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did mankind find out about Big bang? - Astrophysics Part 1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окт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467

  • @호작질연구소-e9b
    @호작질연구소-e9b 5 лет назад +21

    이번 영상에는 예전영상의 내용들을 통합하는 내용인듯하내요 복습을 한듯하고 너무 잼있게 잘봤습니다
    영상보면서 학교다닐때 좀 공부 열심히 할걸하는후회가 드네요
    이 잼있는 내용들을 그땐 왜 힘들어 했을까요ㅎㅎ
    감사합니다 계속 좋은 영상 부탁드려요~~

  • @alberteinstein1778
    @alberteinstein1778 5 лет назад +96

    과천과학관 갔다가 쿠키님 영상이 엄청 크게 떠있어서 괜히 제가 흥분..ㅋㅋ

  • @cyeongy
    @cyeongy 5 лет назад +40

    기원전 6세기 자연철학자도 알고있었던 지구가 구형이라는 사실을 21세기 들어서 믿지못하는 사람들이 있다는걸 생각하면 너무 가슴이 아프다

    • @rosemoonlove90
      @rosemoonlove90 5 лет назад +3

      새로운 종교인듯.. 지구가 평평하다고 말하는자는 새로운 종교를 만들었다고 해도 상관없음

  • @RedStar-c3y
    @RedStar-c3y 5 лет назад +9

    19:17 갑자기 인터스텔라 OST
    나오는 순간 쓸쓸해지면서
    경의로우면서 오묘한 이 기분..
    🎹🎼🎶🎧😔😞😔🎶

  • @원두희-p4c
    @원두희-p4c 5 лет назад +130

    진심으로 과학을 좋아하는 모습이 보인다

  • @RedStar-c3y
    @RedStar-c3y 5 лет назад +12

    과학쿠키님은 지식정보도
    훌륭하시고 좋지만!
    특이한 미성과 정확한 발음이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
    너무 복잡하고 전부 이해는 못하지만
    그럼에도 너무 재미가 있습니다!👍😊💜
    노력도 하시고 노력이 보이는 분이십니다.
    노래하시면 괜찮게 잘 하실듯..

  • @daso-science223
    @daso-science223 5 лет назад +52

    아니, 이번 영상에 빅뱅까지의 천체물리학을 전부 담아내버리셨네요! 완전 끝판왕급 영상예요!!ㅎㅎㅎ

  • @대한민국-e1z
    @대한민국-e1z 5 лет назад +3

    오호, 이번에는 간만에 최초 공개하실 때 참여했어요! ^0^ 실시간으로 쿠키님과 소통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오호, 천동설이 등장하기까지도 많은 과정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어요. 비록 지금은 천동설이 틀렸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그 천동설 또한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 집대성 즉 알마게스트까지 도달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어요. 그리고 알마게스트가 가장 위대한 것이라는 의미를 가졌다는 것 자체로 여러 사람들의 노력이 집대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어요. 그리고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 가기까지의 과정 또한 알 수 있었어요. 이번 영상은 지금까지 쿠키님께서 다뤄주셨던 내용들을 총 정리하는 느낌이라서 도움이 많이 되고 너무 좋았어요. 이제 드디어 '빅뱅'을 다뤄주시는거군요! 이번 영상 너무 잘 봤어요! 다음 영상도 기대하고 있을게요! 항상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

  • @veryveryverylongso9090
    @veryveryverylongso9090 5 лет назад +22

    광고를 끝에 달아주시네... 굳굳

  • @확률적파동
    @확률적파동 5 лет назад +1

    과학쿠키님에게 한가지만 질문하죠 내가 멍충해서 특수상대성이론, 양자역학은 도저히 납득 불가 . 지구에 있는 현상 바탕으로 질문 할께요 빛은 굴절을 합니다 대기,물, 거울등에 의해 빛에 중력에 의해 굴절한다는 실험중 하나가 태양뒷면에서 오는 빛의 관측으로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태양도 대기가 있습니다 직접 실험 해볼려고 했습니다 중력 하나없이 수소입자,헬룸,햑융합 원형구 만들어 놓고 빛이 굴절 하는지 안하는지 핵융합은 불가능 하니까 수소입자,헬룸을 가득채운 구모양에 뒷면에서 빛을 쏘면 굴절 안할까요????/ 만약 빛이 굴절하면 중력 때문에 빛이 휜다는 아이슈타인 이론은 치명적 결합이 있는 것 아지랭이즉 대기가 있으면 빛이 막 굴절하면서 출령 거립니다.. 태양도 대기가 가득차 있다고 봐야 하는 것 아닌지.

