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1이 끝났습니다. 비대면으로 이뤄진 행사였지만 많은 회사들이 많은 제품들을 전시했습니다. CES 2021에 전시된 제품들 중 재미있었던 것, 의미있는 기술 7개를 뽑아 보았습니다. 블루의 픽은 LG OLED Evo, LG Ultrafine OLED Pro, 미니 LED, 마이크로 LED, TCL NXTpaper, ASUS ProArt 포터블 모니터, 델 에일리언웨어 게이밍 모니터입니다. OLED Evo. 새로운 패널이라고는 하는데 정보가 없어서 뇌피셜을 좀 풀어 보았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더 넓은 색영역, 더 높은 밝기를 달성했는지 분석해 보았습니다. LG Ultrafine OLED Pro. LG의 OLED 패널이 아닌 JOLED의 OLED 패널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RGB OLED와 WOLED의 차이점 위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미니 LED는 지난 영상( ruclips.net/video/ceV8LY0WlpE/видео.html )에 자세히 분석해 두었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굉장히 기대되는 미래 디스플레이지만, 아직은 '미래'네요 TCL NXTpaper는 특수한 형태의 LCD입니다. 투과식, 반사식, 투과반사식 LCD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 보았습니다. 0:00 시작! 0:35 LG OLED Evo 4:30 LG Ultrafine OLED Pro 7:20 미니 LED 8:47 마이크로 LED 9:57 TCL NXT 페이퍼 13:16 ASUS ProArt 포터블 모니터 14:51 델 에일리언웨어 게이밍 모니터 16:44 감사합니다 컬러스케일 구독은 bit.ly/32PAy5F
48cx 쓰고 있는데 카톡창 같은 곳에서 레드랑 그린이 참 두드러지게 눈에 띄더라고요 노란색 뿐만 아니라 파란색 같은 곳에서도 왼쪽에 검은색 같은게 보이고요 이게 올레드 패널 종특이라고 하던데 p3색영역 99% 지원한다 해도 이건 oled한계가 아닐까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요
지금 55bx 쓰는데, 올해 c1이나 b1에서 2020년형 대비 확실한 메리트가 있으면 넘어가려구요. 문제는 bx 는 올레드기 때문에 중고로 팔기 좀 빡시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 올레드는 번인때문에 중고 사면안된다는 그런 생각 가진분들이 많아서.... 안되면 부모님 드려야죠뭐.
배면 발광에서도 반투과막을 추가해서 미소공진현상을 유도할 수 있긴 합니다. 하지만 LG의 WOLED 같은 경우에는 파란색, 노란색의 두 가지 서로 다른 파장대의 빛이 발광하기 때문에 두 파장대에 대해 동시에 미소공진현상을 일으키는 게 굉장히 어렵겠죠. 그리고 노란색의 경우에 미소공진현상이 일어나 반치폭이 작아진다면 건질 수 있는 빨간색, 초록색 성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오히려 안 좋구요.
와... 사실 CES 기사들이 너무 많아서 뭐가 뭔지 정말 하나도 모르겠는데 이렇게 정리해주시니 이해가 쏙쏙 됩니다. 저는 특히 투과반사식 LCD가 관심이 가네요. 예전에 핸드폰 처음 나왔을 때... 그러니까 95년 즈음에는 정말 반사식 흑백 LCD였는데요.... 옛날 생각도 나면서 신기했어요. 정말 디스플레이 기술은 어디까지 좋아질까요? 멀지 않은 미래에 블루 님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를 리뷰하시는 걸 빨리 보고 싶어요. ^^ p.s. 엇, 머리 모양 바꾸셨네요? 예전의 공대생 스타일에서 연예인이 되셨는데요? 무슨 일 있으세요? ㅋㅋ 오오오오~
오 OLED TV 사자마자 ... EVO가 나오다니 절망적이군요... ㅎㅎㅎ 마이크로 LED는 언제쯤 싸질 수 있으련지... LED 1개당 1원이라 할 때 3840x2160x3(rgb)=24,883,200원인데ㅋㅋ 4원만해도 억 단위죠~ 거기에 공정, 회로 등등 하면 아직은 비쌀 수 밖에 없는 기술이긴 합니다만 손꼽아 기다려지는 기술입니다.후후후후 그나저나 OLED 모니터 나오면 노려볼만 하겠네요 ~~
