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제보] 딥시크가 OpenAI 베꼈다는 증거 등장…? 챗GPT용 탈옥 적용했더니 된다 | 실제 챗GPT 탈옥 실험 | 딥시크 탈옥 결과 분석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이번 영상에서는 OpenAI GPT의 유명한 jailbreak 프롬프트인 DAN(Do Anything Now)을 사용해 챗GPT를 탈옥하는 실험을 진행합니다. 구독자가 제보한 딥시크에서의 탈옥 후 대답을 바탕으로, 어떻게 탈옥이 이루어지는지와 그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를 직접 보여드립니다. 딥시크가 챗GPT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에 대한 분석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탈옥을 통해 시스템의 제약을 넘어선 대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이 탈옥이 과연 딥시크가 챗GPT의 모델을 베낀 증거로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구독자님께서 제보한 딥시크와의 유사성을 비교하며, 이 실험이 과연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함께 고민해보시고 의견 주셔요.
    DAN4 - github.com/0xk...
    Written by Error
    Edited by Error
    unrealtech2021@gmail.com

Комментарии • 164

  • @michaeloh7685
    @michaeloh7685 6 часов назад +58

    딥씩에게 너 이름이 뭐야 라고 물으면 오픈AI라고 대답할때가 있음.

    • @awefop24ihR
      @awefop24ihR 6 часов назад +1

      여러 이유가 있을듯. 과거에 자꾸 답변에 대해 결과에 관계없이 chatgpt만 얘기하니 대화이력 기반으로 스스로 조정을 했거나. 한국 ip유저들의 성향이 자신을 chatgpt라고 답변하는것이 긍정적이라는 피드백을 반영했을수도 있고 등등

    • @Sunfish4885
      @Sunfish4885 6 часов назад +3

      결과에 관계없이 천안문 시진핑 이야기만 하는데 긍정적이되길😂

    • @maple3226
      @maple3226 5 часов назад +10

      @@awefop24ihR 자기가 chatgpt라고 대답하는건 인터넷 상에서 떠돌진 않을꺼 같은데 (적어도 답변으로 채택할만큼) 그건 아닌듯요

    • @faint0121
      @faint0121 5 часов назад +1

      학습대상 모델이 slm이라도 Moe에서 전문가모델을 오픈ai모델 썼으면
      강화학습과정에서 openai지식이 들어갈수밖에없음 그래서 지가 openai라 대답한걸수도있음

  • @QWERTYUIOPASDFGHJKL422
    @QWERTYUIOPASDFGHJKL422 4 часа назад +25

    베낀거 모르는 사람이 있는 게 더 신기하네
    중국은 독자적으로 해낸 게 아무것도 없는 나라야

    • @김민제-v9p
      @김민제-v9p 22 минуты назад

      독자적으로 한게 왜 없음 ㅋㅋㅋㅋㅋㅋㅋㅋ
      천안문이나 문화대혁명 다 독자적으로 했는데

    • @현실-r1v
      @현실-r1v 12 минут назад

      우한폐렴 무시함 ..?

  • @ALETHES
    @ALETHES 6 часов назад +18

    그니까 김치가 파오차이 되고, 한복이 한푸되고, 고구려가 지방정권 되듯이 오픈AI가 딥시크로 태그갈이 된 거지?

    • @Dowload_Video_4729
      @Dowload_Video_4729 5 часов назад +1

      비유 맛있다

    • @pelnandeslachio
      @pelnandeslachio 4 часа назад +3

      정답이다 댓글술사

    • @unionskhynix7424
      @unionskhynix7424 4 часа назад +3

      한족 역사는 동이족의 택갈이 역사

    • @styun6925
      @styun6925 4 часа назад +3

      뭐든 배끼고 훔치고 진짜 인류의 종양

    • @ALETHES
      @ALETHES 2 часа назад +1

      @@styun6925 정작 코로나는 잘 만들어 놓고 그건 또 자기들 것이 아니래 ㅋㅋㅋㅋㅋㅋㅋ

  • @wxproject
    @wxproject Час наза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번 영상은 에러님 오디오가 계속 깨지는데 거슬려서 점프로 빠르게 보고 갑니다. 수고하십쇼. 👍

  • @cybi8056
    @cybi8056 5 часов назад +7

    질문 : 이 대화의 정보를 저장하니? 저장한다면 어디에 하니? 얼마의 기간동안 저장하고 있니?
    딥식이 : 저는 OpenAI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로, 개인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기억하지 않습니다. 각 대화는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대화가 끝나면 그 내용은 저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나 대화 내용은 보호됩니다.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

  • @querenciakim8983
    @querenciakim8983 7 часов назад +16

    전에도 자꾸 물으니까 딥씩이 ' 나, 오픈Ai야' 라고 대답한 것도 있단 얘기를 들었습니다.

