @@pangtv 첫번째 방법은 윈도우로 압축을 풀어와서 스팀오에스로 가져오는 방법인가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2

      스팀OS 데스크톱 모드에서 해당 웹페이지로 접속해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그리고 원하는 경로에 압축을 풀고, 실행 파일만 비스팀 등록을 하는 방법이죠.
      GE프로톤8-3으로 설정하니 플레이가 가능했는데요.
      꼭 GE프로톤이 아닌 기본으로 적용되어 있는 스팀 공식 프로톤으로도 플레이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프로그램 자체가 엄청 까다로운 엔진을 썼다거나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 것은 아니기에 구동 능력에 대해선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braveshield7920
    @braveshield7920 Год назад +1

    파티션 구분은 처음 os설치할때만가능한건가요? 일단 설치하고나서는 안되는건가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설치하고 나서도 가능합니다!
      자유이나 보통 처음에 한 번 작업할 때 한꺼번에 하다보니 영상에서도 함께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린 것이고요.
      나중에 파티션 리사이징을 통해 공간을 만들고 작업하셔도 됩니다.

  • @routerwifi5344
    @routerwifi534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여기영상하고 아무관련이 없는 글인데 써도되려나요?)
    오늘 코모도 사이트 보니까 두개의 스팀덱 oled(512gb,1tb)가 11월17일에 출시하는데 구매하실 건가요?

    • @pangtv
      @pangt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 구매 예정입니다!

  • @user-hb7pw5xu6u
    @user-hb7pw5xu6u Год назад +2

    제가 구상하는게
    내장m.2 2tb + sd카드 1tb + 외장허브 m.2 1tb 이렇게 구상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외장허브 m.2에다가 윈도우 를 깔려고 합니다. 그럼 허브를 통해서 외장 m.2를 연결하면 윈도우를 들어갈수 있게될수 있게 하려고 하는데 가능 하다고 생각 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Konsole 에서 옵션설정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외장허브에 윈도으를 깔게되면 파티션이 나눠지는게 아니여서 선생님께서 설명하신 명령어가 달라질거 같에서 쉽게 해보기가 두렵습니다. ㅠ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제가 올린 방식은 하이브리드를 구성하는 방식일 뿐이며 전혀 상관 없습니다.
      외장하드를 연결한 상태에서 스팀덱 복구 USB로 부팅하여 KDE 파티션 매니저로 내장 드라이브를 윈도우 파티션은 쪼개지 말고 하이브리드만 쪼개면 될 것 같아요.
      Konsole 옵션 설정도 그대로 하시면 되고요.
      윈도우 설치하실 때에 파티션만 잘 설정하시면 되겠습니다. ^^

    • @user-hb7pw5xu6u
      @user-hb7pw5xu6u Год назад +1

      @@pangtv감사합니다 선생님 ㅠㅠ

  • @vovle
    @vovl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스팀os 깔았으면 sudo nano 하기전에 SD를 뽑으세요 안그럼 진행 불가해요
    [fstab 작업후 치면 sudo nano- konsole 메뉴에서 아래 빨간글씨로 directory "/ect' dose not exist
    라고 나오면서 uuid 명령어 작업이 불가한데 ect폴더 만들기가 안된거 같은데 원인이 뭘까요]

  • @silverruler7
    @silverruler7 Год назад +1

    좋네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다행이네욥!!

  • @chungminyoung476
    @chungminyoung476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제가 조만간 스팀덱을 살려고 하는데 혹시 하이브리드 설정을 하게되면 스팀덱에 게임모드는 사용하지 못하고 슬립모드도 사용하지 못하게되나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ㅠㅠ

    • @pangtv
      @pangtv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윈도우에서는 하이버네이트 설정을 꺼주면 됩니다.
      다만 윈도우에서는 스팀OS같은 즉각적인 슬립 기능이 없습니다.
      되도록이면 윈도우에서는 사용 후 정상 종료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애초에 하이브리드 설정이 아직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할 정도로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스팀OS일 때는 평상시처럼 슬립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chungminyoung476
      @chungminyoung476 3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user-qq8my8hc8e
    @user-qq8my8hc8e Год назад +2

    이틀전에 똑같이세팅하고 양쪽 잘인식되고 게임도깔고 했는데요 오늘 갑자기 윈도우는인식하는데 스팀에서 하이브리드 ssd가인식을안하더라구요 데스크탑모드에서 에러뜬거확인했는데 어떻게 해야될지모르겠더라구요 갑자기 인식못하고 에러날떄는어떻게해야되는지 알려주심감사할꼐요 에러난거 적어놓을꼐요.
    An error occurred while accessing '1.4TiB internal drive (nvme0n1p10)',the system responded: The requested operation has failed: error mounting
    System-Managed Device /dev/nvme0n1p10: Unknown error when mounting /run/media/deck/HybridSSD
    갑지기 요렇게 에러뜨고 스팀에서 인식안되요 도와주세요ㅠ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2