모니터만 쓰다가 TV에 관심이 생겨서 찾다 발견하고 구독했습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80인치 이상에 플스 같은 콘솔용으로도 쓰기 좋게 응답속도나 인풋렉이 좋은 TV는 찾기가 힘든데요 이런 초거대 인치 게임용 TV에 관해서 컨텐츠 만드신 게 있는지 찾아보겠습니다만 없다면 하나 만들어주시면 안될까요
영상 재밌게 잘 봤습니다!!! 전 올해 작업용 노트북을 고사양으로 살 예정이어서 디스플레이도 비교해보는데요 여기서 궁금한게 있어요!!! 맥북의 경우 DCI-P3 영역 지원이라 그러고 어떤 노트북들은 어도비컬러 100% 또는 sRGB 100% 이렇게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그 외에도 팬톤 인증같은 내용들도 있고요. DCI-P3, 어도비컬러, sRGB 이 세 카테고리에 대해 설명 및 적합한 용도? 이런 것도 설명 부착드려요 ㅠ
영상 내에서도 간략하게 설명은 드렸습니다. sRGB는 기본이 되는 색영역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러 모니터에서 같은 색을 보여주겠다는 컬러 매니지먼트에 반드시 필요한 게 표준이 되는 색영역이니까요. AdobeRGB는 인쇄물과 디스플레이에서 같은 색을 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녹색 영역을 넓혀놓은 색영역입니다. P3는 반대로 sRGB에서 빨간색과 녹색을 모두 넓혀놓은 색영역이구요.
약간 결이 다른 제품으로 보입니다. 말씀해주신 제품이 제가 소개한 제품보다 화질 면에서는 당연히 앞설 걸로 보이지만 제가 이번에 말씀드린 게이밍은 '빡겜'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화면은 24인치정도(X27은 27인치), 360Hz 주사율(X27은 144Hz) 등의 옵션이 '게이밍 기어'로써 해당 제품을 끝판왕으로 만들어주지 않나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모니터가 굉장히 다양한 색을 만들 때 단 세 가지 컬러(R, G, B)만을 이용합니다. 이 세 가지 컬러가 어떤 컬러인지에 따라 모니터가 만들어낼 수 있는 색의 범위가 결정되고 이걸 색영역이라고 합니다. sRGB와 P3는 R, G 색이 다릅니다. sRGB의 빨간색보다 P3의 빨간색이 훨씬 채도가 높은 빨간색이고, sRGB의 초록색보다 P3의 초록색이 훨씬 채도가 높은 초록색입니다. 이렇게 채도가 높은 원색을 사용하면 자기보다 채도가 낮은 색을 다른 원색을 섞어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P3 디스플레이는 sRGB가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지만 sRGB 디스플레이는 P3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색 중 일부를 표시하지 못합니다.
CES 2021이 끝났습니다. 비대면으로 이뤄진 행사였지만 많은 회사들이 많은 제품들을 전시했습니다. CES 2021에 전시된 제품들 중 재미있었던 것, 의미있는 기술 7개를 뽑아 보았습니다.
블루의 픽은 LG OLED Evo, LG Ultrafine OLED Pro, 미니 LED, 마이크로 LED, TCL NXTpaper, ASUS ProArt 포터블 모니터, 델 에일리언웨어 게이밍 모니터입니다.
OLED Evo. 새로운 패널이라고는 하는데 정보가 없어서 뇌피셜을 좀 풀어 보았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더 넓은 색영역, 더 높은 밝기를 달성했는지 분석해 보았습니다.
LG Ultrafine OLED Pro. LG의 OLED 패널이 아닌 JOLED의 OLED 패널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RGB OLED와 WOLED의 차이점 위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미니 LED는 지난 영상( ruclips.net/video/ceV8LY0WlpE/видео.html )에 자세히 분석해 두었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굉장히 기대되는 미래 디스플레이지만, 아직은 '미래'네요
TCL NXTpaper는 특수한 형태의 LCD입니다. 투과식, 반사식, 투과반사식 LCD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 보았습니다.
0:00 시작!
