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확인서 통원확인서 차이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비대면 진료의뢰서·진료확인서 '젠닥의원'카톡검색

    병원 의원을 다녀갔음을 확인해주는 서류는 입퇴원확인서, 통원확인서, 진료확인서 3가지이다.
    입퇴원확인서는 입원 치료를 하였을 경우 입원과 퇴원 사실을 확인해 주는 문서다
    통원확인서는 외래 진료일을 기재하여 외래 진료가 언제 이루어졌느냐를 중점적으로 기술하고
    진료확인서는 입원치료든 외래진료든 상관없이 특정 진료내역(방사선 치료, 검사 및 의약품 등)을 기재하여 특정 진료가 이루어졌느냐를 중점적으로 기술한다
    학교나 회사에 병의원 치료 확인서를 제출해야 할 경우 병의원에 통원했느냐 사실여부만 필요하다면 통원확인서를, 진료내역까지 필요하다면 진료확인서를 받으면 된다. 둘 다 약식 병명이 기재될 수도 있으며(병명코드는 없다) 기본 진찰료에 확인서 비급여 비용 1000~3000원을 더해서 진료비가 나온다.
    병명코드가 필요한 경우에는 병의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포함한 진료를 받고 진단서를 받으면 된다. 진단서 비용은 1~2만원이다
    의사소견서는 의사들끼리 주고 받는 것이므로 의료기관이 아닌 곳에 제출할 일은 별로 없을 것 같다
    카톡/전화/앱으로 비대면진료 처방 · 진료의뢰서 · 통원확인서
    젠닥의원 가정의학과 pf.kakao.com/_...

Комментарии • 3

  • @IN-TV
    @IN-TV Год назад +1

    종류별로 자세한설명 많은 도움되엿습니다 좋은영상 공유 감사합니다 👍👍❤❤🌷🌷

  • @글세-l9t
    @글세-l9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보험회사는 진단서를 요구하는게 아니랍니다.
    병명코드가 필요한건데 이건 환자 보관용 처방전에 있답니다.
    이걸 알면서도 2만원씩받고 진료확인서에 병명코드를 넣어 출력해주고 환자 돈을 더 뜯어내는 짓을 하는 병원이 있는거죠.

    • @zendoc-talk
      @zendoc-talk  2 месяца назад

      검사 없이 의증진단으로 처방전 나갈때 병명코드를 굳이 기재하지 않습니다 의증이니까요. 환자가 처방전에 병명코드 기재해달라고 하면 기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