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orking Wine Secrets! 🍷 Masters Answer Your Top Questions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 Wine Masters Answer Your Questions! 🍷
In this special Q&A session, top Wine Masters answer YOUR questions! From expert recommendations to insider tips, this video is packed with valuable insights for every wine lover.
📌 What you'll learn in this episode includes:
✅ When to decant wines 🍷
✅ Where toastiness come from in Champagne🏅
✅ How to tell when the wine is ready to drink
Have more wine-related questions? Drop them in the comments, and we might feature them in the next Q&A!
If you enjoyed this video, don’t forget to like, comment, and subscribe for more expert wine content! 🍷✨
[[Links]]
Peter MW Website : peterkoffmw.com/
Peter MW Website Discount Code : SoulofWine
Free shipping for 12+ bottles, and $20 for 6-11bottles
Patrick MW Instagram : @Plrfarrell
Patrick MW RUclips : / @dr.patfarrellmasterofwine1496
Elle Instagram : @elleleerealty
The Soul Of Wine Instagram : @Thesoulofwine_official
Email : mjang84@gmail.com
There's quite a few questions for which I haven't found a direct answer yet, despite reading different books, from Michael Broadbent, Michael Schuster to Jancis Robinson and Hugh Johnson.
The main one is actually: how to define "elegance".
For me, it is a statement which can only be answered after assessing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wine.
For this reason, I feel it is required to both cover a palette of 'delicate' aromatic descriptors (flowers, berries) and present well integrated tannins (bigger, coarse ones would result into something more 'muscolar', hence the opposite of elegant).
But is this really it?
Or could one possibly just use the word to sum up its character, based on the nose alone and avoiding the palate alltogether?
If this is the case (and here it follows to the next issue):
How does one decide between potraiting the wine as 'elegant', instead of 'shy'.
Could a glass display elegance despite lacking intensity or precision?
I am sorry if this sounds unnecessarily confusing. As a wine lover I am well aware of how important it is to choose a precise and coherent vocabulary.
However, as a non-native english speaker, it may not always be easy to do so; for which, again, I am sorry. 😂
Wish you all a happy weekend.
귀중한 답변 감사합니다 ^^
"품종을 유추하기 보다 떼루아를 보고 지역을 판단해라."
"같은 품종이라도 다양한 가격대를 경험해라"
메모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
두 mw 선생님들의 친절한 답변을 들을 수 있다니 정말 은총 같은 영상이에요!!
Maybe one day we will get all the YT MWs to make some videos! P & P, Konstantine, Bob. The 1% MWs (4 out of 4xx).
Great episode as always.
Q1: What also goes really well with Chianti is ragu from wild boar.
Q2: I'd like to add two things: 1.: What about offdry Riesling? They can easily age 21 years and have the advantage that a 21 year old will actually like them, whereas aged Bordeaux is usually not what a 21 year old likes. 2.: Buy magnum!
Love to see these old geezers impart knowledge
Thanks!
Awesome video !
A great episode. Could you do more of these? I think people like me just love hearing these two man talk and debate. Give them some fun controversial topics maybe? Thanks again!
너무 유익하다 이런거 또 만들어주세요~!!!!!
넵 ~ 😊
Thank you for the video!
amazing video as always ! the king 👑👑
See you on the next one! 😄
PETER from Costa Rica feliz cumpleaños, excellent video
늘 좋은컨텐츠
12:27 한마디만 하셨는데 패트릭쌤이 장난치려고 하는걸 알고 웃으시는 피터쌤ㅋㅋㅋ
눈썰미 ㅋㅋㅋㅋ
이런 컨텐츠 너무 반갑고 소중합니다 🎉🎉
평소에 궁금했던점을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지 물어봐 주세요!
잘봤습니다 ㅋㅋ질문드린 디캔팅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해주대로 조금씩 산화시키면서 마셔볼게요!! ㅎㅎ 산화가 부족한지 아닌지 알려면 아직 좀 더 많이 마셔봐야 알겠지만 말씀해주신대로 해보겠습니다
2편도 빨리 보고싶네요!!
