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나오는 게임 혹은 프로그램들이 V RAM 많이 잡아먹는게 많아서 그런 얘기가 나오는 것 같아요. 유명한 AI중 하나인 Stable Diffusion도 실제로 그래픽 카드 자체의 성능이 좋은 3070 3080 8g보다 3060 12g나 vram 높은 그래픽카드가 더 유용한 경우가 많더라구요. 정확히 말하면 vram 용량 자체가 작아서 작업 시도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생기기도 하더라구요.
실제 유튜브 편집하는 지인이 있는데 그 친구도 비슷하게 말을 했었습니다. 그래픽카드 영향이 있긴하다. 근데 1660S 이상부터는 그 차이가 드라마틱하진않다. 그 이상급갈거면 글카에 돈쏟기보다 CPU 당기는게 훠어어어얼씬 도움이 된다 하지만 멋있으니까 난 4090 샀다. 라고 했습니다.
10년이상 그래픽작업 관련 실사용자입니다.포토샵은 그래픽카드 필요없어요.i5급 내장그래픽으로도 충분합니다.포토샵은 CPU 클럭빨이라 CPU 성능이 중요합니다.i5 12500 내장그래픽+RAM 32G 포토샵,라이트룸 돌리는데 쌩쌩 잘 돌아갑니다.또한 RAW 파일로 많은 양의 사진작업 할때는 램용량은 많으면 많을 수록 좋습니다.물론 고사양 게임하려고 일부러 고사양 그래픽카드 꼭 있어야 한다고 하는 분도 있겠지만 아직도 포토샵에 고사양 그래픽카드가 꼭 필요하다고 잘못 알고 계신분들도 상당히 많아서 몇자 적어봅니다.
1660 슈퍼 사용자입니다. 허수아비님 말씀대로 포토샵 이나 일러스트레이터 돌릴때는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프리미어나, 에프터이펙트 작업할때는 무리가 있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1660슈퍼 에서 더 업그레이드를 하고 싶지만, 와이프님께서, 무슨 차이가 있느냐? 게임하고 인터넷 사용하는데 아무문제 없지 않느냐... 라고 말했을때, 할말이 없었습니다. 프리미어나 에프터이펙트는 자주 사용하지는 않거든요.... 간단한 음악커버 영상 만들때만 사용하는 부분인지라... 그러니까 결론은 허수아비님께서 속 시원하게, 잘 설명해 주셔서 와이프님에게 조금은 어필할수있는 영상이 됐지 않나... 저 스스로 생각하는 바입니다..ㅎㅎ
포토샵 뭘로 테스트를 하신 건지 작년이라면 맞을 수도 있는 얘기지만 3-4월? 어도비 업데이트 후 그래픽카드 성능이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단순히 몇 퍼 몇십 퍼센트가 아니라 10초 걸릴 거 4-5분 길게는 25분 이상도 걸려요 다음에 하실 땐 포토샵으로 밥 먹고 사는 분들한테 뭘 테스트를 해야 성능차이를 제대로 볼 수 있는지 알아보고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 그럭저럭 끼우면 결국 중고로 팔고 더 고사양 사야 하는데 그 손해를 이 영상만 보고 믿으신 분들이 그대로 떠안아야 할 수도
설명 해 놓고 가요 포토샵이나 영샹편집은 그래픽코어를 쓰는게 아니라 영상편집은 디코더 인코더를 쓰고 포토샵은 cpu와 램을 씁니다. 현재 엔비디아는 암묵적으로 60이상의 시리즈에는 최신 디코더 인코더를 넣고 있죠. 따라서 세대는 유의미하지만 급올리기는 무의미합니다. (사실 인텔 내장도 적당한 품질에 속도도 나름 빨라ㅇ 거기에 프리뷰 재생도 기가막히게 해주고..읍읍 내장으로 원하시면 i5 12500이상) 그러나 코어를 갈구는 작업(3D작업)에서는 코어를 갈구기 때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대학 진학하지 않았다면 조립컴퓨터 사장님이 될 뻔 했던 지나가던 컴공생-
프리미어 정도로만 말햇어도 틀린말은 아닌데 대학생 학생이 예를 잘못 들었군요. 프리미어도 단순 색보정시 그래픽카드 중요도는 낮다고 하는데 사용해 보면 그래픽 카드 VRAM 중요합니다. 적어도 8기가까지는 충분히 하드웨어 가속시 잘 활용 하니깐요. 또한 영상 편집 하는 사람이 프리미어만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그래픽카드 VRAM 필수로 사용하는 프로그램도 많아서 단순이 영상용 노트북은 그래픽카드 안 중요해라고 말할수 없습니다. 8K 편집 인코딩을 해오면서 조금의 장비 차이가 몇시간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단지 5분짜리 영상이요.
윈도우 환경에서 프리미어, 애프터이펙트는 인코딩과 렌더링 성능에 관련된 "Mercury Playback Engine(MPE) GPU 가속"을 지원하는 nVidia 계열 그래픽 카드가 유용하고 비디오램 크기보다 cuda 코어 갯수가 더 중요합니다. AMD는 MPE를 OpenCL로 지원합니다. 포토샵은 ATi 시절부터 nVidia보다 체감 성능이 좋았습니다. 브라운관 iMac 시절에도 PC보다 사양이 낮은 맥에서 사용하는 포토샵이 훨씬 부드럽게 돌아갔죠. 그래서 AMD 계열 그래픽 카드가 포토샵 퍼포먼스는 더 좋을 겁니다.
제 경험으로도 포토샵까지 하실것이라면 진짜 아무 차이 없습니다. 옛날 컴퓨터나 지금 컴퓨터나 차이가 없음. 근데 프리미어 들어가면, 성능이 1660급 아래는 먹통아닌 먹통이 너무 많이 일어나고 중첩작업 많이 할 엄두 절대 못내는데, 그 이상부터는 그 간헐적 먹통 횟수와 쾌적함이 단계별로 좋아집니다. 그럼에도 어디 이상 레벨부터는 정말 쾌적하다 이런느낌이 아닌 정말 단계별로 조금씩 나아지는듯. 지금 5950x에 3070으로 나름 양호한 사양인데도 항상 업그레이드 생각이 간절합니다. 과거는 단순컷편집 아닌 이상 작업이 불가능이라 업글이 불가피했다면 지금은 더 쾌적함을 위한 업글욕심이 차이입니다. 프리미어 에펙은 마지노선이 아닌 허락하는한 cpu는 일단 최고급, 그래픽도 경제상황 맞춰서 최고사양 올리는게 맞다고 봅니다.