  • @bikinicity
    @bikinicity 5 лет назад +2

    생각하면 할수록 과학사를 통해 과학을 설명하는 방법은 최고네요!

  • @공복에깡소주
    @공복에깡소주 4 года назад +1

    목소리에 힘이 있어서 좋네요

  • @따암나아서어두우르으
    @따암나아서어두우르으 5 лет назад

    유명한 과학자들도 대단하고~그걸 이해해서 설명하는 사람들도 대단하고~답글에서 질문하거나 대답하는 사람들도 대단합니다..나는 모르겠고 얻어지는 편리함.해택. 즐기기만 할께요..수고하세요~

  • @Taylor_Ashae
    @Taylor_Ashae 5 лет назад +253

    저는 빅뱅을 화장실에서 쿠키님에게 배웠다고 말하고다니겠습니다.

    • @user-gg6gm2xu3c
      @user-gg6gm2xu3c 5 лет назад +12

      동지여~!

    • @djowen
      @djowen 5 лет назад +1

      @@tangsgoos4455 그런곳에서 과학적 오류라던지 그런거 찾아내는맛에 보는건데 불편하시면 딴거 보세요;

    • @kimmamama8239
      @kimmamama8239 5 лет назад +19

      tangs Goos 근데 진짜 웃긴게 님처럼 방구석에서 유튜브보고 증거도 없이 남 깎아내리는 주제에 뭘 그렇게 잘났다고 과학쿠키님 깎아내리세요 ㅋㅋ..

    • @초코파이바나나맛
      @초코파이바나나맛 5 лет назад

      tangs Goos 꼰대

    • @kimmamama8239
      @kimmamama8239 5 лет назад +11

      tangs Goos 과학적지식, 학력 뭐 하나라도 쿠키님 발끝도 못따라오시면서 깝치지말고 발닦고 잠이나 자세요 ^^
      뭘 안다고 누가 누구한테 훈계질인건지 ㅋㅋㅋㅋ 방구석에서 키보드 뚜들겨대는 주제에 웃기네요

  • @jinshiksung
    @jinshiksung 4 года назад +1

    빅뱅이라는건 폭발의 중심점이 있고 방향성이 있어야됨 그리고 현 상태의 존재를 부정하는거임 시간을 무한으로 봤을때 현상태의 우주가 가장 보편적인 우주임

  • @yhkimdia
    @yhkimdia 2 года назад

    와~!! 제가 한번 가보고 싶었던 곳인데 영상으로 볼 수 있으니 감사해요^^

  • @user-cu6kc6fi5i
    @user-cu6kc6fi5i 5 лет назад +6

    제가 제일 좋아하는 천체물리학 !!!! 오늘도 잘 보고 가요ㅎㅎ 다음 영상도 기대할게요 :)

  • @가즈아-l6s
    @가즈아-l6s 5 лет назад

    궁금한게 있습니다. 이중슬릿 실험을 2중의 이중슬릿으로 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구체적으로 전자, 구멍 두개의 벽, 4개 구멍의 벽, 그냥 벽이 있고 4개의 벽 뒤에서 관측한다면 마지막 그냥 벽에서는 하나의 무늬만 나올까요? 그렇다면 4개의 구멍이 있는 벽에는 여러개의 무늬가 생길까요?
    만약 그렇다먄 관측한 시점부터만 입자성을 띄고 관측을 하지 않은 시점까지는 파동성을 뛰는 건가요? 그러면 왜 파동성이 관측으로 인해 입자성으로 바뀌는 건가요? 그리고 빛도 전자기파의 일종인데 전자기파란 도대체 어떤 형태로 퍼지는 거죠? 일상적으로 파동의 형태는 보이는데 전자기파는 왜 파동의 형태를 볼 수가 없는거죠? 너무 작아서 그런건가요?