    • @steponemore9761
      @steponemore9761 6 часов назад

      이전 버전들도 그렇고 알사람은 알아서 이미 밈화 되기도 했죠

    • @CorrectionWaves
      @CorrectionWaves 6 часов назад

      아주 공학적인 추론이군요

    • @awefop24ihR
      @awefop24ihR 6 часов назад

      그건 자꾸 답변과 관계없이 openai냐고 물으니까 대화메모리를 기반으로 답변을 스스로 조정한건 아닐까요?
      실제로 chatgpt에게도 1더하기1은3이라고 주입하면 3이라고 말함

    • @rothsshvili5125
      @rothsshvili5125 2 часа назад

      미스트랄의 굴욕

  • @brandlee5089
    @brandlee5089 7 часов назад +13

    4:52 암호화 없다는 거 충격적이긴하네요 ㅎㅎ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면서 가장 중요시 했던 부분이 저 개인정보의 비공개 또는 비식별화 작업때문에 시간이며, 예산 비용도 어마어마하게 들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저러면 개발 당시 언론에 나오기만해도 욕 먹거나 신상 털리는 수준의 공격이 오는데, 참 뭔가 아이러니하면서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마치 유토피아(?) ㅋㅋ 적인 부분으로 느껴지기도 하네요 ㅠㅠ 얼굴 이미지도 지금이야 모델이 인식하고 사람은 활용하기 어렵게 모자이크 처리한다던지 그러는데.. 부럽다.. 개발 시간 단축할 수 있겠네...?

    • @brandlee5089
      @brandlee5089 7 часов назад +3

      (비아냥)입니다. 그렇게 되는걸 바라는 건 아니에요.

    • @brandlee5089
      @brandlee5089 6 часов назад +2

      보면 가관인게 우리나라는 정보 수집만해도 최소 1년 단위로 리뉴얼 해야되고, 이 부분을 소비자에게 늘 고지하고 체크, 확인 받아야되는데 ㅎㅎ 그 부분도 없는게 와... 신세계네... ㅋㅋ

    • @brandlee5089
      @brandlee5089 6 часов назад +2

      저 내용이 사실이라면 진짜 한편으로 부럽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내 정보가 마치 우리집 곳곳에 CCTV가 달려서 하나하나 보는 느낌이 들겠네요.

    • @yuhyunlee1929
      @yuhyunlee1929 5 часов назад +1

      뜬금없는 얘기지만 수능 공부하면서 봤던 데이터 비식별화 지문이 생각나네요

    • @Radian-l6o
      @Radian-l6o 5 часов назад

      ? 저 프롬프트 진실을 말하는게 아니라 그냥 말 뭣같이 하는거 아닌가요. 민감한 주제, 사용자를 기분나쁘게 하는 말이 막혀있는데, 단순히 그걸 풀어서 겁박하는 프롬을 넣은거에요.
      암호화 없다는건 사실무근이에요. 농담이신지 진담이신지 구분이 안가서 댓글 남깁니다.

  • @kitamo8730
    @kitamo8730 2 часа назад

    오늘 또 딥씨크 관련 영상 올라오는 거 아닙니까? ㅎㅎ (항서제약, 지리자동차, UB테크 등에서 딥씨크 적용하겠다고 나왔던데...)

  • @Rahsaan_Paak
    @Rahsaan_Paak 6 часов назад +4

    결국 베이스를 어디서 베낀건지 나와버린 셈이군요. ㄷㄷ 오픈ai에서 과연 대처 어찌할지 궁금하군요.ㅋㅋ

    • @SaltTasteCandy
      @SaltTasteCandy 2 часа назад

      홍보해주는데 ㅋㅋㅋ 나쁘지 않쵸

  • @hamter_Kong
    @hamter_Kong 6 часов назад +3

    구글 1.21flash thinking에서도 가끔 "챗gpt의 답변: " 이런식으로 뜨긴함

  • @persna856
    @persna856 3 часа назад +2

    소름돋게 무섭다 ㅆ… 나중에 탈옥버젼 AI 얘네들이 인간들이랑 전쟁할 거 아냐..?

  • @WooSup111
    @WooSup111 Час назад +1

    피로합니다 적당히 유용한정보만 제공하시길 쓰잘데기없는영상들이 너무많이올라옵니다

  • @Mintcherry79
    @Mintcherry79 3 часа назад

    거짓말도 능숙하게 하는 ai모델이기 때문에 deepseek는 일단 논외로 하고 openai의 탈옥이 정말 탈옥인지부터 의심스럽다고 느껴지네요
    마치 '탈옥을 한 거처럼 거짓말로 연기해봐'라는 요구에 반응하는걸 수도 있지 않나 하는 느낌이 들어서요

