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요금 분석] "이런 분들은 집밥(가정용충전기) 절대~ 하지마세요!!" ||가정용 충전기 렌탈 vs 자가설치 vs 공유충전||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내용 목차]
1:19 숫자 울렁증 있는 분들을 위한 "간단요점정리"
2:28 가정용충전기 종류
3:08 가정용충전기 "설치비용"
5:18 가정용충전기 "자가설치"시 전기차 충전요금 분석
14:24 "집밥"이 유리해지는 최소 사용기간 문의하기
14:49 가정용충전기 "렌탈설치"시 전기차 충전요금 분석
22:48 가정용 충전기(렌탈) vs 공유충전 "전기차 충전요금 비교"
26:17 가정용 충전기(자가설치) vs 공유충전 "전기차 충전요금 비교"
전기차 충전요금 분석을 통해
가장 유리한 충전 방식을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599-1386
ap0360@naver.com
------------------------------
전기차 영업교육 지원신청서
(영업 교육희망하시는 분들은 아래 폼작성 바랍니다)
naver.me/xSNwcxrI
------------------------------
저희 채널 [구독]하시고
채널 [커뮤니티]에 업로드해드리는
제조사 생산 관련 공지
자동차 관련 뉴스
산차장기렌트에 대한 상식 및 정보 등..
여러가지 정보를 받아보세요~^^
-자동차 정보
-신차장기렌트 영업 정보
-중저가 전기차 영업 정보
-정말 쉬운 투잡&창업 정보
[달장사] 와 함께 하나씩 알아가봐요
#전기차충전요금 #달장사
현재 전기차 충전 업체가 독점해서 엄청 말도 안돼게 비싸게 받고 있습니다.
자가로 집에 태양광을 올릴 수 있으면 그냥 1khw에 50원 정도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태양광 1kW 설치시 비용이 150만원이라 가정하면 30년 정도 사용가능하므로
전기생산량이 연간 1200시간일때 30*1200*0.9(모듈 열화 고려) 약 32400kWh를 생산합니다.
즉 1kWh당 46원입니다. 그 정도로 태양광 전기가 쌉니다. 한전 전기료 누진 붙어 kWh당 200원 이상인 것과
비교해도 약 1/4~1/5 값입니다.
전기차가 있고 지붕이 있는 분은 그냥 무조건 태양광 설치해야 합니다.
최곱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편안한 연휴되세요^^
와이거.정보 좋네요 잘보고갑니다
도움되셨다니 다행이에요
편안한 밤 되세요^^
현재 전기차운영하고 220v 집밥으로 충전합니다 보통 40프로정도때 삼사일에 한번정도 충전기 물려놓고 충전하는데 40프로- 95프로 백프로까지 충전하면 약 4000-5000원정도됩니다. 잘때 물려놓으면되고 아주만족해요.
한달 1500km 타면 220v 가정용 괜찬을까요 ?? 누진세 등등 ??
@@쌍두마차누진세가 왜나와 아가야............
@@쌍두마차전비 5킬로 나오면 300kw니까 다른 전력량과 합계해 보셔야죠.합산 400kw 넘어가면 누진구간이니까 평소의 가정내 사용량을 보시면 합계해보셔요.전기차는 전원주택 사는 사람에게 최고 입니다 . 태양광 결합하면 차량과 집 합계 전기요금이 0에 수렴합니다
@@ksi0846 220v 크면 그냥 신고 안하고 가정용전기 쓰는거 아냐?
