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안가는 외국인 관광객, 올다무 찾는 이유|돈스토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세계 1위의 명성을 자랑하던 K-면세점!
    불황도 피해 간다던 이곳이, 어쩐 일인지 위기에 놓였답니다.
    이상한 점은, 방한 관광객은 점점 늘어가고 있다는 건데요.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면세점은 왜 위기를 맞았고
    관광객들은 어디로 흡수되고 있는지
    '돈스토리'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면세점 #올리브영 #다이소

Комментарии •

  • @Ystreet
    @Ystreet 5 дней назад +45

    예전엔 인정 받는 브랜드의 기준이 백화점, 면세점에 들어갔느냐 였는데
    이제는 그게 다이소 올리브영 무신사로 바뀌었네요.
    천지개벽입니다 ;;;

    • @Ystreet
      @Ystreet 5 дней назад +5

      본인 등판입니다 ㅋ

  • @Yangpa2
    @Yangpa2 4 дня назад +22

    면세점은 함정이 너무 많아서. 어디까지나 정가에서 부가세가 면세인거지, 시장가격보다 싸다는 보장이 없음. 귀국해서 최저가 찾아보면 면세점 면세금액보다 싼 경우도 흔함

  • @심쿵두루
    @심쿵두루 2 дня назад +5

    저도 다이소는 쳐다도 안 보다가 요즘 이용하게 시작했어요
    가보면 항상 사람들로 북적북적하답니다

  • @1116hyun
    @1116hyun 3 дня назад +8

    불과 몇년전만해도 시슬리 랑콤 설화수 등등 사용했지만 요즘은
    한두개빼고 올리브영에도 파는 상품들 인터넷으로 구매
    그래도 색조는 샤넬 디올 썼는데
    대학생 딸 영향으로 올영제품사게됨
    기초제품은 유툽 의사들과 마케터영향 큼

  • @Jane-enaJ
    @Jane-enaJ 3 дня назад +13

    다이소에서 화장품 사서 씁니다. 가성비 괜찮더군요

  • @andykal2947
    @andykal2947 3 дня назад +14

    애초에 한국면세점이 외국인 "관광객"이 매출 올리는게 아녔음..
    일종의 합법 탈세? 절세? 공장 처럼 중국 보따리상에 한국제품 유통하던 유통채널 같은 곳이었으니 중국 맛탱이가고 자국내에서 별도 마켓으로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한국 면세 창구를 쓸필요가 없어진거임

  • @눈동자에치얼스-t7i
    @눈동자에치얼스-t7i 22 часа назад +1

    현직 화장품 업계 근무자임. 온라인과 올영제품응 다이소제품이랑 비교했을때 원가차이는 몇 백원에서 1000원 정도로 크지 않습니다. 다만 성분 몇개가 빠지거나, 값싼 용기와 패키지에 힘을 줄여 원가를 최대한 줄인 저가 제품입니다.

  • @penelopepark
    @penelopepark 5 дней назад +20

    나도 이제 면세점에서 비싼 화장품 안사게 됨. 코시국동안 면세점 갈 일이 없었더니 자연스럽게 가성비 화장품으로 세팅되었음.

  • @vampire-x8w
    @vampire-x8w 3 дня назад +5

    물건의 절대적 양도 부족하고 품질도 떨어지던 80년 90년대나 명품을 선호했지...지금은 대부분의 물건품질이 하향고급화 되어 다이소같은 데를 선호하게 되는 것임

  • @younggun7002
    @younggun7002 4 дня назад +8

    공항에서 근무하는데 1터미널 지하1층 올리브영은 진짜 외국인들 맨날 줄 서있어요ㅎㅎ 2터미널 올영은 한가함ㅎㅎ

  • @꺄르투스
    @꺄르투스 5 дней назад +13

    화장품, 의류 같은것들의 수준이 상향평준화 되어 명품브랜드 옷 사는것 아닌이상 올다무 가게 되더라구요

  • @문형모-n2r
    @문형모-n2r 4 дня назад +6

    흠 무텐다드가 올리브영 다이소급인가요?
    매출은 무신사로 나오네요?.

  • @yhea486
    @yhea486 5 дней назад +40

    다이소 없이 못 살아

  • @__-ry3de
    @__-ry3de 4 дня назад +3

    미국에다 올리브영 공장 가동한다는데 ㅎㄷㄷ

  • @호돌이-p3p
    @호돌이-p3p 2 дня назад

    가격얘기가 없네
    요즘은 고물가시대라
    면세점 이제 안먹혀요

  • @JK-xy3zn
    @JK-xy3zn 17 часов назад +1

    관광객대상 매출액 상승 얘기하는데 내국인이 맞다 틀리네 얘기하는게 웃기네

  • @DD-bq9xg
    @DD-bq9xg 4 дня назад +2

    면세점에서 사도 다른 데서 사는 경우보다 비싼 게 태반이니 그렇지 ㅡㅡ

  • @로-s7y
    @로-s7y 4 дня назад +3

    조삼모사 2L 40 기준 그대로 놔두면 뭐가 다른 거야? 잔술로 사 와야 되나?