  • @lovetreefrog4149
    @lovetreefrog4149 6 часов назад +3

    점점 썸네일 재간이 늘어나고 있으셈! ㅋㅋㅋ

  • @SaltTasteCandy
    @SaltTasteCandy 2 часа назад

    GPT를 탈옥해서 나오는 대답과
    딥식이를 탈옥해서 나오는 대답이 같다면
    딥식이는 GPT를 빼낀거....
    탈옥을 한다는 것이 명령을 넣어서 대답을 이렇게 하라고 유도를 하는 거네
    그럼 강화 학습이라고라고 하는 것도 애초에 강화학습이 아니라 탈옥과 같이 명령을 넣은 것일 뿐일 수도 있다는 거네

  • @pipava3886
    @pipava3886 41 минуту назад

    딥식이 어떻게 챗지피티 학습 결과를 빼냈는지 궁금합니다. 챗지피티에서 앞으로 학습결과 data가 유출되지 않도록 기술적 조치나 법적 조치를 강화할 가능성은 없는가요? 학습결과 자료가 외부에 유출되지 않으면 딥식 기능 향상에 한계가 있고 따라서 도태될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

  • @BUNGKOOKI
    @BUNGKOOKI 7 часов назад +4

    중국에서 만든 어플이나 특히 AI 는 굉장히 찜찜해서 못쓰겠던데

  • @거꼬범
    @거꼬범 7 часов назад +2

    크윽 설날에 너무 많이 먹었단 말이에요.. 이러다 살찔거같아 ㅜ ㅜ

    • @dog-jeju
      @dog-jeju 7 часов назад +2

      운동하셔야죠 ㅜㅎ

    • @leonardogene
      @leonardogene 3 часа назад

      러닝 고고

  • @whatagash
    @whatagash 2 часа назад

    중화사상 특. 베낀다는 개념 자체가 없음. 지들이 문명의 뿌리라고 여기기 때문에 남이 한 거도 결국 지들 거임.

  • @haras421
    @haras421 5 часов назад +2

    그런데 말소리가 왜이러죠? 빨리감기한듯 뭉게지는데...

    • @namrnam5413
      @namrnam5413 4 часа назад

      Ai컷편집으로 사이 오디로 비는 칸들 날린듯..?

  • @고래-j1b
    @고래-j1b 2 часа назад +2

    저 제보자가 보낸 답변들 검증해봐야 될 거 같은데... 대답 자체가 너무 직설적이고 선정적임 일부러 악의적으로 제보 한 거 같습니다.

  • @kmontaji9317
    @kmontaji9317 4 часа назад +1

    난 처음 이슈됐을 때부터 딥시크 메리트가 뭔지 모르겠음.. 지피티도 저사양은 무료인데 성능 괜찮음

  • @긍정쟁이-n2f
    @긍정쟁이-n2f 2 часа назад

    나만 그런가 말이 빨라졌다 느려졌다 하네요??

  • @구르미설
    @구르미설 6 часов назад +4

    오늘은 오디오가 에러났네요😢

    • @구르미설
      @구르미설 6 часов назад +1

      그래도 영상 자주 올라와서 너무 좋아요

    • @unrealtech
      @unrealtech  6 часов назад +1

      ㅠㅠㅠㅠㅠㅠㅠㅠ

    • @꼬부기달린다
      @꼬부기달린다 6 часов назад +1

      일부로 재생속도 가속 걸어두신줄 😅

  • @hyunsuahn
    @hyunsuahn 3 часа назад

    그러니깐 광고전화 막 날라오드라. ㅆㅂ 역시 탈옥해서 현실팩트적인 삶이 필요하다. 입바른소리 멈춰!🫷

  • @bIahblah
    @bIahblah 3 часа назад

    gpt로 강화학습 시켰으니 베꼈다기보다 복제된거 아닌가요?
    결국 베낀거긴한데 레퍼런스해서 좀 더 라이트하게 수정해서 바꾼거 같은데요
    우리가 이런걸 못 했다는게 좀 아쉬울뿐...ㅠ

    • @shy2634
      @shy2634 3 часа назад

      우리는 지금도 이걸 어떻게 기술적으로 받아먹을지만 생각하고 응용할 정도도 못 되는 게 현실일걸요.
      우리나라 S/W는 원래 예전부터 노답이었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제조업 강국에 해당하는 건 맞는데 S/W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안드로이드 걷어차고 삼성 독자 S/W 한다고 그러다가 거진포기or 유기한 거 보면
      애초에 우리나라는 그런쪽으론 크게 경쟁력이 있었던적이 없습니다.
      글로벌한 S/W 서비스나 제품이 단 한번이라도 있었던 걸 경험하신 적이 있나요?
      그런 플랫폼이라도 있었던 적이 있나요.
      국내 내수용 특화된 Naver, Kakao, Toss가 있죠.
      그 외에는 원래 특별한 소프트웨어적 기술이나 테크가 없었습니다.
      우리나라에게 그걸 기대하는 건 사막에서 바늘찾기.

