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블릿 피씨의 노트필기 앱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굿노트나 원노트를 이용하면 종이처럼 필기도 가능하고 두꺼운 종이책도 필요없어서 휴대하기도 용이하거든요. 손글씨 연습이 종이와 다를 것 같긴 하지만 새로운 공부법을 위해 태블릿을 이용한 공부방법도 알려주시면 어떨까요?
네, 요즘 디지털기기의 발달로 인해서 공부할 수 있는 도구가 다양해진 것 같습니다. 태블릿을 사용하면 무거운 책들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기에 이를 활용하시는 분들도 보았습니다. 다만 손글씨는 때떄로 종이에 써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시험은 종이에 작성해야 하므로 필기구의 선택, 그리고 필기구와 종이와의 느낌 등을 손에 익힐 필요가 있거든요~ 관련 부분은 영상으로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브노트와 답안작성의 연관성에 대해 질문합니다. 한 주제에 너무 많은 내용을 담으면 시간관계상 내용을 다 못 적게 된다고 하셨는데, 시험문제는 서브노트의 주제와 동일하게 출제되지 않고 응용되기에 서브노트는 충실하게(파생내용포함) 만들어서 시험문제에 맞게 서술해야 하지 않나요? 좀 질문이 길었네요^^
좋은 질문이십니다. 서브노트의 목적은 반복회독을 함으로써 전체 범위를 한꺼번에 체득하는 효과를 위함입니다. 전체범위를 체득하게 되면 신기하게 유사 주제별로 연결이 되고 특정 주제에 대한 문제점 해결을 다른 주제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생기기도 합니다. 특정 주제가 길게 정리가 되어야 할때 안보고 그 분량을 쉽게 떠울릴 수 있다면 괜찮구요 그게 힘들면 파생되는 내용은 별도의 주제로 잡아서 정리해도 좋습니다. 흔히 들어본 동요 '사과는 맛있다 맛있는 것은 바나나 바나나는 길다 긴것은 기차~~~' 노랫말 처럼 특정주제를 떠올리면 파생주제가 연결되며 떠오르게 됩니다. 답안을 작성할때 문제에 맞게 적절히 작성하면 되구요~ 감사합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어떤 문제에 대하여 핵심 키워드를 많이 아고 있다면 우선 최대한 채점자의 시선을 끄는게 중요합니다. 우선 대제목에 키워드를 넣을때, 중간제목에 핵심 키워드를 넣을때 두 경우 모두 대제목을 조금 돋보이게 잡으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의 정의를 작성한다고 할때 그 제목을 "개념" 또는 "정의" 보다는 "ㅇㅇㅇ 기술의 개념" 또는 "ㅇㅇㅇ기술의 정의" 더 나아가서는 "ㅇㅇㅇ문제 해결에 적합한 ㅇㅇㅇ 기술의 개념" 또는 "ㅇㅇㅇ환경에 효율적인 ㅇㅇㅇ기술의 정의" 이런식으로 제목을 잡고 그 내용에 핵심키워드를 잘 넣으면 좋겠죠
워드형 서브노트의 장점: "회사에서 학습가능하다"에서 완전공감ㅎㅎ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네... 아주 유용한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 추가로 서브노트를 완성한다기보다는 빨리 끝내시고 내 공부를 하시는 것을 위주로 준비하셔야 빠른 합격이 가능하십니다^^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서브노트개념이 조금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시청해주시고 소중한 소감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좋은 영상 감사 합니다.
손으로 정리하고 스캔을 떠서 파일로 공부하면 좋겠네요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의견주신바와 같이 동일한 내용을 다양한 도구로 변환하여 학습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잘 봤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네 감사합니다.
시간이 많이 지났습니다만 답글 남겨봅니다
12:39 부분에 나오는 구매 가능한 서브노트에 대한 정보가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태블릿 피씨의 노트필기 앱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굿노트나 원노트를 이용하면 종이처럼 필기도 가능하고 두꺼운 종이책도 필요없어서 휴대하기도 용이하거든요. 손글씨 연습이 종이와 다를 것 같긴 하지만 새로운 공부법을 위해 태블릿을 이용한 공부방법도 알려주시면 어떨까요?
네, 요즘 디지털기기의 발달로 인해서 공부할 수 있는 도구가 다양해진 것 같습니다.
태블릿을 사용하면 무거운 책들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기에 이를 활용하시는 분들도 보았습니다.
다만 손글씨는 때떄로 종이에 써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시험은 종이에 작성해야 하므로 필기구의 선택, 그리고 필기구와 종이와의 느낌 등을 손에 익힐 필요가 있거든요~
관련 부분은 영상으로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슬슬 건축전기설비기술사 훑어나 볼까.... 일단 정신적 여유가....
이번 131회 필기시험에 건축전기설비기술사 합격률이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건투를 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서브노트와 답안작성의 연관성에 대해 질문합니다.
한 주제에 너무 많은 내용을 담으면 시간관계상 내용을 다 못 적게 된다고 하셨는데,
시험문제는 서브노트의 주제와 동일하게 출제되지 않고 응용되기에 서브노트는 충실하게(파생내용포함) 만들어서 시험문제에 맞게 서술해야 하지 않나요?
좀 질문이 길었네요^^
좋은 질문이십니다.
서브노트의 목적은 반복회독을 함으로써 전체 범위를 한꺼번에 체득하는 효과를 위함입니다.
전체범위를 체득하게 되면 신기하게 유사 주제별로 연결이 되고 특정 주제에 대한 문제점 해결을 다른 주제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생기기도 합니다.
특정 주제가 길게 정리가 되어야 할때 안보고 그 분량을 쉽게 떠울릴 수 있다면 괜찮구요 그게 힘들면 파생되는 내용은 별도의 주제로 잡아서 정리해도 좋습니다.
흔히 들어본 동요
'사과는 맛있다 맛있는 것은 바나나 바나나는 길다 긴것은 기차~~~' 노랫말 처럼
특정주제를 떠올리면 파생주제가 연결되며 떠오르게 됩니다.
답안을 작성할때 문제에 맞게 적절히 작성하면 되구요~
감사합니다.
A4 바인더 있으면 링 제본의 장점과 3공 바인더의 장점을 모두 얻을 수 있어요
A4 바인더는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을 말씀하시는지요?
정태호 20공 a4 바인더
그럼 핵심 키워드는 중간 제목으로 하는게 나을까요 ?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어떤 문제에 대하여 핵심 키워드를 많이 아고 있다면 우선 최대한 채점자의 시선을 끄는게 중요합니다.
우선 대제목에 키워드를 넣을때,
중간제목에 핵심 키워드를 넣을때 두 경우 모두 대제목을 조금 돋보이게 잡으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의 정의를 작성한다고 할때 그 제목을 "개념" 또는 "정의" 보다는 "ㅇㅇㅇ 기술의 개념" 또는 "ㅇㅇㅇ기술의 정의" 더 나아가서는 "ㅇㅇㅇ문제 해결에 적합한 ㅇㅇㅇ 기술의 개념" 또는 "ㅇㅇㅇ환경에 효율적인 ㅇㅇㅇ기술의 정의" 이런식으로 제목을 잡고 그 내용에 핵심키워드를 잘 넣으면 좋겠죠
수강완료 210620
3공 노트 종이는 따로 파는건가요?
네, 다이소나 팬시점 같은 곳에 있는지 모르겠는데요 확실한건 인터넷 쇼핑몰 검색하면 판매하는 곳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거예요
삼공바인더가 유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