0:35 LG OLED Evo
4:30 LG Ultrafine OLED Pro
7:20 미니 LED
8:47 마이크로 LED
9:57 TCL NXT 페이퍼
13:16 ASUS ProArt 포터블 모니터
14:51 델 에일리언웨어 게이밍 모니터
16:44 감사합니다
컬러스케일 구독은 bit.ly/32PAy5F
12초 전에 올렸는데 댓글은 24분전 ㄷㄷ
마이크로led는 중국뿐이더군요.
나는 이 분이 좋은 이유 : 설명을 잘하고 컨텐츠가 짜임새있고 듣기 편하다는 것과 스맛폰 전체 화면 확대 시에도 짤리지않고 비율에 맞게 확대가 되서 보기 편해지는 것. 특히 후자가 너무좋으
블루님 덕분에 디스플레이에 관심 생겨서 엘지디스플레이 주식 샀다가 요새 드디어 조금씩 오르기 시작해서 기쁘네요. 엘지디 주주님들 성투!
떡상하길 바래요
형 영상은 오래 기다린 보람이 있어...퀄이 ㅗㅜㅑ
정말 많은걸 알고있는 전문가가 우리한테 알기 쉽게 설명 해주니 너무 재밌고 이해도 쉽게 됩니다! 정말 재밌네요~
ㅎㅎ 앞으로 더 좋은 컨텐츠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5인치는 너무 작다... 게이밍도 게이밍 나름...
fps멀티등 경쟁을 해서 한판 이기고 지고를 중요시하는 온라인게임에서나 통용될듯.
화면은 그래도 커야 됨. 대형화면의 박력을 한번 맛보면 작은 화면으로 게임하면 맛이 안남.
woled 쉬운 설명과 차세대 woled evo에 대한 뇌피셜 곁들인 설명 감사합니다 굉장히 논리적이고 흥미로운 정보였어요
ㅎㅎ 뇌피셜이지만 거의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앞으로 더 흥미로운 정보들 물어올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
카디건이 참 아슬아슬하게 잘 걸쳐있네 했는뎈ㅋㅋㅋㅋㅋ 일체형(?)이였네요🤪
오늘도 영상 너무 잘 시청했습니다! 쉽게 이해 잘 가게 설명해주셔서 항상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어서 좋아요 👍🏻
ㅎㅎ 앞으로 더 좋은 컨텐츠로 찾아올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4:37 혹시 델타 E에 대한 설명을 좀 더 해주실 수 있나요? 예를들어 평균적인 디스플레이의 델타 E 값이라던가...
혹시 나중에 시간 되시면 이북리더기 원리도 혹시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48cx 쓰고 있는데 카톡창 같은 곳에서 레드랑 그린이 참 두드러지게 눈에 띄더라고요 노란색 뿐만 아니라 파란색 같은 곳에서도 왼쪽에 검은색 같은게 보이고요
이게 올레드 패널 종특이라고 하던데 p3색영역 99% 지원한다 해도 이건 oled한계가 아닐까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요
디스플레이 공부하는 학생에게 이렇게 재밌고 유익한 채널이 또 있을까 싶어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CES는 꼭 직접 보고 싶은 행사였는데 아쉽네요 ㅠㅠ
ㅠㅠ 내년엔 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
48cx 사려는데 ㅎㅎㅎㅎ 영상보니 좀더 참아야겠네요ㅎ
반사식 디스플레이... 미라솔 디스플레이, 픽셀 치, 하이센스 q5 모두 무척 실망스러웠는데 이번엔 과연 쓸만할까요?
일단 설명만 들으면 픽셀 치와 거의 동일한 원리같은데... 일 단은기대해봅니다.
어린이가 급하게 머리만진 느낌 ㅋㅋㅋ 블루님 볼때마다 귀여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led evo모델의 차이는 지금까지 쓰던 블루oled소재를 이데미츠산에서 좀 더 수명이긴 듀폰으로 바꾼거라고 하네요 수명이 긴만큼 전압을 많이 줘서 휘도를 20% 높였다고 합니다
2:30 컬러스케일 구독과좋아요 알림설정까지
LG 울트라파인 OLED PRO 32" 기대되네요 ㄷㄷ
oled evo 기술 놀랍네요. 밝기를 끌어 올린 것도 신빡한데, 컬러 정확도까지 올라 갔다니.... ㄷㄷㄷ
Display 관련 회사 다니는데...덕분에 좋은 정보 많이 얻어갑니다. 앞으로도 좋은 컨텐츠 많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아이쿠. 과찬이십니다. 더 좋은 정보 전해드릴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
투과반사식? 예전에 pda에도 들어갔던거같은데...그땐 해상도도 엄청낮고 화면도 작고 컬로도 256컬러인가 그랫던거같지만
c1 cx g1 비교하면 뭐가 제일 나을지 궁금하네요. 엘지 매장가서 c1 cx 보면 얼굴 샤프니스가 완전히 다르던데 또 해외 유튜브 보면 거기서 거기라고 하니 참..