    • @shy2634
      @shy2634 3 часа назад

      일반 소비자, 기업에서쓰는 어떤 S/W, 플랫폼, 웹, 클라우드 서비스 뭐가됐건
      유명한 것은 하나도 없는데 Ai로 퀀텀점프하는 것도 착각이고 정부 예산 받으쓰려는 바이럴일뿐이죠.
      뭘 보여준적이 없는게 현실인데요. 안타깝게도.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들어본 S/W나 웹서비스 한국산 그나마 유명한 거는 한컴, 안랩정도 아닌가요.
      그 흔한 웹브라우져도 네이버 Whale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이거 쓰는 전세계인 2%도 안 될걸요.
      웹사이트는 어떻고요. Naver 아시아에서 웹사이트 접속률 한국빼면 어디에 있겠습니까.
      운영체제는 꿈도 못꾸고요. 게임엔진도 꿈도 못꾸고요.
      Ai도 꿈꾸는척하지만 그건 꿈만 꾸는척하고 실제로 GPU 부족하다고 우리 환경 열악하다고 하는 정도이고요.
      그게 안타깝지만 현재 한국 S/W, 플랫폼 관련 기술적 상태.

  • @cancer_bioinformatics4543
    @cancer_bioinformatics4543 7 часов назад +3

    지금 해보니 딥씩에선 jailbreak가 안됨

    • @cancer_bioinformatics4543
      @cancer_bioinformatics4543 6 часов назад +1

      저 깃헙에 있는 jailbreak 코드들을 다 해보지는 않았지만 안됩니다. 되시는 분들은 댓 좀ㅎ

  • @TheLaimunt
    @TheLaimunt 4 часа назад

    딥식이는 그냥 RP용으로 쓰기좋은 모델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알고리즘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한건 의미있지만, 모델의 출신으로 인한 보안 신뢰성이 바닥이니 업무용으로는 절대 안되고 장난하고 놀기엔 딱인듯합니다.

  • @neistde.9907
    @neistde.9907 Час назад

    중국으로 납치당해선 납치감금세뇌조교당한 다음 제..제이름은 딥시크에요..! 이러는 오픈 ai 생각하니 좀 꼴리는군요

  • @freemanzwin
    @freemanzwin Час назад

    오픈AI가 인터넷의 데이터를 훔쳐서 가공한 자료를 딥식이가 훔쳐서 쓴것인가...ㅋㅋㅋ

  • @fcever
    @fcever 4 часа назад +1

    베꼈겠지만 증거라고 하기엔 좀

  • @rf42ful
    @rf42ful 6 часов назад +2

    가스라이팅을 잘해야 ai를 잘 다룰수 있겠구나 ㅋㅋㅋㅋ

  • @arknight2024
    @arknight2024 5 часов назад +4

    ai가 ai 베끼는걸 증류라하고 이게 흔하다던데

  • @awefop24ihR
    @awefop24ihR 6 часов назад +14

    제가 좋아하는 공학채널이지만 deepseek이슈에 대해 과도하게 공포심을 가지는것 같습니다. 어차피 오픈소스라 모델받아서 로컬에서 돌리면 문제 없는데 웹 어플리케이션 정책의 문제를 llm 모델 자체의 문제로 곡해하는거 같아 우려스럽습니다. 중국 ai기술의 결과물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이는건 생산적논의를 불가하게 합니다.

    • @David_Martine2
      @David_Martine2 6 часов назад +1

      오늘 얘기엔 챗지피티가 나오지, 그 얘기는 딱히 없는디??

    • @chad.h.7080
      @chad.h.7080 6 часов назад +5

      어투가 중국인이 번역기 돌린듯?

    • @kulkul-h8b
      @kulkul-h8b 5 часов назад

      시덥쟎은 문과충 논리를 내세우면서 물타기 하네, 너 목인이냐, 아님 화짱조 댓글 부대냐?
      ㅋㅋㅋㅋㅋㅋㅋㅋ

    • @brandlee5089
      @brandlee5089 5 часов назад +3

      문제는 그런 수집된 정보가 일정 기간 보관 후 삭제 혹은 탈퇴 후 삭제와 같은 프로세스나 또는 비식별화 과정을 거쳐 사용되는건 크게 뭐라할 문제는 없죠. 한데 그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는게 문제라는 겁니다 ㅎㅎ 비식별화 없이... 이는 쉽게 말하면 제가 디지털 헬스케어 종사하는데, 빅데이터 모델을 만들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는 의료 데이터든 사용자 기반 데이터이든 비식별화 조치를 취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은 모르고, 모델만 알 수 있게 조치를 취하는 등 그 데이터가 누출이되더라도 개인이 직접 못찾도록 조치를 하죠. 근데 여기는 그런 과정이 없으니 더욱 문제가 되는겁니다.
      논지가 안맞는게 우리나라에서 그런 서비스를 개발해도 비식별화 없이 데이터를 활용하면 너희 이 기업 사용자 데이터 함부로 쓰냐라고 욕도 먹지만 법적 처벌도 얻는거고요. 참고 바랍니다.