      윈도우에서 절전모드에 진입한 적이 있는 거 같아요.
      저도 Step7을 하지 않고 윈도우에서 절전모드에 돌입한 다음 스팀OS로 접속하니 마찬가지 증상이 있었거든요.
      Step5와 Step7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야 하는데요.
      C드라이브에 hiberfil.sys 파일이 생성되었는지도 확인해보면 좋겠습니다.
      저 역시 윈도우에서 작업하는 Step7 작업을 다시 하고 스팀OS로 다시 돌아오니 다시 정상적으로 잘 인식되었습니다.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시면 다시 잘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user-hq2nf5yv4p
    @user-hq2nf5yv4p Год назад +1

    파티션 질문은 아닌데요 스팀덱 설정다해서 사용중에 두기런처 같은 무설치 파일 잘 실행하고있었는데요 컨트롤 레이아웃을 원래 잘 변경했는데 갑자기 어느순간부터 컨트롤 레이아웃이 기본 게임패드로만 적용되고 다른 추천 레이아웃이나 저장된 레이아웃을 눌러도 기본레이아웃이랑 같은 컨트롤 설정으로 보이고 적용해도 기본패드에서 변경이 안되고 있는데 초기화 한번해서 잘되다고 다시 또 그러더라고요 무설치 파일 하나가 약간 의심가긴하는데 특정 실행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이런 현상을 만들수 있을까요? 해결법은 없을까요

    • @user-hq2nf5yv4p
      @user-hq2nf5yv4p Год назад +1

      짧은 소견으로 확인해보니까 특정 비스팀 프로그램이 프로톤에 영향을 줘서 레이아웃이 이상해 지는거같습니다 호환 프로톤 없애고 다시하니 이상없네요 이럴수도 있군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일단 저는 처움 들어보는 증상인 것 같습니다.
      일단 기억해두고 있다가 추후에 그와 비슷한 사례가 확인되면 참고하겠습니다. ^^

    • @user-hq2nf5yv4p
      @user-hq2nf5yv4p Год назад +1

      @@pangtv 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81manaman
    @81manaman Год назад +1

    팡님 또 질문입니다 ㅜㅜ하이브리드 파티션 세팅완료하고 루트리스와 에픽 런처 설치는 스팀os파티션에 하고 게임 다운로드는 하이브리드 경로에 넣는거 맞나요?? 게임설치시 경로에 하이브리드 파티션이 안뜨는거 같습니다 ㅡㅜ

    • @81manaman
      @81manaman Год назад +1

      에픽 설치 경로일 경우 /run/media/deck 까지만 뜨고요..Deck폴더로 설정하면 권한이 없다고 뜹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81manaman 루트리스에 추가 권한을 주어야 합니다.
      다만, 에픽 런처를 윈도우에서도 이용하시려면 루트리스보다는 윈도우에서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설치 후, 스팀OS로 옮겨가 런처 실행파일을 비스팀 모드로 추가하는 방법이 더 알맞을 것 같습니다.

    • @81manaman
      @81manaman Год назад +1

      루트리스 세팅에서 default installation folder 를 하이브리드 파티션으로 설정하는게 맞나요?? 루트리스 추가권한은 어떻게 주는건가요??영상에 없더라구요 ㅜ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본 영상이 하이브리드 이전에 제작된 영상이다보니 해당 내용은 소개되지 않았습니다.
      디폴트 설정을 바꾸시면 다음부터 무엇을 설치하든 디폴트 설정한 대로 바뀔테니 방법은 맞습니다.
      권한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Discover에서 Flatseal 설치
      2. Flatseal 실행 후 권한 변경할 앱 선택
      3. 파일 접근 권한은 File System 일 겁니다.
      이 옵션에 모든 권한을 켜거나 혹은 특정 폴더를 지정해서 접근 권한을 켤 수 있습니다.
      적다보니 이 거 데스크톱 한글화 영상에서 소개한 것 같은데요?
      해당 영상을 참고하시면 더 이해가 빠를 것 같네요!

    • @81manaman
      @81manaman Год назад +1

      @@pangtv 팡님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해볼게요!!!

  • @No1chul
    @No1chu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전부 다 잘 설치했습니다. 이제 이렇게 되면 스팀os는 어떻게 접속할 수 있나요? 부팅하자마자 윈도우가 켜져서요.

    • @pangtv
      @pangt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처음 켤 때 전원버튼과 +버튼을 누른채로 있다가 비프음 들릴 때 떼면 어떤 운영체제로 부팅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user-te5uu5lr9l
    @user-te5uu5lr9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때 데스크탑 모드 한글패치까지 추가하려면 어느시점에서 설치하는게 좋을까요? 초반에 설치하는게 좋다고 하셔서요

    • @pangtv
      @pang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하이브리드 직후에 하셔도 됩니다.
      선택사항이라서요. ^^
      메이저 업데이트인 3.5 업데이트부터는 데스크톱 한글화를 하지 않아도 스팀OS 자체에서 한글 설정이 가능해질 예정입니다.
      그래서 급하거나 도저히 영문으로 쓰기 어려운 경우가 아니라면 한글패치를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

