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격일 때 영화처럼 물 속에 뛰어들면 살아남을 수 있을까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영화를 보면 주인공이 총을 든 상대로부터 쫓기고 있을 때
물 속에 뛰어들어 도망가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현실 세계에서도 물 속에 뛰어들면
총에 맞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후원 : toon.at/donate...
문의 : 7hieut@gmail.com
블로그 : pguin.tistory....
#그렇다 #주인공은 #이과였다
원래 총을 쏘면 탄피는 날아가지 않지만
영상을 볼 때 잘 보이기 위해 탄피까지 같이 날아가는 것으로 표현했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아..
일부러 그런거였구나
*영상 보고*
*"은잡지 미필이네~"*
*라고 할까봐*
*사전 댓글고정 ㅋ*
ㅇㅇ 이거 말안하면 와 탄피를 쏘냐고하는 잼민이들 꼭 있음
그냥 실수였다고 솔직히 말해!
ㅋㅋ 내 생각엔 영상 외주줬는데 제작자가 미필or여자라 뭘 모르고 넣은거같은데 ㅋㅋㅋㅋㅋ
적이 물 속으로 잠수하면 사격을 하지말고 수류탄을 던져라. 수류탄 파편도 물의 저항 때문에 피해를 주긴 힘들지만 터지는 순간의 폭압이 피해를 준다고 군대에서 배움
@@마린해병단아쎄이의성 츤데레...?
참 이런 질문글 보면 본인이 지금 손에 들고있는게 뭔지 모르는듯
네이버나 구글이 아닌 유튜브가 1차검색 포탈이 된것도 대충 알겠고
위에 두 놈들은 글쓰기 싫으면 지나가면 되는데 괜히 한소리 쓰고 싶어서 뭐라함ㅋㅋ
@@admongqwr1116 ?
@@admongqwr1116 전문용어로 ㅊㄷㄹ
현실에서 가능한 “총알도 살살 맞으면 안 아프다”의 대표적인 예
총알이 나를 싹 감싸노
@@사나이허주원 zzzzzzzzzzzzzzz
@@사나이허주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사나이허주원 아닠ㅋㅋㅋㅋㅋ
@@사나이허주원 총알이 싹 도노
1. 총알은 총열내 강선을 따라 회전하며 목표를 더 정확하게 타격함
2. 물속은 저항이 높아 회전이 풀림
3. 총알은 힘도 잃지만 회전이 풀리며 엉뚱한곳으로 감
@이벤트알려주는채널
조 까라 씹샛키
강선에 따라 목표가 정확해지는건 우리가 백사로밧 이백오십사로밧 하는 장거리일때 이야기이고.. 저런 영화속 물에 들어갓을때는 다른 이야기임..
@@하유-q7v 그강선으로 정확도를 높히는게 저렇게 물속에 총쏘는 근거리를 위한게아니고 장거리엿을때 적용가능한계념이라고. 10m 20m 같은 근거리는 차이가없어
@@wonseoklee-qj2li 그건 공기중에서 근거리고
물속에서 근거리는 몇센티도 안된다
@@wonseoklee-qj2li 그리고 개념이라
'당신이 그동안 숨을 참을 수 있다면'ㅋㅋㅋ
하지만 산소통이 있다면?
@이벤트알려주는채널 응 스팸 신고야
@@최승원-g8i @이벤트알려주는채널 4분 안에 댓글을 지우다닛! 개같군요!
@@최승원-g8i 산소통이 무거운데 어캐 뜀?
제주해녀 해남일수도 ㅋㅋㅋㅋ
총가지고 쫒아 가는데
상대가 물속으로 도망 친다면
총 쏘지 마시고
수류탄 하나 까 넣으시면 됩니다
ㅋㅋㅋ
그 뭐시기 ADS였나 그런 수중소총이라면 그냥 쏘든가
잠수해서 쫒아가면 됩니다
@@iloving4558 APS라고 하네요.
그냥 수류탄 구하는게 더 쉬울거 같은데요?
@@donchanyang2399 ADS도 있어요ㅋㅋ
@@liliiilliiillliil aps 수중소총
ads 수륙양용소총.
