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군33주년 국군의 날 영상 7 - 도보부대 분열(1981년, 제5공화국, 전두환대통령, 노도부대, 스키대대, 여의도광장,)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건군33주년 국군의 날 중계영상을 몇개 파트로 나누어 올려드립니다.
    7 - 도보부대 분열

Комментарии • 43

  • @류제락-z9x
    @류제락-z9x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귀한영상잘봤습니다
    육군지휘부짚차에통신병으로
    참가했습니다.
    군생활중에제일기억에남습니다.
    이제는70을바라보는나이가되어가는군요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류제락-z9x
      당시 육군지휘관이 리병구소장이었지요.
      가까이에서 겪어보지는 않았지만 가끔 단상에서 지휘할 때 보면 좋은 분 같았습니다.

  • @김현수-w9l8p
    @김현수-w9l8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7

    히햐! 저때내나이 갓스물 아! 무정한 세월이여 세월이간거냐 내가 온거냐. 이 귀한영상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많은 세월이 흘렀네요.
      몸은 저 때로 돌아갈 수 없지만 마음만이라도 청춘으로 살고 싶습니다.

  • @서하준-z2r
    @서하준-z2r 22 дня назад +1

    육군지휘부 정보참모차 타고행사 참여했었는데 .....
    벌써 세월이 이렇게 지났네요.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22 дня назад

      당시 육군 지휘관이 이(리)병구 소장이었는데 그 뒤로는 그분 이름은 별로 들어보질 못했네요.
      제병지휘관 이광로중장은 나중에 국회의원까지 하셨지요.

  • @sambongryu1473
    @sambongryu147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때 저 젊은이들도 이젠 60대 중반이되었겠네요, 78년 건군 30주년 행사 참가 한지가 엊그제 같은데 세월의 무상함이여...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sambongryu1473
      선배님 반갑습니다.
      저도 스키대대 선배님들께 30주년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있습니다.
      정말 멋진 선배님들이십니다.

    • @sambongryu1473
      @sambongryu147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예비역병장 감사합니다.국군의 날 행상영상중 최고네요. 건강하세요..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sambongryu1473 감사합니다.
      컬러TV가 방송된지 1년도 안되었던 시점이라 비디오 원본 자체도 화질이 좋지 않더군요.
      그래도 잘 봐주시니 감사합니다.

    • @청산천지해
      @청산천지해 4 месяца назад +1

      33주년이니 그 젊은이들은 이제 60대 중.후반일듯 합니다
      제가 36주년에 특전대대원으로 참여 하였으니요..
      그때 참 힘들었지만 자부심 높았었는데요
      이제 젊은 시절 추억이 되었습니다..
      국군의 날 행사 참여 대 선배님, 건강하십시오..()

  • @임선생-f3d
    @임선생-f3d 6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이때가 진짜 군대였다.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 당시 군대는 사기가 드높았고 나름 자부심도 있었지요.

  • @gamsaengyi
    @gamsaengy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요즘같이 얼굴 하얀 썬크림군인이 아니라
    얼굴 씨커먼 진짜 군인들입니다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시대가 변한 것이지요.
      체구는 커졌는데 체력이 약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 @곰돌이-u3x6h
      @곰돌이-u3x6h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선배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96년 군번입니다
      개인적인 견해를 말씀 드리면 지금 군대는 일부 부사관 체제로 운영되는 육군 특전사,해군 udt 등을 제외하고는 전쟁이 불가능합니다
      위의 부대들도 게릴라 부대이지 전면전을 대비한 부대도 아닙니다
      보병,포병 등 전투 부대와 공병이 움직일 수가 없습니다
      정치논리에 잠식된 지 오래입니다
      사실상 같은 학년끼리 생활하는 고등학교 기숙사라고 보시면 됩니다
      유격장 그네뛰기 코스에 미취학 아동들 놀이터에 다치지 마라고 넣어 두는 고무공을 넣어둔 부대도 있습니다
      포항 pc방에 복사하러 갔더니 해병대이병,상병장 셋이서 게임을 하는데 이병이 욕을 그렇게 많이 하더군요
      셋 다 그냥 껄렁거리는 고등학생이었습니다
      부모님 특히 어머니들과 동성애자 임모 씨의 군인권센터로 인해 전쟁 불가능입니다
      그냥 요즘 군대 빠졌다는 식의 말이 아니라 사실상 군대도 아닙니다
      분대장 관물대 앞에 "군대놀이 하지마" 이런 쪽지도 붙인 사건도 봤는데 고참 개념은 없지만 대신 분대장에게 권한을 부여해도 아예 통하지도 않습니다
      2003년 군번과 대화하다 제가 완전군장 연병장 하루종일 돌았다고 하니 왜 못하겠다고 하시죠?? 이렇게 물어 와서 놀랐는데 지금이야 말 할 것도 없습니다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곰돌이-u3x6h
      후배님 말씀 들으니 한숨만 나오네요.
      저도 전우회 활동하면서 부대방문을 해보지만 예전군대가 아니라는 점은 확실합니다.
      걱정이 많이 되지요.
      국방에는 정치가 개입해서는 안됩니다.

  • @푸른숲-f8b
    @푸른숲-f8b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멋집니다.
    스키대대 굿.
    스키복장의 개인이나 단체 사진도 보고 싶습니다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 당시 군 특성상 많은 사진은 남기지 못했습니다.
      그동안 영상에 간간히 삽입된 사진들이 제가 가지고 있는 사진들입니다.