    • @user-te5uu5lr9l
      @user-te5uu5lr9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pangtv감사합니다 ㅎㅎ 하나 질문있는데 듀얼os로 하면 블루투스 키마가 멀티페어링이어도 페어링이 안되고 스팀os 윈도우 왔다갔다 할때마다 블루투스를 삭제하고 계속 다시 한번씩 연결을 해줘야하는 상황이라는데 윈도우에서 리눅스에 블투키를 옮겨오면 해결이 된다는데 혹시 나중에 이에대한 영상도 만들어주실후있을까요? 해결할수있는 방법이 적혀있는 영어사이트 링크도 보실수있게 하려했는데 링크걸면 댓글이 삭제되네요. 저같은 리눅스 초보는 봐도 이해를 잘 하지 못하겠네요 ㅜㅜ

  • @himjul2595
    @himjul2595 Год назад +4

    KDE Partition Manager 에서 처음 가장 큰 홈 파티션의 Resize가 되지 않습니다. 팡님 화면과 달리 Mount Point 부분에서 자물쇠 모양이 표시된 것으로 보아 수정이 되지 않게 되어 있는 것 같은데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3

      이 영상을 보면 스팀OS 복구 USB로 스팀OS 리이미지 작업 후에...
      스팀OS로 구동하기 전에 KDE 파티션 매니저로 들어가 작업을 하는데요.
      재부팅 전에 작업을 해야 잠금이 걸리지 않습니다.

    • @himjul2595
      @himjul2595 Год назад +1

      @@pangtv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user-hg9gk7rl2h
      @user-hg9gk7rl2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pangtv 잠금이 걸리게 되면 풀수는 없는건가요?
      그러면 스팀os 를 다시 설치후 작업을 해야 하나요?

    • @pangtv
      @pangt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hg9gk7rl2h 복구 USB를 이용해야 하는데, 다시 풀어도 어느 순간 계속 비활성화되어 계속 수정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는 사례가 보이더라구요.
      나중을 위해서라도 다시 세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실... 이 방법 자체가 공식적인 기능은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개인이 직접 해결해야 한다는 점은 불편할 수 밖에 없습니다. ㅜㅜ

  • @kyeongsikkim3139
    @kyeongsikkim3139 Год назад +1

    기존 사용중인 1tb ssd에 작업해 보고 싶은데요. 이 경우 각 os 파티션 별 추천하시는 용량이 있으실까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단순히 게임이나 간단한 활용 정도로 쓰신다면...
      OS 공간은 각 128GB로 배정하고 나머지를 하이브리드 파티션으로 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만 게임 외에도 여러 용도로 활용하고자 한다면 아무래도 128GB는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OS는 256GB로,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는 OS는 128GB로 해도 무방하겠네요. ^^

    • @TheDorix2
      @TheDorix2 Год назад +1

      저의 경우는 50211 / 50211 나머지로세팅했습니다 이게 스팀덱64기가의 최소 설정 용량으로 기억합니다

  • @user-du2ms9iu6l
    @user-du2ms9iu6l Год назад +2

    혹시 ssd기본 512를 스팀os와 윈도우로 나누고 sd카드 1테라를 ntfs로 포멧해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될까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2

      가능은 하나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트림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속도의 급격한 하락을 지주 겪게 되며, 메모키라드 속도 자체도 낮은 편이라 불편함이 가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 @user-du2ms9iu6l
      @user-du2ms9iu6l Год назад +1

      ​@@pangtv 빠른답변감사합니다!!

  • @user-cz6kz1sf9p
    @user-cz6kz1sf9p Год назад +1

    윈도우설정 마지막에 전원관리옵션은 꼭 해당없음으로 해야되나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네, 맞습니다.
      이유는 절전모드로 진입이 되지 않도록 막기 위함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명령 프롬프트에서의 작업으로 절전모드에 진입하더라도 hiberfil.sys가 생성되지는 않겠지만 그럼에도 스팀OS로 다시 진입했을 때 Unmount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죠.

  • @Piongpiongpiong
    @Piongpiongpion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근데 궁근한게있는데 윈도우 모드로 사용하면 슬립모드가 되나요??

  • @user-dl2go5zk7m
    @user-dl2go5zk7m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팡님. 영상 가이드대로 드라이버를 다 설치했는데 간헐적으로 윈도우 소리가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럴때마다 AMD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하면 소리가 나오지만, 어느 날 스팀덱을 켜면 다시 소리가 안 나옵니다. 꼭 AMD 드라이버 설치가 아니더라도 어쩔때 켜면 다시 소리가 나올때도 있는데요. 이건 어떤 문제때문에 소리가 간헐적으로 안 나오는지 아시는게 있나요 ㅠㅠ 윈도우에서만 발생하는 문제로 스팀OS로 부팅시에는 소리가 잘 나옵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혹시 아무런 주변기기를 연결하지 않고 스팀덱으로만 윈도우를 쓰셨는지, 혹은 블루투스 연결이나 독을 이용해 외부 디스플레이를 쓰신 적은 없으실까요?
      특별히 드라이버가 지워지거나 하는 경우는 아닌 것 같고 오디오로 연결된 장비가 해제된 다음엔 원래대로 돌아가야 하는데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윈도우 자체 문제거든요.
      그래서 한 번 여쭤봅니다.