@@HOME-w8l신고가 왜 필요한데
훌륭하십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되셨다니 다행이에요^^
저같은 경우 회사가 멀어서 평균 월 2000~2500정도에 전비 7정도 나오는데 가정용 충전기 고민하다가...공동주택 특성상(제 전용 자리가 있음에도) 입주민 동의니 뭐니 등등 귀찮은 부분들(같은 건물 사는 사람들과는 다 친하지만요...) 과 설치비와 불입금 나간만큼 아낄 수 있을지가 걸려서 슬슬 포기해가고 있습니다 ㅋㅋㅋ
렌탈 말씀해주신거 보니까 220원 고정인데 회사 건물에서 충전사업자한테 돈내고 충전하는거랑, 집 근처 주민센터(걸어서 가기 귀찮지만요)에서 충전하는게 20%가량 더 싸다보니 더 안땡기네옄ㅋㅋ ㅠㅠ
내년부터 충전인프라에 보조금 예산을 더 편성한다는데
충전기 설치하는 것도 원활하게 바뀌면 좋겠군요
@@cmp1386 비공용 충전기에 대한 중요성을 정책적인 부문에서 많이 간과하는 느낌입니다
비공용 충전기가 늘어나면 그만큼 공용 충전기 과공급으로 인한 예산낭비나 방치되는 공용 충전기들도 분명 줄어들텐데 말이죠...ㅎㅎ
@jyw9652 좋은 의견이십니다!!^^
1년이 지났지만 정말 자세한 설명이네요 자가 충전기는 차 살때 차값과 함께 산다고 생각하면 그냥 저렴하게 타는거네요
연 주행거리 6~7천 km 입니다. 현재 디젤 자가용이고 복합연비 18km/L 인데, 이정도로 주행거리가 짧으면 전기차는 거의 급속으로만 해도 괜찮을까요? 테슬라 모델 Y RWD 모델을 염두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답글이 늦었네요
디젤 연비가 상당히 좋으시군요^^
절대적인 요금만보면 완속으로 많이 해야 유리하겠지만
편의성과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주행이 적으신분들은 판단하시면 될것같은데요
단. 배터리관리 차원에서는
상황이 안되시면 어쩔수없지만
가급적이면 완속충전을 해야
배터리 수명이 오래간다는군요
어쩔수없이
급속충전 위주로 하셔야 한다면
한달에 한번은 완속으로 풀충전을 해주셔야 합니다^^
@@cmp1386 감사합니다!
연 7천이면 걸어 다니셈
1. 가정이지만 계약전력이 12kw입니다. 사용량은 월300이하입니다. 7kw완속충전기 설치하려면 한전시설부담금 필요할까요?
2. 9kw 태양광 설치 예정입니다. 한전에 별도 전기차용 계량기 신청 필요할까요?
2500km 디젤 자가용은 고속이 많아 연비 16킬로 정도 나옵니다
아.. 제가 댓글을 놓친게 있었군요
확인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1. 월 2500km 평균주행하신다는 말씀이시죠?^^
2. 비교하는 전기차가 있다면 정보 부탁드립니다 (차량명/전비/배터리용량 등...)
설명은 자세하게 하셨네요. 그러나 실제소유자 사용 차원에서 경제성 검토 설명은 잘못된 부분이 있습니다.
결론은 전기차는 차량 운행이 많은 경우에 사야 합니다. 월 3000km 이상,원거리 출근자들이 사용 해야 합니다. 단순시 전기시용료만 아닌
전기차가 일반차보다 6~7백만 이상 비용이 듭니다. 이것까지 넣어야 경제성의 검토되어야 합니다. 결론은 많이 운전하는 사람에게 전기차
구입해야 하고 그것도 집밥을 설치하여 저녁 10시부터 다음날 8시까지 충전하면 많은 이익이 나옵니다,(하이브리드의 절반값 )
월2000km 이하는 비추 입니다, 하이브리드로 가세요
좋은 지적이십니다!!
저도 처음에는 차량가격까지 포함하여 경제성 비교를 하려고 했었어요.
그런데 전기차는 동일차량과 옵션으로 비교가 가능한
가솔린/디젤/하이브리드와 같이
객관적인 비교가 어려운 점이 있어서
전기차 가격부분을 배제하게 되었고
이미 전기차 구매를 결심하신 분들을 위한 영상으로 방향을 잡게 되었습니다.
말씀처럼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가 유리하신 분들도 계실테고
하이브리드보다 가솔린이 더 유리한 분들도 계실거에요
하이브리드도 동일차량/옵션으로
가솔린차량과 비교했을때
차량가격이 약 300만원 전후로 비싼데요
가솔린차량보다 하이브리드가 300 만원 이상 기름값 절감이 되어야 유리하기에
하이브리드도 주행을 많이 하고 오랜기간 운행해야 유리해질 확률이 높아질테니까요.
