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tv2080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귀뚜라미 보일러를 쓰고 있는데 01에러 절연 불량인 듯하여 말씀해 주신 대로 전극봉 세트를 사포로 긁으니 잘 작동됩니다. 한데 점화 트랜스를 꺼냈을 때 사이에 있는 ‘절연바’가 부식되어 떨어져 나가더라고요. 보일러 작동은 잘됩니다만 살짝 걱정입니다. 못 들은 소리도 중간중간 나는 듯(?)하여 혹여 고압으로 폭발하는 경우가 발생할까 봐 씻을 때 짧게 쓰고 있습니다. 개인 사정으로 당분간 점검을 못 받고 써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짧게 쓰면 문제 없을까요? ㅠ
@@가온-e8p 오래된 보일러는 일반적으로 전극봉 청소시 유리섬유로 된 '가스켓'이 부서지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그 가스켓이 아닌 '절연바'가 떨어져 나갔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상태로 짧게 사용하는 것은 임시방편이 될 수도 있지만, 부품 부식 및 이상 소음을 고려하면, 빠른 점검과 수리가 꼭 필요합니다. 그때까지는 사용 시간을 최소화하고, 보일러 주변 환경의 환기와 상태 점검을 철저히 해야할 것 같네요.
점화 후 3초 정도 지나서 꺼지는 문제는 연소 관련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요. 이전에 발생했던 에러 코드 49는 종종 가스 또는 연소 불량과 관련이 있는데, 이 코드가 다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같은 원인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으니 해당 부위들을 다시 확인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그래서 우선은 본 영상에서와 같이 전극봉 청소를 먼저 해 볼 수도 있습니다.(전극봉 청소전에 영상 '설명'란에 있는 내용들을 참고 바랍니다!) 한편으로, LPG 가스 압력이 일정하지 않으면 불꽃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가스 압력이 너무 낮거나 높으면 점화 후 불이 꺼질 수 있으므로, 이 부분도 점검이 필요해 보입니다. 또한 드물지만, 간혹 배기 가스 통로에 문제(예: 막힘)가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 배기 가스가 원활히 빠져나가지 않으면 보일러가 작동을 멈출 수 있으니 통로에 장애물이 없는지 확인해 보세요.
@@Hoteloptimists 예, LPG 가스통 두 개를 연결해 사용하는 장치(부품명: 가스 자동전환기 또는 가스 자동교체기)가 불량일 확률도 있어 보이네요. 이 장치는 두 개의 가스통을 동시에 연결하여 하나의 가스통이 비었을 때 자동으로 다른 가스통으로 전환되도록 해주죠.
경동 03 에러가 자주 뜨는 경우는 거의 점화라인 불량인 경우로서, 본 영상과 같은 방법으로 조치하면 해결될 확률이 약 절반 정도는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그 외 거버너 불량 등의 원인도 있습니다. 그리고 순환펌프 불량 또는 분배기(구동기) 문제인 경우도 드물지만 간혹 있습니다.
보일러는 돌아가는데 방이 안따뜻한 경우는, 삼방밸브의 작동 불량으로 인해 난방쪽을 막고 온수쪽에 고착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순환펌프의 불량인 경우와 난방배관 내부에 이물질이 심하게 많이 있는 경우 등입니다. 그래서 우선은 삼방밸브 응급조치(작업영상: ruclips.net/video/67XOXCG0HIY/видео.html )를 가장 먼저 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제한적이지만, 운좋게 해결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순환펌프용 모터의 기동 콘덴서( 작업영상: ruclips.net/video/058Df40EMgg/видео.html )를 교환해 보시고, 그래도 안되면 A/S 요청을 해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한 후, 보일러 문제가 아니라면, 그러면 맨 마지막에 난방배관 청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고장이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보일러의 부품들중에서 모터의 고착방지 목적과 함께, 또한 겨울철 난방배관의 동파방지 목적으로 보통 2~3시간마다 약 1분 미만(각 보일러 업체마다 상이함) 정도씩 가동을 하도록 설계가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이런경우에 가스는 전혀 소모되지 않고, 매우 적은 금액의 전기요금만 발생됩니다.
가스밸브 가스안에 있는거 하고 밖에 있는 밸브 확인 다 해 보세여.이것저것 해바도 안되다 서비스 부르려던 찰라에 여기 글 보고 밸브 확인해 보니 밖에 밸브가 잠겨 있었네여 검침원이 잠가놓은거 같아요 잘 안쓴다고,, 가스 보일러 안에 밸브는 확인했었는데 혹시 밖에 밸브가 있지 않을까 싶어 가보니 밖에 가스검침 하는쪽에 밸브가 있었어여.