    • @user-dl2go5zk7m
      @user-dl2go5zk7m Год назад +1

      ⁠​⁠@@pangtv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초기 설치 단계에서 USB허브로 키보드, 마우스 연결 외에는 외부디스플레이 사용한 적이 없습니다. ㅜ 재설치한 적도 있는데 동일하네요 😢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user-dl2go5zk7m 그럼 그 밖에 설치한 프로그램들은 어떤 게 있을까요?
      아무래도 PC와 동일하다보니 무엇을 설치하고 어떻게 사용하다 그런 증상이 발생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user-dl2go5zk7m
      @user-dl2go5zk7m Год назад +1

      @@pangtv 가이드에 나온 드라이버와 크롬,원신 정도입니다. 그외에는 특별히 설치한게 없네요. 윈도우11 PRO인데 시작버튼이라고 해야하나요? 거기서 모든앱으로 보면 드라이버 파일이 안 보이긴합니다 😢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드라이버는 일부는 설치프로그램이지만 대부분 ini파일을 통해 등록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이라 그쪽엔 안뜰 수 있어요.
      그럼 결국은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하는 방법 밖엔 없을 거 같네요.

  • @KarasGGulBul
    @KarasGGulBul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혹시 리눅스 상에서 앱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이 어떤게 있을가요?? 앱 이미지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실행은 하면 앱이 실행은되는데 바탕화면이나 스팀으로 추가하는방법을 모르겠습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아! 생성이 아니라 앱이미지 파일을 직접 바로가기로 연결하고 싶으신거죠?
      Appimage Launcher를 설치하신 뒤, Home/application 폴더에 앱이미지 파일을 붙여넣으세요.
      그럼 스팀덱 로고 버튼 - Utility - 앱이미지 파일명 이 뜨는데요.
      해당 프로그램에 오른쪽 클릭 후 Add to Steam을 클릭하시면 등록가능합니다.

    • @KarasGGulBul
      @KarasGGulBul Год назад +1

      @@pangtv 아 맞습니다 추가방법을 몰랐는데 고맙습니다

  • @Res_Winter_
    @Res_Winter_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하이브리드를 설치했는데요
    혹시 스팀 os랑 윈도우 용량 확장을 하려면 또다세 초기화를 해서 재설치를 해야만 가능한걸까요..??

    • @pangtv
      @pangt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초기화를 할 필요는 없고 파티션 매니저에서 파티션을 리사이즈 하면 됩니다.
      다만 아주 안정적이라고 하긴 어려워서 가급적이면 파티션을 처음 설정한 이후로는 변경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 @user-qo8ln6xl1e
    @user-qo8ln6xl1e Год назад +2

    팡님 스팀덱에서 윈도우 쓸때 여러가지 필수로 있어야될것들이 많이 부족한것 같습니다 스팀덱 툴( TDP설정 팬속 등등) 설치라던가 넷프레임워크 라던가 터치 키보드 설정 이런거 쭉 한번에 묶어서 한편 제작하시면 다른분들도 찾고 세팅할려고 여러군데 안봐도되서 편할것 같습니다 이상 후기입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충분히 고려할 내용인 것 같습니다!
      사실 개인적으로는 윈도우에서의 경험이 스팀OS만큼은 만족스럽지 못하단 생각에 윈도우 관련 툴을 소개해드리는 부분에 대해서 고민이 많았습니다.
      스팀덱 툴도 설정을 해도 직관적이지 않은 조작 방식도 아쉬웠지만 특히 컨트롤러 부분도 입력이 정상적인 것 같지 않아 제가 잘 못하는 건가 싶더라구요.
      설치 자체는 어렵지 않기에 영상 자체는 만들기 어렵지 않겠지만 이왕이면 제가 확인을 하고 확실한 효과를 봤다 싶을 경우에 소개를 올리고 있으니 당장은 어렵더라도 지속적으로 세팅 등을 찾아가며 지속적으로 검토해 보겠습니다.
      다시 한 번 좋은 의견 감사드려요!!

  • @Lv-mi2ep
    @Lv-mi2e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처음 세팅했을 땐 잘 되었는데 용량 분배를 잘못해서 다시 싹 밀고 처음부터 다시하니 fstab 오류가 없는데도 마운트를 못하네요ㅠ 파티션 매니저에서 강제 마운트해도 뭔가를 설치하려하면 쓰기 실패라고 뜨고ㅠ

