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의 강의를 듣고보니, 만물중에 존재하는 모래알처럼 작은 존재일 지라도 실존하는 나 자신을 보게되고 어디로 부터 와서 어디로 가는지는 알수 없지만 원하든지 원하지 않던지간에 어떤 선택을 해서 살아갈수 밖에 없는 인간의 미약함을 느끼며, 어떤것이 삶을 가치있게 사는지를 한번 생각해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핵심적인 부분만 간결하게 너무 설명을 잘 해주셔서 구독하면서 매일 한두개씩 강의 보고 있습니다. 현상학과실존주의02는 언제쯤 나올지 기다려지네요. 벌써 7개월이라서. 준비되시면 꼭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여담으로... 영어로는 카무라고 발음하나봐요. 모르는 인물인줄 알았는데 3번째 듣다가 아. 까뮈.. ㅎㅎ
철학을 어느정도 나는 이들에겐 이 영상의 철학체계가 쉽게 이해되겠지만 철학에 입문하는 이들에겐 너무 어려울거 같네요. 우리의 인지체계, 스키마가 어떻게 구좋6ㅏ 되어 있는지는 차이가 있을수 있겠지만 저는 형이상학 보다 존재론이 더 큰 범주라 보는데 뭐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서양철학은 그리스든, 프랑스든, 영국이든, 독일이든 비동사 is 때문에 발생된 하나의 거대학문이 아닐까 합니다. 우리와는 세상을 보는 구조자체가 달라지죠. 우리는 하늘을 보고 저것을 파랗다고 하지만 서양에서는 저것에 파랑이 존재한다고 인식하는 언어의 구조체계를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마 서양철학의 존재론(형이상학이든)이 이렇게 발전하지 않았나 싶네요.
질문 감사합니다. 실존주의만의 독특한 존재론이란 다음과 같습니다. 이전의 전통적 존재론에서는 인간의 존재를 세상에 존재하는 다른 존재와 같은 3인칭 시점에서 객관적 사유가 가능한 하나의 개념으로 취급합니다. 인간이 존재하는 것, 고양이가 존재하는 것, 나무가 존재하는 것이 모두 존재하는 어떤 것으로 생각될수 있습니다. 여전히 지금 현대의 분석철학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인간의 존재를 상정합니다. 예를 들어, 환경철학에서 인간에게 미치는 환경오염등 여러문제에 대한 분석은 인간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개와 고양이에게도 해당되는 문제에 대한 분석이지요. 실존주의에서는 이러한 분석철학의 노력들을 필요없다고 말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진정한 인간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아니라고 합니다. 제가 영상에서 설명했듯이, 인간이란 오직 1인칭 시점에서만 그 존재의 본질에 대해 논할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인간의 죽음을 어떤이가 "세상에 태어나서 살다가 소멸하는 현상의 맨 마지막 부분"이라고 설명했다고 합시다. 하지만 이런 3인칭 시점에서의 관찰은 굳이 인간의 죽음뿐만이 아니라 동물의 죽음, 식물의 죽음도 포함될수 있는 설명이겠지요.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에 대한 죽음은, 진정한 의미에서, 오직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만 말할수 있는 "나 만이 말할수 있는 그러한 경험," "나의 가장 사랑하는 친구인 자신과 이별하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슬픔의 경험," 또한 "내 자신이 도저히 납득할수 없는 나에게 닥친 아이러니의 경험," "남과는 공유를 할수 없고 오직 나만이 경험 가능한 그런 경험"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실존주의의 존재론 입니다. 감사합니다.
존재와 실존에 대해 가장 탁월하게 한국어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철학을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해서 명확하게 그리고 실용적인 예를 사용해서 설명을 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노력을 알아봐 주시는것 같아서 무척 기쁨니다.
감사합니다
재미있습니다. 다음 영상이 기대되네요.
다음 영상 언제 올려 주나요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보니, 만물중에 존재하는 모래알처럼 작은 존재일 지라도 실존하는 나 자신을 보게되고 어디로 부터 와서 어디로 가는지는 알수 없지만 원하든지 원하지 않던지간에 어떤 선택을 해서 살아갈수 밖에 없는 인간의 미약함을 느끼며, 어떤것이 삶을 가치있게 사는지를 한번 생각해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1:30 분류 onto 존재 21:25 실존적 불안 Existential Anxiety 죽음 21:50 19세기초 키에르키고르 20세게 초 하이데거 독특한 존재론
핵심적인 부분만 간결하게 너무 설명을 잘 해주셔서 구독하면서 매일 한두개씩 강의 보고 있습니다. 현상학과실존주의02는 언제쯤 나올지 기다려지네요. 벌써 7개월이라서. 준비되시면 꼭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여담으로... 영어로는 카무라고 발음하나봐요. 모르는 인물인줄 알았는데 3번째 듣다가 아. 까뮈.. ㅎㅎ
제가 다른 주제분야에 대한 강의 요청이 많이 들어와서, 실존주의 강의는 당분간 미뤄야 할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시간이 나는대로 아주 작게 주제를 쪼개서 실존주의 미니 강의를 올리도록 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많은 사람들이 인도 힌두교 전통과 불교를 혼용하고 있습니다 혹시 교수님 불교가 힌두교 전통을 뚫고 나왔다면 불교만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은 무엇인지 영상으로 강의해 주실수 있으신가요
감사합니다
네 제가 그 주제에 대해 강의를 올리겠습니다. 하지만 밀린 강의 신청이 있어서 한 3달 뒤에나 올라올것 같은데요 괜찮으신지요?