@@user-gu6ui7pj3u 무슨 작업할지 패턴에 달려있습니다. 그냥 촬영한 fhd동영상 컷편집에 자막정도면 훌륭하고요, 4k기반이나 fhd라도 이런저런 그래픽요소 많이 올리고 프리미어내에서 이런저런 프로젝트파일 동시에 띄어서 긁어오고 하는 작업하게 될 정도로 작업하신다면 가끔 답답할때 있으시긴 할겁니다. 작업 못하는게 아니고 사람 욕심상 반응이 즉각오지가 않고 몇초 이상씩 멍때려야되는 경우가 계속 이어지면 이업글 욕심이 나게 되더군요.
사실 결과는 정해져있는데 포토샵 에펙은 옛날 프로그램이라서 cpu 싱글코어성능에따라 정해져있음 글카개입 거의없음 덤으로 글카 가속지원해서 엄청난 성능향상 그런거아님 글카가속시 흐림효과 선명도 개선 몇몇기능뿐 메모리 부족으로 글카 V램으로 끌어다 쓰는용도 특히 에펙은 메모리가 32G시작 (다다익램) 프리미어는 8코어이상cpu 영상편집시 글카에서 차이남 사진편집(영상편집x)이면 내장으로도 충분함
영상 편집 소스 1080P FHD의 해상도, 영상 비트레이트 10~20Mbps 작업 환경 기준으로 말씀 드리자면 보통 일반적인 유튜브 콘텐츠에서는 영상 컷편집+상단 로고 이미지 삽입+하단 말자막+배경음악 삽입 정도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영상미를 가미한 콘텐츠나 예능형 콘텐츠를 제작할 때는 프리미어 프로에서 영상 컷편집을 하고, 조정 레이어에 컬러 컬렉션(색교정 및 색보정 진행)을 적용, 영상 트랜지션 및 각종 이펙트 플러그인을 적용, 자료 이미지 및 오브젝트 이미지 삽입, 그래픽 에센셜(예능형 디자인 자막) 작업, 박스형 말 자막 삽입 등을 하고 프리미어 프로에서 랜더링이나 파일 출력 없이 바로 영상을 재생(프리뷰)하게 되면 윈도우 작업관리자의 작업 할당량 및 대역폭에서 CPU -> RAM -> SSD -> 그래픽카드 이 순서의 비중으로 작업량이 늘어납니다. 프리미어 프로에서 영상 타임라인의 상단바 색깔이 초록색, 노란색 상태면 별 문제 없이 프리뷰 재생이 되지만 빨간색으로 되어있는 영역의 영상을 재생하게 되면 GTX 1660 SUPER(VRAM 6GB) 포함 그 이하의 그래픽카드에서는 2~3초 가량 굼 뜨듯 버벅이며 재생이 되고, 영상 타임라인을 마우스로 드래그 하며 빠르게 살펴보는 프리롤 작업을 할 때 마우스 드래그 속도를 쫓아오지 못 하고 영상이 뚝뚝 거리면서 버벅입니다. 프리미어 프로 2019 이전 버전에서 그래픽카드는 랜더링이나 영상 파일로 출력 외에는 작업 할당량 비율이 20% 미만이었는데 프리미어 프로 2020 버전 이후부터는 프리뷰 재생시에도 60~70% 이상 작업량이 발생되는 걸로 봐서는 CPU와 RAM의 리소스를 다 빨아 먹으며 시피유 쿨러가 굉음을 내던 과거 시절과 다르게 프리미어 프로 버전이 올라갈 수록 점점 CPU와 RAM에 몰리던 작업 할당량이 그래픽카드로 분배되면서 CPU 부하는 줄어들고 그래픽카드의 의존도가 올라가는듯 합니다. 앞으로도 프리미어 프로의 버전이 업데이트 될수록 다양한 신기능, 이펙트, 플러그인, 특히 AI 연산 기능이 적용되면서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요하는 경우가 예상 되기도 하고요. 그래서 그래픽카드 성능이 낮을 경우, 프리미어 프로에서 트랜지션, 이펙트 플러그인 등을 적용 시키고, 세부 효과 패널을 원하는대로 조절하거나 잘 적용 됐는지 프리뷰 재생을 하다보면 그래픽 가속 기능 문제, 비디오 캐시 버퍼 메모리 부족, 다이렉트X11 오류 등의 문구가 자주 뜨면서 프리미어 프로가 먹통되거나 지 멋대로 종료되는 경우가 많아지니 작업 효율과 정신건강을 위해서 최소 RTX 3060(VRAM 12GB 버전)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 RTX 3070Ti ~ 3090Ti 라인, RTX 4070Ti ~ 4090 라인은 확실히 프리미어 프로 사용 목적에 과분한 그래픽카드가 맞습니다. 마지막으로 프리미어 프로에서 영상 프리뷰, 트랜지션 및 이펙트 플러그인 적용, 랜더링, 영상 파일 출력시 RAM도 꽤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RAM의 클럭스피드 보다는 여유로운 용량이 더 중요합니다. 4K 해상도에 비트레이트 40~60Mbps급 영상 소스라면 RAM 최소 64GB / 권장 128GB FHD 해상도에 영상 비트레이트 10~20Mbps급 영상 소스라면 RAM 최소 32GB / 권장 64GB * 그래서 RTX 3060 이상의 그래픽카드에 투자하기보다는 L2/L3 캐시 용량이 큰 다중코어 CPU와 RAM 용량에 투자하는게 이득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현재 Asus Rog Zephyrus Duo 16 GX650RW-LO108W 라는 제품을 사용중이고 사양은 R9 6900HX 현재 램: 64GB RTX 3070ti m.2 SSD 2TB 입니다. 그래픽 카드는 좀 과분하긴 하죠? 근데 작업할 때 그래픽 카드 사용률이 어쩔 땐 100%까지 올라갈 때도 있어서 조금 더 좋은 걸 써야됐나 생각이 든적이 있긴한데. 그래도 이정도 라인이면 충분히 괜찮게 쓸 순 있겠죠?
