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말하는 한국 청년들의 일본 열풍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2 тыс.

  • @JonathanHKim-ci8ut
    @JonathanHKim-ci8ut 2 месяца назад +333

    마지막 추미꼬씨 말씀이 정답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한국에 1020 사이에 한때 마라탕과 탕후루 열풍이 불었고, 여전히 인기가 있습니다만, 그것이 중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동경이나, 중국이 우월하다고 생각해서, 그 나라에 대한 호감을 가진 것이 결코 아니듯, 최근 일부 J POP 선호나 2000년대 초 일본에서 유행했던 문화의 한국 유행도 그것이 꼭 "일본 문화"라서라기보다는 국적에 상관없이 "그거 웃긴데? 재미있는데?" 싶으면 그냥 즐기는 게 요즘 한국 추세인 것 같습니다.
    탕후루, 마라탕, 두바이 초콜릿의 인기가 그 나라와 아무 상관없듯, 최근 일본 시티팝이나 팝문화의 인기도, 일본이라는 나라에 대한 호감이나 '강꼬꾸징'들의 인식 전환이라기 보다는, 그냥 그 자체에 대한 흥미일 뿐입니다.
    문화의 다양성과 새로운 문화 재탄생을 위해 우리 것만 고집하는 닫혀있는 고인물은 좋지 않아요. 저는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일본 미디어는 여전히 부분 부분을 자기들 입맛에 맞게 편집해 늘 엉뚱한 결론을 내는군요. 저러다가 또 다른 사건이 생기면 한국내 반일교육 어쩌고 하며 엉뚱한 분노를 하겠죠.

    • @tae-hoonkim1292
      @tae-hoonkim1292 2 месяца назад +19

      탕후루는 이미 망했어요. 마라탕도 건강에 치명적이고, 특히나 중국서 수입되는 마라소스가 비위생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다는게 고발되면서 인기는 커녕 오히려 배척당하고 있죠. ㅋ

    • @손용수-w4u
      @손용수-w4u 2 месяца назад +13

      예리한 분석입니다. 동감합니다.

    • @베이비도지-w5n
      @베이비도지-w5n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음… 근데 일본 문화를 좋아한다고 표현하는게 맞아요. 그냥 한국 일본 둘이 캐미가 잘맞고 연합국가수준임 유사성은….

    • @ga5835
      @ga5835 2 месяца назад +24

      일본에서 한류때문에 국뽕할때는 왜 이런식의 해석을 안함?? 걍 한국놈들은 지들이 최고고 난 다른데?? 소중화라 그런지 중국놈들이랑 마인드셋이 거의 동일함

    • @eunseo-ls7vk
      @eunseo-ls7vk 2 месяца назад +6

      그래서 한국이 반일교육 안함?

  • @루비파도
    @루비파도 2 месяца назад +881

    지금 애들은 일본이라서...일본 문화라서....가 아니고? 그냥 이거 좋은데? 느낌임.

    • @마이너스-h1q
      @마이너스-h1q 2 месяца назад +31

      ㄹㅇㅋㅋ

    • @미역캣_studio
      @미역캣_studio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마이너스-h1q😊😊😊😊😊

    • @곰표-c5k
      @곰표-c5k 2 месяца назад +152

      ㄹㅇㅋㅋ 일뽕들 댓글 보면 마라탕 탕후루는 무슨 중국 문화라 흥한 줄 알겠어

    • @최요한-n6g
      @최요한-n6g 2 месяца назад +19

      여기도 젊은세대들은 이거그냥 좋은데 하면서 그중에 한국 것들이 섞여 있는거랑 일맥상통함(해외거주하는 무늬만 한국인 인 1명)

    • @ggo5712
      @ggo5712 2 месяца назад +18

      이거 좋은데의 이거는 결국 일본이라는거

  • @dnwndugodwk
    @dnwndugodwk 2 месяца назад +101

    마지막 멘트가 정말 맞음.. 요즘 애들은 일본 문화나 일본이란 국가에 대해서 과거 세대가 가진 열등감이나 자격지심 같은게 1도 없음;; 그냥 자기 취향에 일본 문화가 맞아서 좋아하는 것 뿐, '일본이란 나라가 대단하고 우월해서 좋아' 이런게 아님.. (물론 일빠들도 있긴 한데, 걔들은 주류도 아니고 진짜 오타쿠 취급 ㅋㅋ)

    • @Gyoza_fa1ry
      @Gyoza_fa1ry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일빠나 극단적 제국우월주의 사상 가진애들은 저기 유럽에서 아직도 나치즘 깃발들고 마스크쓴 부류들 느낌이라서.. 그냥 저런애들은 서브컬쳐에서도 찐취급받음.

    • @hlcapa
      @hlcapa Месяц назад

      찐들은 일본 가본적도 없을거고 환영받지도 못할듯ㅋㅋ

  • @음음-q1o
    @음음-q1o 2 месяца назад +256

    아 근데 확실히 젊은 사람들은 나이 많이자신 양반들하곤 문화 이야기 하면 안될듯.
    젊은 사람들은 어느나라 문화던 간에 걍 맛있거나 취향에 맞으면 골라 즐깁니다. 인터넷 발달과 거기에 익숙해진 젊은 세대의 문화향유 흐름이 이런건데.... 무슨 자신감의 발로니 어디가 우월하니...보기만 해도 숨이 턱턱 막히네.
    한국 아이돌 노래인 APT를 듣고 미국 게임인 콜 오브 듀티를 즐기고 일본 애니인 프리렌을 즐기고 스페인 영화를 즐기는 그런거라고요 ㅇㅇ.
    오상과 츄미코상은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댓글다는 몇몇은 진짜 숨이 턱 막히게 하네요

    • @TangJJa
      @TangJJa 2 месяца назад +16

      @@음음-q1o “아무튼 내가 맞고 너는 틀림” ㅋㅋㅋㅋ

    • @jakekim2104
      @jakekim2104 2 месяца назад +27

      일본 싫다면서 불매운동 했던 윗세대 어르신들의 사고방식이 고루하고 낡은거죠. 중국이 아무리 싫어도 칭따오 맥주 불매운동 한 적 있나요? ㅋㅋㅋㅋㅋ

    • @misue946
      @misue946 2 месяца назад +6

      누가보면 나이 많아지신 양반들 모두가 그런걸로 착각할듯
      님들이나 그사람들이나 똑같은데?
      왜 그걸 구분하지? 그거야 말로 우월주의 아닌가?
      개인적으로 요즘 사람들이 옜날사람보다 낫다고 여기는건
      일본 10덕 애니 문화 즐기면서도
      일본 우익은 경계하는 그 모습이 좋더만.
      오히려 나이 많아지신 양반들은
      일본 우익이고 나발이고 작품만 좋으면 다 좋아 라는 인간들이 태반이었고.
      그게 비하면 지금이 훨 낫지.
      뭐 하긴 일빠들은 예외지만.

    • @misue946
      @misue946 2 месяца назад +23

      타칭 요즘 애들 특
      1. 자기들은 자기보다 윗사람에게 간섭받기 싫고 참견당하기 싫고 잔소리 듣기 싫지만
      2. 자기들은 다른 사람에게 간섭 오질라게 잘함.
      3. 그렇게 자기들은 특별한 "세대" 라고 생각함.
      4. 자기들은 일반화의 오류의 제물이 되기 싫으나. 자신들을 비판하는 다른 세대들은 일반화의 오류로 삼아도 된다고 생각함.

    • @hjdsh6152
      @hjdsh6152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misue946 시대의 흐름은 당연히 젊은세대가 이끄니 발언권도 있는거죠. 역사에서 나이든사람이 흐름을 이끌었던 적이 있나요?

  • @bonlals6823
    @bonlals6823 2 месяца назад +64

    한국은 메인스트림 문화 형성에 강한 편이고, 일본 문화 자체가 서브 컬처에 강한 편인데, 현재 한국은 서브 컬쳐를 형성하기 매우 좋은 환경이 조성되었음. 왜냐하면, 인터넷과 유튜부 영향으로 다수가 아닌 소수만을 위한 공감대 형성이 쉬워졌고, 경제적 풍요속에 태어난 80년대 이후 생들은 본인이 좋아하는 것에 돈을 쓰는데 익숙해서, 예전처럼 꼭 메인스트림이 아니더라도 마이너한 걸로도 돈이되는 시장을 형성하기 쉬워졌음. 00년대 10년대만하더라도 라프텔같은 서비스가 상업적으로 성공하기는 쉽지 않았으나, 서브컬쳐에 대한 돈이 되는 수요의 증가로 지금은 가장 견실한 OTT인게 하나의 예. 그리고 지금 10~20대는 한류붐과 한국의 선진국 진입 + 일본의 잃어버린 30년과 같이 성장한 세대라, 일본이 동경의 대상이라기보단 동등하게 보일수 밖에 없음. 그 윗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우리보다 앞서나가는 선진국 일본 + 역사적 맥락에서의 거부감과는 조금 다를수 밖에

    • @넷플리티
      @넷플리티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그렇다고 서브 컬쳐가 메인 컬쳐를 이길 순 없음. 서브 컬쳐는 말그대로 서브 컬쳐임. 소수 매니아들이 즐기는 문화라는 얘기임. 다만 한국 문화는 전세계 주류문화로 안착했으므로 일본 같은 저급한 문화와 비교하는 것은 무리임. 일본이 동등하다고 생각하고 싶은거지 현실은 전세계 방송국들은 자기 문화가 한류에 잠식될까봐 연구할 정도로 한류에 심각하게 점령된 상태임. 다만 연구결과가 한류는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고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거임.

    • @bonlals6823
      @bonlals6823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넷플리티 한류도 처음엔 서브컬쳐로 진입해서 주류 문화로 변화해 가는 중이죠...빌보드 메인차트 몇번 오르거나 넷플릭스에서 몇작품이 상위권에 올랐다고 점령한다고 하기엔 무리예요...그리고 일본 문화라는게 한국 문화보다 스펙트럼이 굉장히 다양한 편이라 일괄적으로 저급하다고 할수도 없구요. 물론 전세계적으로 한류가 더 유행이라고 하지만, 문화라는게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거지, 일방적으로 점령하고, 저급하다고 하는건 어려워요....

    • @넷플리티
      @넷플리티 2 месяца назад

      @@bonlals6823 한국은 전쟁때문에 문화발전에 투자할 시간이 없어서 잠깐 쇠퇴했던거지 한류는 수천년간 전세계에 영향을 미쳤음. 그땐 일본은 존재하지도 않았고 백제인들이 가서 일본이라는 나라를 세우고 일본 원시인들에게 각종 기술과 수준높은 문화를 전수해줘서 원시인들을 개화시킨거임. 또한 일본은 외모와 가창력, 언어의 한계 등으로 절대 메인컬쳐에서 인기를 얻을 수 없음. 한류가 발전된 건 언어와 문자의 영향도 큼. 중국어를 들으면 시끄럽고 혼잡한것처럼 일본어도 들으면 한국의 지방 사투리 느낌이 나서 절대 세계적인 매력을 끌지 못하고 외모를 내세우지 않는 서브컬쳐인 애니에서만 한정적으로 매니아들만 즐기는거임. 키나 체격도 한국인들에 비해 너무 외소해서 아시아 일부 동남아시아에게는 인기를 끌 수 있을지 몰라도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절대 그런 왜소한 외모로 한국처럼 인기를 끌 수 없음.

    • @mangohyun6689
      @mangohyun6689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넷플리티서브컬쳐가 본질적으로 의미하는건 하류문화인데 이 하류문화는 님들 예전같으면 귀족이나 양반같은자들만즐겼던 문화가 대중적으로 내려오면서 대중문화도 하류문화였었음.

    • @mangohyun6689
      @mangohyun6689 2 месяца назад

      ​@@넷플리티서브컬쳐는 지금으로서는 대중문화의 하류문화라고하지만 이것도 소그룹 대중문화라고 볼 때 이것들이 가치없다고 볼순없고 지금의 대중문화또한 대중의 관심이 옮겨가면 문화는 소비의 산물이라는 논리흐름을 붙이게될때 언젠가 다른문화로 갈아타질 수 있음.

  • @케이팝리액션채널구독
    @케이팝리액션채널구독 2 месяца назад +85

    탕후루 마라탕이 "중국" 음식이라 좋아한것도 아니고 제로투 띵띵땅땅이 "베트남" 음악이라 좋아한것도 아니듯 주술회전이 "일본" 애니라 좋아한것도 아님

    • @민-t6z
      @민-t6z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우문현답 ㄹㅇ

    • @hitfwdt8084
      @hitfwdt8084 2 месяца назад

      중공이 cj방송 카카오나 한국엔터에 문어발식 투자해서 한국 유명 걸그룹들한데 마라탕 훠궈 탕후루 먹방시키고 화교들 조선족들 한국 재래시장에서 팔도록 시켜서 억지 중국문화 홍보한거지 좋아하기는 뭘좋아해 애들이나 방송보고 따라먹는거지 훠궈 탕후루 그게뭐 특별히 요리라고 할수가 있나? 전골 스프요리는 어느나라나 다있는거고 탕탕후루루~ 어쩌고 게임송이나 억지로 만들어가지고 그냥 과일에 설탕물 코팅한게 무슨 음식요리야 애들장난이지

    • @최정명-o8u
      @최정명-o8u 2 месяца назад

      ㅇㅈ

    • @Lim0919
      @Lim0919 Месяц назад +2

      대다수의 일본 문화 덕질하는 한국인들은 일본 여행과 일본 문화는 좋아하지만 일본 역사와 일본 정치는 싫어함 그 선은 확실히 그어둠

    • @기-x3j
      @기-x3j Месяц назад

      주수회전이 이 그 주인공이 주술사의 혀를 먹었다던 그애니임?

