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 재밌었다면 '좋아요' 눌러주세요! 더 재밌는 영상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인스타그램 : 팔레타운 @mypalettown ▶비지니스 &콜라보 문의 : mypalettown@gmail.com *당사자(패널을 포함한 제작진)의 인격모독을 행하는 경우와 불법적인 영상의 변형, 캡쳐, 배포의 경우 민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INTP입니다. 모든 유형에 딱히 싫다는 생각이 없었는데, 소개팅 중에 ESFJ 인 분과 대화하다가 아예 할 말이 없어진 적이 있어서 이렇게도 안 맞을 수 있구나 싶었습니다. 그 전까진 대화 잘 하다가 mbti 얘기가 나와서 이런저런 다름이 있지 않냐 하다가 가끔 '만약에 ~'라는 상상을 자주 한다라고 했더니 분위기가 급 싸늘해지면서 그뒤로 5분동안 아무말도 안하더라구요.. 잘 맞는건 INTJ, ENTJ, INFP 였던 것 같네요.
j랑 p는 사실 계획이나 통제보다는 판단의 영역임. judge이고 p가 그냥 사안을 보고 글쿠나 하고 받아들이는거면 j는 저 사안은 이런거야 라고 판단하는 스타일임. 그러다보니 세상을 볼때 이것저것 판단하고 그 판단이 모여 룰이 생기고 자기 규칙이나 계획 생기는거임. p는 그냥 오 그렇군 하면서 상황을 받아들이는거라 갑자기 누가 뭐 하자해도 오 그래, 뭐가 좋아? 하면 걍 다 좋은데? 이러는거임. 그래서 판단이 강한 j는 이건 된다 안된다 하는 식의 원칙주의자들이 많고 p는 상황에 잘 적응하고 녹아드는 사람들이 많음.
다혜님께서 충동과 계획 외에 p와 j의 차이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서, 제 개인적인 견해를 글을 남겨 봅니다. 1. mbti 이론에서 p와 j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무언가를 할 때 '인식'을 먼저하냐, '판단'을 먼저하냐의 차이이긴 합니다. 가령 조별과제 보고서를 쓴다고 했을 때 자료 조사를 통해 내용에 관해 먼저 알고 나서 보고서 목차를 정할지, 목차를 먼저 정하고 나서 각 항목들에 맞게 자료 조사를 할지의 차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이외에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 인한 차이는 p의 경우 행동의 동기가 주로 자신의 '재미'나, '관심사'였던 것 같고, j의 경우 '해야 할 것'이나 '내가 정한 목적'이 이 주를 이뤘던 것 같습니다. 결론: 물론 p와 j도 극단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어느 정도 섞여 있겠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주로 '관심사'와 '내가 정한 목적'이 더 근본적인 행동의 동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장님들! 편집 과정에서의 문제로 부득이하게 〈이성으로 잘 맞는 MBTI〉 2편이 먼저 업로드되었습니다. 1편은 다음 주 수요일 오후 6시에 업로드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0:47 ISTJ입니다. 극S인데 극N친구들에게 물들었기에 이성이 만약에 게임하자고 해도 최대한 상상해서 맞춰줍니다. 근데 기빨려요
혜경님 썸네일이 갈수록 예뻐져❤❤
널 위해서 MBTI쯤은 바꿀 수 있어 ㅋㅋ
오랜만에 mbti 네요. 더 자주 다뤄주세요
썸네일 너무이쁘넹😮😮 퀼리티가 많이 올라간 느낌 뭐죠 ??ㅎㅎ
팔레타운 ㅠㅠ 꾸준히 mbti 다뤄줘서 좋아요 증말 ㅋㅋㅋ 칭구들이랑 수다떠는 것 같고😎 자기전에 팔레타운 보기 완벽한 선택이에요 ㅋㅋㅋㅋ
INTP입니다. 모든 유형에 딱히 싫다는 생각이 없었는데, 소개팅 중에 ESFJ 인 분과 대화하다가 아예 할 말이 없어진 적이 있어서
이렇게도 안 맞을 수 있구나 싶었습니다. 그 전까진 대화 잘 하다가 mbti 얘기가 나와서 이런저런 다름이 있지 않냐 하다가
가끔 '만약에 ~'라는 상상을 자주 한다라고 했더니 분위기가 급 싸늘해지면서 그뒤로 5분동안 아무말도 안하더라구요..