@@JSW_ac RTX 3060 이상만 되도 작업할 때 큰 차이점을 못 느꼈습니다 같은 시스템에서 RTX 3060이랑 3080이랑 바꿔서 비교 해봤었는데 프리미어 프로에서 FHD, 60프레임, 비트레이트 15Mbps, 10분짜리 영상 파일을 출력하는데 소요 시간이 서로 30초 이상 차이가 안 납니다 (그냥 컴퓨터 본체 내부 온도 컨디션이 달라서 생긴 차이가 아닐까 느낄 정도) 근데 프리뷰 재생이 매끄러움과 버벅임의 차이, 랜더링/영상 파일 출력 소요 시간 차이를 확 체감할 수 있던 영역은 역시 CPU 교체였습니다 인텔 12700K에서 12900K로 바꾸니까 확실히 타임라인에 올라간 영상 클립을 프리롤로 훑을 때 영상을 빨리 읽어들여서 그런지 부드러웠고, 랜더링이랑 영상 파일 출력 시간이 2분 이상 차이가 났습니다 아직도 CPU와 RAM이 프리미어 프로 작업에 중요 요소이긴 해서 그래픽카드는 RTX 3060 이상 되면 성능의 차이를 체감하지 못 했습니다 물론, RTX 4000 시리즈는 아직 써보지 못 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아무튼 적어도 인텔 12세대 CPU와 RTX 3000번대 시스템에서는 그랬어요
모든 세대에서 공통된 내용은 아니긴 하지만 대체로 비디오 디코딩, 인코딩에 영향을 끼치는 NVdec/NVenc는 70~90 보다 60계열에 들어가는 것이 더 신형에 상대적으로 고성능인 경우가 많습니다. 지원하는 비디오 코덱과 프로필 사양(비트 뎁스, 크로마 샘플링...), 지원 레벨(해상도, fps, 비트레이트 범위)이 달라집니다. 다른 사양이 모두 동일하고 같은 세대의 같은 NVdec/NVenc가 들어간 GPU라면 인코딩 작업시 오차 수준의 성능 차이만 나오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After Effect 같은 3D/ 준 3D 랜더링이 필요한 경우가 아닌 프리미어를 이용한 영상 편집이 중심이라면 70 이상의 Nvidia GPU 보다 60 계열의 GPU를 선택하고 여기서 절약되는 예산을 RAM과 고성능 저장장치 쪽으로 투자하는게 보다 투입 예산 대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됩니다.
전회사에서 5600G CPU만 달고 포토샵 써봤는데...의외로 이게 쓸만합니다? 다만 외장 그래픽을 써야한다면 포토샵은 Vram 2GB 이상을 써야 포토샵의 기능을 최대한 끌어서 쓸 수 있으니 글카 달거면 꼭 Vram 2GB 이상 달린걸 달아서 쓰는걸 추천합니다...뭐 요즘시대에 Vram 2G 이하는 거의 없겠지만 ㅎㅎ
3070 써야된대 4080 써야된대. 하면 속지 말고 확실히 성능이 확 좋아지는 4090으로 맞춰줘야 된다는 걸로 이해하겠습니다! "3060 뭐 이런 건 사봤자 어차피 지금 내 똥컴에 박혀있는 1660super 정도 밖에 성능이 안 나온다고 하네요.. 살거면 4090 사야된다고 여기 영상에 나왔어요!!" 모르면 암기 하자!
@@oski3334 비싸게 크리에이터 파는건 상관없습니다. 인공지능도요.. 그 대안인 게이밍 용도의제품을 같이 출시해야 하는데 그냥 닥치고 그거 사라고 하니 소비자 입장에서 기분이 나쁜겁니다. 진짜 기업용은 아예 안드로메다 가격으로 팔아서 기업도 벌벌 떨면서 사야하고요.
1060 3GB 로 대학교 과제 하는 사람입니다. 사용한 프로그램은 포토샵,3D맥스,프리미어를 중점으로 사용해본결과 포토샵은 레이아웃 갯수(일러스트작업),3D맥스는 점갯수(단어가 있는데 생각이 안나네여), 프리미어는 인코딩속도와 화질이 높아질수록 문제가 생겼는데 솔직히 문제생길정도의 과제는 없습니다! 나중에 졸업전 작품이나 개인창작 같은경우에는 문제생길수 있겠지만 그땐 알바해서 맞춥시다 대학생이잖아여>
그래도 예전 10년 15년전보다는 훨씬 인식개선이 많이된게.. 요즘에는 핸드폰도 100만원은 우습게넘어가고 폴더블이니 뭐 그런거는 200만원대까지도 하다보니 컴퓨터 한번살때 좋은걸로사서 오래쓰자 생각하면 200만원 300만원대까지 올라가더라도 크게 부담될정도로 비싸다고 생각되지는 않는거같네요..
라이젠5 버미어에 램 16g 3070ti 쓰고 에펙 프리미어 포토샵 쓰는중인데 별 문제 없이 돌아감. 3060까지면 최신게임은 아니더라도 웬만한 사양 덜타는 온라인게임 다 즐기고도 남고 업무용으로 쓰더라도 본인이 TA직군이나 하드웨어 리뷰어, qa테스터가 아닌이상 적당한 스펙임.
@@강동연-v4x 내 애면 프로세서 램 그래픽 카드 하나하나 네고해가면서 이게 니 목적에 맞는거냐 니 학습에 어울리는 기기냐 다 따져서 맞춰 줄 거임. 직접 조립이 가능한 부모이니 굳이 필요 이상 오버스펙에 들어갈 돈도 아끼고 목적에 맞는 정확한 아웃풋을 내면 되는것이니. 내자식은 아몰랑 따위는 내 면전에서 안통한다. 😂
영상은 특수영상 인코딩/디코딩 전용 엔진이 있어서 그래픽카드 성능이 좌우하긴 하지만. 포토샵이나 라이트룸같은 사진 작업은 극히 일부 작업을 제외하고는 GPU를 쓰지 않기세 CPU, RAM, SSD가 훨씬 중요해집니다. 추가로 메모리 용량은 프로그램 특성을 많이 타는 거 같아요.
이제 학생 여러분들은 이 동영상을 근거로, '엄마 나 대학교에서 애프터이펙트 하니까 4090이 필요해' 라고 말씀하시면 됩니다 .