지금 TV를 산다면 OLED가 나을까요? 아님 Mini LED가 나을까요?
언제 출시될까염!??
이건 대학원을 나온자의
컨텐츠 수준이다 ㄷㄷ
OLED랑 미니 LED 정보 보려고 들어왔는데 의외로 반사식디스플레이 정보를 얻게되네요 아이패드로 전자책 보면 눈이 시큼거라고 전자잉크 전자책은 뭔가 부족한거 같은데 전자책 시장 커지면 뭔가 좋은게 나올 느낌입니다 ㅋㅋ
요즘 48cx 사고싶었는데 좀 기다려봐야겠어요
cs65살려는데 행사를 하다말다 하네요...언제쯤 되야 값 더 떨어질까요
c1이 언제나오지 ㅠ
얼마전에 32UL950 샀는데 새로운 32인치 올레드 프로가 나오나 보네요.. ㅠㅠ 물론 가격은 훨씬 사악하겠지만..
안녕하세요 블루님~! 구독자입니다~ 다음에 저가형 티비 비교나 구입시 참고하면 좋을 꿀팁도 알려주셔요~ ㅎㅎ 컨텐츠로도 재밌을것 같습니다.
이야 어려운 이야기 되게 재미있게 말씀하시네요. 이쯤되면 이거다? 생각이 드시죠
마이크로LED가 평면 디스플레이의 끝판왕이라는거는 OLED처럼 구부리지는 못한다는거네요? 백플레이트 기반이라 그런가..
55cx 지름 번인은 별 상관없음 무상 교체 기간도 있고 끝나더라도 자기부담금 몇퍼 안함
잘 봤습니다 :) 개인적으로 제 픽은 27GP950 입니다. UHD 160Hz HDMI 2.1 로 알고 있는데, 게이밍 모니터 + 콘솔용 모니터로 최적이 아닐까 싶어요.
개인적으로 가장 기대하는 PG32UQ 없군요ㅠ
32" 4K 144Hz HDR600 스펙에 퀀텀닷 Rec.2020 84% 광색역까지 갖고 있는 제품이죠.
합리적인 가격으로 나오게 될 듯하고 나오면 바로 사고 싶네요.
요번에는 빡겜 컨셉으로 잡아보았습니다. 최근에 48CX도 다뤘으니 반대쪽도 다뤄줘야 할 것 같아서 ㅎㅎ
모니터나 TV들 간혹 내부 수리 부품 없다고 수리기간안에도 수리불가 맞는 경우도 커뮤니티 보면 있으니
조심하시길..
LG OLED 화질 👍
엘지 프리미엄 라인업도 기대되네요
약간 백색가전의 시그니처 시리즈들 처럼 나오는듯
그리고 역시 포터블모니터중에서 아수스는 단비같은 존재네요
저는 이번에 G로 갑니다!
올해 LG oled티비 사려고 했는데 evo모델을 사야겠네요 근데 문제는 가격이겠죠? ㅠㅠ
지금 55bx 쓰는데, 올해 c1이나 b1에서 2020년형 대비 확실한 메리트가 있으면 넘어가려구요. 문제는 bx 는 올레드기 때문에 중고로 팔기 좀 빡시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 올레드는 번인때문에 중고 사면안된다는 그런 생각 가진분들이 많아서.... 안되면 부모님 드려야죠뭐.
B나 C에서 X에서 1로 넘어갈 만한 메리트는 없을 것 같습니다. OLED Evo가 B, C로 내려올 때까지 기다려 보시죠
joled 수율이 어느정도 일지가 궁금하네요
기술상으론 더 발전된거 같은데
제품 양산이 힘들어보이니
코딩용으로 넥스트 페이퍼 탐나는데... 저걸로 보조모니터 만들어줬으면...