@@LifePhilosophy20 너무나 소중한 성의에 3달간 간직하겠습니다 사실 한국불교는 짬뽕 불교인데 스님들조차 각기 해석이 다르니 뭐라고 할말은 없으나 힌두교의 사상이 너무 자본시장에 잘팔리니 말입니다
감사합니다
가장 잘 아는 사람이 가장 쉽게 설명. 굿 굿
교수님 말씀하신 형이상학 강의 링크와 서양 철학 분야 강의 링크가 없습니다 ㅠㅠ 링크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그 영상들을 제정비해서 다시 올리려고 내렸는데 일이 바빠서 못하고 있습니다. 제가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는 유명한 말이 있는데 우리들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지만 현재의 존재는 죽음과 함께 모두 사라집니다
이 다음 실존주의 영상이 어디있나요? 제목으로 알려주시면 찾아 볼게요.
죄송합니다. 제가 일이 너무 바빠서 영상을 만들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하겠습니다.
철학을 어느정도 나는 이들에겐 이 영상의 철학체계가 쉽게 이해되겠지만 철학에 입문하는 이들에겐 너무 어려울거 같네요. 우리의 인지체계, 스키마가 어떻게 구좋6ㅏ 되어 있는지는 차이가 있을수 있겠지만 저는 형이상학 보다 존재론이 더 큰 범주라 보는데 뭐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서양철학은 그리스든, 프랑스든, 영국이든, 독일이든 비동사 is 때문에 발생된 하나의 거대학문이 아닐까 합니다. 우리와는 세상을 보는 구조자체가 달라지죠. 우리는 하늘을 보고 저것을 파랗다고 하지만 서양에서는 저것에 파랑이 존재한다고 인식하는 언어의 구조체계를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마 서양철학의 존재론(형이상학이든)이 이렇게 발전하지 않았나 싶네요.
'틀려요' 아니고 '달라요'입니다.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한국말이 많이 어눌합니다.
글씨체를 좀 바꿨으면 좋겠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제가 노력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래서 실존주의만의 독특한 존재론은 대체 뭐란 말인가요?
질문 감사합니다. 실존주의만의 독특한 존재론이란 다음과 같습니다. 이전의 전통적 존재론에서는 인간의 존재를 세상에 존재하는 다른 존재와 같은 3인칭 시점에서 객관적 사유가 가능한 하나의 개념으로 취급합니다. 인간이 존재하는 것, 고양이가 존재하는 것, 나무가 존재하는 것이 모두 존재하는 어떤 것으로 생각될수 있습니다. 여전히 지금 현대의 분석철학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인간의 존재를 상정합니다. 예를 들어, 환경철학에서 인간에게 미치는 환경오염등 여러문제에 대한 분석은 인간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개와 고양이에게도 해당되는 문제에 대한 분석이지요.
실존주의에서는 이러한 분석철학의 노력들을 필요없다고 말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진정한 인간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아니라고 합니다. 제가 영상에서 설명했듯이, 인간이란 오직 1인칭 시점에서만 그 존재의 본질에 대해 논할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인간의 죽음을 어떤이가 "세상에 태어나서 살다가 소멸하는 현상의 맨 마지막 부분"이라고 설명했다고 합시다. 하지만 이런 3인칭 시점에서의 관찰은 굳이 인간의 죽음뿐만이 아니라 동물의 죽음, 식물의 죽음도 포함될수 있는 설명이겠지요.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에 대한 죽음은, 진정한 의미에서, 오직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만 말할수 있는 "나 만이 말할수 있는 그러한 경험," "나의 가장 사랑하는 친구인 자신과 이별하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슬픔의 경험," 또한 "내 자신이 도저히 납득할수 없는 나에게 닥친 아이러니의 경험," "남과는 공유를 할수 없고 오직 나만이 경험 가능한 그런 경험"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실존주의의 존재론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