둘 다 있었네요.
그런데 둘 다 방사능 홍차국에서...
왜지?
밀도에 따른 총알의 물리력 감소도 있지만
물 표면에서의 빛의 굴절에 따른 명중률 감소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물 밖에서 본 형상만 보고 쏘면 목표가 그 위치에 있지 않을테니까요
맞아요. 게다가 바닷물처럼 탁하다면 사실 보이지도 않죠. ㅋ~
오 그럴듯 하네요
@@macdori 틀
오호
굴절은 생각 못하고 있었네요
근데 바다에 뛰어들어서 3m 이상을 잠수한다 쳐도 그 상태로 얼마나 버틸까요? 한 3분 정도만 기다리면 다들 숨쉬려고 나올거같은데 그때 쏘면 사살 가능
소총의 경우 유효사거리(600m이하)에서 총알이 날라와 물과 만나는 각도가 40도 이하면(0~40도) 총알이 95%이상의 확률로 수면에 만남과 동시에 튕겨날라가며 도비탄이 됨. 물속에 들어가지 못함. 40~50도 각도 도 상당한 확률로 총알이 튕겨지며 그 이상의 각도에서 총알이 물속으로 들어감. 소총교리에도 최소40도의 각을 가지고 물에 사격하라고 가르침.
도비 이스 프리
옛날에 스펀지라는 프로그램에서
물속에 총쏘는거 했는데 사과도 못뚫더라
유튜브에도 비슷한거 있는데 물속에서 총을 쏘니까 한 3미터 날아가더니 꼬르륵 가라앉았어요.
자네도 나와같은 할아버지군.
@@리두근 몇살이나 먹었다고 벌써 할아버지?
죽을 날이 얼마 안남았나보네?ㅋㅋㅋ
@@drmphy wis
@@drmphy ㅉ
근데 계속 쏘다 보면 숨 딸려서 올라올것 같은데 ㅋㅋ
해녀면 가능
그때즈음 총알이 떨어지겠죠?
'내가 UDT특전사'라는 가정 하에
@@박민준-n1p 물 속으로 들어가면 안쏘면 되죠 어차피 조금만 기다리면 나올탠데
그렇게치면 한국사는 이상 국가반역행위를 한거 아니면 누가 총들고 당신 좇을일 없으니까 그 이상 생각하지말고 영상에서 끝내자
두더기 잡기하듯 수면 근처로 올라오면 쏘면될듯
예전에 이 주제가지고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실험했었죠. 1m이상 잠수하면 50구경 저격총도 효과가 없을 정도로 안전하다고 하더라구요.
2:29 수압을 나타내실 때 편한 이해를 돕기 위해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모양으로 나타내신 것 같은데, 압력이 한 방향으로만 작용한다는 오개념을 심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수심 3미터도 잠수하기도 전에 총에 맞을거 같은데요.
수심 1미터만 들어가도 총알은 몸을 상하게 할 수 없어요, 그냥 작은 돌맹이 맞는 정도. 그것도 직진운동을 못하고 휘어집니다. 거의 맞을 수가 없어요.ㅎㅎ 영화에서는 직선으로 물속 깊이 들어가는데, 이건 영화감독이 멍청해서 그래요.
그전에 화력이 강한 총기는 대각선으로 쏘게 되면 오히려 물에 의해 튕겨져 나가요
@@Leeeeeeeee-hm7zh 근데 거기서 대기타다가 숨쉬려고 물 밖으로 나온 적을 쏘면 됨
물귀신이냐 총각귀신이냐의 문제지
@상자TV 물속에 들어가있는 상황이잖아 유튭 영상 안봄?
하지만 물속에서는 폭발력이 잘 전달되어서 군대에선 물 속에 숨으면 수류탄 던지라고 가르침
엥 아닐텐데
@@재호-v6y 물속에서는 수류탄 파편이 아니라 파동 그 자체로 짜부되는걸로 알고있는데
@@배고픈물총새 물때매 파동 그렇게 크지 않음 수류탄이 몸 앞에서 터지는거만 아니면 ㅋㅋ
@@재호-v6y ..? 매질이 필요한 파동은 공기보다 물이 더 잘 전달됩니다... 그래서 물속에서 소리를 내면 공기보다 더 먼곳에서도 들을수 있조... 그렇기 때문에 물속에 있을때 폭팔력이 더 잘 전달 되는것도 맞는 말 입니다. 유튜브에 Granade water 이라고 치시면 실험 내용이 나오니 찾아보세요..