등골 브레이킹 지리노 아 ㅋㅋㅋ
대학 등록금보다 컴퓨터가 더 비싸겠노 ㅋㅋ
파스돌려야되서 4090필요해
다빈치라는 좋은 핑계도 있습니다 ㅋㅋ
나 마야랑 c4d 해야되서 4090 필요해
비싼거 팔면 당사자도 좋은데 이런영상을 올리시는 마산아저씨 칭찬해요 ㅋㅋ
머라카노 나 촌놈 아이다 서울사람 아이가 ٩( 'ω' )و
딱 봐도 우리 아바이랑 같은 갱상도 이십니더
가게의 수익이 아닌 부모님들의 지갑을 신경써주는 가게
최근 나오는 게임 혹은 프로그램들이 V RAM 많이 잡아먹는게 많아서 그런 얘기가 나오는 것 같아요. 유명한 AI중 하나인 Stable Diffusion도 실제로 그래픽 카드 자체의 성능이 좋은 3070 3080 8g보다 3060 12g나 vram 높은 그래픽카드가 더 유용한 경우가 많더라구요. 정확히 말하면 vram 용량 자체가 작아서 작업 시도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생기기도 하더라구요.
하지만 4090이 있다면....
@@cerica8174 그건 24기가 ....
제가 집에서 stable diffusion 돌리는 사람인데 3070브램 8기가 부족한경우 자주 나오더라고요.
3080 8기가는 없는데요 3080은 10기가하고 12기가만 있는데요
그정도로 굴릴거면 솔직히 전문가용임
실제 유튜브 편집하는 지인이 있는데
그 친구도 비슷하게 말을 했었습니다.
그래픽카드 영향이 있긴하다.
근데 1660S 이상부터는 그 차이가 드라마틱하진않다.
그 이상급갈거면 글카에 돈쏟기보다 CPU 당기는게 훠어어어얼씬 도움이 된다
하지만 멋있으니까 난 4090 샀다.
라고 했습니다.
업스케일링 적용이 엔비디아 3천번때부 되는건 알고있음?
학생이 포토샵으로 뭘 할라는 건지는 모르겠는데 4k 화질 이상의 사진 작업 같은 것을 할거면 4090급이 필요하긴 할거에요.
그리고 Adobe 계열 프로그램들이 점점 더 그래픽 카드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어서 점점 좋은게 필요해져 가고 있긴 합니다.(특히 AI)
남편분들과는 달리 아이들에게는 자비가 없으신 허수아비 사장님😂
남편은 지가 번돈 눈치보고 쓰는거고 애새들은 남편이 쌔빠지게 번돈 사기치는거고. 경우가 다름
@@spongee22 선생님? 혜안이 대단하십니다
@@spongee22 1타
@@spongee22 인정
@@spongee22 글투가 이상해도 은근이 만족하는 수준에 글투^^
솔직하시네요
카드 회사도 비싼걸로 팔려고 비교 영상 안 만드는데
소매업자이신데 보드에 수치도 체크하시면서 설명을 하시네요
고맙습니다
제가 사람들에게 하고싶은 말이죠. 컴퓨타 가게는 친절보단 양심이다
정보) 부모님들은 이 영상의 존재도 모를것…..
아닌데.. 저 47살인데 구독자인데요 ㅎㅎㅎ
@@blacktiger-to7yi 아닌데.. 저희 부모님은 구독자아니신데요 ㅎㅎㅎ
@@blacktiger-to7yi 선생님 부모님께서는 구독자 아니시잖아요!
@@엘더스크롤 그건 맞는데요 제아들이 대학생이라서요 ..ㅎ
이 영상은 구매자가 아이들일때에 부모님에게는 유익하겠는데... 남편이 구매할 때에는 아내분들에게는 어떨런지...
영상 기준 2주 전에 3090을 90만원이라 고지(!!!)하는 허수아비님의 모습에 혼란스러움이 있네요. ㅋㅋㅋㅋ
요새 작업용 컴고민하고 있는 저에게 딱 좋은 영상이네요
부모님들 국가고시 그래픽자격증~ 포토샵 자격증 시험볼때 시험장 컴퓨터 사양이~보통 Intel Core i5 2GHz 이상 - 메모리: 16GB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1050 이정도 사양입니다~ 4090사달라고 하면~ 그냥 게임용 컴퓨터 사달라는 예기입니다^^
4090이면 게임용도 아님 ㅋㅋㅋㅋ게임용이면 본체로 200이면 충분함
00:00 사장님 한마디 하자마다 좌우에서 동시에 빵터지는 직원분들 보고 같이 빵터졌습니다ㅋㅋㅋ
'허수아비'에 대해 이미 모든걸 꿰뚫고 있는 훌륭한 직원분들이심..상줘야 됨ㅋ 💯
10년이상 그래픽작업 관련 실사용자입니다.포토샵은 그래픽카드 필요없어요.i5급 내장그래픽으로도 충분합니다.포토샵은 CPU 클럭빨이라 CPU 성능이 중요합니다.i5 12500 내장그래픽+RAM 32G 포토샵,라이트룸 돌리는데 쌩쌩 잘 돌아갑니다.또한 RAW 파일로 많은 양의 사진작업 할때는 램용량은 많으면 많을 수록 좋습니다.물론 고사양 게임하려고 일부러 고사양 그래픽카드 꼭 있어야 한다고 하는 분도 있겠지만 아직도 포토샵에 고사양 그래픽카드가 꼭 필요하다고 잘못 알고 계신분들도 상당히 많아서 몇자 적어봅니다.
1660 슈퍼 사용자입니다. 허수아비님 말씀대로 포토샵 이나 일러스트레이터 돌릴때는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프리미어나, 에프터이펙트 작업할때는 무리가 있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1660슈퍼 에서 더 업그레이드를 하고 싶지만, 와이프님께서, 무슨 차이가 있느냐?
게임하고 인터넷 사용하는데 아무문제 없지 않느냐... 라고 말했을때, 할말이 없었습니다.
프리미어나 에프터이펙트는 자주 사용하지는 않거든요....
간단한 음악커버 영상 만들때만 사용하는 부분인지라...
그러니까 결론은 허수아비님께서 속 시원하게, 잘 설명해 주셔서 와이프님에게 조금은 어필할수있는 영상이 됐지 않나...
저 스스로 생각하는 바입니다..ㅎㅎ
"이 영상은 아이들과 유부남들이 싫어하게 될 영상입니다"
집이 여유가 있으면 좋은 사양 사는 것이 낫고
또 너무 지금 상태의 사용에 정확하게 맞는 것 구입 하면 금방 새로 바꿔야 합니다.
한번 구입해서 최소 몇년은 잊어버리고 사용하는 정도로 마추는 것이 더 이득입니다.
ㅋㅋㅋㅋㅋ좋은 정보감사해요😊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 👏🏻
포토샵을 어떤용도로 사용 하느냐에 따라서 그래픽카드 성능도 중요합니다..