  • @YENIYW
    @YENIYW 2 месяца назад +132

    참 옛날에는 일본에 대해 역사 때문에 욕을 하면서도 일본에게 배울 건 배워야 한다 이런 말도 많았죠 말씀대로 예전에는 일본에 대한 憧れ(동경)의 느낌으로 좋아했다면 요즘엔 好み(취향)의 느낌이 강해요 우리나라가 단순히 일본을 열광하고 너무 좋아해서 일본문화를 소비한다 라기 보다 남 일에 관심 많은 오지랖 넓은 한국인들이다 보니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많고 특히 가까운 나라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을 수도 있고 가까운 나라임에도 워낙 다른 문화와 그만큼 눈길을 끄는 것들이 있으니 일본 외에 다른 나라들처럼 문화를 소비하는 거예요 다른 서양쪽 해외 가수들 와도 금방 매진되고 다 떼창하고 오면 꺅꺅 겁나 반겨줍니다..😊
    그러니까 한국인이 여러 문화에 관심이 많고 마음이 열려 있는 편이고 해서 문화 소비를 잘하고 젊은층일수록 일본에 대한 호감이 다르다(좋은 쪽으로 젊은층의 일본이 한국을 생각하는 호감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일본에 대한 옛날의 동경과 지금의 취향 중 언제 더 일본에 열광했던가 하면 어느 쪽도 열광은 아니고 그냥 그 때와 지금의 일본에 대한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진거고 지금이 더 자유롭고 폭넓게 보는 시각 차이로, 저는 개인적으로 일본에 대한 지금의 분위기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엔 국민들의 증오가 80-90% 동경이 나머지였다면 지금은 정치적일 때의 문제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90% 이상 자유롭게 각자의 취향껏 관심을 갖고 그 문화를 소비하니까요 마음의 자세가 다른거죠

    • @하나더-u9m
      @하나더-u9m 2 месяца назад

      동경

    • @HiElvine
      @HiElvine 2 месяца назад

      동경이라 하기에는 일본으로 간 이민자 수가 그렇게 많지 않았고 일본 연예인이 인기있는 경우도 거의 못봤으니까요. 그져 일제가 작고 기능도 많이 잘 만들었기 때문에 소비됐고 일본 노래인줄도 모르고 좋아했다고 보는게 맞을 겁니다.

    • @ilwhankim1739
      @ilwhankim1739 2 месяца назад +8

      @@HiElvine 최초의 감정이 동경은 맞음, 요즘 세대는 아마 모르겠지만 70년대 재일교포 친척 찬스로 일본땅 밟은 사람들에게 일본은 그냥 지상낙원 그 자체였음.... 내 아버지가 딱 그런 사람이었는데 74년에 일을 마치고 한국으로 귀국했을 때 아버지가 입던 팬티까지 사겠다는 사람들이 몰려들었을 정도로 일본과 일본제품에 대한 선망이 신앙과도 마찬가지였다고 함, 대학가 찻집에선 금지됐음에도 불구하고 알음알음 일본가요를 틀어놓고 즐겼던 시절

    • @yesoh5799
      @yesoh5799 2 месяца назад +2

      @@ilwhankim1739 그땐 한국 일본 임금 차이가 10배가 넘었으니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

    • @kirsch1999
      @kirsch1999 2 месяца назад

      잘못 알고 계십니다. 전 이미 2022년에 일본 열풍을 감지하고 가족식사때 누나들한테 "요즘 다들 일본에 거의 미친것 같아"라고 말했던 기억나네요. 일본에 대한 절대적인 동경입니다. 주로 남자들에게 나타나는 성향이고요 반대로 10~30대 여자들은 중국에 대한 동경이 요즘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어요. 특히 인스타 릴스랑 틱톡하다 보면 이 상반된 성향이 뚜렷합니다.

  • @김상헌-f7o
    @김상헌-f7o 2 месяца назад +52

    현재 30대초반인데 딱 분석하신게맞음 그냥 취향 뭔가 재밌네 이정도 그리고 일본여행은 또 그거랑 다른게 주변에 일본여행 자주가시는분들 이유물어보면 일본문화나 일본여행지 풍경등이 좋아서 가는게 아니고 어디 멀리 놀러는가고싶은데 국내여행은 비싸고 해외여행느낌내면서 국내여행보다도 싸고 당일치기로 갔다와도 될정도로 가까운 나라니까 가성비로 가는느낌?

    • @imaginebreaker_kamijou
      @imaginebreaker_kamijou 2 месяца назад +4

      20대 30대 40대 다 일본에 대한 시선과 감정이 다른듯
      20대는 좋아하는 편이 많은 거 같고 30대는 반반 40대부터는 부정적인 시선이 조금 많다고 느꼈음

    • @프리-y8g
      @프리-y8g 2 месяца назад +3

      30대랑 20대는 또 다르죠
      20대 남자 일본호감도가 얼마전에 75프로 나왔었는데
      물론 사람마다 다르다지만 예전엔 가깝고 싸니까 갔다면 요즘애들은 그냥 일본이 좋아서 가는경우가 상당수입니다

    • @김상헌-f7o
      @김상헌-f7o 2 месяца назад +2

      @@프리-y8g 20대인 직장동료들도 저게 크더라구요 물론 문화적호감도있지만 비용적 시간적으로도 가서놀기도 좋은나라

    • @user-ee1kp3zh4n
      @user-ee1kp3zh4n 2 месяца назад

      취향인 게 당연한 거 아님? 그 외의 뭐가 있을 수 있죠

    • @yesoh5799
      @yesoh5799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개솔 ㄴㄴ 20대 주변에 일본 다 좋아한다던데 뭔ㅋㅋ

  • @MegaJaws
    @MegaJaws 2 месяца назад +152

    일본문화에 대해 예전보다 사회적으로 오픈된 이유중에 밑에서 많은 사람들이 얘기했듯이
    현재 젊은 세대는 문화적인 영향력, 경제력 등등에서 딱히 일본에게 열등감 같은 거 없고 일본 문화 좋아한다고 해서 눈치볼 필요도 없음
    그냥 하나의 개인적인 기호로 존중받고, 또 현재 한국 문화 자체가 글로벌에서 워낙 강세라 타 문화에 대해서 딱히 피해의식이나 열등의식이 거의 사라짐
    그냥 수많은 해외 문화중에 비교적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도 친숙한 이웃국가의 문화중에 좋아할 사람은 좋아하고 관심없는 사람은 관심없는 뭐 그런 식으로 가는 듯

    • @jamielannister3721
      @jamielannister3721 2 месяца назад +13

      ​@@20-th2hx 근데 그 법, 기술도 일본이 독일꺼 모방한거고 문화도 미국, 유럽 다 모방 하던 시기임 ㅋㅋ

    • @전방위-g1q
      @전방위-g1q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일본문화를 배척한 건 열등감이나 피해의식 때문이 아니고 일제강점기로 인한 국민감정 및 제대로 된 사과가 없었기에 그리 한 것임
      그러다 김대중 정권 때 일본이 처음으로 사과 비슷한 걸 했고 그후로 일본문화 개방한 거임

    • @elliottkim441
      @elliottkim441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user-sk4is8nv5l 이게 열등감 ㅋㅋ 😂 일본 문화 개방한다 했을때 얼마나 긴장을 탔는데

    • @jamielannister3721
      @jamielannister3721 2 месяца назад +5

      ​@@20-th2hx ㄴㄴ 1945년 패망하기 전까지도 일본은 모방으로 성장하고 전쟁하던 나라였고 패망이후에도 미국이 헌법 손보고 강제로 민주주의 식립해서 국가 근간 자체를 바꿔버리고 그 영향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는거임. 그 후로 산업기술은 물론이고 애니메이션, 음악, 드라마, 영화 등 소프트문화도 거의 서방을 모방한 것이 많았음.

    • @hannibalkim
      @hannibalkim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sk4is8nv5l구세대들은 일본에 대한 열등감이 있었지. 90년대에 자칭 국산이라고 불린 돌아온 홍길동 같은 일본 애니들이 극장에 걸렸기도 했고 드래곤볼, 신짱등 배껴서 만화책으로 내던 시절이 있었지. 태권V봐라. 열등감의 산물이야. 트로트도 엔카에서 온거고 요나누키 화음 아직도 쓰잖냐.
      90년대만 해도 일본에서 조금이라도 성공하면 신문에서 대서특필하던 시절이 있었어.
      지금은 동등하거나 개인이 재미있는쪽에 더 관심을 갖는 구조일뿐이지.

  • @장석종-c4k
    @장석종-c4k 2 месяца назад +122

    문화는 우열이 없어요……지겨우면 바뀌는 거고 유행따라 가는거라….. 미디어에서 유행이 되면 한국이든 일본이든 중국이든 베트남이든 좋아하는거죠…..

    • @wingsj7152
      @wingsj7152 2 месяца назад +7

      과연그럴까?

    • @ai-ll5yb
      @ai-ll5yb 2 месяца назад +8

      ㅋㅋ 문화에 우열이 없더라도 20대가 일본을 좋아한 다는 사실은 통계적으로 사실이죠. 😅

    • @mo_ha_zi
      @mo_ha_zi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라크 여성의 9세 결혼 합법화

    • @user-up7zp7wn3q
      @user-up7zp7wn3q 2 месяца назад +8

      우열이 없다는게 전 세계인을 기준으로 1등 문화, 2등 문화 를 구분지를 수 없다는 뜻이지, 특정 나라에서 가장 인기있는 문화는 가릴 수 있습니다

    • @user-m31amgxa
      @user-m31amgxa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우열이라는 단어가 맞을지는 모르겠지만 그 비스무리한건 확실히 있는거 같습니다...

  • @일본뉴스
    @일본뉴스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언제나 유쾌한 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항복하세요.

  • @Great_Yi_Soon_Sin
    @Great_Yi_Soon_Sin 2 месяца назад +133

    일본이 일단 가깝고 저렴하고 인프라 나쁘지 않아서 가뜩이나 국내는 다 가봐서 그런 상황에
    접근성도 높고 특히 부산에서 후쿠오카 배타고도 3시간인데 우동 한그릇 당일치기도 다녀와봤다
    배값도 오사카 가는거 폐리 왕복 2만오천원짜리도 나온적 있고
    항공권도 편도 7~8만원짜리도 나오더만
    게다가 엔화 가치가 떨어지니 더더욱 가게 되는게지
    원래 물가 싼 나라에 장기간 여행가면 개이득아니냐

    • @zurich-c5f
      @zurich-c5f 2 месяца назад +5

      결국 시작은 코로나인듯. K-팝 K-드라마 등 일본에서 한국 문화를 좋아해주고 한국 남자도 인기 많다는 소식도 많이 들리고 여행 수요 폭발할 시기에 마침 엔화도 많이 떨어지고 "제주도 갈 바에 일본간다" 하는 인식도 같이 겹치면서 양국간의 교류도 활발해지고 자연스레 관심도 늘어나는거지. 솔직히 지금 젊은 세대들은 굳이 일본이라고 싫어할 이유도 없음. 역사는 역사대로 이해하고 감정과 구분할줄 아는거지. 그리고 이제 한국 문화 산업이 떡상하면서 일본도 문화 산업 부흥에 엄청나게 신경쓰기 시작했는데, 정치적인 영향으로 양국의 인식개선을 위한 노력인지, 아니면 방시혁이 얘기했던 것처럼 유행을 만들어서 유행시키는 일종의 마케팅 전략인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최근 들어 일본 언론에서 유독 저런 뉘앙스의 방송이나 뉴스를 많이 보도하는 느낌임ㅎ

    • @이나스-d6y
      @이나스-d6y 2 месяца назад +8

      단순 엔저현상이 아닌 그냥 젊은 사람들은 대놓고 좋아하고 나이든사람도 아닌척하면서 일본 좋아함

    • @ksh3561
      @ksh3561 2 месяца назад

      코로나 탓에 중국이 원인으로 지목되며 중국어 공부 인기 팍 식고, 엔저 탓+ 정권이 바뀐 탓에 전정권때 일본방사능 오염수 배출등에 따른 노제펜운동 등등등 여러가지 이슈로 일본 여행보다는 중국이나 동남아 유럽 등으로만 가다가, 정권 바뀌고 코로나도 종식되고, 코로나로 인해 중국은 싫어지고, 일본 엔저현상 등등으로 일본 여행객 급증한거지 그리고 일본 여행은 예나 지금이나 20대가 제일 많은건 당연함.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게임, 로봇, 음식 등 한국의 10대, 20대가 좋아할만한게 넘치는게 일본인데

    • @Ddd-v2u
      @Ddd-v2u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이나스-d6y 그거야 니들 디씨 이용자들이나 그런거고 보통은 싫어함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2 месяца назад

      @@Great_Yi_Soon_Sin 코로나 전에도 일본 마니갔는데... 정신병이 있으시면 병원으로 ㅠ

  • @JYJ0423
    @JYJ0423 2 месяца назад +162

    특별히 관심도가 높아지며 열풍이라고 하기에는 그저 늘 있어왔던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 @tekjin8058
      @tekjin8058 2 месяца назад +6

      특히 게임, 애니 좋아하는 연령대라서요~

    • @smb8455
      @smb8455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늘 있어왔던 수준이라기 보단 코로나 전부터도 계속 일본 여행은 증가 추세에 절정에 달해있었고 코로나 시기엔 외출을 못하는데 각종 인터넷 컨텐츠로 j-pop이나 애니등 접하게 됐고, 코로나 이후로는 코로나때 못가던 해외여행 욕구가 폭발해 가까운 일본으로 가게된것 + 코로나 시기에 접한 일본 컨텐츠로 익숙해짐으로 더 가파르게 증가했다고 수치적으로 나타납니다.