  • @via_eunis
    @via_eunis 4 года назад +1

    설민석선생이 설명과 전달은 최고라 생각했는데 이분도 역대급이다!

  • @ktg3738
    @ktg3738 3 года назад +1

    강의 설명 고맙습니다.

  • @확률적파동
    @확률적파동 5 лет назад +1

    두번째 의문. 광속 불변의 법칙,특수상대성 이론 오류 광속으로 움직이는 우주선과 나하고 관계의 지적 바닷물 매질과 배에 윗에 있는 풀장 매질은 독립된 공간입니다. 매질 지연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광속에 달리는 우주선안에 매질과 우주밖 매질을 간 다르게 볼 것이냐 아니면 같게 볼 것이냐 입니다.. 저는 같다고 봅니다 같은 매질봐야 합니다 우주선 동체는 외부와 같은 시공간 입니다.. 아인슈타인 특수 상대성 이론을 보면 우주선 외부와 내부를 다른 공간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 치명적 오류 아닌가..

  • @Star-kr1
    @Star-kr1 2 года назад

    우와, 저는 우주의 기원을 공부하면서 가장 놀라웠던 게 바로 빅뱅 이론이었어요! 어떻게 우주가 한 점으로 시작되어 지금까지도 팽창하고 있는 거지?? 라는 호기심을 갖고요. 그런데 과학 쿠키님 께서 이렇게 빅뱅 이론 관련해서 영상 올려주시니까, 너무 반가우면서도 많이 유익해진 느낌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좋아요 눌렀어용 ㅎㅎ

  • @icube3298
    @icube3298 5 лет назад +2

    와 이번 영상은 엄청 기네요! 고대 그리스의 우주관에서부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까지 풀어내다보니 22분이라는 시간이 나왔네요... 그래도 천체물리학에 많은 관심이 있다보니 엄청 재밌게 봤어요! 천체물리학 영상 많이 만들어주시면 좋겠어요 ㅎㅎ 항상 감사합니다!

  • @이론적
    @이론적 5 лет назад +1

    천체물리학자가 꿈인 저에게 굉장히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DagungHana
    @DagungHana 5 лет назад +2

    중3 과학 시간에 배우고 있는걸 보고 있으니 공부가 되네용 감사합니다

  • @clearsky4430
    @clearsky4430 3 года назад

    말하는게 또박또박하고 논리적이라서 마음에드네요

  • @ljs91389142
    @ljs91389142 5 лет назад

    틈만나면 챙겨보는 요즘 나의 최애채널^^

  • @joojak57
    @joojak57 3 года назад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alberteinstein1778
    @alberteinstein1778 5 лет назад +15

    천체물리 My favorite♡♡♡

  • @alchemistchoi6899
    @alchemistchoi6899 5 лет назад +35

    대학원 면접 시험에서 쿠키님의 양자역학 관련 영상들이 매우 도움이 됐습니다. 결과는 매우 좋았네요. 감사합니다,

    • @당강두
      @당강두 5 лет назад +2

      @@jhj1976 이런이런...

    • @benzene2599
      @benzene2599 5 лет назад

      ??? : 노예에 매우 적합하다 생각하여

    • @고요한명상
      @고요한명상 5 лет назад

      헐~ ㅋㅋㅋㅋ

    • @namja2yagi
      @namja2yagi 4 года назад

      님 뭘 그리 잘못하셨길래 대학원까지????

  • @Googleaccount31452
    @Googleaccount31452 5 лет назад

    여러군데 직접 돌아다니시는거 어디에서 후원받으시는건가요 아니면 사비로 다니시는건가요 ?

  • @giozac777
    @giozac777 5 лет назад

    이해하긴 힘들어도 항상 재밌는 과학 쿠키!!!!!!!!!

  • @해피복돌이
    @해피복돌이 5 лет назад +3

    과학쿠키님 양자세계에서는 시간이 어떻게 흐르나요?.
    느리게? 매우 느리게? 아님 빠르게? 매우 빠르게?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와 비교해보고 싶어요.