포토샵이 계속 업그레이드 되면서 ai 기능들이 많이적용 되서 고성능의 그래픽카드 를 필요로 합니다..특히 고화소 사진들 리터칭 할때면...ㅠ
명확한 답이네요 ^^ 항상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고생하시네요😊
엄마 나 게임 할래라고 하면 등짝각이기 때문.
다음부터는 블렌더를 쓰고 광원효과 렌더링해야하니 4090을 사야한다고 말하고 다니라고 말씀을 해주십쇼
AI 관련 공부하거나 하게되면 직접 렌더링 할텐데.. 그러면 아마 V ram을 상당히 많이 씁니다.
스테이블 디퓨젼으로 큰사이즈 해상도 조금 높은 사진 뽑을라고 했지만 4080 16기가로 모질랐습니다.
나중에 업데이트 되면 좀 나아질수도 있겠지만요 ㅎㄹ
xformers cudnn 옵션 설정하시면 속도 2배됩니다
@@tayan5951 와드
@@tayan5951 빨라진다는 의미가 고해상도 이미지가 된다는 말인가요? 아니면 그냥 뽑아내는게 빨라진다는 말인가요?
저는 큰이미지 + 업스케일링 2만 넘어도 이미지 뽑아낼때 중간에 V램이 모질랄때가 많았거든요..
팁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햇살을느껴봐 생성속도가 향상됩니다.
@@arbores9593 네 고해상도 + 큰 이미지 생성시에는 V램 모자른거는 방법이 없는 것이지요?
올해 한번 더 포토샵 테스팅 해보면 좋을 거 같아요. 이제는 자체 AI기능이 탑재 되다가 보니 그래픽카드의 중요성도 더 높아 진 거 아닌가 궁금하네요.
결혼 13년만에 온갖 애교와 집안일을 열씸히해서 와이파이님에게 4090을 받았습니다.
반지의제왕, 반지 원정대의 출범하는 마음으로 13년을 기다렸다가 컴터를 바꿨네요.
ㅇㅇ 미안.. 사모인 이 영상 보시길 바래요 o(^▽^)o
ㅋㅋㅋㅋ저 대학교 졸업하고 이영상이 올라와서 다행이네요 ! 엄마아빠미안ㅋㅋ..
그냥 컴사는 목적이 타임스파이 3만 6천점 나오는게 목표라고 하면 허수아비님도 4090을 납득할수밖에 없을겁니다.
오늘도 의미있는 실험 감사합니다
포토샵 뭘로 테스트를 하신 건지 작년이라면 맞을 수도 있는 얘기지만
3-4월? 어도비 업데이트 후 그래픽카드 성능이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단순히 몇 퍼 몇십 퍼센트가 아니라 10초 걸릴 거 4-5분 길게는 25분 이상도
걸려요 다음에 하실 땐 포토샵으로 밥 먹고 사는 분들한테 뭘 테스트를 해야
성능차이를 제대로 볼 수 있는지 알아보고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 그럭저럭 끼우면 결국 중고로 팔고 더 고사양 사야 하는데 그 손해를
이 영상만 보고 믿으신 분들이 그대로 떠안아야 할 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많이 배워갑니다.^^
0:38 아이씨... 비교를 저렇게 하면 어떻해. 대답 저리 나오는 건 당연하지.
포토샵을 위해 4090을 단다! 가슴이 웅장해진다....
컴터 잘 모르는 나 같은 사람들도 귀에 쏙쏙 박힘
요즘은 그래픽잡업도 AI를 활용하기도 해서, 만약 포토샵이라고 해도 AI플러그인 활용하고 그러면 그래픽 사양좀 탈것 같습니다. 실제로 현업에있는 디자이너들조차 AI를 쓰고있다고 하니...
학생일때는 겜할꺼 아니면 좋은 PC 필요 없다라는 생각이었는데, 왁타버스 영상들을 보고 나서는 ...
좋은 벤치테스트 감사합니다. 요즈음 VGA카드의 가격이 참 후덜덜합니다.
프리미어 같은 동영상 인코딩은 그래픽카드의 쿠다코어가 아니라 전용 인코딩 칩을 써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네요 전용 인코딩 칩은 같은 세대 내에 등급 차이보다 세대별 차이가 커서..
프리미어는 그래픽카드보다 인텔cpu를 써야 속도가 배는 빨라집니다 인텔 cpu 내장 그래픽이랑 연산을 공유하는 기능이 있어요 vram은 모자르면 시스템 메모리를 가져다 쓰기때문에 많으나 적으나 별차이 못느꼈음
좋은 컴터 쓰고싶은 마음은 알지만 처음 컴터 쓸때 4090같은거 쓰면 관리를 제대로 못해서 700만원짜리 4년쓸꺼 2년 쓰니 좀 낮은거로 사서 부담도 덜고 욕도 덜먹든지 아님 공부를 빡세게해서 관리를 잘해줄지가 중요한듯요
벼룩시장 시절도 아니고 나머지는 알바해서 중고 업그레이드가 등골브레이크 안하는것임.
일러스트 전문가로 항상 그래픽카드는 젤 싼거 달았는데 요즘 진지하게 4070이상 고민중임 ai 쓰는거 못따라가면 뒤처질게 눈에 보임
설명 해 놓고 가요
포토샵이나 영샹편집은 그래픽코어를 쓰는게 아니라 영상편집은 디코더 인코더를 쓰고 포토샵은 cpu와 램을 씁니다.
현재 엔비디아는 암묵적으로 60이상의 시리즈에는 최신 디코더 인코더를 넣고 있죠. 따라서 세대는 유의미하지만 급올리기는 무의미합니다.
(사실 인텔 내장도 적당한 품질에 속도도 나름 빨라ㅇ 거기에 프리뷰 재생도 기가막히게 해주고..읍읍 내장으로 원하시면 i5 12500이상)
그러나 코어를 갈구는 작업(3D작업)에서는 코어를 갈구기 때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대학 진학하지 않았다면 조립컴퓨터 사장님이 될 뻔 했던 지나가던 컴공생-
부모님이 어렵게 번 돈 허튼데 쓰지 못하게 합시다~
초딩5학년 3070쓰는중인 아들 ㆍㆍㆍㆍ
나: 게임을 할꺼면 확실하게 해라
5800x 3070비전 b550 비전 시금치8x2
골드 750w를
5800x3d+4080울트라+cl8 4000 32g+sfp 1000플티넘+pm9a1 2t 로 업글해줌
(사고보니 메인보드 쿨러 케이스 빼고 다바꾼 ㆍㆍㆍ 걍 새로살껄 ㆍㆍㆍ)
모니터는 28인치 2560 x 1440(QHD)/픽셀피치: 0.22908mm/최대 주사율: 165Hz/1ms/400cd/1,000:1/5,000,000:1
SRGB 145%
진심 초딩글카로 4080강추
인정😊
@@퇴직금50억미만잡 혹시 입양 받으시는지요.
