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의학과를 졸업하면 진출 분야가 무궁무진하다고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스포츠의학과를 졸업하고 트레이닝 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졸업생 두 분을 인터뷰했습니다.
    국가대표 선수의 퍼포먼스를 담당한다! VS 맞춤형 건강관리로 장수의 꿈을 실현한다!
    우리나라의 위상을 드높이는 국가대표 선수들을 든든하게 케어하는 스포츠의학과 졸업생 14학번 박채연 님.
    맞춤형 건강관리를 통해 강철 부대를 만들어드리는 스포츠의학과 졸업생 17학번 김나영 님.
    가슴 뛰는 스포츠 현장과 우리의 일상 속에서 멋지게 활약 중인 박채연, 김나영 선배님들의 생생한 이야기, 함께 들어볼까요?
    평균수명 100세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의 건강과 체력증진, 각종 질병 치료 및 건강관리를 책임질 스포츠의학 전문 인력 양성하는 ‘차 의과학 대학교 스포츠의학과’. 의학적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현장 중심 실무교육, 글로벌 차병원 네트워크와 다양한 산학협력기관에서의 현장실습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하며 높은 취업률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현재 많은 졸업생들이 병원 및 의료기관, 아마추어 및 프로구단, 연구소, 국가 공공기관 및 보건소, 협회 및 건강관리 기업체 등에서 스포츠의학 전문 인력으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9

  • @dnwldkso
    @dnwldkso 3 года назад +6

    체대를 진학해도 아직 스포츠 관련 지식이 부족해 세부 분야로 가게 되면 어떤 걸 배우게 되고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가질 수 있는지 의문점이 많았는데 이 영상으로나마 조금 해결된 거 같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CHA_university
      @CHA_university  3 года назад +3

      도움이 되셨다니~~저희도 행복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켈리의책방
    @켈리의책방 2 года назад +3

    선수 트레이닝쪽으로 취업하기가 어렵지는 않나요? 일하는 분위기는 어떻고 해외로도 취업가능한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HA_university
      @CHA_university  2 года назад +4

      현재 국가대표 트레이너 선수트레이닝 센터 등 선수트레이닝분야에 재직하는 스포츠의학과 졸업생들이 많은데요. 국내 뿐만아니라 해외 스포츠 구단, 협회 등 다양하게 진출이 무궁무진합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차 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과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거나 학과에 문의하실 수 있답니다 :) !

  • @smilemay5
    @smilemay5 2 года назад

    대학교 말고 대학원으로 진학해도 비슷한 루트를 밟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현재 재활을 담당으로 필라테스 강사 5년째라 나이도 있어 대학교 다시 가기에 어려움을 느끼네요 ㅜㅜ

  • @user-zk6xb4ip1d
    @user-zk6xb4ip1d 2 года назад +2

    스포츠의학과에서 의학전문대학원진학이 불가능한가요?

    • @seongki1003
      @seongki1003 2 года назад +1

      전혀 상관없습니다. 선수과목만 이수할 수 있다면 철학과에서도 진학 가능하죠.

    • @user-zk6xb4ip1d
      @user-zk6xb4ip1d Год назад

      @@seongki1003 ?? 의힉이랑 관련 없는 전공도 의전원 지원가능해요? 로스쿨이랑 똑같네요
      그냥 대학원은 학사만 있으면 되네요

    • @seongki1003
      @seongki1003 Год назад +1

      @@user-zk6xb4ip1d 당연히 가능합니다.
      네, 일본에서 의사 양성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대학원(의학전문대학원)에서 학부(의과대학)로 내린 것이지.
      애초에 중세이래로 법학과 의학은 대학원에서 전공하는 것이니 학부에 관련전공이 있을 수가 없죠.
      그러니 의과대학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일본과 한국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서
      의학 : MD
      법학 : JD
      철학 : Ph.D(흔히 말하는 박사는 Ph.D입니다.)
      이들 학위는 동급으로 인식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