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시공기술사] 토사 및 암버력으로 이루어진 성토부 다짐도 측정방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안녕하세요^^ 잉어입니다.
    포멧으로 인한 빠른 복구로 다시 영상편집이 가능해져서 이렇게 영상을 제작하여 올립니다.
    한번 이런 일이 발생하니 영상편집이 오히려 행복하게 느껴졌어요 ㅠㅜ
    그리고 업데이트를 안한다고 편하게 쉬어지지 않더라구요..
    늘 하던걸 안하니까 참 마음이 불편했습니다.
    아마도 회사를 가다가 가지 않으면 비슷한 느낌이겠죠?
    아무튼 느끼는 바가 많은 기간이었습니다..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내일부터 또 잘부탁드립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3

  • @강태신-w6y
    @강태신-w6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성토부 다짐도 측정방법의 영상을 시청하다,,점성토의 다짐도는 들밀도(상대다짐도), PBT로 판정하고...사질토는 상대밀도로 다짐도로 측정한다고 나와있습니다.
    근데 제가 현장에서 N치로 판정해본것은 지반의 상태를파악하기위해 보링할때 표준관입으로 N치 확인한것
    말고는 성토다짐에서는 사질토도 들밀도 아니면 평판재하시험으로 다 합부판정을 했었습니다.
    이런 부분은 어떻게 받아들여야할지 좀 헷갈려서요^^;;

    • @CivilfishTV
      @CivilfishT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사질토라고해서 완전 모래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점토질 모래도 있고 실트질 모래도 있죠
      사질토는 모래의 함유율이 큰 흙을 사질토라고 하지만 모래의 함유율은 사질토 중에서도 제각각이겠죠?
      '모래사장'이라고 표현할만큼 모래의 함유율이 높으면 상대밀도로 다짐도를 측정하는게 맞겠지만 아마 질문자께서 현장에서 다짐도를 판정한 흙은 그런 (극단적)사질토가 아닐것입니다.
      모래의 함유율이 큰 사질토일수록 상대밀도로 다짐도를 측정하는게 바람직하다는 것이지 사질토 범주에만 들어도 갑자기 들밀도시험 평판재하시험으로 다짐도를 측정하면 안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 측면에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 @강태신-w6y
      @강태신-w6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CivilfishTV 아하...그렇게 이해하면 되겠군요...제가 이해의 폭이 짧았던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