이 영상에서 죄송한데 아이패드 프로에 필름 붙이지 말라고 하셨는데 액상 필름은 괜찮나요??
살다살다 궁금해서
미소공진현상이란걸 독학했네요
WOLED로 스마트폰에는 못쓰고 대형에만 쓰는지도 중간에 알았고
그래서 요로케 조로케해서
공진현상을 발생하게하면 광 효율이 좋와진다는 소립니까
근데 배면도 공정 추가하면 공진원리를 활용할 수 있다는데
전면보단 효율같은게 안좋나보죠?
배면 발광에서도 반투과막을 추가해서 미소공진현상을 유도할 수 있긴 합니다. 하지만 LG의 WOLED 같은 경우에는 파란색, 노란색의 두 가지 서로 다른 파장대의 빛이 발광하기 때문에 두 파장대에 대해 동시에 미소공진현상을 일으키는 게 굉장히 어렵겠죠. 그리고 노란색의 경우에 미소공진현상이 일어나 반치폭이 작아진다면 건질 수 있는 빨간색, 초록색 성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오히려 안 좋구요.
오늘도 잘 봤습니다~
영상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55cx 사려고 하는데 존버가 답인가요?? 신형은 대략 언제쯤 나올까요
이달에 TV 추천이나 분기별로 가성비좋은 금액대별 TV 추천해주실생각 없으신가요 ㅠ 신뢰높은 채널에서 추천해주면 꾸준히 조회수도 오르고 보는재미도있을것 같아용
3:06 블룽예 ON
와... 사실 CES 기사들이 너무 많아서 뭐가 뭔지 정말 하나도 모르겠는데 이렇게 정리해주시니 이해가 쏙쏙 됩니다.
저는 특히 투과반사식 LCD가 관심이 가네요. 예전에 핸드폰 처음 나왔을 때... 그러니까 95년 즈음에는 정말 반사식 흑백 LCD였는데요.... 옛날 생각도 나면서 신기했어요. 정말 디스플레이 기술은 어디까지 좋아질까요?
멀지 않은 미래에 블루 님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를 리뷰하시는 걸 빨리 보고 싶어요. ^^
p.s. 엇, 머리 모양 바꾸셨네요? 예전의 공대생 스타일에서 연예인이 되셨는데요? 무슨 일 있으세요? ㅋㅋ 오오오오~
오 OLED TV 사자마자 ... EVO가 나오다니 절망적이군요... ㅎㅎㅎ
마이크로 LED는 언제쯤 싸질 수 있으련지...
LED 1개당 1원이라 할 때 3840x2160x3(rgb)=24,883,200원인데ㅋㅋ
4원만해도 억 단위죠~ 거기에 공정, 회로 등등 하면 아직은 비쌀 수 밖에 없는 기술이긴 합니다만
손꼽아 기다려지는 기술입니다.후후후후
그나저나 OLED 모니터 나오면 노려볼만 하겠네요 ~~
마이크로 LED 1개 가격이 1원보다 훨씬 낮게 내려가야죠.
OLED 모니터는 가격이 무시무시할 것 같기는 합니다.
이번에나온 갤s21 시리즈 화면 밝기 테스트 해주세요~ s20과 다르게 화면 수동 밝기가 아이폰보다 더 밝은 수준이라던데 궁금합뉘다~
오늘 영상 올렸습니다! 댓글 쓰고보니 어제네요 ㅋㅋㅋ
그리고 올라가보니 이미 영상 보셨군요 ㅋㅋㅋㅋ
모니터만 쓰다가 TV에 관심이 생겨서 찾다 발견하고 구독했습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80인치 이상에 플스 같은 콘솔용으로도 쓰기 좋게 응답속도나 인풋렉이 좋은 TV는 찾기가 힘든데요 이런 초거대 인치 게임용 TV에 관해서 컨텐츠 만드신 게 있는지 찾아보겠습니다만 없다면 하나 만들어주시면 안될까요
각 제조사 플래그십 TV들은(Neo QLED, OLED) 인풋랙 신경을 꽤 썼을 겁니다. 나중에 기회되면 생각해보겠습니다
블루님은 마이크로 led tv가 지금의 oled tv의 가격 정도까지 자리잡으려면 최소 몇 년은 더 기다려야 된다고 보시나요?