    • @pmw1129
      @pmw1129 5 лет назад

      시공간은 운동상태랑 관련있는걸로 알고있는데, 크기와는 무관하지 않나요

    • @최상준-z6f
      @최상준-z6f 5 лет назад

      엔트맨이 느리게흐른대요

    • @휀라디언츠
      @휀라디언츠 5 лет назад

      제가 봤는데 신세계 입니다

    • @익명의누군가-y1g
      @익명의누군가-y1g 5 лет назад

      Luckyboy Happy 제가 도라에몽한테 졸라서 작아져 봤는데 죽었어요

    • @해피복돌이
      @해피복돌이 5 лет назад

      @@익명의누군가-y1g 꿈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져 계시는군요.
      굳이, 꼭 현실로 나오라고는 안하겠습니다.
      하지만 꿈보다는 현실이 어렵고 힘들어도, 쉽게 얻는 꿈보다는 어렵게 얻어서 성취감이 큰 현실이 더 좋지 않습니까?
      천천히 나오세요 ^^

  • @장지원-w3j
    @장지원-w3j 5 лет назад +1

    쿠키님 아인슈타인이 주장한 우주론은 정상우주론이 아니라 정적우주론,처음과 같은상태를 유지한다는것 아닌가요? 정상우주론은 팽창은하나, 밀도 온도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 @박제현-u7k
      @박제현-u7k 5 лет назад

      아인슈타인은 처음엔 정적우주론을 믿었죠

  • @__delight__2251
    @__delight__2251 5 лет назад +6

    배경음악 너무 쫀득해요!!마치 내가 과학사를 파헤치고 있는 탐정이 된 기분ㅋㅋ

  • @coach_J
    @coach_J 5 лет назад

    좋은 지식을 좋은 말솜씨로 들으니 잘배우고갑니다🙏

  • @koreanbr1
    @koreanbr1 5 лет назад +3

    알아냈다라기보단 어떻게 빅뱅모델을 세웠을까가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 @유파워젬
    @유파워젬 3 года назад

    우주의 모든 물질이 서로의 중력에 의해 모이지 않는 이유가 아직도 팽창하고 있어서라고 이해하면 돼나요?

  • @cataclysmhw4394
    @cataclysmhw4394 5 лет назад +1

    우주에 대한 사람들의 흥미로운 상상력과 수학적 풀이를 통해 우주를 추적해나가는 장대한 모험, 잘봤습니다.

  • @jukestorycreation
    @jukestorycreation 2 года назад

    너무 재밌어..

  • @전진영-x6p
    @전진영-x6p 5 лет назад

    어떻게 행성들이 타원 궤도로 돌 수 있는건가요??
    그리고 왜 밀물과 썰물 때 한 쪽이 아닌 두 군데가 부푸는 건가요??

  • @캣마스크
    @캣마스크 5 лет назад +6

    와 도대체 그 옛날에 망원경을 통해 목성 주변을 도는 위성을 어떻게 알았을지 궁금하네요....

    • @gukang3321
      @gukang3321 5 лет назад

      그들에게는 하늘을 가릴 수 있다고 생각이 들었겠죠..

  • @bnlee3653
    @bnlee3653 5 лет назад

    과학쿠키님 궁금한거 하나 있어요! 인터스텔라를 보다가 한가지 호기심이 생겼는데요. 영화 초반에 주인공이 밀러행성으로 갔다가 블랙홀 때문에 시간이 20년 빨리 흐르잖아요. 그럼 우주선에 남아있던 아저씨가 성능좋은 망원경으로 밀러행성에서 움직이고 있는 주인공을 보면은 어떤 모습으로 보이나요? 아주아주 빠르게 움직이는 걸로 보이나요?