@@이겨후-i3d 몰랐네 ㄱㅅㄱㅅ
은잡지- 이래서 이렇게 됩니다
취재대행소 왱- 전문가에게 물어보겠습니다
진용진-제가 한번 피해보겠습니다
제가 한번 피해보겠습니다 으아아아ㅓㅇ아ㅏ앙아ㅏㅇ아 쯔아! 아가갉락가가가가가가가가
@@lriyan ㄹㅇ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안경숭이-b7f 이와 비슷한 것:인간이 가장 큰 공포를 느낀다는 11미터에서 뛰어내리는 모형탑 훈련 재가 직접 한번 해보겠습니다 슈우우욱!(뛰어내림) 악갸아갸갸갸캬아아야약(가래침 뱉는거 아님)
@@호구마-q2c 아 너무 재밌다
@@호구마-q2c 우와 정말 재미가 있다.
수영 못하고 물에 빠져 죽을 뻔한적있어서
총에 맞고 죽느냐 물에 빠져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그냥 졸라 착하게 살아야겠네요ㅎㅎ 총맞을일 없게
안착해도 총은 맞을수있음
@@늅-u9f 앞에 안은 빼셔야할듯
@@user-xi3sv5ih1o ㅋㅋㅋ
일딘 한국은 벗어나지 말죠. 교황이 필리핀 같은 곳 말고 우리나라 온 것에 다 이유가 있어요!
저도 수영 못 하는데 그냥 총 맞고 깔끔하게 가는 게 나을 거 같아요
다음에는 "왜 사탕을 빨면 볼이 오돌토돌 할까?"안될까요? 막 입안에 쭈글쭈글한거
그거 삼투압현상인데 사물궁이 쳐보세요
젠정
@블랙아이드차녀 그냥 유튭에 삼투압 현상이라고 치면 지루한거밖에 안나오는데 다른 사람이 궁금해하는걸 보다 덜 지루하게 알려주려고 배려하는거죠
@블랙아이드차녀 잼
@블랙아이드차녀 ? 병신인가 잼민이인가
1:08 여기 명백히 틀렸는데요, 총성이 들리면, 총알은 날아오고 있는게 아니라
총알은 이미 지나갔거나 , 나 또는 동료가 총에 맞았다는 뜻입니다
군시절 포항 해안방어때 훈련으로 야간에 K2소총으로 예광탄 사격을 해봤는데 실탄이 실제로는 물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V자 모양으로 튕깁니다. 처음보는 광경이라 당시 저도 처음에는 놀랐습니다.
그거 원리는 모르는데 표면장력때문이라고 알고있어요
대각선으로 사격하는경우 물에 못들어가고 튕기고 수직으로 쏘거나 물안에서 쏴야 영생 내용이 적용됨
그나마 물속에서 쏘는경우는 고장이나 폭발등 위험해서 물속에서 쏠수있게 특수 설계 된거아니면 못쏜다고 알고있음
@@serase1044 좀 아시는 군여!! 따봉!!
오 해병
약간 물수제비 같은건가요?
@@떡볶이성애자 총알이 존나 돌아가면서 나가니까 그런듯
오늘도 정말 유익했습니당
요새 일이 많아 댓을 많이 못달았네여;;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하지만 물속으로 들어가는 사람마다 무게와 중력 차이가 있어서 맞을 확룰도 있음. 다리를 다치면 수영도 제대로 하지못하고 바다라 더 위험해서 과다출혈로 죽을 수가 있습니다. 외국같은 경우는 상어도 살기에 피 냄새맡고 죽을 수도 있다. 그럴 일은 많이 안남. 배개나 이불로 충격을 흡수해서 저항하면 버틸 수 있지만 죽음 바다로 도망갔으면 최대한 멀리가서 나오는게 최우선 신고도 꼭 해야하고 수건이나 옷으로 막아줘야 함.