감사합니다~!
최고~!!
잘 봤습니다. 파트2도 기다릴께요❤
곧 업로드 할게요!😊
감샤합니다 :)
세계 최고 와인 스승님들이 이렇게 농담도 곁들여 가며 와인 공부를 시켜 주신다니.. 정말 꿈만 같아요 :)
감사합니다~! 😊
영상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여윽시 박떼가 진리다 이마리야
Yesssssss!!!!!!!! Been waiting for the return!
너무 좋은 팁들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캔터에 넣고 마구마구 흔드는 건 첨 알았네요~
이런 멋진분들
가끔씩 신발장에 오래 굴러다니던 저렴한 까바나 크레망에서 토스티한 향이 느껴지던데 그게 병숙성이였군요 ㅋㅋ
토스트향 관련은 MW께서 개략적으로만 설명하고 넘어가셔서 좀 자세히 썰을 풀자면, 와인에 토스트향이 유입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1. 오크통 : 오크통은 제조 과정에서 널판지를 구부리기 위해 통 안쪽에 불을 지펴 열을 가합니다. 그래서 널판지 안쪽이 그슬리게 되는데 여기에서 와인을 숙성시키면 토스트향이 와인에 베어들게 됩니다. 통 제조업자는 와인 양조가의 주문에 따라 그슬리는 정도를 강하게 하기도 하고 약하게 하기도 합니다. 새 오크통을 사용하여 숙성시킨 와인에서 토스트 뉘앙스가 날 수 있습니다.
2. 효모 사체의 자가분해 : 주로 샴페인의 경우에 해당하는데,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에서 오는 향입니다. 마이야르 반응은 고기나 빵을 구울 때 나는 구수한 향을 만들어내는 반응으로, 아미노산과 당분이 반응하여 멜라노이딘을 생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반응은 고기/빵을 구울 때 처럼 높은 온도에서 폭발적으로 일어나지만, 상온에서도 매우 느리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기포를 얻기 위한 2차 발효를 위해 투입한 효모가 발효 종료후 죽어서 분해되면 아미노산이 생성되며, 앙금제거=데고르주멍(degorgement)시에 도자주(dosage)를 하면서 당분이 투입되죠. 그래서 이 아미노산과 당분이 마이야르 반응을 일으키면서 빵/브리오슈를 구운 것 같은 구수한 향을 만들어 냅니다. 물론 반응이 느리게 일어나기 때문에 데고르주멍 이후 몇 년에 걸쳐 숙성시켜야 이런 향이 발달합니다. 일부 와인 애호가들은 이 향을 빨리 얻고 싶어서 샴페인을 고의적으로 셀러가 아닌 상온에 방치하기도 합니다.
3. 브렛(brett) : 일반적으로 브레타노 미세스(Brettanomyces)라는 야생 효모가 만들어내는 4-EG(4-에틸구아이아콜), 4-EP(4-에틸 페놀)은 소위 두엄냄새, 마굿간 냄새라고 묘사되는 악취를 냅니다. 그래서 이런 향이 나면 일반적으로는 양조상의 결함/실패로 간주됩니다. (람빅 맥추처럼 일부러 이런 향을 강하게 내는 와인도 있긴 합니다만....) 그러나 이 물질의 농도가 낮을 경우는 토스트나 콩볶은 향으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이런 유형의 토스트 향은 드문 경우라고 봐야겠죠.
❤❤❤❤❤
Please help to find song at the beginning
Can you please share with us what wine glass you and Patrick are using?🎉
It’s called x wine glass !
This is a very good idea, having the Masters to answer some viewers’ questions!
Just an idea, setup a Patrion or RUclips membership. And members can submit questions to P&P, each month a list of questions will be featured in this kind of Q&A.
Or better yet, select 2-3 questions to be answered at the end of each normal episode.
토스트한 맛은 지방맛이에요. Taste of fat. ㅎㅎ
와인에 지방이 왜 들어갑니까. -_-
Sorry, asking two MWs basic questions is a waste of everybody's time
I don’t think so
Silly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