말씀하신 증상의 원인에 대해서는 난방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센서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다시한번 더 점검을 해달라고 요청하시고(그러나 순서적으로는), 그 전에 또다른 원인이 될 수 있는 난방필터 청소를 샐프로 먼저 해 볼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간혹 해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증상의 원인들 중의 하나로서, 온도 센서(수온 센서) 또는 유량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온수를 틀었을 때 보일러가 작동 신호를 받지 못해 LED가 켜지지 않는 경우입니다. 그리고 전기적/전자적 결함의 가능성도 높으므로, 컨트롤러(PCB) 점검도 또한 추천합니다. 위의 두가지 내용들은 린나이에 서비스 요청해서 점검 및 수리를 받으시기 바라며, 그전에 소비자가 먼저 해 볼 수 있는 조치는, 필터가 막혔거나 수압이 낮은 경우, 필터 청소 및 수압 조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들로서 비슷한 증상을 유발시키는 경우도 간혹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영상에서 말씀드린 '진성' 점화불량은 일시적인 가성 불량이 아닌 경우를 말합니다. 즉, 대표적으로 일시적인 가성 점화불량은 콘트롤러(PCB)의 전기신호가 일시적으로 불량인 경우(전원플러그를 뽑았다가 약 30초 후 재연결), 이사온 직 후 집밖 메인밸브 또는 집안 중간 가스밸브가 닫혀있는 경우, 외부에서 보일러실내로 공기 흡입이 원활하지 않아서 연소용 산소량이 부족한 경우(보일러 상단 급기구를 조금 열어 둠) 등과 함께, 장마철 또는 평소에 비가 많이 온 후 매우 습한 경우 등이 있겠습니다.
진짜 대박 입니다. 자주쓰는 보일러가 아니여서 몇년간 쓸때마다 계속해서 점화가 안되서 코드 꼽고 빼고 엄청 나게 했는데.....청소후 잘 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부자 되세요~~~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잘되요 감사합니다^^
잘 된다고 하시니 다행이네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cwtv2080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귀뚜라미 보일러를 쓰고 있는데 01에러 절연 불량인 듯하여 말씀해 주신 대로 전극봉 세트를 사포로 긁으니 잘 작동됩니다. 한데 점화 트랜스를 꺼냈을 때 사이에 있는 ‘절연바’가 부식되어 떨어져 나가더라고요. 보일러 작동은 잘됩니다만 살짝 걱정입니다. 못 들은 소리도 중간중간 나는 듯(?)하여 혹여 고압으로 폭발하는 경우가 발생할까 봐 씻을 때 짧게 쓰고 있습니다. 개인 사정으로 당분간 점검을 못 받고 써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짧게 쓰면 문제 없을까요? ㅠ
@@가온-e8p 오래된 보일러는 일반적으로 전극봉 청소시 유리섬유로 된 '가스켓'이 부서지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그 가스켓이 아닌 '절연바'가 떨어져 나갔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상태로 짧게 사용하는 것은 임시방편이 될 수도 있지만, 부품 부식 및 이상 소음을 고려하면, 빠른 점검과 수리가 꼭 필요합니다. 그때까지는 사용 시간을 최소화하고, 보일러 주변 환경의 환기와 상태 점검을 철저히 해야할 것 같네요.
저희도 점화플러그 빼서 보니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서 마주보게 했더니 넘 잘되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전극봉 사포로 문질러서 청소했더니 점화가 아주 잘 됩니다. 꿀팁 감사드려요
전극봉 청소 후 점화가 잘 된다고 하시니 다행입니다!
귀뚜라미.보일러 점화될때 펑펑소리가 대단하게 커서 언젠가 불나서 죽는거 아냐as 해달라고 오지도 안와서 3년쓰고.버림
이런영상이 도움도 되지만 점화 안될때 참고하시고 점화잘되는보일러 괜히 전극봉 빼고 다시끼면 내열부직포 찢어져서 다시메꾸기 힘들어요~~잘못조립하시면 전극봉사이로 불나옵니다
콘덴서를 갈아주고 잘 사용하다가 1주일후 다시 점화문제거 생겼어요. 불은 붙어요: 3초후정도에 꺼집니다. lpg 쓰고 있고요. 에러코드는 없어요. 그 전에 에러코드는 49번 이었어요. 나비엔입니다. 어떤 조치를 해봐야 할까요?😅
점화 후 3초 정도 지나서 꺼지는 문제는 연소 관련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요. 이전에 발생했던 에러 코드 49는 종종 가스 또는 연소 불량과 관련이 있는데, 이 코드가 다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같은 원인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으니 해당 부위들을 다시 확인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그래서 우선은 본 영상에서와 같이 전극봉 청소를 먼저 해 볼 수도 있습니다.(전극봉 청소전에 영상 '설명'란에 있는 내용들을 참고 바랍니다!)