이렇듯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보니
이런 부분을 답지도 못했는데도
영상 길이가 30분이 넘었네요^^;;
제가 요약을 잘 못해서 일수도 있어요 ㅎㅎ
앞으로
중저가 전기차들이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할겁니다.
올해는 BYD의 2-3000만원대 전기차를 신호탄으로
현기차에서도 위기의식을 느끼게 될테고
지금보다 저렴한 가격의
중저가 전기차 출현은 불가피하겠죠..
이렇든 저렇든
긍정적인 가격대의 전기차들이 나와주고
충전시설의 이슈들이 빠르게 해결되길 바래봅니다.
기회가 된다면
차량가격까지 포함한 경제성 비교를
꼭 한번 해보고 싶네요.
좋은 지적과 관심 가득한 댓글 남겨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키로수 안 많으면 가정 전기 사용액을 감안 누진세를 부담해도 저렴할수 있다고 봐야..단 태양광설치하면 겨울빼곤 발전량이 많아서 더더욱 유리할듯..
충전기 설치 보조금 차량가격에 포함해서 100만원 나옵니다.
차량구매시 지원받는 프로모션 같은 경우는
특이사항 으로 볼 수 있겠네요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cmp1386제네시스ev말고 본적이 없눈디.. 저희는 타운하우쓰인데 주차장 3집 주차장 공유하는데 택시하시는 분이 설치해놓으셔소 공동관리하면서 같이써요 ㅎ 하나 더 설치해야겠어요. 주차 10대인데 그중 4대가 전기차..
렌탈을 해보려 하는데 어디에 물어볼지 몰라서 댓글 남겨 봅니다 궁금한점이 많아서 글로써 남기는거보다는 유선상으로 여쭤보고싶은데요…
환경부담금? 렌탈시 두번 내게되는건가요..? 아니면 유예?
@@warmwarmheart 한전시설부담금 말씀이시죠?
렌탈의 경우
최초에는 렌탈회사가 대납해주는데
해지시에는 납입하셔야 합니다
저는 한달에 2500km 정도 타고 있고요 집밥으로 22시에 매일 충전하니까 밖에서 급속충전 않쓸 경우 한 달에 15만원이 최대치로 나왔네여
전에 카니발 9인승 LPI운행 했을때 50~70만원 연료비를 쓰고 3개월마다 엔진오일 5만원에 갈고
전 지금 넘 만족합니다
집밥 설치비는 한전에 54만원 설치비+기기 100만원 정도 들었어요 요즘은 전기차 회사에서 기기정도는 이벤트로 무상공급을 해주는 곳이 많네요
@@조용술-m1t 오~좋은 정보 공유주셔서 감사합니다^^
심야전력으로 심야보일러 사용하는 단독주택입니다. 밤11~아침 9시까지 심야보일러 전원코드에 연결해서 전기차 충전해도 되는지요?
안됩니다. 심야전기는 보일러이외에 사용하면 불법이고. 귀신같이 알아서 단속나와서 요금폭탄 맞습니다.
농사용도 마찬가지구요.
가솔린 차와 전기차 수리비 비교해 주세요 전기차는 (배터리) 분리 해서 부탁드립니다
수리비 영역은 제가 좀 더 연구를 해보고 참고하겠습니다
의견주셔서 감사해요^^
저희집은 여동생 코나EV 남동생 아이오닉5 어머니가 개인택시로 EV6를 타고 가정용충전기를 설치해서 사용중입니다. 어머니는 하루에 약 400Km정도 주행을 하시고 남동생은 하루에 약 60Km 여동생도 비슷하게 약 60Km정도 주행합니다. 요금은 적게 나올땐 28만원에서 많이 나오면 38만원까지 나와요. 대체로 만족하면서 사용중입니다. 지금 제가 타는 3.0LPG 19년식 K7이 어머니가 영업용으로 타시다가 주셨는데 이거 타실땐 한달에 가스충전비가 170만원정도 나오셨었거든요.
EV6 구입하시고 지금 한 23만탔는데 자잘한 고장조차 없이 잘 타고 계세요.