    • @비틀헤롱
      @비틀헤롱 2 месяца назад +6

      ㄴㄴㄴ 늘 있어왔던 수준 아니에요. 맘대로 말하지 마세요.

    • @kirsch1999
      @kirsch1999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맞아요. 이게 갑작스런게 아니라 전에는 일본의 혐한때문에 꼭꼭 숨어서 보던 애들이 코로나때 일본에서 한류가 인기라니까 갑자기 야! 쟤네들도 우리 좋다는데 우리도 당당히 쟤네 좋다고 말해도 되잖아! 이러면서 봇물이 터지듯 일본 열풍이 불은겁니다. 요즘 갑자기 관심도가 높아진게 절대 아니에요

    • @프리-y8g
      @프리-y8g 2 месяца назад +8

      10대20대 남자 집단에선
      늘 있던 수준이 아니에요

  • @skysketch2774
    @skysketch2774 2 месяца назад +7

    나라를 떠나서(관계없이) 좋아하는 것을 찾는 시대인 것 같습니다. 좋은 쪽으로 수용하고, 건전하게 즐겼으면 좋겠습니다.

  • @tobita_rin
    @tobita_rin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마지막이 정답이죠
    열풍이라고 하기엔 부족함이 있고
    예전에 비해 일본 문화를 받아들이기 쉬워졌고 그래서 소비하는거죠
    일본문화가 붐이라서가 아니라
    일본문화에서 떨어져 나온 밈이 유행인거라 사실상 그게 일본문화에서 파생된건지 모르고 소비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니까요
    이전에도 제이팝 가수나 노래를 소비하는 사람들은 꾸준히 있었지만
    소비할 '기회'가 없었던거고
    지금은 쉽게 접할 수 있다 이정도

    • @youngone999
      @youngone999 2 месяца назад

      국적은 정치산물일뿐

  • @dal22
    @dal22 2 месяца назад +5

    항상 고맙습니다 ❤❤

  • @joon-sangjang7389
    @joon-sangjang7389 2 месяца назад +28

    사실 애니메이션은 예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많았고 일본 여행도 노재팬 운동이전에는 일본 내에서도 잘 알지도 못하는 지방 도시로 가는 직항도 많았고 구석구석 일본 소도시 여행 가는 사람들도 엄청 많았음.. 그런데 최근에 일본 J-POP 음악이 인기 있는 이유는 사실 한국음악 산업의 현실과도 관련이 깊음.. 현재 J-POP음악의 주류는 밴드 음악인데 한국 K-Pop은 대부분 아이돌 음악임.. 한국 음악은 아이돌 음악으로 너무 심하게 편향 되있어서 다양한 음악 장르를 듣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 시키지 못하고 있음.. 그런데 이웃나라 일본은 음악 장르가 워낙 다양하고 최근 밴드 음악이 각광을 받고 있으니 한국에서 채우지 못하는 밴드 음악의 욕구를 일본 밴드 음악을 통해서 채우고 있음.. 밴드 음악이 다시 유행을 타니 우리나라 기획사도 지금 밴드 음악을 조금 내놓으려고는 하고 있음.. 그래서 JYP사 소속 밴드인 데이식스가 각종 음원 차트 휩쓸고 있고 QWER도 지금 히트곡 연달아 내놓고 있음.. 아이돌 음악은 우리나라가 월등히 앞서지만 밴드 음악은 일본내에 자생적인 밴드 기반이 워낙 탄탄해서 일본이 앞서고 있음.. 우리나라는 밴드 음악 기반이 거의 절멸한 상태라서 한동안 일본 밴드 음악 인기가 우리나라에서도 상당히 지속 될 것으로 생각됨.. 그런데 솔직히 밴드 음악은 자국 그리고 가까운 이웃국가에서는 어느정도 통할수 있으나 미국 유럽등의 시장은 자국 밴드 기반이 워낙 막강해서 글로벌에 어필하기는 거의 불가능함.. 그래서 한국 기획사들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 통할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 아이돌 그룹을 만들어야 돈을 훨씬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에 아이돌 그룹 제작애 대부분 비중을 둘 것이고 향후에도 밴드 음악은 잘 안 만들 것임..

  • @쿨사-h7g
    @쿨사-h7g 2 месяца назад +109

    70년대~00년대 초반 까지의
    일본문화의 영향력을 생각하면
    아무래도 그시절보단 무관심하지 않나 싶긴한데...
    특히 80년대 중반부터 90년대 까지는 그야말로 대단했었죠.

    • @razielshim7501
      @razielshim7501 2 месяца назад +7

      90년대 00년대 초반은 일본이 확실히 우위였고 2000년대 중반부터 비슷비슷하게 가더니 2010년대부터 문화역전이 된듯요

    • @hannibalkim
      @hannibalkim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쿨사-h7g 일본 가전 회사들의 몰락을 지켜보면서 감개무량했었죠. 확실히 브라운관 있었던 시절의 tv는 소니 트리니트론이 압도했죠. 워크맨도 소니.
      IT에 제대로 된 대응을 못한점도 크죠. 일본의 컴퓨터 보급이 상당했지만 전부 제각각이었던 스펙에 호환도 제대로 안되었죠. MSX그 그 상징이에요

    • @juhyunpakk
      @juhyunpakk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엥? 애니나 만화빼곤 유행했던 적이없었는데

    • @hannibalkim
      @hannibalkim 2 месяца назад

      @@juhyunpakk 90년대 말에 일본 문화개방한다고 해서 수많은 명작 일본 영화들이 극장에 걸리고 비디오 가게에도 빌려볼수가 있었음. 그당시 루트가 서브컬쳐로 일본문화 입문해서 대중문화에 바로 입문하는 경우가 꽤 있었음. 테크노마트나 용산에 일본 애니관련 음반파는곳에서 j팝도 취급하고 그랬었음. 이시절에 일뽕들 무지막지하게 늘어났었다. 조선말 부터 현대사 읽다보니깐 일본이 정치적으로 싫어지던 시기가 이시기였기도 함. 문화는 좋을수는 있는데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러 가던 고이즈미 준이치로를 보면서 별생각이 다 들었던 때다.

    • @juhyunpakk
      @juhyunpakk 2 месяца назад +3

      @@hannibalkim 내가 일뽕아재라 잘아는데 애니만화책이 압도적이고 게임빼곤 히트친거 없었음. 내친구들도 대부분 일뽕이라 고딩때 일어독학하고 돈벌면 일본가고 취업도 일본회사에하고 일본연예인잡지보고그랬는데. 그리고 남자만 일본에 미쳐있지 여자는 전혀아니었음

  • @이찬우-w1b8p
    @이찬우-w1b8p 2 месяца назад +83

    한일간의 문화 흐름에 관한 평가 잘 들었습니다.
    한국의 젊은 청년들이 일본에 대한 기존의 감정을 넘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겠지요.
    큰 차원에서 보면 한국의 경제발전으로 대중문화가 발전하여 생긴 일종의 자신감의 표현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badakim5293
      @badakim5293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동감입니다.^^

    • @zephy-xy6oz
      @zephy-xy6oz 2 месяца назад +14

      나이가 있으신 분들이 보시기에는 일련의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그렇게 분석하실 수 있다는 생각이 충분히 듭니다.
      다만, 20대 입장에서 말씀드린다면.. 저희가 태어나고 자랄 때부터 이미 한일 양국에 문화 수준차가 있다고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드라마로 한류가 일본에 들어가고, 애니나 영화로 일본 문화도 한국에 들어와 문화가 상호 교류하는 시기) 저희에게는 "기존의 감정"이랄게 딱히 없었습니다.
      기존이라고 한다면 이미 과거에 축적된게 있어야하는데, 새 세대에게 그런게 어딨겠어요 ㅎㅎ
      그래서 뭐 자신감이라기 보다는 그냥 오상이 얘기하는대로 문화를 접하다보니 좋은게 좋아서 따라가는것 같습니다😅

    • @moongakpark5214
      @moongakpark5214 2 месяца назад +8

      자신감 표현 ㅋㅋㅋㅋㅋㅋ 어르신 그냥 좋으니까 접하는 겁니다

    • @docnsidj
      @docnsidj 2 месяца назад +8

      왜 자꾸 지들 맘대로 해석을 하려고 하는거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신감 표현 ㅋㅋㅋㅋㅋㅋㅋ 걍 생각을 하지 마세요 ㅋㅋㅋㅋ 이해를 바라지도 않고 할 수 있을거라 생각도 안함ㅋㅋㅋㅋ

    • @이찬우-w1b8p
      @이찬우-w1b8p 2 месяца назад +6

      @@zephy-xy6oz 20대의 청년의 이야기 잘 읽었습니다.
      제가 자신감이라고 표현한 것은 저의 입장에서 표현한 것입니다. 베이비붐 세대에 태어난 장년층(일제강점기와 625전쟁 직후 태어난 세대)을 포함한 이전 세대는 배고픔과 역사적 아픔을 겪으며 자녀들 교육을 통해 경제발전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여기까지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서구사회와 일본사회의 발달된 문명에 뒤쳐진 대한민국의 기존세대였지요. 배워야 될 것이 많았던 시절이었지요. 지금도 마찬가지 입니다만 그래도 많이 따라왔다고 생각합니다.
      치열한 대학입시가 대한민국의 현재의 젊은이들에게 큰 압박을 주고 있지만 지금까지는슬기롭게 잘 헤쳐나와 현재에 이른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기성세대의 입장에서는 강점기 역사로 인해 상대적으로 또한 외형적으로 일본에 비해 서구사회 문화에 대한 동경이 컷지 않았을까 합니다. 하지만 산업적으로는 대한민국이 상당부분을 일본으로 부터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였지요. 그리고 경제와 문화는 분명히 연결고리가 있습니다. 즉 기성세대는 일제강점기에 대한 아픈 기억이 여전히 존재하며 일본문화에 대해서는 싫어해야 한다는 학교교육이 있었습니다. 이런점에서 기성세대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일본 문화를 공론화할 수 없었습니다.
      즉 대한민국은 경제 산업적으로는 필수적으로 일본을 받아들였고 문화적으로는 배격하는 이중성을 보였다고 생각합니다. 이런점에서 는 기성세대는 일본 문화에 대한 일종의 자신감 내지 자존감에 대한 집착 정도로 이해하여 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청년세대에게 까지 기성세대가 가진 관점을 답습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지금의 청년세대는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가 세계의 젊은이들과 문화를 공유하고 당당히 경쟁하여 자랑스런 대한민국 청년이 되기를 응원합니다.

  • @최용-n3o
    @최용-n3o 2 месяца назад +32

    80-90년대 제가 청년일때
    일본노래 듣고 일본어 배우고
    일제 전자제품 소비하면서
    여러면에서
    막역한 동경이 쫌 있었습니다
    지금의 우리 애들은 그냥 다른 문화에 대한 신기함, 비슷함
    이런걸 가까운곳에서 즐길수 있다 정도인것 같아요

    • @TangJJa
      @TangJJa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최용-n3o 일본문화 개방 당시 우리나라미디어가 일본미디어의 하위장르가 되고 흡수되어 망한다고 호들갑 떨던 때도 있었죠.
      손흥민 봉준호 BTS 렛츠고! 할 정도로 문화적 영향력이 올라오고 그만큼 자국문화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니 예전처럼 선진국, 선진문화라는 인식은 사라진 상태죠.
      문화란 본디 상호교류를 통해 발전하니까 좋은 일이라고 봅니다.

  • @부대찌개-S2
    @부대찌개-S2 2 месяца назад +105

    일본에선 한국이 일본열풍이라 하고
    한국에선 일본이 한류열풍이라 하고
    서로 서로 보기 좋네요

    • @shuna1999
      @shuna1999 2 месяца назад +21

      이게 미래를 위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같아요 훈훈하고

    • @ooinlee6527
      @ooinlee6527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일본 중국 한류열풍 얘기는 이제 그닥 안하지 않나요.

    • @shuna1999
      @shuna1999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ooinlee6527 쭈욱 일본 살고있는데 중국은 모르겠는데 일본은 아니에요. 그냥 딱 우리나라 젊은사람들이 일본문화 좋아하듯 일본 젊은 사람들도 한국문화 좋아하는 정도에요 예전만큼 열풍까진 모르겠지만 꾸준히 활발하긴합니다!