한편으로, LPG 가스 압력이 일정하지 않으면 불꽃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가스 압력이 너무 낮거나 높으면 점화 후 불이 꺼질 수 있으므로, 이 부분도 점검이 필요해 보입니다.
또한 드물지만, 간혹 배기 가스 통로에 문제(예: 막힘)가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 배기 가스가 원활히 빠져나가지 않으면 보일러가 작동을 멈출 수 있으니 통로에 장애물이 없는지 확인해 보세요.
@ lpg가스가 갑자기 일정하지 않을수가 있나요?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전극봉청소는 해봤는데 불 붙는거까지는 똑같이 잘되는데 유지가 안됩니다.
@ 통 두개 연결해서 쓰는 분배기(?) 이게 자세히보니 권장사용기한이 6년인데 이걸 바꿔봐야 할까요?🥹
@@Hoteloptimists 예, LPG 가스통 두 개를 연결해 사용하는 장치(부품명: 가스 자동전환기 또는 가스 자동교체기)가 불량일 확률도 있어 보이네요. 이 장치는 두 개의 가스통을 동시에 연결하여 하나의 가스통이 비었을 때 자동으로 다른 가스통으로 전환되도록 해주죠.
@@Hoteloptimists 아래 답글을 참조바랍니다.
이렇게 자세히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래도 어려운거 같아요 아직 시도는 안해 보았지만요
경동 03 숫자가 자꾸자꾸 뜹니다
껏다 켰다하면 1분도 안되서 03 숫자가 자꾸 떠요
경동 03 에러가 자주 뜨는 경우는 거의 점화라인 불량인 경우로서, 본 영상과 같은 방법으로 조치하면 해결될 확률이 약 절반 정도는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그 외 거버너 불량 등의 원인도 있습니다. 그리고 순환펌프 불량 또는 분배기(구동기) 문제인 경우도 드물지만 간혹 있습니다.
@@cwtv2080 네 네 사장님
친절하게 설명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건강하시고 행복 하세요
@@주보화주보화 감사합니다!
보일러 물은 들어가는데 방이 안따뜻한경우는 어떤게 잘못된건가요?
따뜻한 물은 나와요
일주일가량 틀어놔도 방이 안따뜻합니다
보일러는 돌아가는데 방이 안따뜻한 경우는, 삼방밸브의 작동 불량으로 인해 난방쪽을 막고 온수쪽에 고착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순환펌프의 불량인 경우와 난방배관 내부에 이물질이 심하게 많이 있는 경우 등입니다. 그래서 우선은 삼방밸브 응급조치(작업영상: ruclips.net/video/67XOXCG0HIY/видео.html )를 가장 먼저 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제한적이지만, 운좋게 해결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순환펌프용 모터의 기동 콘덴서( 작업영상: ruclips.net/video/058Df40EMgg/видео.html )를 교환해 보시고, 그래도 안되면 A/S 요청을 해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한 후, 보일러 문제가 아니라면, 그러면 맨 마지막에 난방배관 청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cwtv2080 감사합니다
가스보일러 사용를 사용안하는데도 보일러에 전기가동하는거처럼 소리가 나네요 고장인가요
고장이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보일러의 부품들중에서 모터의 고착방지 목적과 함께, 또한 겨울철 난방배관의 동파방지 목적으로 보통 2~3시간마다 약 1분 미만(각 보일러 업체마다 상이함) 정도씩 가동을 하도록 설계가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이런경우에 가스는 전혀 소모되지 않고, 매우 적은 금액의 전기요금만 발생됩니다.
그렇군요 답변감사합니다
가스밸브 가스안에 있는거 하고 밖에 있는 밸브 확인 다 해 보세여.이것저것 해바도 안되다 서비스 부르려던 찰라에 여기 글 보고 밸브 확인해 보니 밖에 밸브가 잠겨 있었네여 검침원이 잠가놓은거 같아요 잘 안쓴다고,, 가스 보일러 안에 밸브는 확인했었는데 혹시 밖에 밸브가 있지 않을까 싶어 가보니 밖에 가스검침 하는쪽에 밸브가 있었어여.
점화불량 as불렀는데 다음날 온다고해서 그냥 점화봉 풀러서 청소해보니 아주 잘되네요. 자동차 가솔린차 점화풀러그처럼 교체주기가 있나보네요
청소후 잘 된다고 하니 다행이네요! 보일러 약 10년 사용 기간동안 1번 정도는 A/S를 통해서 교체하는 경우가 많죠.