잘 맞는건 INTJ, ENTJ, INFP 였던 것 같네요.
아니 섬네일 너무 예쁘세요!!
주제가 mbti !!!
이건 바로 봐야지😊
오늘 왤케 재밌지 ㅋㅋ
다혜님의 지인이고 싶다.. 너무 좋아하는 성격이에요
이제 보면볼수록 다 너무 귀여워
나도 나를 잘 모르겠는 인프제 1ㅅ
1편도 링크나 바로가기 따로 만들어주시면 더 좋을 거 같아요! 오늘도 너무 재밌게 보고갑니다~
구독자 7만 축하드려요!!
설혜경 사랑한다!!
j랑 p는 사실 계획이나 통제보다는 판단의 영역임. judge이고 p가 그냥 사안을 보고 글쿠나 하고 받아들이는거면 j는 저 사안은 이런거야 라고 판단하는 스타일임. 그러다보니 세상을 볼때 이것저것 판단하고 그 판단이 모여 룰이 생기고 자기 규칙이나 계획 생기는거임. p는 그냥 오 그렇군 하면서 상황을 받아들이는거라 갑자기 누가 뭐 하자해도 오 그래, 뭐가 좋아? 하면 걍 다 좋은데? 이러는거임. 그래서 판단이 강한 j는 이건 된다 안된다 하는 식의 원칙주의자들이 많고 p는 상황에 잘 적응하고 녹아드는 사람들이 많음.
님 entp이신가요?
맞는 말이긴 한데, 정확히는 T/F가 판단(J)이고 N/S가 인식(P)임. TF랑 NS 중에 어떤 행동이 중요시되는지 묻는 게 마지막알파벳임.
떳다!!! 😻😻
INTJ 입니다. 쉬는날 눈뜨면 그날 몇시에 뭐할지 계획부터 다 짭니다 그리고 다혜님이 말한것처럼 여행전에 계획은 엄청나게 짜두는게 막상 믿는 사람들과 있으면 그 계획대로 안되도 크게 신경 안씁니다
다혜님께서 충동과 계획 외에 p와 j의 차이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서, 제 개인적인 견해를 글을 남겨 봅니다.
1. mbti 이론에서 p와 j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무언가를 할 때 '인식'을 먼저하냐, '판단'을 먼저하냐의 차이이긴 합니다. 가령 조별과제 보고서를 쓴다고 했을 때 자료 조사를 통해 내용에 관해 먼저 알고 나서 보고서 목차를 정할지, 목차를 먼저 정하고 나서 각 항목들에 맞게 자료 조사를 할지의 차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이외에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 인한 차이는 p의 경우 행동의 동기가 주로 자신의 '재미'나, '관심사'였던 것 같고, j의 경우 '해야 할 것'이나 '내가 정한 목적'이 이 주를 이뤘던 것 같습니다.
결론: 물론 p와 j도 극단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어느 정도 섞여 있겠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주로 '관심사'와 '내가 정한 목적'이 더 근본적인 행동의 동기 같습니다.
항시 잘 보고 있읍니다 누님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너무 웃겨요
T는 생각이 달라서 여러가지생각을 해서 좋은데 S는 세계관이 너무 현실이여서 싫어요 SF나 NT는 좋아요 ST 제일 싫어해요
J는 판단형이에요😊
05:0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ISTP입니다.
혼자 살랍니다.
같이도 좋지만 혼자를 이길 순 없는 그런 느낌..
이제 봐서 그런대 그 앤프제분은 혹시 어디가셨어용 ,,,.?
우왕~
ESTP가 왜 최악이죠?😢
일단 무조건 걸러야하는건 enfj
그냥 가만히 두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혜경님이 너무 귀여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