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9보다 더 좋은 대목의 시대가 열린다. 사다리에 톱집을 묶어두자. 잘큰 묘목이 돈벌어다 준다. 세장방추형을 뉘이면 다축이 된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세장방추형과 다축의 사과수확량 차이?
    보식한 나무의 주간연장지 정리방법.
    잘자란 묘목은 크고 굵다.
    뎅강 잘라서 갱신하는 방법.
    사다리에 톱집을 묶어두자.
    부란병을 치료할때는 전염 여부를 항상 신경써서 예방해야 함.
    부란병 많은 과원에서 보식은 큰의미가 없다.
    동해를 해결할? m9=G11 , m26=G935.
    묘목 잎자루를 남기고 잘라서 가지 발생시키기.

Комментарии •

  • @대장토끼-m2f
    @대장토끼-m2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
    오늘 처음 방송을 보았어요.
    사과나무 박사님이시군요...
    저는 양수리에서 루비에스 200주 정도 심어 4년차인데 꽃필때마다 냉해 받아서 한번도 수확을 못했어요.
    게다가 좀벌레 피해도 극심해서 수목 갱신 고민중인데
    만생종을 심어야하나...
    꽃이 늦게 피는 종류 중 뭘 심어야할지...
    수종 추천 부탁 드려도 될까요?
    아님 양평군 농업기술센터 사과 작목반에 오셔서 강의 부탁드립니다....

  • @TV-jg4tk
    @TV-jg4t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힘 님
    영상잘보구있습니다.
    영상 후미에 잎자루 남기고 적심.....
    다른 나무에 적용해도 될까요 ???
    정원수 또는 국화 등등 !!!

    • @아는게힘이다
      @아는게힘이다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 나무의 맹아(숨은눈)가 잘 터져 나오는 종류면 영산홍이든 라일락이든 상관없습니다. 됩니다.

    • @TV-jg4tk
      @TV-jg4t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는게힘이다
      아 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류류-e6o
    @류류-e6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g11에 안맞는 품종이 허니말고 저희가 알것같은 품종은 무엇이 있으까요..? 허니만 말씀하신거 같은데..; 유튜브엔 제네바 검색해봐도 .. ㅎ 영문으로 논문검색하고 해봐도 11은 잘 안나오네요 ㅎ

    • @아는게힘이다
      @아는게힘이다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년부터 935, 213, 814 대목에 접붙친 품종도 나올것입니다. 아직 초기 단계라 상세한 접목친화성에 대한 자료는 없습니다.

  • @소백의향기
    @소백의향기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간을 자르고 접을 하면 지상부와 지하부의 균형이 깨져서 영양생장만 할 가능성이 있지 않나요?

    • @아는게힘이다
      @아는게힘이다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년차는 그렇지요. 2년차부터는 안그래요.

  • @Inygom
    @Inygo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m9대목 국내에 너무 섣불리 도입한듯요 m26대목 노출해서 지도하는 방향이 좋았을텐데 그덕분에 사과가격이 비싼거같습니다

    • @아는게힘이다
      @아는게힘이다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도입하자마자 98년 즈음에 대규모로 동해피해가 났었고, 그때라도 다른 판단을 했어야 하는데 그냥 여기까지 왔네요.

  • @임계숙-h7y
    @임계숙-h7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식재3년차들어가는 후지후부락스와 자홍 시나노골드를 키우고 있읍니다
    겨울전정을 할때 확실치 않아서 후지측지하부가 ㅣm20cm 정도 되길래 끝만살짝 날렸읍니다 그만 자라라고요 4×2로 식재했어요
    그리고 지금 다시보니 하부가 너무 긴것이 잘못된거 같아요
    년차변환부 자리를 겨울전정때
    자르는것이 맞는거 같은 생각이 들어요 지금 이라도잘라야 할까요

    • @아는게힘이다
      @아는게힘이다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사진으로라도 현황을 보고나서 조언이 가능합니다. 년차변환부를 자르면 가지가 균일하게 나오는 장점이 있는데 4*2 로 심었으면 그래도 별 무리는 없습니다. 다만, 나무를 봐야 판단이 됩니다.

    • @임계숙-h7y
      @임계숙-h7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는게힘이다 네ᆢ
      감사합니다 사진찍어서 올릴께요

    • @임계숙-h7y
      @임계숙-h7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진은찍었는데요
      올리는방법을 모르겠어요
      사진올리는방법 공부해서 올려볼께요

  • @thsek8456
    @thsek845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M26 대목 7년생 나무 약 30그루 품종갱신할려고 봄에 30센티 두고 잘라서 접붙이니 잘자라는듯 하다가 두어달 만에 좀이 들어와서 70프로 죽더라구요. 방법이 있나요.?

    • @아는게힘이다
      @아는게힘이다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정도 수령의 나무에서 당년에 좀이 들어가 나무를 죽일수는 없습니다. 참고로, 지금 좀으로 죽는 나무들은 올해(3~4월) 좀이 들어가서 죽는게 아닙니다.
      그전부터 좀이 침입했거나 그 이전부터 뿌리의 기능이 저하되는 요인이 있어 목질부의 수분흐름이 방해받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 @thsek8456
      @thsek845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네. 약 100주 되는 아오리중 30그루를 접붙였는데 나머지 나무는 3년 지난 지금도 잘 자라고 있으니 나무 뿌리 문제는 아닌거 같은데 접에서 나온 순이 잘 자라다 좀이 5.6월쯤 엄청나게 들어가 여름에 고사했어요. 봄에 자른 곳에서 수액이 많이 나왔는데 수액이 좀을 부른게 아닌가 추정했습니다

    • @아는게힘이다
      @아는게힘이다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수액이 나무좀을 부르는 것은 맞습니다. 주변에 고사하는 나무나, 간벌해둔 산이 있을경우 특히 좀이 많을수 있습니다. 고라니 조심하듯 나무좀도 묘목상태나 고접갱신할때는 주기적으로 방제해줘야 합니다.

    • @thsek8456
      @thsek845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 고맙습니다

  • @bluewin_hiq
    @bluewin_hi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부란병 없는데, 이유없이 말라가면 동해 및 좀 피해

  • @비행기-h6t
    @비행기-h6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다축성 하는 이유가 관리가 편하는 장점 입니다,장딘점을 알고 애기를 하셔야지 단점, 자기 주관 적으로 만 애기 하네.

    • @아는게힘이다
      @아는게힘이다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각자 주관을 말하고, 취사 선택하면 되는게 개인방송(유튭) 이지 않을까요? 모두가 한목소리를 내야 하나요?

  • @이필-g7r
    @이필-g7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네바 대목 아닌가요

  • @chpakkable
    @chpakkabl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결과를 보고 말을해야되는게 아닐까 요? 결과가 궁금해지네요

    • @아는게힘이다
      @아는게힘이다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떤 결과를 말씀하시는 건지요? 제가 기억을 다 못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