@@퇴직금50억미만잡 ㄹㅇ진심 그냥 새로했으면 2대일텐데...
@@퇴직금50억미만잡 응애
에펙은 글카가 영향을 많이 받아요 특히 랜더링할때는 좀더 빨라지고 레이어가 많아지면 버벅이는게 덜해집니다.ㅎㅎ
프리미어 정도로만 말햇어도 틀린말은 아닌데 대학생 학생이 예를 잘못 들었군요.
프리미어도 단순 색보정시 그래픽카드 중요도는 낮다고 하는데 사용해 보면 그래픽 카드 VRAM 중요합니다.
적어도 8기가까지는 충분히 하드웨어 가속시 잘 활용 하니깐요.
또한 영상 편집 하는 사람이 프리미어만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그래픽카드 VRAM 필수로 사용하는 프로그램도 많아서 단순이 영상용 노트북은 그래픽카드 안 중요해라고 말할수 없습니다.
8K 편집 인코딩을 해오면서 조금의 장비 차이가 몇시간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단지 5분짜리 영상이요.
그러나 어머님들이 과연 이 채널의 영상을 볼까??!
회색옷 직원분 말이 계속 짤리는게 재미있네요 ㅋㅋㅋㅋㅋ
27년차 디자이너입니다. 포토샵, 일러 작업하는데, 7950x3d, 4090으로도 부족합니다. 속지마세요.
아들 운전연습할게 마이바흐 한대만 뽑아줘~~
예전 공고다닐때 시골부모님들한테 선반사야한다고햇다던예기를들은적이있죠
이번 영상의 핵심은 3060 12기가 단종되기 전에 빠르게 작업용도로 맞추실 분들은 결정하시라는 무언의 정보..로 이해하면 될것 같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포토샵 용도로 CPU는 어떤걸 추천하시나요?
윈도우 환경에서 프리미어, 애프터이펙트는 인코딩과 렌더링 성능에 관련된 "Mercury Playback Engine(MPE) GPU 가속"을 지원하는 nVidia 계열 그래픽 카드가 유용하고 비디오램 크기보다 cuda 코어 갯수가 더 중요합니다. AMD는 MPE를 OpenCL로 지원합니다.
포토샵은 ATi 시절부터 nVidia보다 체감 성능이 좋았습니다. 브라운관 iMac 시절에도 PC보다 사양이 낮은 맥에서 사용하는 포토샵이 훨씬 부드럽게 돌아갔죠. 그래서 AMD 계열 그래픽 카드가 포토샵 퍼포먼스는 더 좋을 겁니다.
제 경험으로도 포토샵까지 하실것이라면 진짜 아무 차이 없습니다. 옛날 컴퓨터나 지금 컴퓨터나 차이가 없음. 근데 프리미어 들어가면, 성능이 1660급 아래는 먹통아닌 먹통이 너무 많이 일어나고 중첩작업 많이 할 엄두 절대 못내는데, 그 이상부터는 그 간헐적 먹통 횟수와 쾌적함이 단계별로 좋아집니다. 그럼에도 어디 이상 레벨부터는 정말 쾌적하다 이런느낌이 아닌 정말 단계별로 조금씩 나아지는듯. 지금 5950x에 3070으로 나름 양호한 사양인데도 항상 업그레이드 생각이 간절합니다. 과거는 단순컷편집 아닌 이상 작업이 불가능이라 업글이 불가피했다면 지금은 더 쾌적함을 위한 업글욕심이 차이입니다. 프리미어 에펙은 마지노선이 아닌 허락하는한 cpu는 일단 최고급, 그래픽도 경제상황 맞춰서 최고사양 올리는게 맞다고 봅니다.
12600K + 3070 + 32GB 조합인데 끊김없이 여유롭게 가능할까요? 프리미어 기준으로요
@@user-gu6ui7pj3u 무슨 작업할지 패턴에 달려있습니다.
그냥 촬영한 fhd동영상 컷편집에 자막정도면 훌륭하고요, 4k기반이나 fhd라도 이런저런 그래픽요소 많이 올리고 프리미어내에서 이런저런 프로젝트파일 동시에 띄어서 긁어오고 하는 작업하게 될 정도로 작업하신다면 가끔 답답할때 있으시긴 할겁니다. 작업 못하는게 아니고 사람 욕심상 반응이 즉각오지가 않고 몇초 이상씩 멍때려야되는 경우가 계속 이어지면 이업글 욕심이 나게 되더군요.
평가부분은 부득이하게 렌더링 시간으로 하지만 실사용자입장에서 렌더링시간은 큰 의미없음. 프리뷰 쾌적함이 핵심. 작업 끝내고 몇분 놀다오면 끝나는거가 중요한게 아님. 작업중에 명령내린게 즉각 반응해주는게 핵심인데 그건 점수화하기 힘든게 문제.
결국 잼민이들 빌런이 되셨군요
속을뻔했네요. 잘봤습니다.
영상 편집이라든지 포토샵 작업의 경우 CPU능력과 RAM 능력이 압도적으로 VRAM 능력보다 우선시 됩니다. 실험하셨던 것처럼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는 이유는 실험에 사용하신 CPU와 RAM이 동일했기 때문입니다.
영상 내용은 그래픽카드 아껴서 메모리 시퓨 업을 항라는 취지가 아닐까요
네 맞습니다.포토샵은 CPU 클럭빨이라 CPU성능이 제일 중요하고 램은 32G이상이면 충분하고 전문적으로 많은 양의 RAW파일을 변환하려면 램이 많을 수록 좋죠.