상어는 인간의 피냄새에 반응하지않아 이병신아 ㅋㅋㅋㅋ
오늘도 영상 만드시느라 수고하셧습니다~
왜 대부분 사람들이 고양이 이름을 나비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나비 보면 쫓아가서
@@김한결-h9u 오오
@@김한결-h9u 오오오
@@김한결-h9u 오오오오
@@김한결-h9u 오오오오오오
1분전은 ㄹㅇ못참지ㅋㅋ
K2의 920M/S는 포구속도 기준입니다 포구속도는 총열에서 나온 직후 추진력을 가장 많이받아 제일 빠를 때의 속도이며 이후로는 공기저항도 받고 추진력도 떨어져서 1/3정도 속력이 감소한 후 천천히 떨어집니다 군인들 실사격때 250미터 표적이 생각보다 늦게 명중하는것만 봐도 알수 있지요
오늘도 좋은 지식 감사합니다
엘리베이터를 한번탈때 전력소비량과 그때 드는 전기료가 얼마인지 궁금합니다
천재넹!
@@jun_1217 보통 사람들은 지가 뭘 모르는지도 잘모름
@@jun_1217 천재들도 다 처음엔 궁금해 했으니까 알게 된거
@@seungjun0702 증가한다고만 되어있네요
사실 도르레가 전부라 많이안들어요 비싸면 당근관리비가비싸것죠해바야 400원?
정말 유용한 지식이군요. 저도 가끔 겪는데 좋은 팁 감사합니다.
0:27 물이고 뭐고 주인공 이여서 총에 맞지
않는것 입니다
주인공 버프:모든 것을 다 막고 매우 강력해진다.죽어도 살아난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실생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예??
1:20 탄피가 같이 날아가고 있어...?!
고정글봐라
고정글 봐라
ㅋㅋ
아니 저거 미니에탄인데 탄피가 어딨어요 ㅇ
@@Roks672 저게ㅜ어딜봐서 미니에 탄임
와겁나궁금해서 머리끙끙했는데 진짜감사합니다
영화감독:그냥 상상해서 넣은건데 과학적으로 맞았네ㄷㄷ
그런 경우가 꽤 있죠
여기서 조금 더 보태자면 총기의 사거리에서 최대사거리와 유효사거리가 있음 최대사거리는 말그대로 총알이 최대한 날아갈 수 있는 즉, 탄두의 에너지가 0이되는 사거리의 값임 유효사거리는 탄두가 사람을 살상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는 거리를 나타냄. K2소총의 유효사거리는 600M로 수중에서 유효사거리는 약 0.75미터 즉 75센티미터에 불가함 그니까 1미터만 잠수해도 들어가도 살 수 있음
우리가 자전거를 탈때 넘어지지않고 잘 탈수있는 원리가 궁금해요
@J N 인생이 힘들죠? 님 부모님은 훨씬 더 힘들거예요
@@윤지용-z1j 저런새끼 무시해요 ㅋㅋ
사회성격려되어있는새끼라
저런거에 댓글다시는시간마저 아까움
두가지 문제점
1.수심3m가 의외로 깊어서 거리로 3m의 상당량을 때울수 없는경우 총알 속도에 그냥 맞는다.(대치거리가 꽤 긴경우 신경쓸필요는 없음)
2.(결정적으로)물에 완전히 잠수할려면 1초 안팎으로 시간이 필요한데 이정도 시간이 주어지기는 사실힘들다.
이것때문에 결과부터 말할때만 그런것이네요. 그래도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3m까지 잠수도 필요없습니다.
옛날에 스펀지에서 실험했었고, 총알이 물속으로 파고드는게 아니라 물 표면에 닿음과 동시에
물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날아갔던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총보다 활과 화살이 물 속 표적에는 합리적인 결과를 보여줬죠.