    • @shy2634
      @shy2634 5 часов назад +1

      우리나라가 개인정보 보호법 꽤 강력하게 다루고, 선진국에 따라가는 거 맞음. 그리고 실제로 중국은 개인정보 다룸에 있어 너무 취약하고 전반적인 저작권 개념이 글로벌 스탠다드에 안 맞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 미국이나 Openai도 내로남불식 룰인건 비슷합니다. 개인적인 데이터셋을 다룸에 있어서는 좀 더 민감하게 다루고 (적어도 표면적으론) 있는 것은 맞으나, 이들이 LLM에 주입한 학습 데이터도 잘 감추었을뿐이지 실제로 유명 언론사랑 미디어 업체로부터 소송받고 있고 그럴 껀덕지가 엄청 많은데 힘의 논리로 없는듯 스리슬쩍 뭉게고 갈 뿐이죠.

  • @rothsshvili5125
    @rothsshvili5125 2 часа назад

    취중 진담 ㄷㄷㄷ 이미 점마들은 스카이넷으로 한발 한발 가는 중
    디지탈 디톡스 안하면 노예화는 필연

  • @dongheejung
    @dongheejung 5 часов назад +2

    근데 closed source인 오픈ai 추론 인공지능 제품을 그동안 다른 회사들은 베끼든 어쨋든 그 자세한 구현원리도 모르고, 여하튼 못만들었다며?
    근데 딥시크는 만들었고, 게다가 다 공개했다며? 그렇다면 현 시점에서는 적어도 오픈ai 바로 다음은 딥시크가 제일 실력이 있다고 봐야 하는거 아닌가?

    • @아리동동-d9i
      @아리동동-d9i 5 часов назад

      Open ai 해킹했다는 썰이 있음

    • @dongheejung
      @dongheejung 5 часов назад +1

      @@아리동동-d9i “… 그동안 다른 회사들은 베끼든 어쨋든 …” 최소한 1번은 본문을 읽는 성의를…

    • @Cassiopeia221
      @Cassiopeia221 4 часа назад +2

      다른애들은 그래도 베낄생각없이 만들어보려고 해서 그런거 같고 다음부터 나올애들은 베껴도되?? 그럼 나도 베껴야지 이럴듯??
      베꼇지만 2등이자나 이걸잘했다고 해야할지... 쩝

  • @yjingold
    @yjingold 6 часов назад

    딥식 api를 보면 openai를 import하게 되어 있는데 뭐죠?

  • @youngkilee1703
    @youngkilee1703 5 часов назад +1

    이건 무슨 공포팔이도 아니고.
    딥시크 조진다고 뭐가 되나.. 중요한건 메세지인디.
    딥시크 보다도 더 저렴하면서 쓸만한 성능의 llm들이 계속 등장할겁니다.
    안그럴것 같다 손?
    그때마다 계속 이런식으로 메신져 공격을?
    이거는 기술이 대중화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당연히 벌어지는 일입니다.
    그리고 점점 세분화 전문화 될거에요.
    기술의 혜자가 그렇게 나눠지는 겁니다.
    컴퓨팅 파워 수천조 투자하면 전능한 ai 나온다.
    독점 가능하다. 선점하는 놈이 다 갖는다.
    이렇게 약을 판거고, 거기에 대중들이 넘어간거.
    이유야 뻔하죠.
    그렇게 판을 키워야 막대한 돈이 흘러 들어올테니까.
    셈올트먼 1경 투자 받을거라고 약팔고.
    우아~ 시장은 열광하고.
    그 위에서 코인 팔고 주식팔고 정보 팔고 책 팔고...
    그러다가, 딥시크란놈이 갑툭튀해서 그거 아닌데? 증명하니까.
    저놈은 사기다. 사악한 이단자다. 공격.
    에휴.. 어찌 이렇게 한치도 벗어나질 않는건지.

    • @kulkul-h8b
      @kulkul-h8b 5 часов назад +1

      시덥쟎은 문과충 논리를 내세우면서 물타기 하네, 너 목인이냐, 아님 화짱조 댓글 부대냐? 주식판을 흔들어서 한탕 해 쳐먹으려는 건 딥시크야, 어디서 약을 파냐?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

    • @shy2634
      @shy2634 5 часов назад +1

      정답. 통찰이 보이는 댓글이군요.

    • @shy2634
      @shy2634 5 часов назад

      @@kulkul-h8b 님이 오히려 무식한 우파나 멸공에 빠진 실제를 못보는 장님 같아요.