영상 재밌게 잘 봤습니다!!! 전 올해 작업용 노트북을 고사양으로 살 예정이어서 디스플레이도 비교해보는데요 여기서 궁금한게 있어요!!!
맥북의 경우 DCI-P3 영역 지원이라 그러고 어떤 노트북들은 어도비컬러 100% 또는 sRGB 100% 이렇게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그 외에도 팬톤 인증같은 내용들도 있고요.
DCI-P3, 어도비컬러, sRGB 이 세 카테고리에 대해 설명 및 적합한 용도? 이런 것도 설명 부착드려요 ㅠ
영상 내에서도 간략하게 설명은 드렸습니다. sRGB는 기본이 되는 색영역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러 모니터에서 같은 색을 보여주겠다는 컬러 매니지먼트에 반드시 필요한 게 표준이 되는 색영역이니까요. AdobeRGB는 인쇄물과 디스플레이에서 같은 색을 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녹색 영역을 넓혀놓은 색영역입니다. P3는 반대로 sRGB에서 빨간색과 녹색을 모두 넓혀놓은 색영역이구요.
이번에 LG32UL950 모니터를 140만원 주고 샀는데 이번에 나올 OLED 모니터가 두배값 하는게 아니라면 이번에 이걸 산게 좀 뼈아플거 같네요 ㅎㅎ ㅠ
저 OLED pro모니터 22인치짜리가 현재 700만원합니다. 32인치는 최소 1000만원일듯
전혀 뼈아프실꺼 없어요ㅋㅋㅋ
3:15 헐 님들여기서 폰 흔들면 이쁜보라색 나옴
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
Lg 디스플레이 주식사야겠다 ㅎㅎ
oled 제품은 안 쓰십니까??
RGB 컬러필터가 각각 층을 이룬다면, 그만큼 색 정확도나 색 영역이 높은게 없을겁니당
그러므로 블루님의 뇌피셜이 실제가 된다면 ㄹㅇ 초프리미엄이 되기 마련이군요! 체험할 기회나 있는게 다행일 제품이 될거 같네오ㅠ
컬러필터가 들어가는 순간 색순도는 떨어지기 마련이에요. woled는 대형 특성상 FMM을 못써서 대체로 만든거지 발광 자체에서 RGB빛을 내는 중소형 oled의 색정확도가 제일 높을겁니다.
코로나 블루의 시대라서 코로나 시대 CES에는 블루죠.
영상과는 관련없지만 믿을만한분이 블루님인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탭s7+과 아이패드프로 4세대 를 비교하면 ppi,120hz 등 스펙상으로는 탭s7+가 높은데
실제로 사용시 아이패드의 디스플레이의 색감이 더 진하고 움직임도 더 부드러웠습니다.
갤럭시유저로써 ios에 적응하기 힘들어 탭s7+을 고민하고 있는데
디스플레이만 본다면 아이패드가 더좋은게 맞나요?
그리구 옷이 시강합니다 ㅋㅋㅋ
점점... 어느샌가 내용이 어려워지고 있어요... 저만 어려운가..."뭐 좋은 상품 나왔네"라고 알고 갈께요~감사합니다!
ㅠㅠ 좀 더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해 보겠습니다
하이고 ㅠㅠ 그제 65bxfna 결제하고 배송 기다리고 있는데..많이 애매하네요..그냥 65bx쓰다가 추후에 evo패널 사용한 77인치 제품들 단가 내려오면 그때 다시 바꾸는게 나을까요..?
역시 블루님 영상은 너무 재밌네요. 스킵도 안하고 보게되는 영상입니다.
근데 이번에 나온 게이밍 모니터보다 예전에 ACER 에서 나온 X27 이 더 게임으론 끝판왕인거 같은 느낌이 드네요.