물과 각도가 높으면 걍 물속에 박힘
총알 모양에 따라 달라용 물속에서 5.56미리 총알을 쏘면 9미터가지는 살상거리라네요 히스토리 채널에 나와잇습니다 사실 최대사거리가 2400미터인 이유는 공기저항력 뿐만이 아니라 중력 등등도 존재하기때문에 물속에다가 총알을쏘면 생각보다는 멀리까지 나가다고 합니다 또한 탄두가 둥근 9미리 탄두냐 뾰족한 5.56 7.62 탄두냐에 따라서도 살상거리가 많이차이납니다....
사람에는 아니지만... 예전에 사냥 나갔을때, 동물에게 공격당해본적은 있습니다.
총을 누가 겨냥하는데 물이 없다면... ㄷㄷ
육군 해안경계 했습니다
저희는 훈련때문에 해안사격 종종 했는데요
야간사격은 예광탄(야광탄) 이라서 총의 궤적을 훤히 보입니다
실제로 물에 총을 쏘면
정답은 "튕겨나간다" 입니다
K2소총 으로는 직접 쏘고
m60 연사는 화기부대 쏘는거 많이 봤는데 싹다 튕겨나갑니다
탄피.....탄피..... 탄피..... 뭐.... 그럴수 있지....
이해를 돕기위해 그런거라고 하시네용
ㅋㅋㅋㅋ
ㅋㅋ
입사각이 충분히 높지 않으면 표면 장력으로 인해 대부분의 탄환이 튕겨 나갑니다. 해안부대 전역 20년차의 변
아놬ㅋㅋㅋ 주인공 이과랰ㅋㅋㅋㅋ
과학적 설명 이 있어 좋네요
익사를 하것지 수심 3m터가 얼마나 깊은데 ㅋㅋ
1~2미터 정도가면됨 맞으면 아프겠지만 죽는거보단 남
가장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얘기가 빠졌네요...
사격자가 물 밖에서 물 속의 물체를 볼때 빛이 '굴절'하므로, 실제 물 속에 있는 타겟의 위치가 다른 곳에 있다고 착각하게 됩니다. 그래서 보고 백날 쏴봐야 엉뚱한 곳을 타격하게 됩니다.
좀 뜬금없긴 한데 물속에서 쏘려고 만든 총도 있다고 함 물론 사거리는 엄청 짧지만...
작살 말하는거임?
그 장전을 공장에 가져가서 해야한다는 그총?
은잡지님! 뜬금없지만 너무 궁금해서 말이죠 우리가 눈을 감을때 또는 잠을잘때 눈을 감으면 우리의 눈동자는 어디로가는지 궁금합니다! 눈깜박거릴때 순간적으로 눈동자가 움직일까요?
아니면 가만히 있을까요?
잠을잘때 눈동자는 정중앙에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제가 느끼기로는 눈 감을때 눈동자가 위를 향해있던데요
@@user-sb3ti1hh9x 그렇군요
3m 잠수할빠엔 귀찮아서 마하3으로 총알 쳐냄
올?
감사합니다
힘내세요!!
(물속에 뛰어든 후 생각) 휴...살았다..(휘적휘적)아..맞다 나 수영 못하지..(이미 생각을때는 수심6m였다)
수영을 못해서 사망
영상보니깐 물속에 뛰어들면 물속에 있는 물체는 굴절이 되잖아요 그렇기 떄문에 조준하는 것부터가 어려운일이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최대사거리 말고 유효사거리로 해야하지않나요? 아님말고..
맞습니다. 유효사거리가 실질적으로 적에게 유의미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사거리입니다.
