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ekwondo Training 경남 승품단 심사 4품단 기본동작 (4품 4단 5단) -극동태권도-11강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 태권도 품새 설명
1. 태극 품새 (1장 ~ 8장)
태극 품새는 태권도 기본 품새로, 팔괘의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팔괘는 자연의 원리를 나타내며, 각 장은 다른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 태극 1장 (건: 하늘)
• 상징: 하늘과 광명
• 내용: 가장 기본적인 동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태권도의 기본기를 익히기 위한 품새입니다.
• 동작 수: 18동작
2. 태극 2장 (태: 기쁨)
• 상징: 기쁨과 즐거움
• 내용: 기본기를 바탕으로 방향 전환과 기본 발차기를 포함한 기술을 연습합니다.
• 동작 수: 18동작
3. 태극 3장 (리: 불)
• 상징: 불과 열정
• 내용: 보다 활동적이고 힘찬 동작으로 기술을 표현하며, 발차기의 비중이 늘어납니다.
• 동작 수: 20동작
4. 태극 4장 (진: 우레)
• 상징: 우레와 움직임
• 내용: 힘과 속도를 조화롭게 사용하는 동작이 강조되며, 안정된 자세가 중요합니다.
• 동작 수: 20동작
5. 태극 5장 (손: 바람)
• 상징: 바람과 유연함
• 내용: 기술의 응용력이 높아지며, 부드럽고 강한 동작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핵심입니다.
• 동작 수: 20동작
6. 태극 6장 (감: 물)
• 상징: 물과 유연성
• 내용: 물처럼 유연하면서도 강인한 정신과 동작을 표현합니다.
• 동작 수: 23동작
7. 태극 7장 (간: 산)
• 상징: 산과 무게감
• 내용: 묵직하고 강한 기술이 포함되며, 균형과 안정감 있는 동작이 강조됩니다.
• 동작 수: 25동작
8. 태극 8장 (곤: 땅)
• 상징: 대지와 겸손
• 내용: 태극 품새의 완성 단계로, 태권도의 모든 기본 기술이 조화롭게 포함됩니다.
• 동작 수: 27동작
2. 고려부터 일여까지의 고급 품새
태극 품새를 마스터하면 고급 품새를 배우게 되며, 각 품새는 태권도의 정신과 기술을 더 깊이 있게 표현합니다.
1. 고려 (高麗)
• 상징: 고려의 충성과 기상
• 내용: 굳센 의지와 불굴의 정신을 표현하며, 강한 힘과 단단한 자세를 중시합니다.
• 동작 수: 30동작
2. 금강 (金剛)
• 상징: 금강석의 단단함
• 내용: 부드러움과 강인함이 조화를 이루며, 강력한 동작과 회전 기술이 특징입니다.
• 동작 수: 27동작
3. 태백 (太白)
• 상징: 백두산의 깨끗함과 순수함
• 내용: 고결하고 깨끗한 정신을 표현하며, 기술의 정확성과 신속함이 요구됩니다.
• 동작 수: 26동작
4. 평원 (平原)
• 상징: 넓고 평탄한 대지
• 내용: 부드럽고 평화로운 흐름 속에서 힘을 발휘하며, 유연성과 조화가 강조됩니다.
• 동작 수: 25동작
5. 십진 (十進)
• 상징: 발전과 완성
• 내용: 태권도의 기술이 완성 단계에 이르며, 모든 동작이 강인하면서도 절제되어 표현됩니다.
• 동작 수: 27동작
6. 지태 (地跆)
• 상징: 대지와 태권도
• 내용: 땅의 강한 기운을 바탕으로 강하고 힘찬 기술을 강조하며, 안정감 있는 동작이 특징입니다.
• 동작 수: 28동작
7. 천권 (天拳)
• 상징: 하늘의 권위
• 내용: 하늘처럼 높고 넓은 기상을 표현하며, 회전과 고난도의 기술이 포함됩니다.
• 동작 수: 26동작
8. 한수 (漢水)
• 상징: 한강의 흐름
• 내용: 물처럼 끊임없이 흐르는 동작과 강인한 힘을 표현하며, 유연함과 강인함이 조화됩니다.
• 동작 수: 27동작
9. 일여 (一如)
• 상징: 우주의 하나됨
• 내용: 태권도의 정신과 철학의 최종 완성 단계로, 기술과 정신이 하나로 융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동작 수: 23동작
품새의 장점
1. 기술 체계화: 기본기와 응용 동작을 체계적으로 익히게 해줍니다.
2. 정신 수련: 집중력, 인내력, 예절 등 정신적 수양에 도움이 됩니다.
3. 신체 능력 향상: 균형감각, 유연성, 근력 등을 발달시킵니다.
4. 태권도 철학 학습: 각 품새의 의미를 통해 태권도의 정신과 철학을 배울 수 있습니다.
5. 실전 응용: 기본 동작과 원리를 응용하여 실전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품새의 단점
1. 실전성 부족: 상대방과의 대련과 다르게 정형화된 동작이라 실전 상황과 차이가 있습니다.
2. 반복 훈련의 지루함: 같은 동작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흥미를 잃기 쉽습니다.
3. 개인차에 따른 격차: 숙련도에 따라 품새의 완성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주관적 평가: 심사나 경기에서 심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있습니다.
5. 대중적 인지도 부족: 대중에게는 대련이나 격파에 비해 덜 흥미롭고 주목받기 어렵습니다.
품새는 태권도의 기본기와 정신을 익히는 데 필수적이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전 대련이나 체력 훈련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