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본] 금일 한자 #88 龘 龖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sooniejeon
    @sooniejeon 10 дней назад +1

    흥미롭습니다!

    • @digitarts
      @digitarts  10 дней назад +1

      예전 영상까지 찾아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세상소식-d8u
    @세상소식-d8u 2 года назад +2

    오늘 우연히 이 유트브를 보았는데 강의내용 괜찮습니다.
    자주 보겠습니다.
    Thank you very much ~👍.

    • @digitarts
      @digitarts  Год назад

      댓글을 이제서야 달아 드리네요. 응원 감사합니다.

  • @곰한마리-z1v
    @곰한마리-z1v Год назад +1

    선생님
    오랫만에 인사드립니다.
    반갑습니다.🍵
    어느새
    세월이 유수와 같아서
    작년 이 맘때~?
    요 맘때...생각납니다.
    나이가 한 살 더 먹은게 아쉬운게 아니라
    세월이 흐르는 시간에 깊은 생각을
    머금는 무한히...
    사색하다 뒤질뽄할것같아도..?
    아..?
    우짜란건쥐...
    다행인건쥐 행복한건쥐..
    늘 배가 쌀쌀히 아푼건..!
    반다쉬~?
    저에게 깨우쳐 거듭거듭 한문을 씹어 삼켜 보약으로 마시라는것으로 깨우치고 있습니다.
    속이 쓰리고 배아 ?
    왜!!
    아푼쥐...
    선생님도. 2023년 계묘년
    작년보다 올해 더욱 컨텐츠의 질이
    업그레이드 되시길 바랍니다.
    요기다 제가 공부한걸 올 리기엔
    죄송스러우니..
    노트에 공부해서 올 려 보겠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MEEEE12765
    @MEEEE12765 2 года назад +5

    여기서 중첩 회의자를 더 설명하자면
    畾(밭 갈피 뢰), 羴(누린내 전), 焱(불꽃 혁 00) 등이 더 있습니다.

  • @권오현-h5r
    @권오현-h5r Год назад

    멋져부러 !!!

    • @digitarts
      @digitarts  Год назад +1

      예전 영상까지 찾아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권오현-h5r
      @권오현-h5r Год назад

      @@digitarts 공부 하고 있습니다.. 저 말리지 마세요...
      공부에 불이 붙었으니까요... 궁시렁... 궁시렁.. 궁시렁....

  • @이준원-g3q
    @이준원-g3q 2 года назад +1

    잘 배웠습니다~~~
    고맙습니다~~~^^

  • @권갑용-e4k
    @권갑용-e4k Год назад

    여기 샘님 인기 많으시겠어요~ 저도 잘보고 갑니다

    • @digitarts
      @digitarts  Год назад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태학-h1n
    @태학-h1n Год назад

    Excellent!!!

  • @임홍산-h2s
    @임홍산-h2s 2 года назад

    목소리가아주좋군요

  • @권오현-n7b8f
    @권오현-n7b8f Год назад

    멋쩌부러 !!!

  • @sangrokkim6182
    @sangrokkim6182 2 года назад +3

    용 용을 옆으로 나란히 둘을 붙여 쓰면, 두 마리의 용 '답'
    용 용을 위에 하나, 밑에 나란히 둘을 붙여서 전부 3개를 쓰면, 용이 가는 모양 '답'
    용 용을 위에 나란히 둘을 붙여 쓰고, 아래에도 역시 나란히 둘을 붙여서 전부 4개를 쓰면, 수다스러울 '절', 말 많을 '절'

  • @최종필-t4z
    @최종필-t4z Год назад

    용용자 네개가 합한자는 말많을 절자로 기억하는데 정답인가요

    • @digitarts
      @digitarts  Год назад

      네 폰트로도 거의 표현이 잘 안되는 '𪚥' 이라는 글자는 '말 많을 절' 또는 '수다스러울 절' 정도로 부르는 듯합니다.

  • @서정엽-z8g
    @서정엽-z8g 2 года назад

    잘 배우고 갑니다.

  • @harubang1
    @harubang1 Год назад

    法자가 불교에서 말할 때 글자수가 무척 많은걸로 알고 있는데 혹시 맞기는 한건가요?

    • @digitarts
      @digitarts  Год назад

      아홉 달 전에 제가 만들어 공유한 이 영상을 참고해 보시면 어떠하실지요?
      ruclips.net/video/jHWEhHKlCsg/видео.html

    • @harubang1
      @harubang1 Год назад

      @@digitarts 감사합니다.

  • @노네임-l9d
    @노네임-l9d 2 года назад +2

    선생님 목소리는 IT업체 사장같은데 한자 가르치니까 신기하네요

    • @digitarts
      @digitarts  Год назад

      저에게 그런 이미지가 있는 줄은 몰랐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 @如去여거천기누설
    @如去여거천기누설 2 года назад

    강의 못보고 지나가더라도,
    음과 뜻을 알 수 있도록 달아주세요?

    • @digitarts
      @digitarts  Год назад

      답글이 늦었습니다. 제가 따로 운영중인 블로그에서는 매 슬라이드를 하나하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log.naver.com/digitarts

  • @이선옥-w1g
    @이선옥-w1g Год назад +1

    龘두마리 용 답,龖 용 가는 모양 답, 同體會意 동체회의,

  • @hw7631
    @hw7631 Год назад

    이런 한자는 어떻게 발명된건지 궁금하다 선조들이 심심해서 만들었나?

    • @digitarts
      @digitarts  Год назад

      한자의 형성 과정이 무척 흥미롭습니다.

  • @dongxianjin9728
    @dongxianjin9728 2 года назад

    복희 염제 여와 금천씨 뒤에 월 즉단군은 룡
    삼황과 일월을 가리키여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