@용돈내 놓으시오 3미터는 최대사거리니 가겠지만, 간다 해도 살상력이 극도로 떨어져 있을 겁니다. 실제로 물속에서는 3m 보다 훨씬 안에서야 사람을 죽일 가능성이라도 가지고 있겠지요. 참고로 M4의 유효사거리가 500쯤 이었나 그랬을 겁니다. K2는 제가 카투사 나오는 바람에 기억이 안나네요;; 아무튼 길어졌지만 유효사거리를 맞으면 매우 높은 확률로 부상이나 죽는 사거리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용돈내 놓으시오 k2같은 소총도 2400미터 까지 날아간다는거지 유효살상거리가 아니라서 물속에서 3미터 날아간다치면 3미터 이내에서도 안죽을 가능성이있다는거쥬
여담이지만, 총알의 운동에너지는 탄두의 질량과 탄속에 의해 좌우됩니다. 속도가 빠를수록 저항력이 커지기 때문에, 탄속이 느린 대신 탄두가 무거운 총알은 물속에서 운동에너지를 상대적으로 덜 잃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배그에도 나오는 총인 VSS가 있는데, 게임에서야 권총과 같은 9mm를 쓰지 실제로는 화약량은 5.56mm와 비슷하고 탄두 무게는 5배나 무거운 탄입니다. 이런건 물속에서 3미터보다는 훨씬 더 많이 나가겠죠
오호 그렇군요
아..탄피 신경쓰이지만 그냥 보겠습니다
정보) 수류탄을 물 속에 던지면 그 충격파로 인해 주변에 있는모든 생물들이 다 죽는다. 결론: 수류탄은 육지에 던지는것 보다 물속에 던지는게 더 효과적이다 ㅋㅋㄹㅃㅃ
근데 왜 대머리이들이죠?
원래 영화속 주인공들은 무'모'한 경향이 있어서...
해안사격하면알겠지만 쏘는각도랑 거리에따라 달라져요. 탄이 물수제비처럼 틩겨져나갑니다. 물속으로 들어가지 못하더라구요.
크큭.... 그렇다면 내 몸의 피를 이용해서 방패를 만들면 되겠군. 하아 블러드쉴드
으윽,항마력이 부족하다.
의외로 착각하는 사실
물"속"에서 "격발"할 시 유효 사거리가 3m 정도 됨. 여기서 착각 하는 사실이 "물속"에서 3미터를 진행하니 물 밖에서 비행하는 총알이 수중으로 진행할 때도 같다고 가정함.
실제로는 탄종과 형상에 따라 다른데 탄두가 뭉툭한 할로우 포인트나 권총탄 등의 탄두는 물속으로 들어가면 유효 사거리가 그리 나오지 않음. 그러나 통상탄이 철갑탄인 경우가 많은 소총탄 부터는 탄두 형상이 유선형 형태여서 수중으로 진입해도 운동량 손실이 많지 않아 약 50미터 까지는 유효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즉, 물에 뛰어들어도 상대가 소총 들고 있으면 끔살
그외에는 탄두 크기가 2자릿수인 50구경 중기관총 탄약이나 14mm 기관포탄, 25mm 체인건, 40mm 대공 포탄 등등은 물에 의한 운동량 감소가 미미함. 그래서 함포 레벨까지 가면 수중으로 숨은 잠수함 또한 수 미터 ~ 20 미터 수심에 위치해 있다면 초탄으로 침몰이 가능할 정도로 탄두의 운동량 손실은 적은 편이다.
날라가는 총알에 탄피까지 그린 이유가 더 잘 보이게 하려고 그랬다고 하셨는데 좀 억지 같음....
그냥 제 생각입니다.
옛날 TV프로중 스펀지에서 권총과 활을 수조 안에 있는 사과에 쏘는 실험을 했는데 총알은 물속에 들어간지 단 몇센치밖에 가지 못하고 회전이 풀려버리면서 힘없이 가라앉았는데 화살은 사과를 관통했습니다. 화살은 회전을 하지 않으니 물속에서는 총알보다 훨씬 멀리 나가더라고요
총은 일종의 원격 드릴임
총알이 회전으로 뚫는건데
물로 들어가면 회전이 약해짐
그래서 전술교본에는
작살을 쏘거나
수류탄을 던져 폭압으로 적에게 피해를 주는게 좋다고함
회전은 궤도를 안정시키는거지 위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K2소총의 강선은 18.5cm당 1회전을 하도록 만들어졌는데 보면 알겠지만 이 회전량으로는 무언가를 뚫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죠.
23사단 해안경계병 출신입니다 한달에 한번정도 바다에 총을 쏘는 훈련을 했었습니다.