    • @TangJJa
      @TangJJa 2 месяца назад +1

      @@ooinlee6527딱히 언급이 안도ㅣ는 이유가 붐이 죽었기 때문일수도 있자만,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상시적인 흐름이 되어 생활의 일부가 되어버리면 언론에서 호들갑 떨 이유가 없어지기도 하죠😅

    • @이야호-g5m
      @이야호-g5m 2 месяца назад

      @@shuna1999 1인당국민소득이 비슷해지니깐 한쪽이 못 살면 신경도 안 씀 동남아 반응 신경 안 쓰듯이

  • @잡보-x2z
    @잡보-x2z 2 месяца назад +103

    일본문화 극히 배격한다던 8-90년대 일본노래,일본음식점등 일본 열기가 지금보다는 훨씬 강했음. 지금은 애니를 제외하고는 다른문화에 관심이 조금 생긴 정도로 여겨지네요.

    • @valastasmc
      @valastasmc 2 месяца назад +9

      90년대 일본음악이나 영화 로바다야끼..등
      열풍이었죠. 그에 비하면 지금은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해외문화를 받아 들이는 느낌 입니다.

    • @GHE-bv1pf
      @GHE-bv1pf 2 месяца назад +18

      일본은 그당시에 아시아의 원탑 문화 경제 수출국 드라마, 팝, 자동차, 전자제품 등등 혼자 다 해먹던 시절..

    • @할디르-w7z
      @할디르-w7z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응 아시는 분도 있구나 맞아요 20년 전에도 일본가수 내한 하면 매진 됐음

    • @user-m31amgxa
      @user-m31amgxa 2 месяца назад +3

      ​@@GHE-bv1pf 만약 80년대이전에 일본문화 개방했으면 한국은 잠식당했을 것이고 그걸 잘 알았던 한국지도부에서 막고 있었던듯.. 안 그랬으면 지금 한국소프트파워 이런것도 지금과는 다른 모습이거나 영향력이 없거나 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

    • @suede2808
      @suede2808 2 месяца назад +1

      90년대에 일본 제품은 알아 줬는데.........워크맨, CDP, MDP 거의 다 일본제가 싹쓸이

  • @TangJJa
    @TangJJa 2 месяца назад +148

    열풍 광풍 유행 대세 붐
    이런 단어에 긁혀서 '내 주변은 아닌데', '모두가 알아야 유행이지'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인터넷 활성화 이후 대중이라는 시장은 파편화된지 오래입니다. 유튜브 활성화 이후로 '알고리즘'에 의해서 각자에 취향과 시청이력에 맞춰서 보여지는 것들이 개인에 맞게 달라지게 되면서 파편화는 더 가속화되고 세분화 되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유행따위의 말은 전세대, 전국민을 아우르는게 아니라 특정 계층, 집단, 세대, 성별, 취향등의 공통분모를 가진 그룹이 형성되었다고 이해하시면 될거같습니다.
    00년대 이전같은 '대세', '유행'이 다시 찾아오기는 쉽지 않을겁니다...

    • @zephy-xy6oz
      @zephy-xy6oz 2 месяца назад +14

      @@TangJJa 공감합니다. 2010년대 이후 세대와 계층을 아우를 정도로 끌어가는 "국민가수" "국민 드라마" 등등이 등장하기 어려워진 것도 이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르신분들 미스터트롯 좋아하시고 출연가수들 공연마다 매진행렬이어도, 2030에게는 노래방에서 한 곡 땡기며 즐길 수는 있지만 관심의 우선순위에서는 비교적 멀어져있는 컨텐츠가 된 게 그 예가 아닐까 해요.

    • @blueite
      @blueite 2 месяца назад +13

      문제는 보도하는 일본 레거시 미디어 쪽도 아재들이라 감이 없어서 그런지, 아니면 다른 의도인지 세분화된 시장의 짧은 유행을 진짜 대세인양 보도한다는 거죠.
      NHK 국제보도의 가요곡 유행은 진짜 며칠짜리라 이미 그 방송 나올 때쯤 꺼진 지 오래였습니다. 반대로 일본식 이자카야는 꽤 오래된 유행이라고 생각하는데 이제 나타난 양 쓰더군요.

    • @Pro-vc7bw
      @Pro-vc7bw 2 месяца назад +5

      ​@@kirsch1999그렇게까지는 아닌데. 일본은 무좀약이 좋더라구. 한국회사들 반성해야돼. 😊

    • @연예부기자-b2n
      @연예부기자-b2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konig9251 쟤 쵸선족 알바임

    • @exploration-m5p
      @exploration-m5p 2 месяца назад +4

      그래도 일본에선 한국 가요가 오리콘 차트에 올라오고 네플릭스 10위권에 한국 드라마가 수두룩하잖아요. 이걸 역으로 생각해보면 한국 차트엔 일본 가요 올라온적 없고 인기있는 일본 드라마나 영화도 없죠. 그나마 애니메이션이 좀 덕후들이 있을뿐.

  • @sasa-ky8ud
    @sasa-ky8ud 2 месяца назад +17

    원래 이웃간에도 친척간에도 친구간에도 경제적 수준이 비슷하면 격차에 의한 질투보단 공감대가 많아져서 더 친밀해지는 경향이 있음 한일관계가 정치적으로는 왔다갔다해도 젊은세대끼리는 아무 거리낌없이 받아들이는 이유도 주변에 동아시아 비슷한 선진국이라곤 바로 옆나라밖에 없기 때문에 더 친숙해지는 것 같음

  • @arnoldcraig4729
    @arnoldcraig4729 2 месяца назад +96

    78년생입니다. 일본경제 부흥기에 초등,중등시절 보냈어요. 당시만 해도 일본은 넘사벽 이었습니다. 잘사는 사람들이 일본다녀와서 색연필, 전자제품 같은거 갖고 온거 보면... 정말 아프리카 부시맨이 콜라병 보듯이 신기하게봤었네요.
    어려운살림에 어머니가 큰돈들여 AIWA미니카세트 사주셨는데 당시 국산미니카세트는 흉내못낼 음감, 기술력이었지요.
    짝퉁 일본만화 많이봤고...캠퍼스러브 스토리라고있었는데 울며봤던기억있고요.. X재팬 보며 저건 사람이 아니무니다 하며 경외했었습니다.
    요즘 중고딩 우리딸들은 그런 느낌 전혀 없지요ㅎㅎ

    • @s.9075
      @s.9075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아주 오래전도 아니고 나름 괜찮게 살만했던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소니, 도시바 같은 일본 기업들이 전자 시장에서 잘 나갔었죠. 심지어 당시 일본 드라마나 영화만 봐도 배우들 패션이나 스타일이 더 세련됬었던 기억이 납니다. 한국이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풍족해지기 전의 격차는 말할 것도 없죠ㅎㅎ

    • @나웅규-u9l
      @나웅규-u9l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저같은 경우는 아이리버 mp3로 인해 일본제품을 잊었던것같아요 ㅎㅎ 라디어도 돼고 너무 작고 ㅎㅎ
      79 년당시 아버지가 사우디 다녀와서 사오신 물건중 90% 가 일본산 (카메라 워크맨 샤프 카셋트테입 전자시계 )10 % 가 중국산( 우황청심환등 한약재) 국산은 없었어요 ㅎ
      3년차때부터 칼라티브이 국산 ㅎ 이때부터 대한민국이 달리기 시작합니다 ㅎ

    • @entpentp
      @entpentp 2 месяца назад +3

      동갑입니다 동감입니다😅

    • @yutakei7635
      @yutakei7635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말씀하신게 맞긴한데 그때를 넘어섰다 이런건 아니고.. 예전에 어마어마한 붐이었다가 우리나라 문화수준이 올라와서 그런거 이제 누가 좋아하냐고 싹 관심 끊겼다가 코로나 전후로 관심이 늘어나긴 했습니다. 그당시와 비교하긴 어렵겠지만 그리고 여전히 우리나라 주류 문화는 k팝 k컬쳐기때문에. 씹덕오타쿠들이나 좋아하던 문화에서 인싸들이 가끔 아싸들 체험하는 분위기가 될때 있거든요. 작년? 유행했던 메이드 카페, 집사 카페나 그럴때 흥미갖는 인싸들이 생겼다 정도? 근데 그게 주류는 아니고 일부... 에스파 카리나라든지 아이돌들도 애니 추천할만큼 보는 애들은 보는데 관심없는 애들은 아예 없죠.

    • @amuroanakin3246
      @amuroanakin3246 2 месяца назад +7

      내가 느낀건 박가네에서 말한대로 지금 그 세대들 특징은 일본에 대한 열등의식없이 태어난 첫 세대이기떄문에 생각자체가 다름. 그냥 일본문화가 좋으면 좋은대로 받아들이고, 일본여행을 그렇게 많이 다니면서 일본이라는 나라를 좋아하고 친근하게 생각하는 애들이 많은게 사실임.
      일본이랑 관계가 아마 몇십년이 흐르면 지금이랑은 많이 다를 것임.

  • @trumantv
    @trumantv 2 месяца назад +25

    젊은세대에서 문화교류 진짜 활발한건 맞음

  • @k고르곤
    @k고르곤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울조카 10대 20대임 다들 일본 좋아함

  • @jihanizzang
    @jihanizzang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항상 재밌고 흥미있는 이야기들 감사합니다

  • @yuncheollee3559
    @yuncheollee3559 2 месяца назад +22

    나는 40대인데, 그냥 우리나라와 잘 맞으니까 좋다.

  • @seouljeju547
    @seouljeju547 2 месяца назад +71

    얼마전에 같이 일하는 20-30대 직원들과(저는 40대) 이것과 비슷한 일본문화에 대한 얘기를 나눈 적 있습니다. 우리 세대는 약간 일본이 동경의 대상이었는데 젊은 친구들은 확실히 그 갭이 많이 준거 같더라고요. 30대 친구들은 그때 나온 얘기가 자기들은 투니버스 세대라서 일본애니에 대한 거부감이 적고 그로 인해 일본 문화에 대한 친근감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투니버스를 엄청 강조하더라고요 ㅎ... 그리고 20대 친구들은 제가 생각한 것과 다르게 일본 하면 레트로(?) 느낌이라 좋다고 하더라고요 ㅎㅎ KPOP 황금기에 성인이 되었는데 일본 시티팝 같은 음악을 보면 오히려 더 신선하게 느껴지고 많이 들리니 좀 힙해보인다는 느낌이라고 하더군요. 일본을 안 가본 친구들 없을 정도로 일본에 대해 관심들도 많고 이런 얘기할 때 눈들 초롱초롱 해지는거 보니 확실히 젊은 친구들의 일본에 대한 느낌은 우리 때랑은 다른듯합니다. 인상깊었던게 젊은 친구들이 생각하는 일본에 대한 키워드 중에 세련은 없고 구식이라는 키워드를 뽑더라고요. 그 부분이 신기해서 물어보니 구식인데 힙하다는겁니다 ㅎㅎ 오히려 한국은 너무 디지털사회에 미래 느낌인데 일본은 뭔가 정갈하고 정리되어있지만 아날로그 느낌이라 그게 오히려 힙해보인다네요.
    패션 쪽 일을 하고 있어서 마케팅 관련 회의 하다가 일본 관련 얘기 나온 게 생각나서 적어보았습니다~

    • @Ddd-v2u
      @Ddd-v2u 2 месяца назад +6

      @@seouljeju547 다 디씨,일베 덕분이지.솔직히 투니버스 보다는 저쪽 영향 훨씬 많이 받았을텐데 말로 안하는 것 뿐

    • @명왕성꼬리는아홉개
      @명왕성꼬리는아홉개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저도.. 그 젊은 친구랑 같은 견해입니다.
      부산이라..배 타고 일 년에 네다섯 큐슈 하루이틀 짜리 여행 다녀오는 이입니다.
      중학교때 드래곤볼 본 세대입니다.
      아이큐점프, 챔프.

    • @user-rw7judice
      @user-rw7judice 2 месяца назад +9

      @@Ddd-v2u 일본에 호감갖는게 디씨일베덕임? 반대쪽 커뮤는 아직도 나만의 독립운동중이에요??? ㅋㅋ

    • @찾아서-k8n
      @찾아서-k8n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디씨일베는 그수준이 다름 뭘 모르는척하냐 @@user-rw7judice

    • @Ddd-v2u
      @Ddd-v2u 2 месяца назад +2

      @@user-rw7judice 디씨로 일본 빠는 게 일상이면서 아닌 척 ㅋㅋㅋ

  • @genchicken
    @genchicken 2 месяца назад +14

    '열풍'이라기보단, 이제 인기 있을만한건 국적 안따지고 폭넓게 즐깁니다. 가능한 한 모두 양지로 나올 수 있는 시대인거죠. 베트남것이든 중국것이든 괜찮다 싶으면 다 유행 타거든요. 그런 면에서 한국 입장에서는, 미국같은 1짱 제외하면 웬만한 다른 외국것들 보다 일본 콘텐츠가 그동안 쌓아놓은게 많기도 하고 아직 저력도 있고 최근에는 교류도 활발하기 때문에 소비하기가 좋죠.
    하라다는 백두산, 왕진레이 살려내라.