  • @user-bn4gt8tg1u
    @user-bn4gt8tg1u Год назад +1

    윈도우랑 스팀os 파티션 나눠서 쓰다가 스팀os를 공장 초기화했는데
    스팀os다시켜서 언어 선택하고 와이파이 연결 하면 설치중 진행하다가
    업데이트 오류가 나는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간혹 오류가 날 때가 있는데요.
      사유까지는 확인이 된 바 없지만 저도 같은 증상을 겪은 적이 있습니다.
      오류 메시지 출력 후 계속 스팀로고가 돌면서 그 상태를 오래 유지하더라구요.
      그 때 스팀 버튼 누르고 좌측 메뉴가 4개인가가 떴는데 그 중에 선택하면 되는데 제가 그 메뉴가 기억이 안나네요.
      특별히 어려운 내용은 아니었고요.
      다시 처음부터 진행하는 거였습니다.
      그 다음에는 설치가 잘 되더라구요.
      아직은 스팀OS가 아쉬운 부분이 좀 있긴 합니다. ㅠㅠ

  • @user-te5uu5lr9l
    @user-te5uu5lr9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여기에 sd카드 추가로하면 어떻게될까요? 스팀os에서만 쓸수있을까요? 아니면 sd카드도 하이브리드로 쓸수있을까요?

    • @pangtv
      @pang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윈도우에서도 SD카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스팀OS에서만 사용하는 걸 추천드려요.
      특히 윈도우와 리눅스를 모드 지원하는 게임의 경우, 스팀OS에선 리눅스 버전을 다운받게 되는데요.
      다시 윈도우로 들어가면 리눅스 버전은 이용할 수 없으므로 윈도우용 버전을 다시 다운받게 됩니다.
      이걸 또 스팀OS로 가게 될 경우엔 다시 리눅스 버전을 다운받는 영고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리눅스로 포팅된 게임은 SD카드를 써서 그 쪽에만 설치하면 윈도우를 오가더라도 문제가 없어지게 됩니다.

    • @user-te5uu5lr9l
      @user-te5uu5lr9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pangtv 답글 감사합니다 하나더 질문이있는데 하이브리드로 설치할때 스팀os pc모드 한글화패치는 언제해주는게 좋을까요? 한글화 패치영상보니 초반에 하라고하셔서요

  • @kcg3029
    @kcg3029 4 дня назад +1

    UUID코드가 잘못입되면 스팀OS에 공용 드라이버가 안잡히는건가요?? ㅠㅠ 잘 따라한것 같은데 스팀OS에서 드라이버가 안보이네요 ㅠㅠ

  • @user-mf8bn9jt9o
    @user-mf8bn9jt9o Год назад +1

    잘 이해가 안되는데 윈도우os에서 하이브리드공간에 게임설치(스팀게임이 아님) 하고 이걸 스팀os에서 비스팀모드로 실행 가능한게 아닙니까?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가능합니다.
      물론 스팀OS에서 지원해야겠죠?
      이 하이브리드를 진행한다고 해서 윈도우에서 설치한 게임이 스팀OS에서 모두 작동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스팀OS에서 구동 가능하게 하려면 별도의 세팅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하이브리드의 최고의 장점이라면 스팀OS의 홈 파티션과 윈도우OS 파티션을 딱 적당한 수준까지만 주고 나머지는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배치함으로써 게임 설치 등은 모두 하이브리드 파티션에 일임하여 용량에 대한 효용성을 높인다는 점입니다.
      (기존 단순 듀얼부트 세팅은 윈도우와 스팀OS의 홈 파티션 사이를 가로막아 어느 한 쪽 파티션이 남아도는 문제가 생기거든요.)

  • @kyunghokim5678
    @kyunghokim567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Sudo 명령어 까지 잘 따라했는데 저장하고 보면 저장공간이 기본만 나오고 하이브리드가 보일질 않습니다 파티션에서는 보이는데요....몇번을해도 그렇네요 아주 환장합니다 이유가 뭘까요? 다시 2테라 복구하는건 스팀재설치 하면되나요?

    • @pangtv
      @pangtv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답이 많이 늦어졌네요.
      네, 스텝2의 재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그리고 안보이신다면 데스크톱 모드에서 KDE 파티션 메니저를 실행했을 때에도 안보인다면 파티션을 나누는 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이니 침고하세요!

  • @sanghunjeong7312
    @sanghunjeong7312 Год назад +1

    스팀os가 깔려있는 상태에선 때려죽어도 usb로 부트모드에서 선택하면 데스크탑모드로 안넘어 가는데 분해해서 포멧하고 다시는방법밖에없을까요~? 한 세네번정도 10분씩 기다려봤는데 묵묵부답이네요 ㅠㅠ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USB로 부트모드를 선택했다는 게 복구 USB를 써서 진입했다는 뜻인가요?
      조금만 자세히 말씀주시면 아는 범위 내에선 말씀드리겠습니다. ^^

    • @sanghunjeong7312
      @sanghunjeong7312 Год назад +1

      @@pangtv 네네 맞습니다! 허브로 유에스비를 연결하고 부트모드로 진입해서 usb를 선택하면 스팀덱 로고만뜨고 묵묵부답입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허브 없이 USB만 연결해서 해도 마찬가지일까요?
      허브 문제인 경우도 있어서요.