결론만 말씀드리면 k2소총을 바다에 쏘게되면 총알이 v 자 형태로 튕겨서 하늘로 올라갑니다 5발마다 예광탄을 삽탄하기에 총알이 날아가는 방향이 전부 보입니다 총알의 회전력과 물의 마찰력 때문에 총알은 물에 들어가지도 못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른데 거기에 상어가 딱 수심이 낮은곳에
온다면(넌 어케 할꺼야?)
1:상어에게 먹힌다
2:총에 맞고 죽는다
3:수류탄을 꺼내 상어 입속으로 들어간다(?)
4:어떻게든 나가본다(사지 하나를 걸고)
엥 그렇다면 영화 라이언일병 구하기 초반에 꽤 깊은 물속의 군인이 기관총 세례에 죽는 장면이 있던데 이건 고증 오류 인가요??
이 댓글 어딨나 찾아봤는데 여깄네요. 네 제 생각에도 물 속이라도 수면 가까이에 있던 병사들에게는 위력적이었겠지만 더 깊이 있던 이들에게는 그다지 위력적이지 못했을 것 같아요.
기관총이 존나쎄서 저항에 힘 잃기전에 죽여버리는듯
번외편으로 수류탄의 경우에는 물 속에서 파편이 더 빨리, 더 멀리 퍼져서 치명적이라고 합니다.
그냥 물안 밀도가 높아서 충격이 내장에 더 잘 전달되서 치명적인 거 아니였나요?
파편이 아니라 폭압 증폭
그 뭐였지 예전에 북한군이 강으로 넘어올때 국군이 실탄쏴서 2명인가 죽었던데 이거 보면 물속으로 꽤 깊게 가지 않는한 그냥 맞아서 죽을거 같음
강으로 넘어올땐 아마 물 밖에 머리를 내놓고 올테니...
K2소총 사거리는 2653미터 입니다 맞으면서 외워가지고 15년이 지났는데도 기억하네요...
수압영향은 별로 그렇게 크진 않지 총알이 회전하기 때문에 저항력이 더 커지는거지 바닷속이라면 활이 더 좋을거임 회전이 없으니
활은 요즘 시대에 구하기 어렵고 작살 있음
위 행위를 하는것은 수영을 할수있을때 얘기며 수영을 못할시 기도하면서 도망가야함을 미리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총알이 1초에 수면에서 1m정도 들어간다.
사람은 1초에 수면에서 15cm정도 들어간다.
이론상 3m를 총알보다 빠르게 들어가면..
애초에 1미터를 1초동안 가는 물체한테 맞는다고 뭔일이 생길것같음? ㅋㅋ
@@White_Day_ 제 말은 사람이랑 총알이 물에 동시에 들어가기 시작할때면 총알은 이미 우리몸을 통과하고 남을 속도라는거죠 ㅋㅋㅋ
1미터 1초에 가는 지름 9mm짜리 딱밤맞는정도로 따끔하겠죠 뭐
이제 총 쏘는 곳에 가면
물부터 찾도록 하겠습니다
엄청 중대한 정보 점수 +1점 🐴
감사합니다.
항상 지그재그로 뛰었었는데,
이제 물에 뛰어들면 간단하네요.
1:07 이부분 좀 이상하네요. 총성이 들렸다면 이미 총알은 날아오고 있는 것이죠가 아니라 총알이 먼저 날아오고 총성이 들린다고 표현해야할듯
" _너는 이미 죽어있다_ ."
- 북두의 권, 켄시로
음속보다 탄속이 빠르면 맞을사람은 총성을 듣기도 전에 맞고 맞고난뒤에 총성이 들린다는건가요?ㅎㄷㄷ
그 오마하 해변에서 살아남은 군인을 분석 하는거 봤는데 어떤이는 바다에 빠져 잠수 해서 총알을 피했다고 하더군요.
몇 센티 위로 상승만 했다면 죽었을지도 모른다고 하더군요.
0:49아...불편....탄피도 같이 날아가네
아니 저거 미니에탄이라구요
@@Roks672 몬소리얔ㅋㅋㅋ 미니에탄은 애초에 구리가 아닌대??
ㅋㅋ
유튜브에 수영장안에 총 설치하고 실험자가 그 총앞에 서 있고 자신에게 쏘는 장면 나와요 근데 그때 봤을때는 그냥 1m-2m정도 가다가 자유낙하
댓글들 바본가?