  • @Randy_Rhoads
    @Randy_Rhoads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우리가 한류소개하는거 생각해보면 맞는 말이긴 하지 ㅋㅋㅋ 일본에서 한식집에 줄선거 보고 한류열풍 이러는데..
    한국은 그냥 평범한 동네 골목에도 돈카스 초밥 규동 파는집 찾는건 일도 아닐정도로 넘쳐남... 전국 어느 번화가를 가도 이자카야 일본식 술집 천지고...ㅋ
    젊은 층들은 jpop도 많이 듣는게 사실임..... 나이 많은 세대들은 모르겠지만 ㅋㅋㅋㅋ

    • @박서준-c9m
      @박서준-c9m 2 месяца назад

      맞아요. 실생활 저변에 확대된건 일본이 훨씬 한국에 영향 많이 미치고 있어요

  • @다없구영-루하
    @다없구영-루하 2 месяца назад +99

    건전한 문화교류를 하면서 양국가가 서로를 알아간다면 다음 세대는 더욱더 건강 해질것이라 믿습니다

  • @samdong2340
    @samdong2340 2 месяца назад +210

    난 J팝이 인기있는지 처음 알았네요

    • @Or-m7z
      @Or-m7z 2 месяца назад +14

      @@samdong2340 나도 ㅋ;

    • @user-ji1yt5sw6
      @user-ji1yt5sw6 2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의 ytn에서 최근에 젊은이 일본문화열풍 방송했음​@@Or-m7z

    • @카즈-s8c
      @카즈-s8c 2 месяца назад +15

      음악시장
      1위 미국
      2위 일본
      3위 영국
      4위 독일
      5위 중국
      6위 프랑스
      7위 한국
      8위 캐나다
      9위 브라질
      10위 호주
      세계 징수된 음악시장 저작권료
      1위 미국 24.1%
      2위 프랑스 11.9%
      3위 영국 9.3%
      4위 독일 8.3%
      5위 일본 7.6%
      6위 이탈리아 4.7%
      공동 7위 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 3.0%
      9위 한국 2.3%
      10위 스페인

    • @dudxkr1987
      @dudxkr1987 2 месяца назад +15

      틱톡 안하면 모름 ㅋㅋㅋ 일본노래가 틱톡음악으로 엄청 쓰이는 중 ㅋㅋㅋ 사쿠란보가 언제적 사쿠란보인데 요즘애들도 암 ㅋㅋㅋ

    • @김로렌그람
      @김로렌그람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애들이 많이.좋아하더라고요. 영어학원 원장

  • @후시딘-d2o
    @후시딘-d2o 2 месяца назад +34

    90년~2000년초반 TV에서 나오는 일본만화보고 자란게 지금 2030세대들이고 취직하고 경제활동하는 시기니까 이렇게 되는건 당연한 흐름이지
    일본문화 자체가 그리 거리감이 느껴지질 않음

    • @문카
      @문카 2 месяца назад +3

      80년대 부터 TV에서 방영했는데요??
      아톰,건담,메칸더V 80~90년대가 애니를 더 TV에서 방영해줬음...

    • @archilee4643
      @archilee4643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드래곤볼 원피스 블리치 김전일 코난 등등
      예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바뀐게 있나.?
      오히려 오락쪽에서 일본의 여향이 줄었다고 봐야할것 같은데
      예전에 캡콤 닌텐도 등등 콘솔 및 오락실에서 독보적이였던 일본게임이 이젠 컴터로 넘어오면서 약해진 느낌

    • @jakekim2104
      @jakekim2104 2 месяца назад +2

      @@archilee4643 귀멸의 칼날이나 주술회전 뭐시기 등등 이미 애니 쪽도 세대교체 끝남. 김전일 ㅋㅋㅋㅋㅋ 그거 얘기하면 할아버지 소리 들을듯..

    • @나나-z6o2h
      @나나-z6o2h 2 месяца назад

      @@archilee4643 그거 아니에요.. 님이 나열한거에서는 원피스만 봤다 ㅋㅋ

    • @목격자냥이
      @목격자냥이 2 месяца назад

      @@archilee4643언급하신거 이제는 트렌드하기보단 고리타분하다고 안보죠.. 그나마 원피스 코난은 장기연재라 어느정도 버티지만 완결나면 굳이 찾아보지는 않을듯?

  • @The21rain
    @The21rain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이자까야.. 심지허 일본어 간판인 일식, 스시집도 엄청나죠. 몇년전 반일감정이 있었는지 기억도 안납니다. ㅎ

  • @subutai243
    @subutai243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오 생각 안해봤던 주제인데 이 영상보고 처음 이 관점에서 생각해보고큰 깨달음? 얻어갑니다ㅋㅋ 역시 한일 교류의 결실? 그 자체인 분들이라 최신 트렌드를 빠르게 통찰해서 전해주는 채널이네요

  • @laghondamania
    @laghondamania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일본문화에 열광하다기 보다는... 젊은 세대들은 선입견이 거의 없다고 보는 게 맞지 않나?? 기성세대들은 사상적으로 친일이니 친중이니 뭐니 이런 사상이 자기도 모르게 머리 속에 있으니 신경 쓰지만... 젊은 세대들은 이미 SNS같은 것으로 글로벌한 시대에 어려서부터 적응해와서 일본이든 중국이든 미국이든 본인들이 좋으면 좋은 거다라는 생각이겠죠...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됩니다. 글로벌한 시대에 과거 사상에 얽매여서 선입견으로 살아가는 거보다는 넒게 포용하는 게 선진국 국민의 자세라고 생각함..

  • @성이름-t1n
    @성이름-t1n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일본 문화는 한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유명하니까. 소프트파워 하면 일본이 최강임.
    애니도 ㅈㄴ 잘뽑고 비디오 게임도 ㅈㄴ 잘 만듦. 일본의 소프트파워는 인정할 수밖에 없어. 진짜 대단함

  • @kmh1793
    @kmh1793 2 месяца назад +22

    걍 엔저때문에 가는건데;
    요즘 국내 물가에 비교하면 존나쌈
    옛날 중국여행가는 느낌

    • @user-up7zp7wn3q
      @user-up7zp7wn3q 2 месяца назад +5

      단순 환율 차이였다면 터키같은 나라나 그냥 태초부터 물가가 싼 동남아도 충분히 갔겠죠

    • @kmh1793
      @kmh1793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up7zp7wn3q 제가 그렇다고요;
      뱅기값도싸구요

    • @hannibalkim
      @hannibalkim 2 месяца назад +6

      @@user-up7zp7wn3q일본에서 소비를 하는건 가성비가 크게 한목 합니다. 비행기 티켓도 싸고 가깝고 엔저에 도쿄 물가가 서울에 비하면 현저하게 낮죠.

    • @zinedinecruyff6731
      @zinedinecruyff6731 2 месяца назад

      존나쌈은 아니던데.. 일본가서 무슨 일본패스트푸드식당만 다닐게 아니라면;;

    • @hannibalkim
      @hannibalkim 2 месяца назад +2

      @@zinedinecruyff6731 초밥도 한국보다 훨씬 쌌고 라멘이나 마트에서 사서먹는 도시락 퀄리티도 훌륭한편이죠. 물론 츠키지 같은곳 가면 관광객 전용 음식이 있긴해요. 싼 규동을 먹어도 한국에서는 맛볼수 없는 경험같은걸 제공하니깐요.

  • @Vince_Yoo
    @Vince_Yoo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애니랑 여행만 따지면 좋아하는건 맞는듯..솔직히 애니는 뭐 유명하고 여행은 가성비가 다른 여행지에 비해서 너무 압도적으로 싸니까..

  • @김달메
    @김달메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일단 비슷하면서도 확실하게 다른점들이 있고 그런것때문에 취향이 맞는사람들한테는 정말 좋은것이 일본문화라고 생각해요.

  • @공부복지
    @공부복지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영상 맛있게 봤습니다😂

  • @user-ue2nz3mc3d
    @user-ue2nz3mc3d 2 месяца назад +8

    대학다니는 학생 입장에서 얘기하자면 주변 친구 모두
    일본이라서 좋다 이런거 별로 없고
    걍 진짜 느낌 좋다 이래서 일본어 1도 몰리도 jpop듣고, 걍 일본감성 좋다 생각해서 여행가고 , 남자애들은 일본여자애들 꼬시기 쉽다고 여행가고 그냥 아무생각 없음 일본에 대해서
    열광은 무슨 엔저니까 싸게 여행갈 수 있는 여행지라고 생각해요 다들

    • @user-ue2nz3mc3d
      @user-ue2nz3mc3d 2 месяца назад

      j pop도 듣다보면 질려서 돌아가면서 힙합 펑크 kpop 듣네요

    • @DieWeltalsWilleundVorstellung
      @DieWeltalsWilleundVorstellung 2 месяца назад

      일본여자 꼬시기 쉽다고 여행간다고요?

    • @user-ue2nz3mc3d
      @user-ue2nz3mc3d 2 месяца назад

      @ 애초에 그런 이미지인데요 도쿄 신오쿠보 소주 한잔 가보세요 남자들 전부 한국 남자에 여자 다 일녀임 +도쿄 클럽 투어도 했는데 한국형들 앵간 많아요 다 일녀들 헌팅해서 나가던데요 저도 클럽에서 일녀들이랑 친구먹음 한국말 너무 잘하길래

    • @user-ue2nz3mc3d
      @user-ue2nz3mc3d 2 месяца назад

      @@DieWeltalsWilleundVorstellung의외로 여미새 엄청 많아요ㅠㅠ

  • @suhyohan77
    @suhyohan77 2 месяца назад +63

    스즈메의 문단속이 인기있었던 이유..신카이 마코토 작품이기때문..
    영화내용은 별거 없더라..

    • @legeno-
      @legeno- 2 месяца назад +7

      @@suhyohan77 스토리에 담긴 내용을 모르니 별 거 아니지

    • @khj3129
      @khj3129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영화의 겉모습만 보니까 그럼

    • @HjP-i5b
      @HjP-i5b 2 месяца назад +4

      @@legeno- 스토리에 담긴 내용을 왜 청자가 알고 봄
      그건 후의 이야기고 영화 자체를 봐야지
      님이 말하는 건 다~알아 보고 저거 저래서 저런거다 이건 이래서 그런거다 저건 저걸 영화화 한거다
      이런걸 알아 보고 보니까 그런거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 영화 나왔네 보자 음 내용이 이런거구나 볼만하네 이런거지

    • @user-zi6s8qi1oa
      @user-zi6s8qi1oa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그때 당시에 볼만한 영화가 딱히 없기도 했음

    • @zminor6672
      @zminor6672 2 месяца назад +4

      ⁠@@legeno-
      님은 영화 볼때
      스토리에 담긴 내용과 여러 의미와
      감독의 의도 등을 미리 분석하고
      보나 봄?

  • @krail1285
    @krail1285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버튜버 영향이 클거에요. 원조가 일본이라 이름도 일본풍 채널이 많고 커버도 일본곡이 주류니까 많이 접해서 친숙해지는 거죠.

  • @mkim884-v3n
    @mkim884-v3n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예전 민족주의적 역사교육이 젊은세대에서 반감을 가지게되면서 국가간 경계가 옅어지는 느낌도 있는듯
    좋은 현상이라고 봅니다

  • @예흐트
    @예흐트 2 месяца назад +19

    젊은 층의 해외여행이 일본이 압도적일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우선 기본적으로 여성들의 해외여행 선호도 1위가 일본이기 때문입니다.일본은 여자들이 여행하기 좋은 모든 조건을 다 갖추고 있죠.치안 좋고 물가 싸고 깨끗하고 아기자기하게 예쁜 곳 많고 쇼핑 편하고 교통 편하고...상대적으로 동남아가 비선호되는 이유는 일단 위생문제랑 치안문제가 크구요.다만 문화적 선호도가 새삼스럽게 올라갔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보는게, 전에 비해 확장되었다고 해도 여전히 일본문화는 인싸들에게 메이져는 아니에요 아직.틱톡이나 인방등의 영향으로 전에 비해 접촉횟수가 늘어났기 때문에 거부감이 덜한거는 맞지만.

    • @sonj.w5819
      @sonj.w5819 2 месяца назад +2

      한국 여행 오는 일본인도 대부분 여성이죠.

    • @razielshim7501
      @razielshim7501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무엇보다 엔화약세가 크죠. 물가도 싸고

    • @예흐트
      @예흐트 2 месяца назад

      @@razielshim7501 그쵸 비쌌으면 지금처럼 폭발적으로 가기는 좀 힘들었을듯.

    • @user-ee1kp3zh4n
      @user-ee1kp3zh4n 2 месяца назад

      인싸들에게 메이저가 아니긴 그냥 일본 문화 자체가 일본거라는 인지도 못 할만큼 과거부터 우리 사회에 자연스럽게 녹아있음 당장 그렇게 많다는 치킨집 다음으로 많은 게 일식집임

  • @새우-p6m
    @새우-p6m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어쩌니저쩌니해도 한국이랑 제일 비슷한 외국이 일본이니
    해외여행은 가고싶은데 서양은 좀 무섭다 하는사림도 일본 많이 가죠
    예전부터 서양에서 혼자 뚝 떨어져있으면 한국인 일본인이 제일 금방 친해지는 친구가 되기도 하고요
    정치적인 이유만 아니면 사람 생긴것만 봐도 서로 제일 편할수밖에..

  • @baronlim5136
    @baronlim5136 2 месяца назад +19

    주변에 jpop 듣는 사람 나말고는 안보이던뎅.. 애니나 뭐 다른 거 보는 사람은 많아도.. 몇년 전만해도 애니는 1도 안보는데 jpop듣는 다는 이유로 5덕10덕 취급받았었는데 요즘은 그나마 나은듯 aimyon 요아소비 다이스끼 !!

