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Oppose 선을 넘는 녀석들 - 리턴즈 20200315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More crossline clips are available★★★ iMBC www.imbc.com/br... WAVVE www.wavve.com/...
  • РазвлеченияРазвлечения

Комментарии • 8

  • @박준우-f2b
    @박준우-f2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만리도 나름 논리적이였음

  • @할렐루야-h1n
    @할렐루야-h1n 2 года назад

    어... 최만리 우리 조상님 이신데 우리 조상님 완전 고집쟁이시네 한글 아주 편한글인데 그걸 반대하다니 참 놀랍네

    • @BrianHSC
      @BrianHSC Год назад +1

      그래서 반대한거죠. 한글이 편하기 때문에 한문이 사라지고 그러면 명의 심기를 거스를수 있다는게 쟁점이었습니다. 그부분은 세종도 "나도 명을 거스르기 위해 만든것이 아니다" 라고 답을 했을만큼 동의 했었습니다. 오늘날 한문이 사라지는걸 보면 최만리가 틀린건 아녔죠.
      그리고 세종시대 청백리 2호였던 최만리가... 또 세종이 하옥시킨후 미련없이 시골로 내려간 최만리가 양반들의 권세를 지키기 위해 저 주장을 했다는건 말이 안됩니다. 그냥 세종을 신격화 하기위해 악역이 필요했을뿐.

    • @minwoo8410
      @minwoo8410 4 месяца назад

      최만리를 그져 한글을 반대 했던 사람으로 기억한다면 그 것은 최만리를 모욕하는 것입니다.
      최만리는 성균관 시절부터 이도(세종)의 최측근이 였으며 다른 대부분의 신하들이 이도의 의견에 무조건 적인 동의를 할때도
      다시 한번 생각 할 수 있도록 반대의 의견을 내는 것에 주저함이 없었으며 오직 조선의 백성과 안녕을 위해 일한 사람입니다.
      한글을 반대하는 신하 중 가장 대표적인 신하 였지만 자신의 의견에 반대하는 다는 이유로 정적을 서슴없이 제거 했던 조선시대
      오히려 최만리 당신과의 대담은 늘 환영이라고 말했던 세종대왕
      최만리는 세종대왕이 좋은 왕이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증명하는 사람 중 하나입니다.

  • @강창환-h1l
    @강창환-h1l 3 года назад +2

    최만리의 반대상소를 너무나 과대포장해서 알리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최만리의 반대상소 이외에 한글에 대한 반대한 기록이 없습니다.
    오히려 한글을 찬양한 기록은 넘쳐납니다.
    한글은 당시의 양반(기득권)들에게도 너무나 유용했습니다.
    한글 보급이전에는 '한자'를 읽는 음이 같은 한자라도 사람마다, 지역마다 달랐습니다.
    한글이라는 발음기호 성격의 문자의 등장으로 통일된 발음으로 한자를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한글이 한자공부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찬양하는 글들이 많습니다.
    이 영상에 '좋아요' 100개 '싫어요' 1개 있으면
    많은 사람들은 이영상의 평가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싫어요' 평가 1개를 보고 이 영상을 부정적으로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최만리의 단지 1회 반대상소를 너무나 과대포장해서 소개하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그런 사람도 있긴했다 정도로 취급해도 되는 수준입니다.
    조선시대에 대신들이 반대하려고 하면, 목숨걸고 상소를 계속해서 올립니다.
    사극에도 나옵니다만, "아니되옵니다"를 외치며 전국이 소용돌이에 휩사이며 심각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