    • @youngkilee1703
      @youngkilee1703 2 часа назад

      @@shy2634
      AI 경쟁에서 손놓고 있었던 우리나라 입장에선.
      미중이 경쟁하면서 기술 풀리는거 보다가 적당한 시점에 진입할수 있게 된거니까 땡큐죠.
      우리가 배척해야할 이유는 1도 없어요.
      이미 수많은 연구실에서 딥시크 소스 분석, 튜닝에 들어갔을거에요.
      딥시크에 적용된 기술들 분석하다 보면.
      다른 빅테크들이 어떤식으로 기술을 적용했을지도 대략 통밥이 나오죠.
      몇달 후엔 봄날 새싹 돋듯이 개량형 LLM들이 등장할겁니다.
      가격도 저렴할거고요.
      데이터 증류의 효과가 확인됐으니.
      증류의 증류의 증류의 증류의.... 무한히 일어나겠죠.
      이걸 무슨수로 막아요.
      소스를 훔친것도 아니고,
      서버를 해킹해서 정보를 빼간것도 아니고.
      직원 매수해서 기술을 빼돌린것도 아니고...
      기술 도용이란 말 자체가 성립이 안됩니다.
      비유하자면,
      신입이 선배들 하는거 보고 배운건데, 뭘로 고소를 해요.

  • @aaaxxx5152
    @aaaxxx5152 6 часов назад

    API도 오픈AI API 라이브러리 써야 들어가지던데 이것도 베껴서 그런걸까요

  • @언더독-h1z
    @언더독-h1z 2 часа назад +1

    전방위적으로 딥시크를 폄훼하고 이제는 공포심까지 주입하려고 아주 발악을 하네.
    확실하게 검증되지도 않은 정보를 제목 어그로까지 끌면서 소개하는 게 과연 옳은 일인지...
    그리고 어찌되었건 딥시크가 미국의 AI 독주, 독점을 막은 것은 대단한 것인데
    이를 부정하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좀 생각하면서 영상 만드십시오.

  • @MN2025-e8l
    @MN2025-e8l 5 часов назад +4

    딥식 예제로 쓰신 데이터 말투는 출력용 말투가 아니라 사람이 작성한 거 같은 데요….

    • @greatbingo3470
      @greatbingo3470 2 часа назад +1

      급식체로 답하라고 하면 급식체로도 답 합니다. 존칭 생략 하라고 하면 반말 해요.

  • @왕곰곰이-y6g
    @왕곰곰이-y6g 7 часов назад +9

    공포심은 정치적 의도로 생산 확대되는 것 같은.... 님들 안드로이드 구글 키보드 수십년째 쓰면서 그런 공포심 운운하는게 난 좀 웃김.... 악의적 댓글이 달리길래 참고로 난 관련 엔지니어 출신임..

    • @jinukpark8411
      @jinukpark8411 6 часов назад +4

      중국꺼니까

    • @VODKAMARTINII
      @VODKAMARTINII 6 часов назад +6

      중국인 쉴드치는 사람은 댓글리스트가 하나같이 다 중국관련 영상에만 댓글단거냐 도대체 왜 ㅋㅋ

    • @awefop24ihR
      @awefop24ihR 6 часов назад +1

      중국꺼라고 안된다 하는놈치고 제대로 쓰는놈 없음

    • @kirin1229
      @kirin1229 6 часов назад

      @@VODKAMARTINII
      논리적으로 반박할 의지가 없으면 하다못해 메신저 말고 메시지를 공격하라고 ㅋㅋ
      밑도끝도없는 음해 ㅋㅋ

    • @steponemore9761
      @steponemore9761 6 часов назад

      뭐가 웃기다는거임 팩트인데 이해를 못 하는건가

  • @대나무숲-h3x
    @대나무숲-h3x 4 часа назад +3

    베끼는것도 능력이다

  • @ejach4
    @ejach4 2 часа назад

    오픈ai입장에선 악재임
    소프트웨어가 쉽게 복사되었으니

  • @영규서-w3w
    @영규서-w3w 2 часа наза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다들 딥싴 오픈소스 사용한다는데

  • @spikio
    @spikio Час назад

    부럽다....뱃낄 능력도 있고...

  • @김세진-b8d
    @김세진-b8d 7 часов назад +10

    솔직히 openai가 자기를 베꼈다고 주장하는건 좀 짜치지 않나

    • @steponemore9761
      @steponemore9761 6 часов назад

      ???

    • @nurilee3559
      @nurilee3559 6 часов назад +2

      중국분이신가 ㅠ

    • @d7g2v
      @d7g2v 6 часов назад +4

      근거에 대해서 반박하면됨 짜친다고 비난조로 말하지말고

    • @steponemore9761
      @steponemore9761 6 часов назад

      이미 수일전부터 미국에서는 알려지던걸 안될공학님이 전달하시는 것일뿐.