    • @잉잉-n8k
      @잉잉-n8k 2 месяца назад

      Jpop 누가듣는다고 여기댓글들 jpop이 이젠 대중적이다 ㅇㅈㄹ인지 일본좋아해서 일본여행가고 일본인이랑 사겨본 내친구도 jpop안듣는데

    • @tomisatonaosaranghae
      @tomisatonaosaranghae 2 месяца назад

      ​@@잉잉-n8k한본어 잘하는 고양이(?)그 분 채널보면 조회수 장난 아니예요!

  • @K-s7j
    @K-s7j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고딩.중딩 우리 두딸 일본만화 일본노래 엄청 좋아합니다~~♡
    딸들 방에는 일본만화 케릭터 엄청많습니다~~😅

  • @JJYiT
    @JJYiT 2 месяца назад +35

    20~30 대가 일본 가는경우는 여러가지지만 1위 엔저 / 2위 가까움 / 3위 무비자 / 4위 맛집투어 / 5위 애니,게임 정도 일꺼 같네요.
    솔직히 돈 있으면 유럽 이나 미국 위주로 가긴 하 겠지만요.

    • @meiziyi4983
      @meiziyi4983 2 месяца назад +6

      돈있으면 우럽.미국? 그건 우리 연령층일뿐입니다. 요즘 젊은이들 미국 유럽을 굳이 라고생각합니다ㅡ 왜? 비싸고 더럽고 위험하다의인식이 큽니다.

    • @jamielannister3721
      @jamielannister3721 2 месяца назад +8

      가까움이 가장 크고 주위에 뭐 북한 중국 러시아 이런 나라 밖에 없다는게 또 큼 ㅋㅋ 바로 옆에 이탈리아나 뭐 스페인 있었으면 거기 갔지 ㅋㅋ

    • @razielshim7501
      @razielshim7501 2 месяца назад +2

      @@jamielannister3721 ㄹㅇ 북한 중국 러시아 이러니 암울함 가까운 곳은 갈 곳이 없긴하죠

    • @ywtggsd
      @ywtggsd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가깝고 문화선진국인게 제일 큰 이유죠 볼거리 먹거리가 많으니까
      그리고 이삼십대가 돈없어서 미국유럽못가는게 아니라 직장생활하다보면 갈수있는곳이 가까운 일본이나 동남아말곤 없는게 현실이죠
      거 미국이나 유럽가는게 얼마나 한다고😂

    • @hannibalkim
      @hannibalkim 2 месяца назад

      @@meiziyi4983 그거야 관광을 가니깐 그런거고 여행을 자유 주제로 여행을 거볼수 있는 특권이 어린 세대에게 있으니깐 그렇지. 랜드마크 안봐도 그만인게 요즘 세대

  • @렌고쿠-b6o
    @렌고쿠-b6o 2 месяца назад +3

    확실히 일본이라는 브랜드가 있는거 같음.
    이세상에 살인자나 범죄자가 없는 나라는 없으나 여러나라를 직접 여행가본 입장에서 일본국민이 대체적으로 상냥하고 깨끗하고 성실하고 장인정신?
    이런게 강함.
    중국 사람도 개개인들은 친절한데
    나라라는 브랜드로 따지면 일본이랑
    많이 다름.
    요즘 mz들은 누가 더 대단해서 동경 보다
    어느 분야이든
    한국이 못하는거 일본이 잘하는 부분이 있으면 관심갖고 보고 느끼고 배우고 이런걸 선호함.

  • @朴俊圭
    @朴俊圭 2 месяца назад +89

    7살 딸래미가 학교에서 아파트 듣고 김치볶음밥 먹고 다녀요..

    • @일산땅부자
      @일산땅부자 2 месяца назад +1

      혹시 일본 사시나용

    • @朴俊圭
      @朴俊圭 2 месяца назад +3

      @ 네 한식이 급식으로 나온다니..

    • @일산땅부자
      @일산땅부자 2 месяца назад +1

      @@朴俊圭 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HalfMoon
      @D-HalfMoon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나라도 급식에서 해외음식 나오는것처럼 일본도 당연히 급식에서 한식나오지 않을까요?
      친한 일본 중학생애가 자기학교 급식에도 김치 나온댔어요 정작 얘는 매운거 못먹어서 김치 나올때마다 늘 남긴다고함

  • @opswhip
    @opswhip 2 месяца назад +4

    해외 한류팬들의 성별을 보면 압도적으로 여자팬들이 많다.
    그 이유는 아이돌, 드라마, 미용, 화장품 등 해외에서 인기있는 한국 문화는 거의 여자 취향이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일본이 강세인 애니메이션, 밴드 등의 인기있는 일본 문화는 남자 취향인 경우가 매우 많다.
    인방 보는 시청자들도 남자들이 더 많으니 거기에서 일본 문화가 소비되기 좋은 환경이다.

  • @centurionkwk
    @centurionkwk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일본 것에 대해 일본이라 좋고 일본이라 싫은 그런 게 아니라 그냥 편하고 자연스럽게 일본의 문화를 받아들이게 된 게 차이라고나 할까. 확실히 거부감은 사라졌다. 좋은 변화네.

  • @housefull5297
    @housefull5297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음악을 저도 jpop즐겨 듣는 편입니다. 특히 번안곡... 그리고 밴드 곡들 나이가40대 중반 인데. 안전지대나 . 최근 레몬.. 배태르기우스. 그리고 미카 번안을 했던 포지션 하루..등등 번안곡 위주로 듣고 있습니다. 어쩌면 디지털 음악 보다늠 아날로드 음악응 찾다가 보니. 더 듣게 되나 봅니다😊😊😊

  • @한두원-x6o
    @한두원-x6o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일본이 오히려 지금 물가가 한국보다 싸죠...저렴하게 여행할수 있는 나라..그리고 신뢰할수 있고 맛있는 음식..이 두가지가 절대적인 팩트

  • @Sjkkshmo
    @Sjkkshmo 2 месяца назад +48

    적어도 1020대 남자들은 일본 싫어하는 사람은 거의 못본듯

    • @DYN-FOCAL
      @DYN-FOCAL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확실히 30~40대보다 젊은 층들이 일본에 대한 반감이 현저하게 줄었죠ㅎ 물론 엄청 좋아한다까지는 아니지만 딱히 중국처럼 혐오하거나 그러지는 않음

    • @WdkNcPEew9TLkjwRnEm
      @WdkNcPEew9TLkjwRnEm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냥 취향이 맞으니

    • @user-up7zp7wn3q
      @user-up7zp7wn3q 2 месяца назад +8

      요즘은 남자보다 여자한테 인기있는 느낌임
      예전에는 일본 하면 애니가 전부였지만, 요즘은 jpop, 음식, 관광 쪽이 애니보다 훨씬 커지면서 남자보다 스펙트럼이 넓어짐

    • @tomisatonaosaranghae
      @tomisatonaosaranghae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일본정부와 혐한우익은 싫음 하지만 jpop이나 일본드라마,문화는 좋음

    • @jakean3234
      @jakean3234 2 месяца назад

      @@tomisatonaosaranghae일본정부도 뭐 기시다 총리 이후에 딱히 뭐 있나?

  • @sovereigntylux
    @sovereigntylux 2 месяца назад +30

    국가간은 반일 혐한 이런게 있을 지라도 일반 국민은 한일 모두 평범한 소시민입니다. 문화교류도 하고 서로 잘 지내는 것이 훨씬 좋죠.

    • @ThK3-bv8hg
      @ThK3-bv8hg 2 месяца назад +2

      ㅋㅋㅋ 혐한이 무슨 국가간이야? 일본 서점은 가봤냐?

    • @ThK3-bv8hg
      @ThK3-bv8hg 2 месяца назад

      혐한이 무슨 국가간이야 일본 서점은 가봤어?

    • @HTTCproject
      @HTTCproject 2 месяца назад +9

      ​@@ThK3-bv8hg키노쿠니야 신주쿠점 갔는데 뭐 없던데요

    • @하버드청포도
      @하버드청포도 2 месяца назад +4

      @@ThK3-bv8hg일본 싫어하는 소수 한국인들이 있듯이 똑같은거죠

    • @aksjdjeidk123
      @aksjdjeidk123 2 месяца назад +5

      @@ThK3-bv8hg 일본에서 살았었다 니가 생각하는 혐오에 관한 책이 메인으로 나와있는 곳은 없더라ㅋㅋ 인터넷 세상이서 나와 좀..!!

  • @원도짱
    @원도짱 2 месяца назад +44

    내 어렸을땐 일본 문화 소비가 많았던건 인정.
    근데 20대 우리 아이들, 그리고 회사 젊은 직원들보면 여행외엔 관심없던데..
    일본붐 표현은 오바임. 그냥 일본 국민들 국뽕 충전용일듯.

    • @zephy-xy6oz
      @zephy-xy6oz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원도짱 같은 20대여도 요즘은 개개인마다 문화를 즐기는 방법이 너무 파편화됐어요. "알고리즘"이라는게 컨텐츠 플랫폼에 자리잡힌 이후부터.. 그래서 님 주변에는 그런 분들이 있는거고, 또 다른 편에는 요아소비나 아도, 킹누 내한공연 티켓이 순식간에 매진되는 바람에 못구해서 슬퍼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ㅎㅎ;

    • @Himizu2023
      @Himizu2023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붐은 아니고 그냥 노멀하게 좋아하는 사람들 많다 이거임.

    • @candyshop4164
      @candyshop4164 2 месяца назад +6

      이미 일상에 다 침투되어있는데 뭔 ㅋㅋㅋㅋ

    • @user-abcde27
      @user-abcde27 2 месяца назад

      @@candyshop4164 그니까 열풍이라기보단 일상에 은은하게 스며있다는 소리임 막 우와아아 대박 J팝!! 이자카야!! 이게 아니라

  • @미자아빠
    @미자아빠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여행지 선호도는 지역차이도 있음.
    올해 분당 강남 사는 조카들 학교 얘기 들어보면 친구들이 가족여행으로 미국 유럽 호주 갔다는 사람은 있는데 일본 갔다는 집은 출장으로 갔다는거 말고는 없었다. 지방 사람들이 일본여행을 많이 간다는 느낌 있음.
    그리고 예전에는 해외여행을 20대에 한번 30대에 한번 가는 정도였다면 요즘은 1년에 한번 이상씩 가는 추세라서 싼값에 안전하고 편하게 다니는데 일본이 제일 좋은 조건이기는 하다.

    • @younggun7002
      @younggun7002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지역차이라기 보다는 세대차이인듯해요. 20대, 30대는 가족여행 안가고 친구들하고 일본 많이 갑니다.

  • @음파-o3i
    @음파-o3i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거부감이 줄어든건 확실함..젊은사람말고도
    ...한일톱텐쇼 콘도마사히코 나온거 보고 진짜 놀랏음...

    • @안대희-c5f
      @안대희-c5f Месяц назад

      그러게요..... 콘도 마사히코 나온다고 하니까 깜짝 놀랄수밖에.....

  • @무소유의삶-y2k
    @무소유의삶-y2k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조금 다른 얘기지만 제가 하는 건프라도 그렇고 일본 제품들 중 상당수가 지갑을 저절로 열게 만드는 매력을 가진 물건들이 많아요.

    • @프론탈
      @프론탈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무소유의삶-y2k 하지만 님께서는 너무 열었죠…🤭

    • @무소유의삶-y2k
      @무소유의삶-y2k 2 месяца назад

      @ 헐ㅋㅋㅋㅋㅋ 누구신가 했더니ㅋㅋㅋㅋㅋㅋㅋㅋ

  • @cwuhao2105
    @cwuhao2105 2 месяца назад +23

    우리 일본어 클래스에도 일본어가 어순과 단어가 비슷해 취미로 접근성이 좋고 일본여행 자주가기때문에 배우는 사람이 대부분인듯.. jpop좋아한다는 사람은 못봤는데

    • @0o926
      @0o926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j팝 좋아하는 사람은 보편적으로 덕후 계열임. 국내에서는 그 접근성도 막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지 않는 이상 들어보기조차 힘든게 사실인데 씹덕 아닌 다음에야 누가 그렇게 검색을 해서 찾아 듣겠음. 막말로 국내에 일본가수가 활동하는 것도 아니고, 무슨 음원차트에 오르는 것도 아니고, 그도 아니면 글로벌하게 인기있는 j팝 가수가 있는 것도 아닌데. 누군가 내 주변에는 j팝이 유행이고, 다들 j팝을 즐겨 듣는 다고 하면 그냥 씹덕 주변에 씹덕들이 뭉쳐 j팝을 듣는다고 보면 됨. 원래 씹덕은 씹덕끼리 뭉치는 법임. jav면 모를까 j팝을 누가 그렇게 찾아 듣겠음.
      앞으로는 모르지만, 아직까지는 국내에서 j팝은 마이너 문화죠.

    • @exploration-m5p
      @exploration-m5p 2 месяца назад +4

      한국 가요가 일본 오리콘 차트 휩쓸었듯이 일본 가요가 멜론 차트던 음방차트던 어딘가에는 올라와야 그나마 "인기"란 단어를 쓸수있을텐데 솔직히 듣도 보도 못했음. 일본 노래 들어본적도 없고 주위에 듣는 사람 본적도 없음

    • @user-jeondongmin
      @user-jeondongmin 2 месяца назад

      외국인들이 일본에 방문하면 USB랑 SD카드를 나눠줘서 사람들이 일본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해야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USB, SD카드는 일본애니, 드라마, 영화, 음악이 들어있는 USB입니다! 아니면 QR코드도 좋을듯 합니다!

