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목소리 잘들어요^^ 한가지 여쭙고 싶은게 있어요. 화학공장에서 방폭구역에 호이스트 추에 작은 저울이 달려있어서 그 추저울 드럼을 걸쳐 무게를 측정합니다. (측정해서 원료투입) 여기서 추저울이 방폭으로 안되어있어요.. 얼른 투자를 해서 교체를 해야하는데 쉽지가 않네요. 일단 임시방편으로 일반설비에 방폭 효과를 조금이나마 날수있게 하는방법이 있을까요?(랩을 싼다던지..) 또 그 추저울안에서의 전기적 스파크나 그런것들이 유기용제의 최소점화에너지와 비교할 수 있는 계산하는 방식이 있을까요?.. 신입 초보안전관리자라 두서없이 질문을 했네요. 감사합니다 ..
방폭의 기본개념은 점화원과의 격리 시공입니다. 점화원이 될수 있는 전기적 스파크를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해요, hazardous area의 분류가 어떻게되어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방폭기자재를 써야되는 사항이라면 신속히 사용하는 것이 좋겠죠. 밀폐 공간인지? 환기를 할수 있는 공간내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지, 직접 가연성 증기와 접촉하는 것인지 등 따라 영향을 주므로 한번 확인해 보세요. 방폭은 점화원과의 격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상황을 정확히 몰라 일반적인 사항을 적었습니다
시험 방법이나 기준도 함께 알려주시면 이해가 더 잘 될 것 같네요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소리 잘들어요^^ 한가지 여쭙고 싶은게 있어요. 화학공장에서 방폭구역에 호이스트 추에 작은 저울이 달려있어서 그 추저울 드럼을 걸쳐 무게를 측정합니다. (측정해서 원료투입) 여기서 추저울이 방폭으로 안되어있어요.. 얼른 투자를 해서 교체를 해야하는데 쉽지가 않네요. 일단 임시방편으로 일반설비에 방폭 효과를 조금이나마 날수있게 하는방법이 있을까요?(랩을 싼다던지..) 또 그 추저울안에서의 전기적 스파크나 그런것들이 유기용제의 최소점화에너지와 비교할 수 있는 계산하는 방식이 있을까요?..
신입 초보안전관리자라 두서없이 질문을 했네요. 감사합니다 ..
방폭의 기본개념은 점화원과의 격리 시공입니다. 점화원이 될수 있는 전기적 스파크를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해요, hazardous area의 분류가 어떻게되어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방폭기자재를 써야되는 사항이라면 신속히 사용하는 것이 좋겠죠. 밀폐 공간인지? 환기를 할수 있는 공간내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지, 직접 가연성 증기와 접촉하는 것인지 등 따라 영향을 주므로 한번 확인해 보세요.
방폭은 점화원과의 격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상황을 정확히 몰라 일반적인 사항을 적었습니다
@@electricideatv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여러 요소가 중요하군요.선생님 영상보면서 많이공부하겠습니다 ^^
@@웻치즈 네 감사합니다 좋은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