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가 생기는 원인은 건조속도가 좌우하거든요 예를 들면 두껍게 바른부분은 건조가 늦어져서 생기고 얇게 바른부분은 건조가 빨라서 안생깁니다 보통 작업이 끝나고 반나절이 지났는데도 덜 말라있던 부분(깊은곳)은 일주일후 가보면 무조건 백화가 피어 있습니다. 두번째로 습도랑 관련이 큽니다. 습도가 높은상태에서는 빨래도 잘 안마르듯이 시멘트도 잘 안마르기 때문에 건조가 늦어지면서 생기게 됩니다 여름 장마철, 지하 4층이상, 작업후 비맞은 외벽 등등이 예 입니다. 그래서 아파트 외부는 백화가 피어도 표시가 안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하기도하는데 강도가 일반 시멘트보단 약해서 내부작업면에서 사용하려면 몰다인을 조금 넣어서 작업하시면 되게습니다.
시멘트에 넣는 약품중 부산에서 생산하는 롯데몰이 좋더라구요 생산회사는 "아메사"이구요 적당한 찰기와 미끄럼성이 장난 아닙니다
약을 적게넣은 빠다는 붓질을 아래부터 해주면 좋습니다 이유는 천정부터 붓질을 하면 물이 벽에튀게 되는데 물이 튀었던부분을 붓질하게되면 물이 흘렀던자리가 파이기 때문입니다
최견출님 믹서기 돌리신빠다인가요?
@@이미-b9n 아뇨 전 믹서기 안써요^^ 저빠다 밑에 영상에서 만든 땜빵용 빠다에요 시야기랑 겸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최견출님 혹시 백화현상 막는 방법 없을까요?
백화가 생기는 원인은 건조속도가 좌우하거든요 예를 들면 두껍게 바른부분은 건조가 늦어져서 생기고 얇게 바른부분은 건조가 빨라서 안생깁니다 보통 작업이 끝나고 반나절이 지났는데도 덜 말라있던 부분(깊은곳)은 일주일후 가보면 무조건 백화가 피어 있습니다. 두번째로 습도랑 관련이 큽니다. 습도가 높은상태에서는 빨래도 잘 안마르듯이 시멘트도 잘 안마르기 때문에 건조가 늦어지면서 생기게 됩니다 여름 장마철, 지하 4층이상, 작업후 비맞은 외벽 등등이 예 입니다. 그래서 아파트 외부는 백화가 피어도 표시가 안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하기도하는데 강도가 일반 시멘트보단 약해서 내부작업면에서 사용하려면 몰다인을 조금 넣어서 작업하시면 되게습니다.
@@plaster2922아파트계단하고있는데 백화현상때문에 지저분하게 보여서 걱정이였는데 몰다인 넣어서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미-b9n 몰다인은 강도때문에 넣는거지 백화는 생깁니다 고로슬래그로 하신다면 관계없구요
@@plaster2922 그냥시멘트 인데머리 아프네요. 백화현상 못막겠네요.ㅜㅜ
@@이미-b9n그러면 땜빵하시고 몇일 묵혀 완전건조시키고 시야기 칠때는 칼에 힘줘서 얇게바르고요 붓질할때 물을 털어내서 마른붓으로 솔질하면 덜생깁니다. 그리고 백화현상 가지고 사무실에서 자꾸 지적하면 고로슬래그로 바꿔달라고 하세요
아니견출마자요 ㅋ참좀만이하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