사실 결과는 정해져있는데
포토샵 에펙은 옛날 프로그램이라서 cpu 싱글코어성능에따라 정해져있음 글카개입 거의없음
덤으로 글카 가속지원해서 엄청난 성능향상 그런거아님
글카가속시 흐림효과 선명도 개선 몇몇기능뿐
메모리 부족으로 글카 V램으로 끌어다 쓰는용도
특히 에펙은 메모리가 32G시작
(다다익램)
프리미어는 8코어이상cpu 영상편집시 글카에서 차이남
사진편집(영상편집x)이면
내장으로도 충분함
어머님들 이 영상에 속지 마세요
프리미어 프로나 포토샵 등도 한다 그랬지
겜을 안한다고 한 건 아닙니다 ㅋㅋㅋㅋ
이건 영상에 속는게 아니라 ㅋㅋㅋ 아이들 한테 부모님이 속는거 아닙니까 ㅋㅋㅋㅋ😂
영상 편집 소스 1080P FHD의 해상도, 영상 비트레이트 10~20Mbps 작업 환경 기준으로 말씀 드리자면
보통 일반적인 유튜브 콘텐츠에서는 영상 컷편집+상단 로고 이미지 삽입+하단 말자막+배경음악 삽입 정도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영상미를 가미한 콘텐츠나 예능형 콘텐츠를 제작할 때는 프리미어 프로에서 영상 컷편집을 하고, 조정 레이어에 컬러 컬렉션(색교정 및 색보정 진행)을 적용, 영상 트랜지션 및 각종 이펙트 플러그인을 적용, 자료 이미지 및 오브젝트 이미지 삽입, 그래픽 에센셜(예능형 디자인 자막) 작업, 박스형 말 자막 삽입 등을 하고 프리미어 프로에서 랜더링이나 파일 출력 없이 바로 영상을 재생(프리뷰)하게 되면 윈도우 작업관리자의 작업 할당량 및 대역폭에서 CPU -> RAM -> SSD -> 그래픽카드 이 순서의 비중으로 작업량이 늘어납니다.
프리미어 프로에서 영상 타임라인의 상단바 색깔이 초록색, 노란색 상태면 별 문제 없이 프리뷰 재생이 되지만 빨간색으로 되어있는 영역의 영상을 재생하게 되면 GTX 1660 SUPER(VRAM 6GB) 포함 그 이하의 그래픽카드에서는 2~3초 가량 굼 뜨듯 버벅이며 재생이 되고, 영상 타임라인을 마우스로 드래그 하며 빠르게 살펴보는 프리롤 작업을 할 때 마우스 드래그 속도를 쫓아오지 못 하고 영상이 뚝뚝 거리면서 버벅입니다.
프리미어 프로 2019 이전 버전에서 그래픽카드는 랜더링이나 영상 파일로 출력 외에는 작업 할당량 비율이 20% 미만이었는데 프리미어 프로 2020 버전 이후부터는 프리뷰 재생시에도 60~70% 이상 작업량이 발생되는 걸로 봐서는 CPU와 RAM의 리소스를 다 빨아 먹으며 시피유 쿨러가 굉음을 내던 과거 시절과 다르게 프리미어 프로 버전이 올라갈 수록 점점 CPU와 RAM에 몰리던 작업 할당량이 그래픽카드로 분배되면서 CPU 부하는 줄어들고 그래픽카드의 의존도가 올라가는듯 합니다.
앞으로도 프리미어 프로의 버전이 업데이트 될수록 다양한 신기능, 이펙트, 플러그인, 특히 AI 연산 기능이 적용되면서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요하는 경우가 예상 되기도 하고요.
그래서 그래픽카드 성능이 낮을 경우, 프리미어 프로에서 트랜지션, 이펙트 플러그인 등을 적용 시키고, 세부 효과 패널을 원하는대로 조절하거나 잘 적용 됐는지 프리뷰 재생을 하다보면 그래픽 가속 기능 문제, 비디오 캐시 버퍼 메모리 부족, 다이렉트X11 오류 등의 문구가 자주 뜨면서 프리미어 프로가 먹통되거나 지 멋대로 종료되는 경우가 많아지니 작업 효율과 정신건강을 위해서 최소 RTX 3060(VRAM 12GB 버전)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 RTX 3070Ti ~ 3090Ti 라인, RTX 4070Ti ~ 4090 라인은 확실히 프리미어 프로 사용 목적에 과분한 그래픽카드가 맞습니다.
마지막으로 프리미어 프로에서 영상 프리뷰, 트랜지션 및 이펙트 플러그인 적용, 랜더링, 영상 파일 출력시 RAM도 꽤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RAM의 클럭스피드 보다는 여유로운 용량이 더 중요합니다.
4K 해상도에 비트레이트 40~60Mbps급 영상 소스라면 RAM 최소 64GB / 권장 128GB
FHD 해상도에 영상 비트레이트 10~20Mbps급 영상 소스라면 RAM 최소 32GB / 권장 64GB
* 그래서 RTX 3060 이상의 그래픽카드에 투자하기보다는 L2/L3 캐시 용량이 큰 다중코어 CPU와 RAM 용량에 투자하는게 이득입니다.
🌱
고마워요, 스피드왜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현재 Asus Rog Zephyrus Duo 16 GX650RW-LO108W
라는 제품을 사용중이고 사양은
R9 6900HX
현재 램: 64GB
RTX 3070ti
m.2 SSD 2TB
입니다. 그래픽 카드는 좀 과분하긴 하죠?
근데 작업할 때 그래픽 카드 사용률이 어쩔 땐 100%까지 올라갈 때도 있어서 조금 더 좋은 걸 써야됐나 생각이 든적이 있긴한데. 그래도 이정도 라인이면 충분히 괜찮게 쓸 순 있겠죠?
@@JSW_ac RTX 3060 이상만 되도 작업할 때 큰 차이점을 못 느꼈습니다
같은 시스템에서 RTX 3060이랑 3080이랑 바꿔서 비교 해봤었는데 프리미어 프로에서 FHD, 60프레임, 비트레이트 15Mbps, 10분짜리 영상 파일을 출력하는데 소요 시간이 서로 30초 이상 차이가 안 납니다 (그냥 컴퓨터 본체 내부 온도 컨디션이 달라서 생긴 차이가 아닐까 느낄 정도)
근데 프리뷰 재생이 매끄러움과 버벅임의 차이, 랜더링/영상 파일 출력 소요 시간 차이를 확 체감할 수 있던 영역은 역시 CPU 교체였습니다
인텔 12700K에서 12900K로 바꾸니까 확실히 타임라인에 올라간 영상 클립을 프리롤로 훑을 때 영상을 빨리 읽어들여서 그런지 부드러웠고, 랜더링이랑 영상 파일 출력 시간이 2분 이상 차이가 났습니다
아직도 CPU와 RAM이 프리미어 프로 작업에 중요 요소이긴 해서 그래픽카드는 RTX 3060 이상 되면 성능의 차이를 체감하지 못 했습니다
물론, RTX 4000 시리즈는 아직 써보지 못 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아무튼 적어도 인텔 12세대 CPU와 RTX 3000번대 시스템에서는 그랬어요
@@나아니야연대기 그럼 역시 글카 보다는 램과 CPU를 중점으로 써야겠네요. 현재 쓰는 R9 6900HX도 성능은 나쁘진 않은 것 같네요. 그래도 7000번대 보다는 성능이 좀 떨어지겠죠?