  • @라키라키-l3l
    @라키라키-l3l 9 часов назад

    어차피 고가 화장품이나 다이소 화장품이나 성분에서 별로 차이가 없음 ㅋㅋㅋㅋ

  • @김새우-x1d
    @김새우-x1d 4 дня назад +2

    한때 화장품은 무조건 인터넷면세점에서 구매해서 썼었는데 시간이 흘러흘러 다이소가 강세로 올라서 아무리 대기업이랑 협업했더라도 에이.. 커피 잘못 하나 잘못 마신셈치고 몇개 사서 써봤는데 와.. 이제는 단품기준 5천원 VS 24만원에 제가 흔들리더라구요
    그만큼 가성비를 논하기엔 감히 품질을 뛰어 넘어섰다고 얘기 드릴 수 있겠더라구요
    해외여행 즐겨해서 차피 인터넷 면세에서 랑콤이니 시세이도니 사서 썼었는데 처음으로 면세품 구매를 망설여져요..
    이 성분에 이정도 함량이면 다이소나 쿠팡에서 1/5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데? 하고 이번부터는 감히 면세품 끊을 수 있을거 같아요
    다이소 흥해서 더 좋은 제품 내놓았음 좋겠어요

  • @Dragon-ht3nv
    @Dragon-ht3nv 4 дня назад

    담배도 한국면세점에서 살 필요없슴. 환율때문에 현지에서 사는거나 차이없슴

  • @TransparentUmbrella
    @TransparentUmbrella 4 дня назад

    우리나라 관점에서 보면 그럴 수 있지만 사실 외국사람의 관점으로 봤을 때 좋은 소식은 한국으로 오는 관광객 층이 다양해졌다는거고 나쁜 소식은 한국으로 오는 관광객이 한국에서 돈을 덜 쓰게 되었다지.. 우리가 일본여행가면 알 수 있지만 일본내에서 비싼 교통수단 타고 먹는데 비용 상관 안 하고 백화점, 생활잡화점, 편의점 등 판매처를 가리지 않고 필요한 것을 구매하는 사람보다 편의점에서 끼니 해결하고 패스끊어서 교통비 아끼고 저급호텔에서 자는 사람이 더 많아진것처럼.
    실질적으로 우리나라에 관광객이 더이상 도움이 안될수도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음.

  • @user-gi3ct4xv4p
    @user-gi3ct4xv4p День назад

    화장품은 올리브영
    생필품은 다이소

  • @cacis
    @cacis 4 дня назад +3

    이건 또 뭔…
    무신사? 그거 지코패션 동대문 보세잖아..

  • @dkw-u1x
    @dkw-u1x 4 дня назад

    다이소에서 김도 팔아? 우리동네 다이소에는 없던데?

    • @tetristarr3389
      @tetristarr3389 2 дня назад +1

      다이소 마다 물건 종류가 진짜 천차만별 이더라고요
      (큰 다이소들이 물건종류 압도적으로 많고 대부분 서울권에 밀집 하더라고요)

  • @abcer19
    @abcer19 2 дня назад +1

    2025년인데 면세한도가 올라서 800불 ㅋㅋㅋㅋ 110만원인데 명품브랜드들 가방이 미니백 아닌이상 200중반 300부터 시작임 그나마 미니백들도 150은 줘야 사고 인터넷이다 직구몰이다 뭐다 화장품 향수 더싸게 살수있고 명품브랜드 가방하나 못사는데 면세점 가서 뭘사겠냐 끽해야 양주 한두병 사지 그마저도 2리터 400불 제한이라 적당한거밖에 못사고

    • @koreanfunnyvideos-c6x
      @koreanfunnyvideos-c6x День назад

      400불이면 발30 조니블루 피딕21 뭘 사도 다 사는데 뭐가부족하냐
      심지어 인당임

  • @야라구해
    @야라구해 5 дней назад +5

    피부는 피부과에서 😊

  • @Josephlee12
    @Josephlee12 4 дня назад +2

    솔직히 백화점에서 파는 한국산 제품들 비싸기만 하고 품질도 별로.. 다이소,올영 중국산 제품들이 맛도리임.

  • @sunlee2213
    @sunlee2213 4 дня назад

    다이소 환경호르몬 뿜뿜 할 것 같아서 못가요

  • @NoBack-e4b
    @NoBack-e4b День назад +1

    올다무 저딴것들은 무한리필집과 다를바 없어 매출 늘어나도 수익율이 거의 없을듯! 빛좋은 개살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