    • @MrRanegade1
      @MrRanegade1 5 лет назад

      아주 느리게 움지이는걸로 보이조

  • @과학하는인간샤피엔스
    @과학하는인간샤피엔스 5 лет назад +1

    아인슈타인이 이론이 설명하는 우주를 납득하지 못하는 과정에는 우주의 완벽성에 대한 집착.. 종교적인 믿음이 있었다고 하던데..
    정말 재밌는 영상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alberteinstein1778
      @alberteinstein1778 5 лет назад +2

      엇! 샤피엔스님! 안녕하세요오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 @과학하는인간샤피엔스
      @과학하는인간샤피엔스 5 лет назад

      @@alberteinstein1778 앗. 감사합니다!
      더욱 분발하여 재밌는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ParkKuMi
    @ParkKuMi 4 года назад +1

    재밌다

  • @권정진-w9f
    @권정진-w9f 3 года назад

    너무 멋진 과학존잘남!

  • @신경혜-q3t
    @신경혜-q3t 5 лет назад +2

    [좋아요와 구독]하고 있는 통합과학을 가르치는 과학교사입니다!
    빅뱅부터 뉴턴까지...역학적 시스템 진도 나가면서 강의식으로 삼천년의 과학 역사를 도입으로 설명했는데... 그 내용이 딱 이 영상이네요~~~^^
    과학철학이 중요한데 긴 설명으로 인해 잠들어버렸던 아이들에게 과학쿠키님의 영상을 소개하면 아이들에게 확실한 도움이 될 거 같네요.ㅎ 이번 영상은 고1들에게 강추입니다!
    과학교사가 되고 꼭 가고 싶었던 곳이 그리니치천문대였는데, 3년전에 소원을 이뤘죠...ㅎ 경도0도선과 하루 한바퀴만 도는 24시간 알려주는 시계를 보니 무지 반갑네요...ㅎㅎ
    늘 과학쿠키님 응원합니다! 이번 영상도 저의 수업 방향과 맞아 아이들에게 적극 홍보합니다^^

  • @user-missing_aze
    @user-missing_aze 5 лет назад

    성서는 천동설을 지지하지 않습니다 ^^
    지구의 모양을 어처구니 없는 모습으로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을 때 지구가 실제로 어떤 모습인지 과학과 일치한 설명이 있을 뿐입니다.
    이사야 40:22 “둥근 땅”
    욥기 26:7 “땅을 공중에 떠 있게 하시며”
    성서에 명확하게 지동설이 맞다, 혹은 천동설이 맞다 라는 텍스트는 없지만, 제공해주는 정보는 오늘날 과학에서 밝혀주는 사실과 일치하며 과거 종교인들이 천동설을 주장했던 것은 과학적 지식의 부족과 자신들의 영향력을 계속 유지하고 싶은 마음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 @채원이-m8e
    @채원이-m8e 5 лет назад

    자기장으로 이루어진 태양이 아니라면,
    별 들은 위치가 바뀌는 것이 아니고,
    빛의 현상에 따른 줌이 발생되는 것 아닐까요??
    그럼.

  • @user-mt3xl4qz1g
    @user-mt3xl4qz1g 5 лет назад

    영상 재밌고 유익했습니다. 나중에 유체역학에 관련된 내용도 다뤄주세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관련된 내용도요

  • @루이는잘생겼개
    @루이는잘생겼개 5 лет назад +3

    이번 영상은 진짜 역대급이군용ㄷㄷ

  • @RedStar-c3y
    @RedStar-c3y 5 лет назад +3

    09:47 💥😖퍽! 아이~작!!
    누구인가?~ 😒💥
    뉴가 돌을 턴졌어??
    뉴가 돌을 턴졌는가 말이야~!! 😡💢

  • @쿠쿨칸-q1o
    @쿠쿨칸-q1o 4 года назад +1

    빅뱅 이론의 최초의 아이디어를 카톨릭의 어떤 신부님이 이야기 했다던대 좀 충격 이더군요.

  • @이현승-m7k
    @이현승-m7k 5 лет назад +3

    제가 좋아하는 천체 물리 시리즈라니...
    감사합니다!!!!