  • @brucelee5098
    @brucelee5098 3 месяца назад +1

    7분대 육군 도보부대 28사단인가요?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3 месяца назад

      유튜브에 있는 이하동문입니다 라는 군대영화 영상을 캡쳐한 자료입니다.
      부대 마크로 보아 맞을 것입니다.

  • @현옥이-h7m
    @현옥이-h7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우왓 군 위상이 쵝오
    역쉬 군의 사기가 젤로
    충만했던 저 시절 멋져요 군이 군답게
    대우받고 지지를받았던
    지 시절이 좋군요.
    저 때는 군권이 확실했는데 사회질서 기강확고 했는데 물가안정 살기좋았슴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때는 휴가 나가서도 군복만 입고 외출했지요.
      입수보행 안되고 군기를 철저히 지키며 군인의 명예를 소중히 생각했고 국민들도 인정해 주었던 시절입니다.

  • @존김-g6s
    @존김-g6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우리때가 건군 36주년 이었네요.
    우리 인사계님 월남 스키 부대 용사로 참전 하심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984년 건군36주년 때는 제가 전역을 하고 제 아니와 함께 여의도롤 국군의날 행사 구경을 갔습니다.
      그 때는 스키대대는 없었고 특수대대에 스키용사들이 있었지요.
      스키대대 대신 특공부대가 참가했습니다.

    • @Seoul-w2b
      @Seoul-w2b 4 месяца назад

      월남스키부대 유명하죠 👍

    • @청산천지해
      @청산천지해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예비역병장 예 맞습니다
      36주년 행사에 특전 대대원으로 참여한 1인입니다
      특전대대 바로 뒤에 특수전대대 가 있었고
      그 특수전 대대에 스키부대원이 함께 하였지요
      그들 모두 특전사 장병들이기도 하답니다.

  • @fisher1365
    @fisher1365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보병 2대대장 김형곤님이 확실히 보이네요
    벌써 사십삼년이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보병대대로 참가하셨군요.
      그 당시 보병이 4개대대로 많은 병력이 참가했었지요.

  • @푸른숲-f8b
    @푸른숲-f8b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당시 우리 사단은 스키대대만 참여한 것인가요 아니면 다른 보병 대대도 참여한 것인가요?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3주년 때에는 2사단에서 스키대대만 참가했습니다.
      이후에 스키대대 임무가 해제된 후에는 보병부대로도 여러차례 참가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푸른숲-f8b
      @푸른숲-f8b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비역병장 제 때는 행사에 착출될 것이라며 자체 적으로 연습을 했는데 결국 무산되더라구요.
      아마 그 때가 89년이였던 것 같습니다.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푸른숲-f8b
      행사 참가부대원 중에 신장이나 신원조회 등으로 빠지는 인원이 많아서 타 대대로 일시 전출보내고 그 숫자 만큼 타 대대에서 보충했습니다.
      보충인원으로 뽑혔다가 무산된 것 같네요.

  • @꿈-b5q
    @꿈-b5q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두환 회고록을 읽어야 합니다 그러나 지금 전국 도서관에서 전두환 회고록을 빌릴 수 없습니다 518단체들이 전두환 회고록를 못보게 했습니다 ㅠㅠ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전두환의 주장이 허구라면 근거를 가지고 반박하면 될 것을 회고록을 못보게 막는 것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있을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Ibbong
    @Ibbong Месяц назад +1

    멋있다. 2000년전까지는 확실히 야성이 있었어.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Месяц назад

      시대적인 원인이 있을 것입니다.
      현대로 접어들면서 군대의 품격이나 자세도 많이 변화가 되었지요.

  • @파주퀸-p4j
    @파주퀸-p4j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전두환은 6.25가 일어나자 자진해서 참전한거 그거 하나만으로 존경받을만하다. 20살의 나이에 전쟁에 죽음을 각오하고 공산주의를 물리치기 위해 참전한 용기는 존경받아마땅하다.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공은 공대로 과는 과대로 정당하게 평가해야 겠지요.
      암튼 10.26사태 이후 우리나라의 혼란함을 잠재우고 국가를 안정화 시키는데 전두환 대통령 같은 인물이 필요했다고 생각합니다.

  • @j7021star
    @j7021star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육사 11기 전두환이 대통령이고, 같은 11기 이모 소장은 육군 지휘부장. 정말 기분 ㅈ 같겠다.
    ㅋㅋㅋ 하기야 12.12 반란이 아니었으면 전두환이 대통령이 됐겠냐. 난 저때 일병 때라 맨날 구타 당하고 아무 생각도 못하던 시기 였는데, 몇 십년 지나 이 영상 보니 악몽 같은 군생활도 추억이었나 싶다.

    • @예비역병장
      @예비역병장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세상일이 다 그렇지요.
      회사에서도 입사 동기가 누구는 부장 될 때 어떤 사람은 만년 계장 하고 있는 경우도 많잖아요.
      그나마도 동기라고 육군부장 보임을 준 것이 아닐까요?
      그 당시 군대는 졸병 때 구타 당하고 고참 되서는 졸병 군기 잡는 것이 당연하게 여기는 시대라서 저는 그냥 통과의례라고 생각하며 졸병시절을 보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