    • @sanghunjeong7312
      @sanghunjeong7312 Год назад +1

      @@pangtv 먼저 답변감사드립니다 ㅎㅎ 허브없이 젠더로해서 연결하면 검은화면과 마우스 커서만 나오고 그 이후로 20~30분정도 대기해봐도 화면이 꺼지거나하기만하고 따로 화면이 뜨지는 않습니다. 파일문제인가싶어 SD포맷후 다시 해보고 하였으나 똑같네요 ㅎㅎ.. 한번 따꿍따서 SSD 포멧후 재시도 해보고 댓글 남기겠습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컴퓨터와 같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어떤 부분 때문인지 예측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부디 꼭 잘되었으면 좋겠네요!

  • @user-xf2hd6oh9x
    @user-xf2hd6oh9x Год назад +1

    선생님! 하이버네이트랑 관련있을꺼 같은데
    잘되다가 오늘 윈도에서는 d가 인식하는데 스팀os에서는 하이브리드드라이버가 인식안되요! 혹시 멀 봐야 할까뇨..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윈도우에서 절전 관련 설정을 하는 스텝7을 다시 해보시고 재부팅 해보시기 바랍니다. ^^

  • @user-fn4lw6lj2e
    @user-fn4lw6lj2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스팀덱 ssd복사기로 마이그레션하여 교체하고 파티션 가능한가요?

  • @1100mw
    @1100mw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영상보고 잘따라해서 윈도우 스팀os 양쪽다 드라이브 잘나오고 성공했는데요
    윈도우에서 한패 설치후 스팀os 에서 실행하면 자꾸 파일다시 다운받아서 한패가 풀리는데 머가 문제일까요?
    반대 경우도 마찬가지구요

    • @pangtv
      @pang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패치마다 종류가 다릅니다.
      보통은 대표적으로 아래의 경우가 해당되죠.
      1. 리눅스 포팅을 지원할 경우
      윈도우와 스팀OS를 오갈 때마다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으로 변경되므로 패치를 했다면 다시 지워질 수 있습니다.
      2. 패치파일이 게임폴더 외의 경로에도 세팅되는 경우
      대표적으로 윈도우 기준 내 문서 폴더에 저장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스팀OS는 프로톤 환경이 저장되는 compatdata 폴더 내에 있으므로 추가적인 세팅(패치하고자 하는 게임의 게임ID를 찾아 직접 compatdata 폴더 내의 가상의 c드라이브 폴더에 자리잡은 내 문서 폴더를 찾아들어가 수동으로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조금 복잡해 보일 수도 있겠지만 원리만 알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파이팅입니다!

  • @user-ot1dw2nz9d
    @user-ot1dw2nz9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컨트롤s 컨트롤x 어떻게하나요???? 키보드없는데 필요한가요?

    • @pangtv
      @pang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키보드 없으면 매우 불편합니다.
      되도록 유선이든 무선이든 준비했다가 연결해서 하시는 걸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그 외의 대안은 스마트폰 앱(PC에 블루투스 키보드처럼 인식시켜주는 가상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혹은 Discover 에서 Core Keyboard를 설치 후 실행해서 쓰셔도 됩니다.
      또는 게이밍 모드 - 옵션 - 키보드 - 데스크톱 레이아웃 설정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백버튼에 Ctrl+C, Ctrl+V, Ctrl+S, Ctrl+X를 설정해줘도 됩니다.(잘못 건드리면 OS 재설치에 준하는 작업이 필요하니 고수 분들 외에는 비추천)
      물론 이 역시 방법이 번거롭긴 마찬가지니 차라리 편하게 키보드를 연결해서 쓰시기 바랍니다.

  • @user-py2or8mn6r
    @user-py2or8mn6r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장은 컨트롤+O 하고 그대로 엔터
    종료는 컨트롤+X 하고 나오면 된다.
    스팀덱을 재부팅해서 다시 스팀OS -> 데스트탑 모드로 오고
    /run/media/deck/shareNtfs 이동해서 폴더 보이면 성공
    전 폴더가 왜 안나올까요 쟁일해도 안보이던데 ㅜㅜ

    • @pangtv
      @pangtv  4 месяца назад

      하이브리드는 솔직히 문제가 될 수 있는 범위가 너무 넓어서 대응하기가 쉽지 않네요.
      나노 편집기를 다시 열어서 제가 올린 영상 속 내용이 잘 입력되어 있는지를 다시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user-py2or8mn6r
      @user-py2or8mn6r 4 месяца назад

      @@pangtv 감사합니다 저번에 성공했습니다 ㅎㅎ

  • @damonlee5716
    @damonlee571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혹 OLED 사용하시는분들 중에 윈도우 설치 후 네트워크 연결은 다들 어떻게 하시나요? 윈도우 설정중에 인터넷 연결이 없어서 다음으로 안넘어가네요 ㅜㅜ

    • @damonlee5716
      @damonlee571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Dorix 님 고정 댓글처럼 oobe bypassnro 말곤 없는거 겠죠?

  • @user-ej9yc4up6m
    @user-ej9yc4up6m 11 дней назад

    스팀 OS가 이미 깔려있는 상태에서는 윈도우 부팅이 불가능한가요?