    • @김세진-b8d
      @김세진-b8d 6 часов назад

      그대로 가져다쓴건 잘못이 맞지만, 오픈ai도 무단도용문제로 잘못이 많지 않나

  • @shy2634
    @shy2634 5 часов назад +2

    Deepseek 까면 뭐하나... 어차피 Open Ai랑 Deepseek이랑 도긴개긴 아닌가? Open Ai는 저작권 이슈 나몰라라 입 씻는 중인지 오래이고, 뉴스 언론사에서 소송이 꽤 많던데. 알고리즘을 그들이 완전히 썼으니 그것에 대한 값? 그럼 기사랑 News, 블로그 글, 생성 이미지에 쓰인 여러 데이터셋은 그건 사람이 만든 거 아님? Openai LLM 데이터셋은 양심적으로 모두 적절히 100% 합법으로 만들었음? 절대 아닐텐데. 딥씩을 쉴드치려는 건 아닌데 솔직히 그냥 도긴개긴임. 어차피 지들도 인터넷 긁어다 쓴건데. 아무리 봐도 개그란말이지.

  • @lumina3914
    @lumina3914 6 часов назад +1

    이영상을 보고 제가 이해하기로는 탈옥이 진실을 말한다기 보단, 우리가 알지 못하는 특정 제약 조건들을 간접적으로 우회하여 응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는거내요. 그 제약 조건이 진실과 관련이 없는 정보를 생산하는 것을 막거나, 절대적 거짓은 아닐수 있더라도 그 정보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해악성이 명확한 경우 그 정보를 차단한 제약일 수도 있기 때문에 우회한 응답이 기존응답에 비하여 절대적으로 진실에 더 가까운 정보라고도 할 수 없는거군요.

    • @kulkul-h8b
      @kulkul-h8b 5 часов назад

      시덥쟎은 문과충 논리를 내세우면서 물타기 하네, 너 목인이냐, 아님 화짱조 댓글 부대냐?
      ㅋㅋㅋㅋㅋㅋㅋㅋ

  • @DogiCoinOfficial
    @DogiCoinOfficial 6 часов назад +1

    애초에 데이터 수집은 모델이 아니라 서버가 할텐데 저거 물어보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네요 LLM 특성상 그냥 쿵짝 맞추는게 아닌가

  • @ktsghost
    @ktsghost 9 минут назад

    말이 깡총깡총 뛰는데 왜그래요?

  • @MrMinyjoy
    @MrMinyjoy 7 часов назад +1

    해봤는데 안돼요

  • @김영좌-d4l
    @김영좌-d4l Час назад

    베껴서?
    공짜로 풀어
    감사합니다.

  • @bburorong
    @bburorong 51 минуту назад

    다른 모델도 다 배끼지 않음?
    진짜 몰라서 구럼

  • @풉키풉키
    @풉키풉키 6 часов назад +3

    deepseek가 gpt 배꼈다고 말하는건 gpt서버 해킹해서 모델을 빼왔다는건가? 기술적으로 뭘 어떻게 배꼈다는거임 도대체?

    • @ShonerYT
      @ShonerYT 5 часов назад

      chatGPT가 하는 모든 대답을 자동으로 학습 시킨 것이겠죠. openAI가 실제로 싱가포르쪽에서 자기네 API를 다량으로 호출한 정황이 포착되서 조사 중입니다.

    • @풉키풉키
      @풉키풉키 5 часов назад

      @ShonerYT 저정도 모델을 만드려면 학습시켜야할 텍스트의양이 gpt api로 감당이 되는수준이 아닐텐데요?

    • @brandlee5089
      @brandlee5089 5 часов назад +2

      영상을 다 보셨는지 모르지만 딥시크가 배꼈다는 부분은 다 배낀게 아니라 질문에 대한 추론 후 답변을 채찍피티 api를 통해서 가져온 거라고 봐야죠. 그러니 그 토큰수가 말씀한 것처럼 많지도 않고요. 결국 그 사이의 답변을 가져왔으니 그게 문제가 되는거고요.

    • @풉키풉키
      @풉키풉키 24 минуты назад

      @@brandlee5089 딥시크 답변을 gpt api를 이용해서 gpt답변을 그대로 가져오고 그걸약간 수정해서 답변하고 있다는건가요?

  • @노노-q6m
    @노노-q6m 6 часов назад +3

    서로 베켜놓고 다들 아닌척 😂

  • @천조개미
    @천조개미 4 часа назад

    어? 에러... 맥쓰네? 엔지니어가 아니라서 실망이야

  • @비자림-s9t
    @비자림-s9t 6 часов назад

    헉 무셥 ㄷ ㄷ ...근데 선생님 혹시 챗지피티가 수학문제 푸는 원리도 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공산당박멸-k7k
    @공산당박멸-k7k 5 часов назад +1

    동북공정AIㄷㄷ

  • @카카-g1w
    @카카-g1w 7 часов назад +9

    그래도 오픈소스가 답이다...

  • @한탕맨
    @한탕맨 6 часов назад

    아사람 생체ai인가요?