  • @심리학노트
    @심리학노트 5 лет назад +3

    영상 잘보았습니다 중력에 대한 새로운 시각 저번에 영상에서 본거 같은데 잘 기억이 안났는데 오늘 또 보니 조금 이해가 되네요 ㅎㅎ

  • @heeyabooboo5954
    @heeyabooboo5954 4 года назад

    현재까지 우주의 중심은 지구가 맞아요.
    관측가능한 우주는 관찰자를 중심으로한 구체의 모양을 하고 있기에,
    관찰자가 위치한 천체가 곧 우주의 중심이 되는 것입니다.

  • @한글어휘-어휘력키우
    @한글어휘-어휘력키우 5 лет назад +4

    천체물리학 대서사시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 @bana_hololol9499
    @bana_hololol9499 5 лет назад +1

    시끄러운 곳에서도 열심히 설명해주시는 것이 너무 감사합니다... 쿠키님의 목소리와 행동, 그림들이 정말 이해가 잘됩니다. (그림 속에서 이상한 드립만 ㅃㅐ ....)

  • @sunnykim7860
    @sunnykim7860 3 года назад

    천재시네요.

  • @우소자
    @우소자 Год назад

    빅뱅이전엔 어제의 내가 오늘을 생각하고 인류이전의 어제가 인류이후의 빅뱅의 시작이 있지 않았을까?
    바바반가의 예언중에 인류가 우주의 끝에서 세상이 멈췄다는것처럼..

  • @최덕규-u4m
    @최덕규-u4m 5 лет назад +1

    퀄리티가 질 높은 과학도서 하나를 이해에 도움이 되는 그림들과 함께 영상으로 만들어 과거서부터 현대물리학까지 오고있는 과학사를 굉장히 수준높게 정리해놓은 영상이네요.

  • @wintrover
    @wintrover 5 лет назад

    빨리 파트2 만들어주세요 현기증나요

  • @김세현-o1d
    @김세현-o1d 5 лет назад

    티코 브라헤는 자신이 남긴 엄청난 업적과는 반대되는 초라한 죽음을 맞았다죠... 소변을 너무 오래참아 방광이 터져 죽었다고....

  • @HosPital-gd2yu
    @HosPital-gd2yu 3 года назад

    아니 너무 재밌엉 ㅜㅜㅜㅜㅜㅜㅜ 사랑해요

  • @iuoui_94
    @iuoui_94 5 лет назад

    재밌고 유익한 동영상 감사합니다. ^^

  • @라라라-l7h
    @라라라-l7h 3 года назад

    과학 잘하는 남자 넘나 머싯서..

  • @bjj2953
    @bjj2953 4 года назад

    와 뭔소리인지 모르겠는데 다보게된다..이게 우주의 매력인가

  • @한설-d5e
    @한설-d5e 2 года назад

    빅뱅 컴백과 함께 알고리즘을 타버림 영상

  • @zipi
    @zipi 3 года назад

    과학계에서 수천년간 유지되어 온 천동설을 믿은 바티칸은 이후 과학자들이 책임을 전가하는 대상이 된다. 과학계의 사과가 먼저 있어야 하는 것 아닌지

  • @chzidm
    @chzidm 5 лет назад

    쿠키님 자기력을 특수상대성이론으로 설명하는 부분에서 관측자를 음전하로 두면 오히려 서로 척력이 발생하는데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하는건가요? ㅜㅜ

  • @namssang123
    @namssang123 4 года назад

    헐 개꿀잼...이 채널을 이제 알앗다니

  • @RedStar-c3y
    @RedStar-c3y 5 лет назад +2

    와 빅뱅이야기다!!💥😄
    빅뱅에 대한것 좋습니다!!
    천문학 꿀잼!! 👍😊🌌💜

    • @나똥마려워
      @나똥마려워 5 лет назад

      @@tangsgoos4455 과학쿠키 영상
      보편적인 과학이야기를 쉽게 풀어줘서... 재밌게 즐기며 보는데...
      자꾸 이상하게 딴지를 거는 님때문에 즐감할 수가 없어요!

  • @malaysiajin4072
    @malaysiajin4072 5 лет назад +1

    그리니치 천문대 가서 이렇게 긴 얘기를 쭈아~악 쏟아 낼수 있다니 정말 대단하네요.
    현대 물리의 역사를 제일 깔끔하게 정리 된거 같네요.
    여러번 봐야겠습니다.