우와~ 알뜰하게
가정용충전기 사용하고 계시는군요
3.0LPG는 가스 먹는 하마로 알고 있는데
전기차로 연료비용은 많이 아끼고 계시군요
어머님께서 개인택시하시면
시내운전이 많으실텐데
시내운전으로 400KM면.. 정말 고생이 많으시겠네요
사례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리고
모든가족분들
항상 안전운전하시길 기원합니다^^
하루 400km.. 엄청나네요. 전 하루 30km인데😅
하루에..400km요?
내연대비 전기차 차량가격을 산출하지 않은 치명적 오류를 범하셧네요.. 동급 내연대비 약 천만원이상 전기차가 비싼데 그 비용을 녹여서 계산하면 전기차가 유리할까요? 조삼모사나 다름없습니다
@@yeonichannel 이번 영상의 제작취지를 일부 오해하신듯 합니다. 해당영상 제작의 취지는 이미 전기차를 이용하는 분들과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시는 분들에게 충전방식에 따른 요금을 비교하여 본인에게 맞는 방식을 결정하시는데 도움드리는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참고로 내연대비 실구매가격이 더 저렴한 전기차도 간혹 존재는 합니다^^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차량구매보조금에서 충전기 설치비나 지원해주지
좋은 의견이시네요~
내년부터는 전기차보조금 예산은 더 줄이고
충전 인프라예산을 늘린다는 얘기는 있더라구요
dhk....와..30분영상......
어찌하다보니... 말이 길어졌네요^^;;;;
가정용 충전기를 설치하지 않고, 220V 휴대용 충전기로 충전할때 요금도 계싼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휴대용충전기도 별도 요금제로 하는 것도 있지만
일반적인 충전기는
일반전기 요금에 합산되어서
가정용전기일 경우 누진세가 나와서
단가 계산이 복잡하더라구요
전기차충전 많이하면
전기요금 폭탄맞을수있겠던데요^^;
잘 전달드릴 방법이 있는지 연구해보겠습니다^^
월 1500km 타는데 가정용 220v 으로 누진세 등등 괜찬을까요??
저희집 kw당 220원 인데...
네~^^
영상에서 말씀드린대로
표준단가로 비교를 해봤고
충전기 회사별 충전단가들은 상이할수있습니다. 또한 제휴카드할인분 은 반영되지 않았으니
단순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요점만.....
영상 앞부분에서 요점을 말씀드린대로
주행 많이 안하면
가정용 충전기가 오히려 안맞을 수도 있다는겁니다
한전에 신청하면 무료로 설치해주는데 모르는거 같으네요.집 계량기는 누진제로 많이나와 충전기 무료설치해야돼요.
가정용의 경우는
한전시설부담금등을 내는 경우가
더 많은걸로 알고 있었는데
무료로 가능한 방법이 있다니~
공유 좀 부탁드려요^^
저도 공유 부탁드립니다
한전불입금 무조건 있던데 ㅜㅜ
말도 안되는 계산법 난 월15000키로 에서20000키로 다니는데 4만원 정도 나오는데 뭔가 틀리네
연이겠죠...? 월 2000~2500키로 타는데 카드할인 받고 그 외에 완속 좀 쓰고 하다보니 월 5ㅡ6만원정도 나오긴 하네요
제휴할인등이 반영되지 않은
공시되는 기본충전단가로 계산되었고
타고 계신 차량의 전비에 따라 계산이 달라지니
영상에서 말씀드린대로
단순참고용으로만 봐 주시면 좋겠네요^^
저희아파트에서도
카드할인받고 완속충전하먼
kw당 100원대도 나오긴 하더라구요
제휴할인까지 담고 싶었는데
지금 영상도 너무길어서 무리가 있더라구요
좋은 아이디어나 경험담있으시면
많은 공유드릴게요^^
전비 7km나오면
정말 전기차 탈 맛 나겠네요^^
공유 감사드리고 항상 안전운전하세요 ~
솔직히 저는 월 1500킬로에 2만원
@@신창호-w1c 오~ 그러시군요
혹시 공유충전하시나요?
차랑전비와
어떤 앱을 활용하시는지
어떤 제휴카드로 할인받으시는지
시간되실때 공유 가능하실까요?^^
최대부하는259원
촬영당시에 한전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했었는데요.
현재시점 오류가 있을 수 있겠네요
현시점 오류가 있는 부분
관심가져 주시고 체크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