안녕하세요,
린나이 보일러를 사용하는데, 언젠가 부터 가스불이 붙었 다가 꺼졌다가를 반복하다가 44에러를 보이면서 꺼집니다..
수리기사분을 3번 불렀는데 집에 누전이 있어서 그렇다고만 하셨는데요, 다른쪽으로 연결을 해도 증상은 동일합니다..
가스불이 점화되서 지속적으로 유지되지않는것이 그것과 관련이 있을까요??
어떤것과 관련있는 증상인지 문의드립니다 ㅠㅠ 코드뽑고 껐다가 켰다가를 계속반복하면 어떤때는 되다가 꺼지고 어떤때는 유지가 되는데요.. 아기있는 집이라 고민 이 많습니다 ㅠㅠ
말씀하신 증상의 원인에 대해서는 난방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센서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다시한번 더 점검을 해달라고 요청하시고(그러나 순서적으로는), 그 전에 또다른 원인이 될 수 있는 난방필터 청소를 샐프로 먼저 해 볼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간혹 해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ㅡㅡ 글쓴이집에 접지에 전기가 와서 노이즈 정상 말하는거 같은데 .....
기사가 테스트기 찍어 보고 말하지 않앗을까요
또한 전기적 문제(누전이나 접지 문제)가 의심된다면, 즉 다른 전기회로에 연결해도 같은 증상이 반복될 때는, 아래 다른 분의 '답글' 의견처럼, 접지의 전류 유입 문제를 점검해야 할 수 있습니다.
@@기타등등-z3u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같은 경우 12년산 린나이 보일러 인데여 온수를 틀면 콘트롤러연소LED에 불이 들어와야 한데 안들어와서 보일러실에 가서 전원코드 뽑았다 다시 연결하면 보일러 가동소리가 나서보면 LED에불이 들어와서 온수가 나옵니다. 문제는 매번 반복하는 겁니다. 왜그런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말씀하신 증상의 원인들 중의 하나로서, 온도 센서(수온 센서) 또는 유량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온수를 틀었을 때 보일러가 작동 신호를 받지 못해 LED가 켜지지 않는 경우입니다. 그리고 전기적/전자적 결함의 가능성도 높으므로, 컨트롤러(PCB) 점검도 또한 추천합니다. 위의 두가지 내용들은 린나이에 서비스 요청해서 점검 및 수리를 받으시기 바라며, 그전에 소비자가 먼저 해 볼 수 있는 조치는, 필터가 막혔거나 수압이 낮은 경우, 필터 청소 및 수압 조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들로서 비슷한 증상을 유발시키는 경우도 간혹 있기 때문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 👍 👍 👍 👍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성점화 불량이 먼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에서 말씀드린 '진성' 점화불량은 일시적인 가성 불량이 아닌 경우를 말합니다. 즉, 대표적으로 일시적인 가성 점화불량은 콘트롤러(PCB)의 전기신호가 일시적으로 불량인 경우(전원플러그를 뽑았다가 약 30초 후 재연결), 이사온 직 후 집밖 메인밸브 또는 집안 중간 가스밸브가 닫혀있는 경우, 외부에서 보일러실내로 공기 흡입이 원활하지 않아서 연소용 산소량이 부족한 경우(보일러 상단 급기구를 조금 열어 둠) 등과 함께, 장마철 또는 평소에 비가 많이 온 후 매우 습한 경우 등이 있겠습니다.
저희도 대성인데 A6에러가 간헐적으로 뜨네요
에러뜨면 다시 보일러 껐다켜서 사용하기를 1년정도 된거같은데
전극봉 사포질했는데도 해결이 안되네요 ㅜ
전극봉 청소로도 해결이 안되면, 그러면 거버너(가스자동제어밸브) 부품을 교체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네요.
점화부분 사포질하는거 위험하다고 a/s기사님이 그려셨어요..사포질 하지말고
A/S신청해서 점화트렌스같은 소모품 교체문제가 많으니 3년전에 무료이니 전문가의 도움받아 안전하게 사용하라고 하시네요..
감사합니다 작동됩니데이 사랑합니데이❤
작동된다니 다행이네요
가동버튼에 2~3회 초록불이 들어왔다 꺼진 뒤 A6 경고가 떠서 찾아봤습니다. 점화플러그 살살 긁어서 다시끼우면 잘 되는듯 싶다가 며칠 지나면 다시 뜨고를 반복하네요 ㅜㅜ
그러면 거버너와 메인 PCB 고장 중에 하나일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