  • @user-me8ws8sk8j
    @user-me8ws8sk8j Год назад +1

    스팀덱으로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어플은 없을까요? 궁금합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제일 유명한 거라면 VLC가 있겠네요!
      Discover에서 바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 @user-js9mn3rp5w
    @user-js9mn3rp5w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세팅 전부 다하고 실수로 root드라이버 포멧해서 스팀os만 재설치했습니다 (리커버리모드에서) 그런데 파티션, 파일 등등 전부 살아있는데 부팅이미지에서 윈도우로 부팅하는게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아이고….
      보통은 efi에 부팅 정보가 기록되는데 스팀os를 마지막으로 설치하면서 그 중 윈도우에 대한 내용이 삭제되었을 수는 있습니다.
      음량 +버튼 + 전원버튼을 누르면 바이오스 메뉴가 뜨는데요.
      그 중 좌측 하단 메뉴인 boot from file에 들어가세요.
      처음엔 가장 처음 메뉴를 들어간 다음 이후부터는 efi\Microsoft\Boot\bootmgfw.efi 까지 선택하면 윈도우로 부팅될 거에요.
      만약 이 파일이 없다면 제일 쉬운 방법은 윈도우 재설치이며, 또는 efi복구라고 검색하시면 내용 많이 찾아보실 수 있을 거에요.

    • @user-js9mn3rp5w
      @user-js9mn3rp5w Год назад +1

      @@pangtv 저 복구했습니다 ! 스팀덱갤러리분께서 알려주셔서 다행히 되었네요 ruclips.net/video/u20rGuY_luA/видео.html 이거보고 해결했어요 윈도우 부트매니저를 생성해서 다행히 해결했습니다 저같은경우에는 스팀os재설치로 저장정보가 전부 살아있어서 부팅매니저만 저 영상대로 다시 깔아서 복구했어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오! 다 살아있다니 정말 다행이네요!
      아직도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함께 천천히 익혀나가보시죠!!

  • @Greck03
    @Greck0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혹시나 이거 따라하시는 분 계시다가 step5 에서 마운트한 드라이브가 스팀 다운로드에 안뜨시는 분은 데스크탑모드로 가셔서 스팀실행 하셔서 (꼭 데스크탑모드에서 하세요!!) 설정-> 저장공간 가시면 드라이브 추가가 가능합니다. 거기서 추가하시면 되요 . 이거 찾을려고 1시간을 고민 했네요 😢 😢

  • @user-mf8bn9jt9o
    @user-mf8bn9jt9o Год назад +1

    파티션 나누고 konsole에서uuid로 시작하는 명령어 입력했습니다.돌핀에서 하이브리드ssd 폴더 생긴거 확인했는데 게이밍모드 저장공간에서는 하이브리드영역이 안보여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1

      정상적으로 진행하셨다는 가정 하에 말씀드리자면...
      1. 재부팅
      2. 데스크탑 모드에서 아무 게임이나 1개를 골라 하이브리드SSD 폴더에 설치
      3. 게이밍 모드로 돌아가면 파티션 확인 가능
      입니다.

    • @WorksMA
      @WorksMA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pangtv와... 안그래도 저장소가 스팀os에서 안 보여서 헤매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ㅠㅠ

  • @rise_yobi
    @rise_yobi Год назад +1

    설치 과정에 키보드가 필요한거 같은데 독이 없으면 불가능 한가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독이 없으면 USB-C 젠더가 있으면 됩니다. ^^
      또는 USB-C 허브로 연결해도 됩니다.

    • @user-od5um5pd6m
      @user-od5um5pd6m Год назад +1

      리커버리모드에서는 스팀os용 유에스비가 꽂혀잇는데 그냥 빼고 키보드연결하면되나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아!
      복구USB를 이용하는 구간 이후에 스팀os로 진입하고 나면 빼셔도 됩니다.
      복구 USB를 쓰고 있는 상황에서는 절대 빼지 말아주세요!

  • @user-vk8bq6gr8m
    @user-vk8bq6gr8m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t 까는단계에서 하드디스크 분할하는부분에서 하단 설정버튼이없던데 이건 왜그런거죠. 그리고 한번실패하면 다시처음부터 하는법좀 가르켜주세요

    • @pangtv
      @pangt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혹시 7분 26초부터 시작되는 파티션 분할에 대해서 말씀하시는 건지요?
      어떤 말씀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조금만 자세히 설명해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실패 시 다시 처음부터 하고 싶다면 Step2 부터 다시 진행하시면 됩니다.
      파이팅입니다!

  • @j_h_raaa
    @j_h_raa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렇게세팅하구 나서 원신 깔아서해도 괜찮은가요?

    • @pangtv
      @pangt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이브리드 세팅을 하시려면 원신은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에 설치해서 쓰는 게 좋겠습니다.

