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에 USB 꽂을게 많아서 USB 허브 또는 멀티허브 도킹스테이션 알아보다가 생소했던 PD 충전기 보다가 여기까지 어찌어찌 왔는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전 레노버 쓰는데 노트북 스펙에 좌측 USB-C 타입포트 PD중전/ Displayport 1.4 - USB_C 타입포트, 1xUSB_C (USB 10Gbps/USB 3.2 Gen 2) with PD 140W and Displayport 1.4 라고 되어 있는데, PD 충전기를 구매하려고 할 때 노트북 스펙 기준으로 아래 2가지 PD 충전기 종류 중에 어떤 것을 준비하면 되는지 잘 몰라서 질문 드리는데 누가 아시면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① 정확하게 140W 인 제품 ② 최소 140W 이상인 제품
② 최소 140W 이상인 제품을 사면 되는데, 100W 이상이면 해당 제품 전용 PD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략 100W 이하의 제품은 멀티 포트일 경우에도 1개만 연결하면 최대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있지만, 100W 이상이면 멀티 포트 제품의 경우 전체 포트의 합이 최대전력이고 각각의 포트는 하나만 사용하더라도 최대전력이 안됩니다. 즉 전력이 높은 경우에는 싱글포트로 사용해야 하는데, 범용 PD는 싱글포트가 거의 없습니다. 싱글포트로 된 전용PD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withubuntu 아, 답변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챗GPT 랑 클로드, 구글제미나이 물어봐도 답변이 ①번과 ②번으로 팽팽하게 나뉘고 이유도 그럴듯해서 잘 모르는 입장에선 어느 쪽이 환각인지도 모르겠고 노트북 충전을 할꺼면 싱글포트 전용 PD 로 하고, 외장형하드랑 여러가지 덕지덕지 붙이려면 넉넉하게(?) 멀티포트로 해야 할 거 같다는 정도로 추측하다가 질문 드렸는데, 제가 쓸 목적을 생각해보니 외장형 하드랑 여러가지 덕지덕지 한번에 연결할 목적이어서 멀티포트 전용PD 가 답일거 같은데 답글 달아주신거 보니 그것도 아닌거 같고, 생각보다 어려운 거 같아요 🙂 ①번 추천하는 답변 보면 레노버 노트북 스펙에 나와있는 "PD 140W"는 노트북이 최대 140W까지 PD 충전을 지원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PD 충전기를 선택할 때는 ① 단일 포트 출력 기준 정확하게 140W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② 단일 포트 출력 기준 최소 140W 이상인 제품은 노트북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노트북이 최대 140W까지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그 이상의 전력을 공급하면 과부하가 걸려 노트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PD 충전기의 출력 전압: 노트북 스펙에 명시된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출력하는 PD 충전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보통 20V) PD 충전기의 케이블: PD 충전기를 사용하려면 USB-C to USB-C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케이블의 사양이 노트북과 PD 충전기의 출력을 모두 지원해야 합니다. 결론: 레노버 노트북의 경우, ① 단일 포트 출력 기준 정확하게 140W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②번 추천하는 답변 보면 미래 호환성: 향후 더 높은 전력을 요구하는 기기를 사용하게 될 경우 대비할 수 있습니다. 효율성: 충전기가 최대 용량으로 작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발열이 적고 수명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다목적성: 다른 고전력 기기도 충전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다만, 140W 이상의 충전기를 선택할 경우, USB-IF 인증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또한, 호환되는 고품질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모든 노트북에 적용되는건 아닌가봐요.
구매좌표도 없어서… 헌번 검색해 봐야 겠네요.
모든 노트북에 적용되는지 장담할 수 없지만, 20V 전후라면 왠만하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해외구매 상품이라 정확한 문의가 불가능해서 기기 고장등에 대해선 본인 책임져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이소에 파나요?
해외직구로 구매해야 합니다. 의외로 많이들 원하는지 지마켓, 11번가등의 오픈마켓에서도 팝니다.