약간 결이 다른 제품으로 보입니다. 말씀해주신 제품이 제가 소개한 제품보다 화질 면에서는 당연히 앞설 걸로 보이지만 제가 이번에 말씀드린 게이밍은 '빡겜'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화면은 24인치정도(X27은 27인치), 360Hz 주사율(X27은 144Hz) 등의 옵션이 '게이밍 기어'로써 해당 제품을 끝판왕으로 만들어주지 않나 생각합니다
설명이 너무 좋은데 잠들었었어요
ul650을 사서 블루님을 보니 얼굴이 참 잘보이네요 호호호 ........ㅠㅠ..
ㅋㅋㅋㅋㅋㅋㅋㅋ
마지막 델 모니터는 이미 롤드컵에서 공식 모니터였죠
ㅎㅎ 넵. CES2021에도 전시되었길래 선정해 보았습니다
언젠가는 미니led와 마이크로 led가 들어간 휴대폰이나 태블릿 pc도 나올까요? 🤔
미니는 사이즈가 커서 불가능하지만 마이크로는 나오게 될 것 같습니다. 아마도 먼저 스마트 와치 분야에서 나올것으로 기대 합니다.
@@포스-t3c 답변해 주셔서 감사해요! 저도 그런 것들이 가능해지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어요! 😃
미니led!!!!!!를 사야되는지 아니면 마이크로 led가 싸지길 바라야는지..
ㅎㅎ 지금 구매하시려면 미니 LED를 사시는 게 맞겠죠? 마이크로 LED가 싸지려면 시간이 좀 걸릴테니까요.
55인치, 65인치 티비중에 저렴한 제품 추천 좀 해주세요 ㅜㅜ
나중에 한 번 제대로 준비해 보겠습니다
@@ColorScale와우! 감사합니다~!!!
스마트기능 없는제품에 외장형으로 꼽아서 쓸지...
스마트티비를 살지...등등
제품회사, 종류들이 너무 많다보니..컬러님 영상 여러개 찾아서 봤지만서도
고민되는건 어쩔수가 없더라고요 ㅜㅜ
중소기업제품에 가성비좋은 저렴한거 꼭 좀 찾아주세요!
TCL nxt paper 설명자료를 보면 출처가 삼성이라고 나오는데요 삼성도 그럼 저런 전자잉크 느낌 나는 제품 만들 계획이 있다는건가요
아 저건 삼성 사이니지 제품 설명의 일부입니다. 굉장히 큰 광고판에 쓸 기술 예시에요!
p3랑 srgb 차이가 뭔가요?
대부분의 모니터가 굉장히 다양한 색을 만들 때 단 세 가지 컬러(R, G, B)만을 이용합니다. 이 세 가지 컬러가 어떤 컬러인지에 따라 모니터가 만들어낼 수 있는 색의 범위가 결정되고 이걸 색영역이라고 합니다. sRGB와 P3는 R, G 색이 다릅니다. sRGB의 빨간색보다 P3의 빨간색이 훨씬 채도가 높은 빨간색이고, sRGB의 초록색보다 P3의 초록색이 훨씬 채도가 높은 초록색입니다. 이렇게 채도가 높은 원색을 사용하면 자기보다 채도가 낮은 색을 다른 원색을 섞어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P3 디스플레이는 sRGB가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지만 sRGB 디스플레이는 P3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색 중 일부를 표시하지 못합니다.
@@ColorScale 쉽고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이 채널 덕분에 주변에서 tv,모니터 이야기 나오면 좀 아는 척 할 수 있을거 같아요 ㅋㅋ
반사식이랑 투과식 디스플레이 둘다 가지고다니면 괜찮겟네요
ㅠㅠ 그럼 너무 거추장스러울 것 같기도 하고...
@@ColorScale 아니면 갤럭시폴드 에서 외부디스플레이는 반사식, 내부디스플레이는 oled로하면 괜찮겟네요
엊그제 55bx 123만원에 건졋는데 4k60hz 보급용 올레드가 나오나보군요
그래픽 작업을 주로하는 데 프로아츠 모니터들이 눈에 띄더라구요. 로컬 디밍이 있다는 이야기도 있고 해서 궁금한데, 전문가용으로 사용해도 괜찮은 지 리뷰 부탁드려도 될까요?