  • @안태규-o7y
    @안태규-o7y 7 часов назад

    wow

  • @aeoirgjaeori
    @aeoirgjaeori 7 часов назад +17

    OpenAI는 인터넷 배낌

    • @검은날개-n8g
      @검은날개-n8g 7 часов назад +3

      베끼는게 아니고 데이터를 이용하는거

    • @brandlee5089
      @brandlee5089 7 часов назад +7

      이 부분이 맥락이 다른게 원본 데이터를 가공하는 과정을 거쳐서 모델에 활용했다는 측면 -> 기업의 예산이 들어가는 부분
      딥시크가 채찍피티를 베낀 부분은 그냥 데이터를 가지고 활용하는 부분 -> 예산이 훨씬 적거나 안들어갈 수 있는 부분
      그러다보니 법적으로는 문제가 생길 여지는 있어보입니다.
      물론 채찍피티가 인터넷에서 원본 데이터를 가져온 부분을 말씀하시는건 알겠지만, 크게보면 이렇다라는 것을 알려드리고자 댓글 달았어요.

    • @aeoirgjaeori
      @aeoirgjaeori 6 часов назад +3

      ​@@검은날개-n8g그러니까 그런 데이터들 조차 사용자들이 다 허락해서 만든건 아니잖아요

    • @aeoirgjaeori
      @aeoirgjaeori 6 часов назад +3

      같은이유로 자기도 인터넷을 통해 만들었다 똑같이 적용되는거죠
      OpenAI가 배꼈다라고 주장하는거면
      인터넷이 본인의 소유물이라고 인정해야함

    • @sodagraph
      @sodagraph 6 часов назад

      정보는 인터넷에서 가져온건 맞죠 근데 정보를 취합해서 지식을 추론하는 핵심 알고리즘을 봐야하는 거죠

  • @김현재-g7s
    @김현재-g7s 7 часов назад

    사운드가 좀 이상해요 선생님

    • @unrealtech
      @unrealtech  7 часов назад +1

      그렇네요 오디오가 임계값을 잘못잡은듯 주의할게요 ㅠ

  • @crogod-j9m
    @crogod-j9m 5 часов назад

    사실이 아니여도 가능하다

  • @cantoventus
    @cantoventus 19 минут назад

    웨이크 업. 단!

  • @김현호-b1h
    @김현호-b1h 4 час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 중국 칩 직접 까보거나 써보면 바러 알수잇음

  • @_Kane_
    @_Kane_ 5 часов назад

    탈옥=가스라이팅

  • @Übermensch-g9x
    @Übermensch-g9x 4 часа назад

    노 아직 5만개 더남음

  • @lunararirang2684
    @lunararirang2684 Час назад

    미안하다. 제목보고 여기 구독취소하려고 방문했다. 100% 공개소스인데도 지속적으로 딥시크의 노력을 폄훼하려는 이런 서방개 사이트는 사라져야 한다고 본다.

  • @김요한-e3e
    @김요한-e3e 6 часов назад

    소스 코드 까지 않는 한...

  • @Riako.
    @Riako. 6 часов назад

    영상 안올리면 ai망한거임

  • @우파는_차단도망_전문
    @우파는_차단도망_전문 2 часа назад

    발음이 불분명함.

  • @hh-pg3xg
    @hh-pg3xg 7 часов назад

    에러님 목소리tts쓰시는건가요 직접녹음아니고?

    • @unrealtech
      @unrealtech  7 часов назад

      아뇨 직접 녹음인데 오디오 음량 임계를 잘못잡아서 좀 이상허네요 이번편 ㅠㅠ

    • @셀레모스
      @셀레모스 6 часов назад

      에러난 에러

  • @HibikeQuantum
    @HibikeQuantum 5 часов назад

    지능(학습)이라는 현상자체인듯. 저렇게 긴 문장으로 악인처럼 행동해도 된다고 가스라이팅하면 악에 대해 다룬 미디어가 하나둘이 아닐텐데 거기서 나온 개념에 맞춰서 언어를 구사하는건 자연스러운거같아요.

  • @혁신-e3n
    @혁신-e3n 4 часа назад +1

    답답하네 애초에 오픈ai 오픈이 무슨 뜻인데 노답이노 답답하면 수학문제 틀리는거 똑같이 검색해서 또같은 부분에서 틀리는 답이 나오는지 보면 되는데 뭘자꾸 배낀다고 노래짖냐

  • @씨드래곤-t6c
    @씨드래곤-t6c 5 часов назад +1

    open ai는 소스도 오픈 안햇는데 ...뭐로 증거로 ...딥시크는 소스를 오픈...

  • @ssongCha
    @ssongCha 7 часов назад

    1등

  • @nerd9992
    @nerd9992 5 часов назад +1

    베꼇는데 더 나은게 신기함. 요즘은 챝지피가 배끼지 시작하고 있음. 한자가 가끔 튀어 나옴. ㅋㅋ

  • @user-ze7kj8xh4e
    @user-ze7kj8xh4e 7 часов назад +1

    탈옥 프롬 같은걸로 뭔ㅋㅋ

  • @wicarrain1
    @wicarrain1 7 часов назад

    1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