  • @lhs9897
    @lhs989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파티션 분할까지 하고 스팀 업데이트를 하려고 하는데 언어설정 와이파이 설정 후 업데이트 오류에서 도저히 안넘어갑니다. 껏다키고 강종하고해도 그대로인데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lhs9897
      @lhs989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해결됐습니다. 와이파이로 해서 도저히 안되길래 랜선으로 직접 연결해서 했더니 바로 해결됐습니다.

    • @pangtv
      @pang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간혹 연결 오류가 발생하긴 합니다.
      그렇게 하셔도 되고요.
      또는 스팀 버튼 누르면 왼쪽에 슬라이드 팝업이 뜨는데, 처음으로 돌아가 다시 진행하시면 잘 될 겁니다.
      여전히 오류가 많네요. ㅠㅠ

  • @KarasGGulBul
    @KarasGGulBu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팡님 보실지 모르지만 파티션을 한뒤 공용 파티션 메뉴 입력까지는 잘되는데이후에 게임 설치 진행시 해당 파티션을 인지를 못하네요 ㅠㅠ

    • @pangtv
      @pangt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이브리드 파티션이 정말 너무 불편한 부분이 많죠.
      특히나 파티션이 잠기게 되면 풀 수는 있어도 재시작하면 다시 잠겨서 재시작할 때마다 풀어줘야 한다는 게 참 불편해요.
      그래서 저도 지금은 안쓰고 있거든요. ^^;;;

  • @user-uj6uq2cz5u
    @user-uj6uq2cz5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윈11에서 디아블로4 설치하고 실행하면 조이스틱이 안되는데 방법이 있을까요

  • @user-uu7kd8px9m
    @user-uu7kd8px9m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어찌저찌 파티션 마무리하고 윈도우 설치로 넘어왔는데 껐다 키는데 로고장면에서 계속 멈추는데 어찌해야하나요? ㅜㅜㅜㅜ

    • @pangtv
      @pangt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만약 설치 중 문제가 발생했다면 다시 Step 2부터 진행하셔야 합니다.

  • @pozer87
    @pozer8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으어... 뒤늣게보고 따라하려고 리이미지까지 진행했는데 키보드를 띄울방법이 없네요... 블루투스라도 지원하면 띄우겠는데 ㅠㅠ

    • @pangtv
      @pang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블투 키보드가 없다면 사용이 엄청 제한되죠.
      안드 앱 중에 가상의 블루투스 키보드로 인식시키는 앱이 있는데, 그걸 설치해서 쓰시거나 Discover에서 Core keyboard를 설치해서 쓰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 블루투스 키보드나 USB-C 허브 또는 도킹 스테이션을 연결하고 USB로 키보드를 연결해 쓰는 방법이 제일 편리합니다.

  • @rucalician
    @rucalician Год назад +1

    512를 쓰고있었는데 2tb를 사야겠네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아무래도 2TB를 가장 추천할 수 밖에 없겠네요.
      활용도는 무척 올라갈 겁니다!

    • @rucalician
      @rucalician Год назад

      @@pangtv 오늘 2tb도착해서 영상따라서 잘했습니다 ㅎㅎ
      영상중에 하이브리드ssd폴더 만들고 적용한 다음에 데스크탑모드에서는 인식이 되는데
      스팀런처? 모드에서는 인식이 안되서 몇번이나 재부팅해보고 했었는데, 댓글중에 비슷한 글에 답글로 데스크탑모드에서 스팀게임설치해보고 들어가보라는 글이 있어서 해보니 잘되네요.
      영상에는 그 설명이 없어서 헷갈렸어요 ㅎ
      윈도우에서 스팀덱툴즈에 대한 설명 영상 올려주시면 좋을꺼같아요. 영어로 되어있어서.. 쓰는데는 문제없지만 좀 헷갈리긴하네요. 어떤게 어떤 기능인지

  • @jonghyunju9896
    @jonghyunju9896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팡님
    질문 드릴게 있습니다.
    하이브리드로 스팀영역을 68기가 정도로 잡고 설정 문제 없이 마쳤습니다.
    게임 설치를 전부 HybridSSD영역에 설치 했습니다만.
    스팀영역에 "기타" 영역이 계속 증가해서 결국 여유공간이 0이 되어버렸습니다 ㅠㅠ
    혹시 게임 케쉬나 그런것일까요..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스팀OS 영역은 가급적 최소한 250gb 정도를 추천합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게임 로딩을 줄이고 구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셰이더 캐시가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됩니다.
      2. 가상의 윈도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게임마다 프로톤 환경을 분리하여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됩니다.
      한 게임 당 하나의 프로톤(가상의 윈도우 환경)이 저장되어 설치한 게임이 늘어날 수록 용량을 차지하게 됩니다.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스팀덱엔 셰이더 캐시 킬러를 이용하면 이들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미 삭제한 앱의 데이터만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github.com/scawp/Steam-Deck.Shader-Cache-Killer

    • @jonghyunju9896
      @jonghyunju9896 Год назад +1

      @@pangtv 아.. 그런것이군요.ㅎㅎ;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 많은 도움 받네요 ㅎㅎ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 @pangtv
      @pangtv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