사랑해요 컬러스케일 그리고 블루 . from canada ~ 는 뻥이에요 덜렁덜렁
ㅋㅋㅋㅋㅋㅋㅋ
으아닛 어제 삼성 qled tv 질러버렸는디.. 조금만 더 기다릴걸 그랬나요
문서 웹서핑이 거의 전부고 게임 안 하는 저한테는 tcl nxt paper가 이동형 모니터로 나오면 좋겠네요...13.3으로
9:57 넥스트 페이퍼가 너무 궁금하네요 ㅋㅋㅋㅋㅋ
올해 들을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이라는 단어 다 들은듯..
더 들려드릴 계획입니다 ㅋㅋㅋㅋ
TCL nxt paper 에서 빛나오는건 아마존 킨들의 프론트 라이트 같은 기술 아닌가유
같은 페이지에 transmissive라고 명시해 뒀으니 아마 백라이트가 맞겠지요?
48cx는 사도 되겠는데요
3T에서 레드 그린 포함 4T면 가격이 올라가겠군요...ㅠ
네. 생산비용이 증가하겠지요. 아마 그래서 일부 라인업 / 가장 전통적인 55, 65, 77 사이즈만 나오는 것 같습니다.
G시리즈
lg oled 48cx 주문했는데 취소하고 존버해야한다는 영상인가요...ㅠ
evo는 최소 cx 가격 2배정도 예상합니다.
형 사랑해!!
ㅋ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woled를 제가 잘못알고 있는건가요; w r g b 라서 4색이고 화이트 낼때 w만 발광 하는걸로 아는데 rgb랑 섞어서 설명된거 아닌가요
모든 소자가 화이트로 발광을 하는데 그 화이트를 어떻게 발광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설명드린 겁니다. 섞어서 설명하지는 않았어요
wrgb 소자구조는 M+라는 이름입니다~ WOLED는 블루님이 말씀하신대로 발광소자의 색상을 설명하는거에요.
블루형 첫부분 LG OLED Evo 설명할때 왜 파란색 소자는 2층 구조로 되어있는거에요? 하나만 쓰면 밝기가 잘 안나오나?
파란색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기때문에 적층시켜서 소자에 걸리는 부하를 줄이는거에요. 말씀하신 것도 어느정도 맞습니다~
@@sonik1531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이번 갤럭시 s21 시리즈가 화면에 녹조현상도 없어지고 수동밝기도 높아지고 장족의 발전을 이뤘다고 하는데 컬러스케일에서의 평가는 어떨지 궁금하네요 과연 아이폰 12의 oled보다도 나은 디스플레이일지....
안 그래도 기기 도착했습니다! 얼른 확인해 봐야죠
저의 픽은 컬러스케일 입니다.
ㅋㅋㅋ 감사합니다!
oled로 시청해선지 더 어려보이네욬
가격만 싸지면 마이크로led가 가장 좋은건가요?
TV 사이즈에서 지금까지 기술로만 보면 맞습니다.
OLED 발전.. 기대 됩니다. 신기술도 좋지만 기존 기술의 최적화로 가격 하락도 많이 됐으면..
77 oled evo 티비가격이 1000만원 이상으로 나올라나 ㅡㅡ;;
기술이 엄청 많네ㄷㄷ
ㅎㅎ 그렇습니다.
모니터 말고 티비들은 어차피 비싸서 못 사니 그냥 지금 있는 것 중에 사도 되는 부분인거죠?
저는 신제품 라인업 보고 구매할 것 같기는 한데 매력적인 딜이 있다면 구매하셔도 좋겠죠?
15:17 핸슨을 죽였어 ㅠㅠㅠ
안녕하세욥!
안녕하세욧!
LG QNED 상표권 미국에서 빠꾸 먹었다던데요 ㅋㅋ, 근데 그 이유가 'QNED'가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널리 쓰이는 기술 설명 용어에 불과하기 때문에 특정 기업만을 위한 독점적 상표권으로 인정할 수 없다! 인데 LG OLED는 어떻게 통과된걸까요 ㄷㄷ
써 주신 내용에 답이 있습니다. ‘QNED’에 대한 상표권은 얻을 수 없지만 ‘LG QNED’에 대한 상표권은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앞에 LG가 세트로 붙었을 때만 상표로 인정해주는 거지요.
@@ColorScale 아 QNED는 LG를 떼고 밀었나 보네요.. 늦은 시간인데 감사해욥 ㅋㅋ
망할 lg 65nano90una 그제 샀는데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