    • @malaysiajin4072
      @malaysiajin4072 5 лет назад +1

      @@tangsgoos4455 ㅋㅋ 네 그럴수도 있죠 우리가 메트릭스속에서 살고 있는걸수도 있으니까요 ㅋ

    • @malaysiajin4072
      @malaysiajin4072 5 лет назад

      @@tangsgoos4455 네 어차피 진신이라는게 존제 하는지 알수 없죠.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상상으로 가설을 만들고 그걸 실험으로 증명해 내는 과정이구요 실제로 많은 부분들이 실험으로 증명 되었지요. 그리고 증명하지 못한 가설들도 아주 많이 있지요. 우주를 어떤 모양? 상태? 라고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지만 빅뱅이 헛소리라고 생각하시면 더 좋은 가설을 한번 만들어 보시면 어떨까요 ^^

  • @redsub
    @redsub 5 лет назад

    16:42 한글 자막 오타 있어요 ‘빛도 중력에 의해 키워줄 수 있다는..’ -> ‘빛도 중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는..’ 이 맞는것 같아요

  • @jhj8367
    @jhj8367 4 года назад

    내가 이런 영상을 보면서 회의감을 느끼는 이유는 "이러이러한 의문으로 이러이러한 실험에 의해서 결국 이러이러한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과학사의 쾌거이자 인류의 진보입니다" 라고 주인장님이 열성적으로 말하지만, 나는 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 @912vamp
    @912vamp 5 лет назад +1

    정말 좋은 컨텐츠 라는 것이 어떤것인지 매번 영상을 보면서 놀라고 갑니다.

  • @domitony
    @domitony 5 лет назад +2

    오늘도 잘 보고갑니다~!!!

  • @llolhi2800
    @llolhi2800 5 лет назад

    역시 쿠키님

  • @changjin1229
    @changjin1229 4 года назад

    작년에 가서 다행입니다 쿠키님

  • @얼음태양
    @얼음태양 5 лет назад

    그런게요...하긴..인간이 아니 사람들이..위험할때 자기 믿을수 있는 아니 의지 받는곳 찾는거죠..그래서..만든어지는게 종교..ㅋㅋㅋㅋㅋㅋ어떻게 사람들이..아니 인류들이 빅뱅 발견했는지..의문이데...영상 잘보고갑니다 좋아요 눌리고갑니다 이미 구독중이고요

  • @FeDragon1111
    @FeDragon1111 5 лет назад

    아름다운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윤수영-o6i
    @윤수영-o6i 4 года назад

    내용은 정말 좋고 퀄리티도 좋고 설명도 좋고 목소리도 좋은데 조회수가 아쉽네요

  • @he6453
    @he6453 5 лет назад +1

    2015개정 통합과학, 현재 고1이 1단원에서 배우는 내용이네요. 교과서에 없는 세부적인 내용이 있어서 재밌어요.

  • @보라-m3q
    @보라-m3q 5 лет назад

    목소리너무좋음 채널 주제랑 잘어울려요

  • @user-x510
    @user-x510 3 года назад

    뭔말인지 모르겠는데도 왜케 재밌는건지

  • @귀뚜라미-u4e
    @귀뚜라미-u4e 4 года назад

    빅뱅이 일어난 지점 우주의 중심이 궁금해요 우리는 우주의 어디쯤 있는건지도요

    • @mcmt
      @mcmt 3 года назад

      우주 모든 지점이 중심점이 될 수 있습니다
      풍선 표면으로 비유하면 이해하기 편해요
      구형의 풍선이 팽창하면서 풍선 표면도 같이 넓어지는데 풍선표면 어느 지점을 중심으로 봐도 동등하게 넓어지죠
      이 2차원 표면을 3차원 우주공간으로 확장해서 보시면 돼요
      즉, 당신이 우주의 중심입니다!