    • @Qwerasdf12348
      @Qwerasdf12348 2 месяца назад

      ​@@0o926 그래도 이정도면 제이팝 많이 올라온거임ㅋㅋ 셀럽들도 제이팝 많이 샤라웃 하고 취향 맞는 사람들은 듣는 정도

  • @노스탈쟈-u2f
    @노스탈쟈-u2f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일본여행을 좋아하는 젊은이들이많고 그래서 일본문화가 많이 번진는건 우려할건아니다 일본음식 친절긍정적인면이많으니까

  • @not-sriracha
    @not-sriracha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개인적으로 한국에서의 삶은 너무 빠른 변화 속에서 가끔 과거를 추억하고 싶어도 추억할 곳이 없는데 일본에 갔을때 와 이거 나 20년 전 중학생때 일본 여행와서 본게 아직도 있네 이런 걸 몇 번 겪었더니 ㅋㅋㅋㅋㅋㅋ 약간 그 아직 남아있는 아날로그함이 오히려 신선하게 느껴져요 일본에 왔구나 느껴질 때가 손에서 동전때문에 쇠냄새날때인 점도... 그래서 오히려 소도시 이런 곳으로 빠지는 것도 비슷한 신선함을 찾아서 가는거라 생각됩니다

  • @민지최-p9z
    @민지최-p9z 2 месяца назад +2

    20대 여자인데요
    그냥 좋아서 싫어서 이런거 보다 별 생각 없구요...ㅋㅋㅋㅋㅋㅋ
    일본에 맛있는거 많고(특히 빵이랑 디저트!) 환율 싸서 쇼핑하기 좋고 비슷한 문화권에 치안도 비슷하고 그러면서도 관광지는 한국과 다르기도 하고 그래서 가요 ㅋㅋ 비행시간도 3시간 이내에 비행기값도 싸니까 부담없이 놀러가기 좋구요 ㅎ

  • @jodierhim845
    @jodierhim845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2003년 2001년 자녀가 있습니다 제가 코난을 좋아해서 20년간 챙겨보니 어느날 일본어를 둘다 하더라고요...애들은 좋아하면 알아서 소비하는 거 같고 일본에대해 아무런 좋거나 싫어하는 감정이 없더라고요

  • @yaine49
    @yaine49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제 생각엔 과거 90년대부터 일본 대중문화를 접하며 커온 사람들이 관련 비즈니스 등에 종사하면서 점점 더 후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토대를 만든 결과가 현재인 것 같아 보입니다. 확실히 제가 어렸을 때보단 지금이 일본 관련 소식이나 음악, 애니메이션 등등에 관심을 갖거나 아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 같네요.

  • @joyonghisumswida
    @joyonghisumswida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일본어학과 출신이 일본과 관련있는 곳으로 취업하는 경우가 많이 없습니다.
    일본인들이 담당자가 바뀌는 것을 싫어하기에 같은 일을 계속하면 승진이 안됩니다.
    승진이 되려면 처음 일본과 거래했을 때보다 회사의 규모가 계속 커져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그런 회사는 적습니다.

  • @성초-s2n
    @성초-s2n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겉으로 보는 것과 속을 좀더 정확하게 들여다 보아야 해요. 과거의 일본과 한국 관계와 지금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상황이 많이 달라요.
    하지만 기존의 언론이나 방송들은 과거의 시각이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어요. 한국은 음악이나 음식이나 여러가지 세계 문화에 있어
    좋으면 좋다고 하는 말하는 국가 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아무런 거리낌 없이 흡수해요. 특히 새롭고 좀 더 완성도 높은 분야에 대한 집착?이
    강해요. 일본의 대중 문화는 한국의 영향으로 점점 완성도가 높아지고 있고 ... 지금은 한국인들 마음에 드는 것이에요. 다르게 해석하면 한국식으로 성장?

  • @inlunas
    @inlunas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어릴때부터 제이팝 종종 들어왔지만 최근들어 그나마 제이팝이 유튜브를 좀 풀어주는 느낌
    예전에는 뭐 찾아볼려고 해도 유툽에 없는게 허다했음
    스트리밍 사이트에 없는건 당연했고
    그래도 최근에는 직접적으로 한국에 홍보는 안하더라도
    유툽에 뮤비 정도는 올리는 참 일취월장한 모습이라도 보여주니
    그나마 듣는 사람들이 늘어난것도 있다고 생각함 ㅋ

  • @folhy7428
    @folhy7428 2 месяца назад +13

    금지되었던 예전에도 일본 음악, 열본 영화가 나름 매니아들을 중심으로 인기가 있었고 일부는 대중들에게도 알게 모르게 알려졌었다. 그때는 일본은 어느 분야든 우리가 우러르던 선진국이었고 우리 문화는 규제받고 수준도 낮았다. 하지만 우리의 국력이 신장되고 열등감도 사라지자 선망의 시선이 아니라 여러 섹상의 문화 중 새로우면서도 익숙한 느낌으로 찾게되는 문화가 되었다. 우물안 개구리로 우리것을 지킬땐 우리 문화는 발전히 더뎠고 남들을 부러워할 뿐이었지만 모든 문화를 즐기게 되자 우리는 더 강해지고 풍성해지고 있다.

    • @Wow-vo8nt
      @Wow-vo8nt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시 코멘트는 고닉이 잘 쓰는 듯

    • @kangmw94
      @kangmw94 2 месяца назад

      💀 🇰🇷 🇰🇷 💀

  • @孫悟空-c8b
    @孫悟空-c8b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어제 TV 보다가 기절초풍 했습니다😂이자카야가 초인기라고 ㅋㅋ

  • @GangUn_Ryu
    @GangUn_Ryu 2 месяца назад +26

    우리나라에서 일본 문화 중에 인기있는건 애니, 게임, 캐릭터 사업 등이라
    어릴 때에 좋아하다가 나이 들면 아예 관심없어지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 같아요
    j pop도 일부 애니메이션 광(ㅇㅌㅋ)들 사이에서는 난리긴 하더라구요
    마치 어르신들 사이에선 골프가 엄청 인기가 많은데 우리 나이대는 하는 애들을 찾기가 힘든 것과 비슷한거죠

    • @sinnanda1818
      @sinnanda1818 2 месяца назад

      시대가 바꼈어요.
      요즘 40대들 콘솔게임으로 겜하고, 애니도 많이 봅니다..

    • @GangUn_Ryu
      @GangUn_Ryu 2 месяца назад +1

      @ 40대가 청년인가요? 그리고 저는 30대인데 제가 이야기한건 20대 애들이 그렇다고 말한거에요
      그리고 게임에 관한건 저도 스팀 게임을 많이 하고 그래서 일본의 게임을 많이 한다는 이야기도 쓸까 하다가 쓰지 않았는데
      왜냐면 일본 게임도 롤, 마크처럼 20대 애들이 다 하는건 아니고 엘든링, 몬헌처럼 상당수의 일부가 하는거라 댓글 길어져서 뺐어요
      콘솔 비율이 많아진 것도 사실이지만 이걸로 일본 게임만 하는건 아니잖아요 ㅋㅋㅋㅋㅋ

  • @jinil_nim
    @jinil_nim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솔직히 지금 20대들은 태어나자마자 선진국이었는데 일본에 무슨 컴플렉스가 있음 ㅋㅋ "따라 잡아야한다!"가 아니라 "어 이거 좋다"하면서 거리에 많아진거지..

    • @Samsmith-gy8lh
      @Samsmith-gy8lh 2 месяца назад

      컴플렉스 느끼는게 코미디 아닌가? 애초에 타국에 뭔 컴플렉스여 뭐 미국에 컴플렉스 느끼는 사람도 못 봤는디

    • @jinil_nim
      @jinil_nim 2 месяца назад

      @@Samsmith-gy8lh ㅋㅋㅋ그 코미디를 조선반도에서 지금 40대이상분들은 진짜 하고있었는데? 아직도 뉴스에서 유난히 "드디이 일본 추월!"하면서 자극적으로 기사만들고 거기에 댓글다는 수많은 586세대는 다 댓글부대임?

  • @안대희-c5f
    @안대희-c5f Месяц назад

    나도 초 6학년 딸이 미소라 히바리의 강물의 흐름처럼이란 노래를 알고있어 진짜 정말 놀랐음.... 게다가 노래 흥얼거리는 것을 보니 더더욱 깜짝 놀랄수밖에.....

  • @이재균-x2e
    @이재균-x2e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사실 한국처럼 일본 좋아하는 나라 몇 없을듯
    편의점 맥주 1위 아사히 넷플릭스에 일본 애니메이션 떳다하면 순위권 여행도 많이 가고 냉정하게 j-pop은 아직 비주류지만,
    최근 릴스에서 유행했던 시티팝이나 아이묭 요네즈 켄시 유명한 가수정도는 아는 사람 꽤 있을지도?

    • @papitoricokim8475
      @papitoricokim8475 2 месяца назад

      예전에 북미나 유럽가면 일본에 미쳐있었어요..지금은 오히려 인기가 줄었고 한국이 좋아하죠..

    • @2jaemyungE
      @2jaemyungE 2 месяца назад

      번안곡과 표절곡도 J-Pop으로 따진다면 00년대이전은 J-Pop이 인기있었다고 말할 수 있지만, 그당시 그게 번안곡인지도 표절인지도 몰랐음.

  • @hwk6246
    @hwk6246 2 месяца назад +24

    한국 내 일본빠 : 수가 한정되어 있는데 역사가 깊음.
    일본 내 한국빠 : 지상파 방송에 꾸준히 나올 정도로 저변이 넓어졌는데 그 역사는 짧음.

    • @카즈-s8c
      @카즈-s8c 2 месяца назад

      1988년 내한공연 첫 일본아이돌그룹 소녀대...

  • @burgerkinglee
    @burgerkinglee 2 месяца назад +15

    여기에 10대 20대가 많지 않아서 다들 잘 모르시는것 같은데 1020이 스마트폰 많이쓰고 SNS하면서 개인주의, 서브컬쳐 성향이 늘어나면서 일본문화에 더 친숙해지기 시작한건 팩트임

  • @rmroadman
    @rmroadma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일본문화좋아요 노래좋은거는 좋은거고 서로 양국이 잘협력해서 잘됐으면 좋겠습니다 너무잘보고있어요❤❤

  • @양념된고기
    @양념된고기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걍 싸서 좋음
    솔직히 유럽 유명한 관광지 가려면 일본 서너배 들어서 ㅋㅋㅋㅋㅋㅋㅋ...
    중국도 예전엔 인기가 꽤 있엇지만 일본은 국가대 국가가 사이가 안좋다면
    중국은 국민대 국민 사이가 안좋아서
    더 안가게 되는듯?
    옛날엔 중국이 워낙에 거대한 자본시장이라 중국어 많이 배웠는데 교류자체가 얼어붙으니 걍 일본이 대체제가 되가는거 같음.

  • @jongwonsi4460
    @jongwonsi4460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우월하다고 좋아하는거보다 취향차이 그냥 그게 더좋아서 그거 선택하는게 사실 더 무섭고 파급력도 훨씬 큰거같아요

  • @MegaJaws
    @MegaJaws 2 месяца назад +71

    나이대 별로 다른 듯 10, 20대 일본에 대한 반감이나 동경같은 거 없고 수많은 문화중에 자기가 땡기면 그냥 좋아함.. 수많은 초이스 중에 일본 문화가 일부 선택지로 들어간 듯
    40대 이상 그닥? ㅋㅋㅋ 반일 감정 여전

    • @블랙아메리카노-h5k
      @블랙아메리카노-h5k 2 месяца назад +24

      이건 어려서 착각하는건데... 40대 이상때는 나라에서 막을정도였음 ㅋㅋㅋ
      엑스재팬같은 가수들 얼마나 인기였는데
      인기의 척도가 옛날에는 좀 오래갔는데
      지금은 쇼츠,틱톡으로 몇초, 몇분 소비형으로 바뀌어서 그런 걸 수도 있지만
      그냥 돌려보고 오 좋네 하는 정도지
      인기라고 하기엔 뭐...

    • @아이스크림-p5r
      @아이스크림-p5r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이게 맞음 ㅋㅋㅋ 아직은 한국 젊은 사람들한테선 한국 문화를 즐기는 도중에 이색적인 게 끌릴 때 즐기는 게 일본 문화라...유행은 맞는데 파이가 좀 커졌다라는 거지. 모두가 다 즐긴다?? 이런 건 아닌 거 같음.

