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론기초30강 계사 내사주 내가 본다 "계사" 일주의 조합특성과 필요한 구성을 학습하는 영상입니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3

  • @gaeunekimm5162
    @gaeunekimm5162 2 года назад +1

    계사시주는 어떤지요

    • @내사주내가보는공부
      @내사주내가보는공부  2 года назад

      태어난 날인 일간을 해석의 중심으로 활용하는 해석인데요
      사주안에 가지고 있는 글자는 다 의지를 가지면 쓸수있는것입니다
      또한 시주는 시기적으로 노년을 보는것이기도 하므로 노년에는 시주의 환경이 역할을 할수있을것입니다
      내 사주가 가지고 있는 좋은 기운을 찾아서 쓰는것이 사주를 보는 의미일것입니다
      질문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 @조남-e7f
    @조남-e7f 2 года назад +1

    오늘 강의도 감사합니다.
    일주론 30강 "癸巳"를 공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내사주내가보는공부
      @내사주내가보는공부  2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 조남선생님
      공부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행복한 꿈 꾸시기 바랍니다

  • @saju-tv72
    @saju-tv72 2 года назад +2

    계사 일주에서 사중의 경금은 좌법 생지로서 계수일간에게 지식을 제공하는 원천이 됩니다.
    그러므로 일주만 보자면 사중 경금의 지식을 바탕으로 무토 정관의 환경에서 병화의 정재를 받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년월에 정화가 노출되어 있다면 월급을 바탕으로 하는 사람이 성과급을 사회적으로 추구하거나 투자로 인한 수익을 노려볼만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남자 계수일주라고 한다면 부처궁에 사중 병화 정재가 있고 무토와 합을 하니 다른 일주에 비해 가족이 화목한 형태가 됩니다.
    더욱이 사중 경금은 모친이 되는데 다른 일주에 비해 모친을 모시거나 그게 아니라면 가까운 지역에 거주, 그게 아니라면 다른 사람에 비해 소통이 많은 인물이 됩니다.
    사중 경금이 대운에서 드러나면 자신의 연구성과를 드러내보이게 되고 혹은 자신이 갖추어 놓은 학위나 자격을 활용하는 계기가 됩니다.
    덕분에 오늘도 통변을 조금 보태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내사주내가보는공부
      @내사주내가보는공부  2 года назад

      늘 가르침을 전해 주시는 댓글로 부족함을 채울수 있어 감사드립니다
      영상을 세밀히 살펴주시고 좋은 가르침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선생님

  • @지금을즐긴다칸모르니
    @지금을즐긴다칸모르니 2 года назад +1

    계수일간에 유금이있으면 아쉽다고 하던데 정말인가요...?!ㅜ 왜인가요?

    • @내사주내가보는공부
      @내사주내가보는공부  2 года назад

      계수는 생명을 키우는 생명수이고 맑은 물로 보는 시각에서는 유금을 연마하여 빛을 발하게 하는것으로 볼수 있는데
      편인의 속성과 적은 물로 보아 유금 보석을 닦기에는 부족하다는 시각에서는 아쉽다고 볼수 있을것입니다
      계수가 유금을 보는것이 아쉽다고 단정하기보다는 사주에서 쓰임을 보고 판단해야할것 같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히카리-u6c
    @히카리-u6c 2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계사는 계수가 사화를 제어한다고 하셨는데 저는 년월에 기토 일에 계수 시에 경금
    지지에 사화가 셋이있고 시에신금이있습니다.
    만세력을 보다보니 어떤데서 제가 비견이라고 하더라구요. 근데 비견은 일주에 오는 내자신의 천간 글자가 2개이상인 경우 아닌가요?? 아니면 옆에 경금이 사화와 만나 물이되서 비견이 된건지 아니면 계수를 제외하고 모두 2개이상씩이라 비견인지 궁금합니다!!
    또 사주에 나무가 하나도 없는데 그래서인지 항상 벌리기만 하고 결과를 잘 못가져가는데 혹자는 나무가 계수의 물을 빨아들여서 안좋다하고 혹자는 나무가 있어야완성이니 일주에 목인 남자를 만나거나 운에서 만나면 좋다는데 이런 경우는 좋은건가요 나쁜건가요?

    • @내사주내가보는공부
      @내사주내가보는공부  2 года назад

      말씀하신대로라면 사주에 비견은 없는것이고 사화는 계수가 극(제어)하는 요소인데 그것은 계수의 힘이 있을때입니다
      사화가 강하다면 계수가 사화를 제어하여 취하기는 쉽지않다는 얘기가 될수있습니다. 그래도 시에 경신 금이 강하여 일간 계수를 돕고 있으니 계수가 약한것은 아니지만 사화가 세개이면 사화가 너무 강하니 쉽게 취하기 어려운 상대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기토 또한 관성으로 계수를 극하는 에너지입니다
      사주에 목이 있다면 계수가 사화 정재를 직접 취하는 것보다 목을 통해서 사화를 관리하면 순조롭게 화를 활성화할수 있다는 의미에서 목이 필요한 것인데, 이 사주는 사화가 너무 강해 목이 사화를 생하는 것이 오히려 강한 사화를 더욱 부채질하는 경우가 될수 있으므로 목이 없는것이 나을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강한 사화를 활용하는 방법을 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면 사화의 특성으로 볼수 있는 표현하고 보여주는 방송, 그림, 작가, 창작, 유튜브, 디자인분야 등에서 관심분야를 개발하여 강한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참고해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 @히카리-u6c
      @히카리-u6c 2 года назад +1

      @@내사주내가보는공부 와 선생님 ㅜㅜ 너무너무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그래서 항상 제가 너무 힘든거였나봐요 ㅠㅠ 선생님 근데 하나만 더 여쭤볼게요 계사일주보고 천을귀인깔고있고 대인관계좋다 그러고 저는 시지에 홍염살도 있거든요 근데 저는 정말 주변에 사람들이 없어요 어릴때 청소년기 20대까지는 정말 사람들이 넘쳤는데 그래서 급작스러운 우울증까지 오고 이것도 사화가 너무 강해서 그런건가요?? ㅠㅠ

    • @내사주내가보는공부
      @내사주내가보는공부  2 года назад

      특정한 기운이 강하다는 것은 균형을 어긋나게 하는 요소가 될수는 있습니다
      예를들면 개성이 너무 강한 사람은 상대하기 부담스러운것과 비교할수 있겠지요. 그러나 사화가 강해서 사람이 없다고 볼수는 없고 사화의 강점을 잘 활용하시어 친화력을 발휘하고 재미요소를 확장하면 좋은 관계를 불러올수 있을것입니다
      결국 강하던 약하던 내가 어떻게 활용하고 쓰느냐가 더 중요할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히카리-u6c
      @히카리-u6c 2 года назад +1

      @@내사주내가보는공부 정성스러운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