살까 말까 고민중인데 고장나는거나하는건 없나보군요.
저랑 똑같이 고민했었나 보네요~~ 저는 델 전용이 있어서 안심하고 사서 사용해봤습니다.
바이퍼럭스에 팔아유
노트북에 USB 꽂을게 많아서 USB 허브 또는 멀티허브 도킹스테이션 알아보다가 생소했던 PD 충전기 보다가 여기까지 어찌어찌 왔는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전 레노버 쓰는데 노트북 스펙에
좌측 USB-C 타입포트 PD중전/ Displayport 1.4 - USB_C 타입포트,
1xUSB_C (USB 10Gbps/USB 3.2 Gen 2) with PD 140W and Displayport 1.4
라고 되어 있는데, PD 충전기를 구매하려고 할 때 노트북 스펙 기준으로
아래 2가지 PD 충전기 종류 중에 어떤 것을 준비하면 되는지 잘 몰라서 질문 드리는데 누가 아시면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① 정확하게 140W 인 제품
② 최소 140W 이상인 제품
② 최소 140W 이상인 제품을 사면 되는데, 100W 이상이면 해당 제품 전용 PD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략 100W 이하의 제품은 멀티 포트일 경우에도 1개만 연결하면 최대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있지만, 100W 이상이면 멀티 포트 제품의 경우 전체 포트의 합이 최대전력이고 각각의 포트는 하나만 사용하더라도 최대전력이 안됩니다.
즉 전력이 높은 경우에는 싱글포트로 사용해야 하는데, 범용 PD는 싱글포트가 거의 없습니다. 싱글포트로 된 전용PD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withubuntu 아, 답변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챗GPT 랑 클로드, 구글제미나이 물어봐도 답변이 ①번과 ②번으로 팽팽하게 나뉘고 이유도 그럴듯해서 잘 모르는 입장에선 어느 쪽이 환각인지도 모르겠고
노트북 충전을 할꺼면 싱글포트 전용 PD 로 하고, 외장형하드랑 여러가지 덕지덕지 붙이려면 넉넉하게(?) 멀티포트로 해야 할 거 같다는 정도로 추측하다가
질문 드렸는데, 제가 쓸 목적을 생각해보니 외장형 하드랑 여러가지 덕지덕지 한번에 연결할 목적이어서 멀티포트 전용PD 가 답일거 같은데
답글 달아주신거 보니 그것도 아닌거 같고, 생각보다 어려운 거 같아요 🙂
①번 추천하는 답변 보면
레노버 노트북 스펙에 나와있는 "PD 140W"는 노트북이 최대 140W까지 PD 충전을 지원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PD 충전기를 선택할 때는 ① 단일 포트 출력 기준 정확하게 140W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② 단일 포트 출력 기준 최소 140W 이상인 제품은 노트북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노트북이 최대 140W까지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그 이상의 전력을 공급하면 과부하가 걸려 노트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PD 충전기의 출력 전압: 노트북 스펙에 명시된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출력하는 PD 충전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보통 20V)
PD 충전기의 케이블: PD 충전기를 사용하려면 USB-C to USB-C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케이블의 사양이 노트북과 PD 충전기의 출력을 모두 지원해야 합니다.
결론:
레노버 노트북의 경우, ① 단일 포트 출력 기준 정확하게 140W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②번 추천하는 답변 보면
미래 호환성: 향후 더 높은 전력을 요구하는 기기를 사용하게 될 경우 대비할 수 있습니다.
효율성: 충전기가 최대 용량으로 작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발열이 적고 수명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다목적성: 다른 고전력 기기도 충전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다만, 140W 이상의 충전기를 선택할 경우, USB-IF 인증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또한, 호환되는 고품질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어디서 파는 건가요? 저도 구매하고싶네요
Laptop Power Adapter Connector 등으로 검색하면 됩니다. 11번가 같은 국내 오픈 마켓에서도 검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