1총알의 회전은 직진성을 위한거임
축구 무회전킥 하면 공이 흔들흔들
2 총알이 물에 맞으면 팅겨 나가거나 깨짐
목욕탕에 손을 담그면 들어가지만 엄청 빠르게 치면 손바닥 아파죽는다
총알은 더 빠르니깐 얼마나 충격이 세겟냐?
여씨은잡지최고!엄청엄청사랑해요유투부많이해주어서엄청엄청고마워요.
신호등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궁금합니다
30초±a 횡단보도 거리에 따라 신호의 시간이 변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는 익사하였습니다.
'만약 그런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3m 이상 잠수하게 되면' 이라고 쓰셨는데 '만약 그런 상황이 발생해도 3m 이상 잠수한다면' 아니예요?
계속 그부분이 어색했는데 말씀하신 것처럼 하니 어색하지 않네요
태그에 "그렇다 주인공은 이과였다"실화냨ㅋㅋㅋ
총알이 물속에서 3미터 나가지만 실제 위력은 1미터 입니다.
즉 물속 1미터면 어떤 총알에도 안전 합니다.
2:31초에 수압은 수심이 깊을수록 올라가게 됩니다. 라고 나오는데, 물과 관련하여 이야기하고 영상 화면 또한 물 속인 상황에서 '올라간다'라는 표현보다는 '커진다'라는 표현이 더 적절했을 거 같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시청자들이 잘 이해 했겠지만, 지식을 전달하는 유튜버로서 전달력에 좀 더 신경 쓰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쓸데없이 진지충같긴 하지만..ㅋㅋ 그저 은잡지 채널이 더 완벽해졌으면 하는 구독자의 충고정도로 생각해 주셨으면 합니다.
피드백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에선 더 좋은 표현을 사용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06 소리가 들리기 전에 총알이 먼저 목표에 도달하는 거니까 총성이 들렸다면 이미 총알은 목표에 도달하고 난 뒤인거 아닌가요..?
탄피도 나가는거 불편하다..
좋은영상 잘봤어요~^^ 근데 그림에선 탄두만 발사되어야 하는데 탄피도 같이 발사되네요~ ㅋㅋㅋㅋㅋㅋ시비건거 아닙니다, 그냥 웃자고요~^^
보통 총을 든 상대와 물에 들어간 내가 있다면
그건 이미 내가 뒤져서 아무도 모르는 곳에 처리당했다는 뜻입니다
그때 대처법:
1.상대가 나오기전까지 잠복하고 나오면 쏜다
2.그냥 지가 익사할때까지 기다린다
3. 수류탄 던진다. (정석)
그러면 활을든 상대를 만나면 어떻게해야하나요
문제는 잠수 훈련이 안 된 일반인은 귀가 아파서 수심 2m도 들어가기 힘들다는 거 ㅋㅋ
월남전때는 바닷가에서 스노클링으로 포위망을 빠져나간 사례도 있다 합니다.... 감제고지에서 인근 차단조에게 위치 불러주며 기관총까지 동원해서 쐈지만 겁먹고 일어선 몇명 빼고는 다 빠져 나갔다고
3미터가 아니라 1m 조금 넘어도 사람 살상하기 힘들 정도로 총알의 속도가 줄어요. 전에 티비에 나온 실험에서는 그랬음...
대부분 튕겨져 나가요 ..총알은
파도가 그리 높지 않아도 바다에 45도 이하의 각도로
사격하면 대부분 물에 튕겨져 나갑니다..
잘 상식적으로 납득이 않될수도 있지만 저는 실제
사격을 통해서 얻는 경혐입니다.
자전거를 앞으로 끌고 가면 페달이 돌지 않지만, 뒤로 끌면 페달이 도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건 허브때문인데 보통 자전거들은 다 카셋트허브를 써서 그래요 그래서 요즘 뒤로 끌어도 페달이 돌지않는 프리허브도 나온답니다
물속으로 뛰어듬 > 아 맞다 나 수영못하지? > 익사
정말 쓸때 없으면서 유용한 정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