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 Eng, Jpn) 세바시 553회 모멸감과 자존감 | 김찬호 성공회대 교수, '모멸감' 저자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 김찬호 교수의 강연 섭외를 원하시면 세바시팀으로 문의해주세요. 문의전화 | 02-2652-2102
✻ 세바시 페이스북 페이지 | / sebasi15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일상의 상당 부분은 타인과의 관계로 구성됩니다. 우리는 거기에서 여러 가지 감정들을 경험하는데요. 최근 갑을관계와 감정노동이라는 이슈가 부각되면서 모멸감에 대한 담론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왜 타인을 모욕하고 경멸하는 것일까요. 그런 대접을 받을 때 우리에겐 어떤 반응이 일어날까요. 그리고 그러한 적대적 관계를 넘어서 인격과 품위를 지키는 길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요. 여러분과 마음의 문법을 풀이하면서 사람됨의 근본을 되묻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한글자막 : 최광효 (jesuslovr0515@gmail.com)
--------------------------------
Most of our lives consist of our relationships with others. We experience many different kinds of emotions from it. Recent issues including top-bottom relations and emotional labor are becoming active topics for the discussion on humiliation. Why do we insult and humiliate others? How would we react to such treatment? Can we find a way to keep both humanity and dignity? Let's take some time to peer inside the human mind and think about what makes us fundamentally human.
English Subtitle: 연결고리팀 (dyouns7@live.co.kr)
English Review: Stacey Cho (staceycho89@gmail.com)
セバシ-世の中を変える時間15分 第553回「軽蔑されることと自尊心」キム・チャンホ(聖公会大学 教授)
日常生活のほとんどは他人との関係で構成されています。私たちはそこでいくつかの感情を経験します。最近,パワハラや感情労働が話題になっていて軽蔑されることも話題の一つです。なぜ他人を侮辱して軽蔑するのでしょうか。このような関係でどんな反応をすればいいでしょうか。そしてこのような敵対関係を超えて人格と品位を守る方法はあるでしょうか。皆さんと心の公式を解きながら人間らしさの根本を問い直す時間を持ちたいと思います。
*Japanese Subtitle : Yukiko Hara (anne_yukiko@naver.com)
*セバシ講演コンテンツの著作権は「㈱世の中を変える時間15分」が所有しています。映像及び音声の不法ダウンロード、再アップロード、再加工等の行為は法的に禁止されています。
--------------------------------
세바시의 강연을 세계로 알리는 '오픈번역 프로젝트'에 동참하세요! Open Translation Project : Make this great speech with your Language with passionate Koreans! (공식 홈페이지: open.change15mi... | 페이스북 그룹 : / 15mintranslation )
슬픈눈의 김해청년이 생각나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자아에 대한 인식의 부재와 자존감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험을 겪고 있는 지금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말씀 들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000ㅣㅣㅣ
ㅣ
김찬호교수님의 강연은 귀에 잘 들어오고,강연의 주제가 주는 의미가 남다릅니다.목소리나 표정이 따뜻하고 편안합니다.휴머니즘이 강하게 느껴집니다.우리의 마음을 잔잔히 울리면서 반성하게 합니다.쉬운 예시,있을법한 일들을 들려주시면서 우리의 삶을 돌아보게 합니다.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을 진심되게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좋은 강연이었습니다
이강의는 거의 3년전 강의인데
지금 현 대한민국을 예측이나한듯
하네요 우리는 아무것도 달라진게없는거같습니다
마지막 톨스토이의 명언이 계속해서 머릿속에 남네요! 좋은 강연 잘듣구갑니다!
말도 잘하시고 ... 더 듣고 싶은데 짧게 느껴져서 안타깝네요... 책사서 읽어봐야 겠음
톨스토이 명언은 정말 예술이네요.. 요즘 사람들의 비난에 휘둘리지 않는 나를 구축하기 위해서 정말 부던히 노력중인데 그러다가 이말을 듣게 되서 그런지 더 와닿아요
감사합니다!!
완전 공감합니다^^ 사람들이 행복을 선택할수있도록 하는데 큰 도움이 될듯 합니다..
주말, 공감할수있는 이야기로 마음이 즐거울 듯 합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영상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또 한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_ _)
아.. 정말 좋은 강연입니다..
좋은 내용의 강의.. 알찬 내용, 감사합니다.^^
유튜브를 통해서 본, 통하여 듣는, 그리하여 마침내 마음으로 받는 알참을 느낍니다
좋은 강의 마음에 남는 강의 감사합니다
정말 도움되네요 잘봤습니다.
잘듣고갑니다~
Thanks
💯💯💯
"자기를 극복한 사람만이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영문, 원문으로 아시는 분 계실까요? 찾을 수가 없네요..
The only person who overcomes himself doesn't blame anybody.
실존의 절규😂
상대적 비교우위의 자존감보다 비교없이 절대적인 자존감이 필요한 이유.
제 3의 공간에서의 유대감의 필요성.
성취감, 유대감, 제3의 공간
와… 감사합니다
공적 자존감의 의미를 한번 더 생각하게하는 좋은 강의였습니다
할일이 있다고 존재감이 생기고 참 위태로워 보입니다. 어떻게 자존감을 올려야 할까요. 저도참위태롭네요
자기를 극복한 사람만이 남을 비난하지 않는단건 좀 비약이 있는거 같네요. 그게 맞는상황과 아닌상황이 있을테고 저말을 믿어서 스트레스 받거나 무력감을 느껴 더 자존감 떨어지는 분도 있을거 같고.
억울한 상황은 분명있고 그게 내탓이 아닌 경우도 많으니까요.
그냥 저런게 있다정도로만 여겨야겠네요. 이세상 절대적인 맞는말은 없으니까요.
oxo b 아마 자기를 극복한사람이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라는말은. 상처받은걸 극복해서. 그 상처를 알기에. 말을 삼가한다는게 아닐까요.
Wounded healer
말 꼬투리 잡고
니가 상황을 잘 선택해서
적용해봐.
답답한 사람이네
너같이 꼬투리 잡는애들때문에
ㅈㄴ게 구체적으로 말해줘야됨
난 남 비난하는 사람 치고 건강한 진짜 자존감 가진사람 못본거 같은데 ㅎㅎ 뭔가 웃기네
책 구매해서 더 알고 싶네요. 말씀 넘 잘하시구 내용도 너무 좋아요..:)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문수 생각나네요
늬 내 눈주 아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