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하신 내용은 건축물의 열교현상(Cold Bridge)에 대한 외벽의 내단열및 공간쌓기시 단열재설치 구조를 말씀하시는것 같은데요 건축물 설계및 시공에 있어서 여러가지 공법을 적용하더라도 완벽한 건축물은 있을수 없는 것일 겁니다 다만 건축물의 열손실에 의한 결로현상과 백화현상, 외부의 습기유입으로 인한 하자를 최소화 하기위한 여러가지 신 공법들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것이겠지요 즉 창호와 외부의 접합부를 밀실처리한다거나 단열재등급의 고급화 단열필름의 이중시공 시스템창호중 단열바등을 적용하여 에너지손실 의 최소화와 열교현상을 최소화 하기위해서 설계에서부터 시공에 이르기 까지 적절하고 정직한 건축행위가 이루어져야 할것입니다 제 콘텐츠에서 소개해드린 창문과 외벽부 구조는 건축법규 및 외벽설계기준에는 하자가 없을 것입니다 건축물 시공시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옥상배수트레인 이라든지 옥상조경부분처리 외벽창호접합부처리 등 습기유입의 취약한부분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점들을 우리 기술인들이 노력하고 최소화 할려고 많은 노력을했고 특허된 재료시공도 많이 있을 것이니 그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 콘텐츠에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궁금한게 있는데 23:30 을 보면 창호랑 벽이 만날때 내단열으로 조적이 ㄱ자로 마감처리됩니다. ㄱ자로 꺽인다는 것은
단열이 끊어진다는 것인데 단열규정에 어긋나는 것이 아닌지요?
궁금하신 내용은 건축물의 열교현상(Cold Bridge)에 대한 외벽의 내단열및 공간쌓기시 단열재설치 구조를 말씀하시는것 같은데요
건축물 설계및 시공에 있어서 여러가지 공법을 적용하더라도 완벽한 건축물은 있을수 없는 것일 겁니다
다만 건축물의 열손실에 의한 결로현상과 백화현상, 외부의 습기유입으로 인한 하자를 최소화 하기위한 여러가지 신 공법들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것이겠지요
즉 창호와 외부의 접합부를 밀실처리한다거나 단열재등급의 고급화 단열필름의 이중시공 시스템창호중 단열바등을 적용하여
에너지손실 의 최소화와 열교현상을 최소화 하기위해서 설계에서부터 시공에 이르기 까지 적절하고 정직한 건축행위가 이루어져야 할것입니다
제 콘텐츠에서 소개해드린 창문과 외벽부 구조는 건축법규 및 외벽설계기준에는 하자가 없을 것입니다
건축물 시공시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옥상배수트레인 이라든지 옥상조경부분처리 외벽창호접합부처리 등 습기유입의 취약한부분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점들을 우리 기술인들이 노력하고 최소화 할려고 많은 노력을했고 특허된 재료시공도 많이 있을 것이니 그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 콘텐츠에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