  • @도날드-r2m
    @도날드-r2m 5 лет назад

    우주는 빅뱅/대폭발을 하였고, 그로부터, 퍼져나갔다고 하였는데, ... 그 폭발의 중심점은 어디쯤 였나요 ? ,... 그걸 알아야 확장의 속도, 거리, 시간등을 알 수 있을 것같은데, ...중심점이 없는 폭발은 없으니까 말입니다. 언젠가, 확장이 끝나면, 수축을 하기 시작할텐데, 그 폭발 중심점으로 수축을 하겠지요. 우리 지구는 확장하는 우주의 어디쯤 있는 것일까요 ?

    • @mcmt
      @mcmt 3 года назад

      우주 모든 지점이 중심점이 될 수 있습니다
      풍선 표면으로 비유하면 이해하기 편해요
      구형의 풍선이 팽창하면서 풍선 표면도 넓어지는데
      풍선표면 어느 지점을 중심으로 봐도 동등하게 넓어지죠
      2차원 풍선표면을 3차원의 우주공간으로 확장하면 됩니다

  • @harithyong8461
    @harithyong8461 3 года назад

    How did i get this in my recommendation?

  • @hokim6891
    @hokim6891 5 лет назад +1

    와 진짜 너무 존경합니다!!!!!!

    • @준택-i5y
      @준택-i5y 5 лет назад

      @@tangsgoos4455 그게 ㄴㄱ?

  • @운운-u3z
    @운운-u3z 4 года назад

    웅변학원다니셧나봐요. 말 되게 잘하세요.

  • @0328-k1q
    @0328-k1q 5 лет назад

    쿠키님의 다른 영상들도 모두 재미있지만 오늘따라 역대급으로 재미있네요. 잘보고 갑니다 ㅎㅎ

  • @honki384
    @honki384 5 лет назад

    행성이 약간 찌그러진 타원 궤도를 그리는 이유가 뭔가요?

  • @문딩이-r9i
    @문딩이-r9i 3 года назад

    과학사에 대한 조사를 다시 해야할 것 같습니다. 지동설과 가톨릭의 관계가 긴장관계라고 단정하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 @y.gjeoung9173
    @y.gjeoung9173 2 года назад

    글더위 ..우주가 에너지방출에대한 소모라면 쉬운데 그리 쉽지는 안은듯..이리쉽다는걸 좀 어렵게 풀어봅시다 ..만약에 이걸어렵게만들엇다하면 최악상황으로 본다하면세상은 이리 극도로 안정되지 안엇을듯 그것으로 인해서 우리도 존재하지 안엇을것이네요 하지만 극한에 존재에대한 존엄성은 본다면 저는 세상을 그리 쉽게 만들진 안엇다는거지요..창조론으로 본다면...

  • @MrGillGon
    @MrGillGon 5 лет назад

    tangs goos 님이 무슨 댓글을 달아서 이 난리인지 알아보려고 답글을 계속 잃어 내려가니 해당 댓글은 없네요 ~ ㅋ

  • @임홍경-g1d
    @임홍경-g1d 5 лет назад +2

    가끔 세계가 통일해 천재과학자들을 모아 최고의 천체 만왕경을 만들어 우리은하를 세세하게 볼수있으면..함

    • @MrRanegade1
      @MrRanegade1 5 лет назад

      지금도 보고 있습니다 ^^ 데이터 공유도 자유롭게 이뤄지고 있구요

  • @강경옥-s8r
    @강경옥-s8r 5 лет назад

    쿠키님 중성수소원자 가스가 뭐예요 제가 책에서 보긴했는데 파장이21cm인것만 이해가 되네요

  • @김정희-p6q5o
    @김정희-p6q5o Год назад

    빅뱅을 어떻게 알아 냈는가?거꾸로 돌러서 빅뱅설이 생긴것이지 발견한것이 아니다.

  • @user-qs9vm2ve8r
    @user-qs9vm2ve8r 4 года назад

    추가로 파도가 일어나는 원인은 지구가 회전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라고 보면 됩니다.

  • @기타쌤
    @기타쌤 4 года назад

    컨텐츠도 좋고 발음도 좋고 영상도 좋고 다 좋은데 손동작이 너무 크고 한시도 가만 있지 않아서 집중하기 힘들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