    • @문카
      @문카 2 месяца назад +17

      40대 이상은 그 닥이라고???
      40대 이상도 일본 문화를 음지에서 많이 접했습니다만..
      지금 세대보다 더 접했을 수도??
      X세대라고 할 수 있는 1970년대생들 어릴때 건담,아톰을 보고 자랐어요..
      감히 왜 40대 이상은 반일 감정이 있다고 생각하심??
      40대 이상이 반일을 한 이유는 우리나라 경제 활동의 중심이라
      일본의 소부장 수출 제한 걸었을 당시 반대급부로 나타난 현상이지..
      40대 이상 즉 X세대로 통칭하는 1970년대생들이 일본 문화를 더 접했다고 볼 수 있죠...
      건담,마크로스,아톰,사이버포뮬러를 왕성하게 접했던 세대가 X세대들인데~

    • @icarus6963
      @icarus6963 2 месяца назад +5

      40대 때는 일본문화에 대한 수입 제한이 많아서 음지에서 해적판 돌고 했던시절이였다더라고요 나라에서 막아도 찾음

    • @Phahhi
      @Phahhi 2 месяца назад +6

      거의 40대인데 옛날에도 즐겼고 지금은 경제적 여유가 있어서 직접가서 즐기기도 함 뭔 반일감정 여전

  • @김나나-v3e
    @김나나-v3e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좋은 영상!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mothernature1323
    @mothernature1323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요즘 한국 젊은층의 문화 향유수준도 높아지고, 폭도 넓어짐. 요즘은 중, 고등학교 외국에서 다니고, 대학도 외국으로 입학하는 경우 엄청 많음. 학교도 영어권, 유럽도 아닌, 터키 이런쪽으로 가는 학생들도 있더라구요..

  • @llPlutoII
    @llPlutoII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인터넷 방송이 넘치기 시작하면서 J-pop은 오히려 노젓기가 좋음.
    당장에 한국가요의 빡센 저작권때문에 인터넷방송에서는 한국노래가 들리자마자 발작하다시피 음원을 꺼버림.
    노래방송을 하더라도 한국가요 방송은 다시보기 올리는것도 꺼려함.
    반면 J-pop은 그런면에서 상당히 관대한 편.
    결국 인방을 자주볼수록 한국가요보단 일본가요에 더 익숙해질 수 밖에 없음.

  • @user-denden108
    @user-denden108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이번년도 Ado 내한 콘서트때도 보러 갔고 내년에도 온다고 해서 또 티켓팅 노리고 있습니다 ㅎㅎ
    일본가서 쿠라 스시 콜라보도 가보고, 한국에서 생일 카페해서 거기도 가봤어요
    명동에서 한 팝업스토어는 아쉽게도 못 갔지만.. 이번에도 여행 갔는데 너무 재밌어요

    • @iraf27
      @iraf27 2 месяца назад

      쿠라스시 푸파마렵네...

  • @시공간행-e2w6l
    @시공간행-e2w6l 2 месяца назад +80

    제 생각에는 젊은세대들은 한국문화의 자신감이 드러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듭니다. 자국문화의 자부심이 크면 타국문화에 관대해지거든요. 선망하는 나라의 문화가 아니라 단지 문화를 즐기는거라 생각합니다.

    • @TangJJa
      @TangJJa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이런 해석이 맞다고 봅나다… “열망”한다고 하나까 어르신들이 괜히 반발부터 가지는거 같아요..

    • @hannibalkim
      @hannibalkim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좋아하는 ip가 있고 없고 차이인것 같아요. 뭐든 좋아하는것만 덕질하는 세상이 온거에 가까우니깐요.

    • @Jin-jp7xs
      @Jin-jp7xs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나이 많은 기성세대에 비해 꼬인것도 없고
      세뇌교육을 받앗지만 분별하는거 같긴한데. 한가지 아쉬운건 남함테만 피해 안끼쳤으면 좋겟음
      한예로. 동덩여대?? 아 이건 엠지가 아니라 패미라 다른 의견으로 봐야되려나

    • @샤이포비
      @샤이포비 2 месяца назад +6

      너무 크게 나간것 같은데. 자부심은 무슨...그냥 좋아하는 거지요.

    • @비틀헤롱
      @비틀헤롱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아니에요… 이러니까 젊은 사람들이랑 말이 안통하지…

  • @chrisking.
    @chrisking. 2 месяца назад +34

    중딩때인 80년대 초~중반에는 팝송을 광적으로 들었었고, 고교시절인 80년대 중,후반에 처음으로 일본의 음악,패션,연예인을 알게 되었는데, 그 중에 특히 일본 음악에 열광 했더랬습니다.(안전지대, 튜브, 구와타밴드 등을 시작으로...)
    80년대 한국의 대중 음악 수준은 너무나 형편 없었기에 당시의 저와 같은 청소년과 젊은 층은 가요보다는 pop song을 많이 들었고, 저처럼 일본음악을 접하게 된 사람은 일본 음악에 빠져 들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예로 당시 한국의 대중들은 전혀 몰랐지만 가요의 히트곡들 중 많은 곡이 일본 노래의 카피, 표절, 합법적인 리메이크 등... 본격적으로 일본 대중음악이 점점 뿌리를 내리기 시작 했었네요.
    지금도 그렇지만 그당시엔 깊은 국민적 반일 정서 때문에 공용 방송의 일본노래의 방송은 상상도 할 수 없었고, 나같이 일본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은 일본 음반(lp판과,카세트테입) 을 구하기 위해서 청계천, 종로 같은 곳을 열심히 발품 팔아 그나마도 일명"빽판(불법 카피한 lp,카세트테이프)"을 구해서 들을 수 있었습니다. 클릭 한번으로 그 자리에서 듣고 싶은 곡을 고음질로 들을 수 있는 지금과 달리 한곡의 노래를 듣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했었네요. 열정이 없으면 음악 한곡도 듣기 힘들던... ㅎ
    80~90년대 우리나라 대중 문화의 과도기를 겪은 저와 같은 세대는 아마도 알 거라 생각합니다. 80년대 한국의 가요에 만족 하지 못했던 저와 비슷한 세대의 대중음악 종사자들이 팝과 j팝을 듣고 자랐고, 지금의 k팝을 만드는데 초석이 되었기 때문에 지금의 k판이 있을 수 있었습니다.
    삼성이 쏘니를 이기고, 세계의 여러 나라와, 일본이 세계의 최고라는 엄청난 자부심을 가진 일본마저 k팝과 한류에 열광하는 날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 저와 같은 386은 아무도 없었을 겁니다. 젊은이들이 한국인의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자유롭게 세계를 활보하는 모습 또한 상상도 못했는데... 지금의 모습을 보는 저와 같은 기성세대들은 흐믓함을 넘어 아마도 기적이라 생각할 겁니다.
    지금의 한국의 있기까지 수고하신 모든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 @달러멘디-q5l
    @달러멘디-q5l 2 месяца назад +6

    음악하는 사람들은 정통 Jpop보다는 2000년대 중반까지 시부야계 많이 찾아 들었어요 유희열도 2000년대 중반에 자기 라디오에서 심벌즈 주구장창 틀어줬었음 페퍼톤즈 같은 팀이 그 영향력 아래에서 나온 팀이고 그래서 아이돌 음악 제외하고는 한국 가요에 일본음악 영향이 은근히 많음 지금은 산업형 아이돌은 한국이 강세 악기사용하는 락이나 재즈는 일본이 강세 그리고 한국애들은 일본 음악중에서는 아이묭같은 소위 청춘락 같은거 많이 듣는듯 가사가 특유의 그 감성이 있는데 한국에서는 가서 저렇게 쓰면 손발 오그라든다고 생각해서 아무도 저렇게 안쓰는데(한국 젊은이들은 진지충이라는 단어의 대두 이후로 진지해지면 암걸리는 줄 아는 병에 걸림) 일본에만 저런게 있어서..자기가 대놓고는 못하는데 속으로는 수요가 있으니 찾아 듣는거죠. 저런 청춘록 계열 제외하고는 일본 주류 제이팝은 지금도 한국 젊은 애들이랑 감성 안 맞는 노래도 많음

    • @zephy-xy6oz
      @zephy-xy6oz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달러멘디-q5l 공감합니다 내용을 읽으면 읽을수록 재밌네요 ㅋㅋㅋㅋ 저는 20대인데도 한국에서 시부야계 음악에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들 작품을 통해, 시부야계로 일본 음악에 입문했고, 아이묭 히게단 같은 밴드 음악도 즐겁게 듣고있는데.. 일리가 있으시네요

    • @전유현-l7x
      @전유현-l7x 2 месяца назад

      @@zephy-xy6oz 한국에서 시부야계 음악에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가 누가 있음요? 이제는 주로 30대~50대 아티스트들인가? 아님 아직도 영향 받는 중?

    • @zephy-xy6oz
      @zephy-xy6oz 2 месяца назад

      @@전유현-l7x '포터블그루브나인'이나 '스페이스카우보이', '페퍼톤즈'는 "시부야계 음악을 한다" 또는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 적이 있었고, 그 외에 대중들이 시부야계라고 받아들였던 아티스트들은 '롤러코스터', '허밍어반스테레오' 정도가 있었는데 이런 분들의 음악을 많이 들었어요.

  • @김영희-i2b8k
    @김영희-i2b8k 2 месяца назад +1

    90년대 고등학생 이었던 우리딸 학교에서 일본애니 테이프 만들어 듣는다고 공부 거의 안했던것 같아요 ^^

  • @fastdunn
    @fastdun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는 60대인데 90년대 Jpop, 아니매 과 일본드라마 "그냥" 좋아했습니다.
    저는 X-japan, 루나시 같은 밴드음악 좋아했고, 기무라 다꾸야 나오는 드라마 많이 봤어요.
    예능 프로그램은 다운타운.... 애니매는 공각기동대, 에반게리온 등등...

  • @jiminhan4333
    @jiminhan4333 2 месяца назад +35

    전제가 바뀐거죠. 과거에는
    "문화는 우월한 쪽에서 저열한 쪽으로 흘러 내린다. 저열한 문화 집단은 우월한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성장하다가
    언젠가는 우월한 문화 집단에 편입 될 수 있다"
    는 전제를 깔고 있었다면, 이젠
    "문화는 방향성만 수백 수천이지, 그 안에 깊이 파고들면 매력적인 게 많다. 물론 사람들이 많이 찾는 방향성은 있겠지만,
    그 또한 유동적이다. 일본 문화? 우리가 못찾았던 새로운 방향성 중 하나고"
    는 전제를 깔고 접근합니다. 옛날에는 피라미드식 상하관계에 집중했다면,
    지금은 수평 관계에서 각 섹터에 집중하게 되었죠.
    유튜브와 트위터와 인스타와 틱톡이 열어 놓은 새로운 변화가 아닐까요
    같은 기준으로 본다면 중국 문화 역시 부분적으로 한국에서 상당히 각광받고 있어요 (중식 문화, 홍콩 영화, 무협지/삼국지, ....)

    • @jiminhan4333
      @jiminhan4333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아,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서는 10대~30대 아랫세대에서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고' 로 접근합니다.
      20대에 물어봐도 일본의 군국주의나 혐한에 대해서 극혐하는 건 윗 세대와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그건 '정치나 역사와 이슈가 셖여 있는 분야'에 한정해서 그렇지
      그걸 다른 모든 분야에 확장해서 '일본 전체'까지 규정짓진 않는 다는 거죠.
      일본 스포츠 선수가 잘하고 위대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면
      우리도 같이 대단하다고 칭찬하고 팬이 되는거죠.
      다만 그 선수가 극우 게시글에 좋아요를 누르면 윗세대처럼 불타고요.

    • @푸른사자-m1l
      @푸른사자-m1l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솔직히 한국 신무협은 이제 한국 독자의 퓨전으로 재탄생한 웹소설 문화라고 봐야할 듯
      옛날 책방 시절 구무협때는 홍콩의 무협 대가 김용의 영향을 많이 받은 건 맞지만 이젠 걍 거의 한국이 훨씬 작가층이 좋고 잘 만들기도 하고 회빙환 짬뽕되고 새로운 장르랑 많이 섞여서 걍 이젠 서양권에서 무협이라고 하면 웹툰으로 퍼진 한국의 장르라는 인식이 강함. 예를 들어 외국 무협 마니아들에게 가장 인기 많은 무협이 북검전기나 완전 신무협인 화산귀환, 나노 마신인 걸 생각해보면
      물론 고대 중국이 배경인 건 변함이 없지만ㅋㅋㅋ 오히려 현재 한국에 영향을 많이 주는 문학은 선협이라고 생각함. 이젠 한국에서도 회귀수선전같은 선협이 나올 정도로 빠르게 흡수해 가고 있긴 하지만

    • @jamesjung8328
      @jamesjung8328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중국은 문화를 지들이 부셨는데....

    • @전유현-l7x
      @전유현-l7x 2 месяца назад

      @@푸른사자-m1l 한국이 엔터컨텐츠 산업 역량이 확실하긴 한가봄 ㅇㅇ

    • @푸른사자-m1l
      @푸른사자-m1l 2 месяца назад

      @@전유현-l7x ㅇㅇ 우리나라 소프트 파워 위상은 미국 일본이랑 같이 삼대장급이라고 해도 될 정도임

  • @포토
    @포토 2 месяца назад +3

    밤을 달리다 들어오면 열광 안할 수가 없음.

  • @zaku-machine
    @zaku-machine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아직도 시티팝을 듣고 그 분위기를 좋아합니다.

  • @HoJo水原
    @HoJo水原 2 месяца назад +3

    효고현지사 재선 스토리도 재밌는데 알려주시나요? 저만 알기엔 아까운데

  • @곰토끼-f2z
    @곰토끼-f2z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일본스타일 좋아하는애들은 일본 스타일만 사고.. 애니 좋아하면 두번 세번씩 보고.. 서브 쪽은 통계에 오류를 유발 할 수가 있는데
    그걸 일반 통계랑 같이 놓고 보니까 해석에서 오류가 생기죠.

  • @레이앤류
    @레이앤류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떡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