프리미어 프로에서 4090 어마어마하군요.. ㅎㅎ
요즘은 내장그래픽도 많이 발전해서 너무 무거운것만 아니면 웬만해선 돌아가죠
와 1660은 아직까지도 팔리나보네요 ㄷㄷ
저가형으로 나온 제품이라 계속 생산됩니다. 1030도 신제품 생산되요...
명기 ㄷㄷ
포토샵같은 경우 그래픽 카드보다 cup쪽이 크고
프로로 넘어가면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보조해주는 것이 있어서 차이가 약간 존재하는 것로 보입니다.
동영상 편집 하실거면 인텔 내장 그래픽으로 퀵싱크 돌리는 것이 최고입니다. 가성비로도 아주 좋습니다!
퀵싱크 어케 돌리나요
모든 세대에서 공통된 내용은 아니긴 하지만 대체로 비디오 디코딩, 인코딩에 영향을 끼치는 NVdec/NVenc는 70~90 보다 60계열에 들어가는 것이 더 신형에 상대적으로 고성능인 경우가 많습니다. 지원하는 비디오 코덱과 프로필 사양(비트 뎁스, 크로마 샘플링...), 지원 레벨(해상도, fps, 비트레이트 범위)이 달라집니다.
다른 사양이 모두 동일하고 같은 세대의 같은 NVdec/NVenc가 들어간 GPU라면 인코딩 작업시 오차 수준의 성능 차이만 나오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After Effect 같은 3D/ 준 3D 랜더링이 필요한 경우가 아닌 프리미어를 이용한 영상 편집이 중심이라면 70 이상의 Nvidia GPU 보다 60 계열의 GPU를 선택하고 여기서 절약되는 예산을 RAM과 고성능 저장장치 쪽으로 투자하는게 보다 투입 예산 대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됩니다.
신입생이 이 영상을 싫어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젠 "엄마 나 AI할래. 4090 4대 사줘!" 이럴지도..
???: colab 이라는 거 내가 가르쳐주마! 아들아!
나중에 인텔 아크 시리즈도 한번 평가해주세요 ㅎ 드라이버 업뎃이후로 많이 올라왔다더라고요
전회사에서 5600G CPU만 달고 포토샵 써봤는데...의외로 이게 쓸만합니다? 다만 외장 그래픽을 써야한다면 포토샵은 Vram 2GB 이상을 써야 포토샵의 기능을 최대한 끌어서 쓸 수 있으니 글카 달거면 꼭 Vram 2GB 이상 달린걸 달아서 쓰는걸 추천합니다...뭐 요즘시대에 Vram 2G 이하는 거의 없겠지만 ㅎㅎ
3070 써야된대 4080 써야된대. 하면 속지 말고 확실히 성능이 확 좋아지는 4090으로 맞춰줘야 된다는 걸로 이해하겠습니다!
"3060 뭐 이런 건 사봤자 어차피 지금 내 똥컴에 박혀있는 1660super 정도 밖에 성능이 안 나온다고 하네요.. 살거면 4090 사야된다고 여기 영상에 나왔어요!!"
모르면 암기 하자!
포토샵이 그림이 커지면 그래픽카드가 좋아야 하는데요 그릴때 축소 확대만 해봐도 차이가 확 날텐데요 로딩하다 시간 다가요
슬픈 이야기이지만... 적당한 가속 능력과 12g 메모리를 탑재한 4070 이 생산성 용도로 최적 제품입니다. 다음에도 이런식으로 엔디비아가 삽질한다면 게이밍 용도로는 추천하기가 힘들거 같아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rtx도 스튜디오 드라이브를 밀면서 이제 크리에이터 용에 가깝게 만들어서 비싸게 해먹으려는 황사장의 횡포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dlss3, 전성비, 추가로 크리에이터 환경 최적화로 비싸게 우린거 맞아요.
@@oski3334 비싸게 크리에이터 파는건 상관없습니다. 인공지능도요.. 그 대안인 게이밍 용도의제품을 같이 출시해야 하는데 그냥 닥치고 그거 사라고 하니 소비자 입장에서 기분이 나쁜겁니다. 진짜 기업용은 아예 안드로메다 가격으로 팔아서 기업도 벌벌 떨면서 사야하고요.
다이렉트x기반이니 같이 묶여서 팔면 남는장사 경쟁사 없으니 대용없는건 ㅎㅎ
우리는이일을기억할것입니다😢
오. 16초전 영상! 잘보겠습니다!
솔직히 편집에서는 외장글카보다는 램이나 인탤쓴다면 인텔 내장을 더 많이 잡아먹습니다. 편집이나 포토샵 정도는 1660s 선에서 모두 정리 가능하고 고사양 글카는 딥러닝이나 ai관련 기술을 할때 필요할겁니다.
캥거루 주머니속에 있기 때문에 ..현실을 모르죠 ..!! 당연히 4090 사달라 하겠죠 .. !!
잼민이들이 이 영상을 싫어합니다
요즘 유행하는 AI 이미지 학습에는 비디오 램이 많은 게 좋을 것 같습니다. 3060 12g는 그래픽 작업자에게는 3060TI보다 더 현실적으로 현명한 옵션입니다. 게임 하는 애들은 TI가 더 좋겠죠.
어도비 계열은 잘 모르겠지만, 1660ti로 다빈치리졸브 fhd, fx기능 좀 쓰면 vram 부족으로 꺼진적이 있습니다.. 4k급영상 단순컷편집도 vram 많이 잡아먹더군요.. 개인적으로 영상편집은 무조건 vram 많은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1060 3GB 로 대학교 과제 하는 사람입니다. 사용한 프로그램은 포토샵,3D맥스,프리미어를 중점으로 사용해본결과 포토샵은 레이아웃 갯수(일러스트작업),3D맥스는 점갯수(단어가 있는데 생각이 안나네여), 프리미어는 인코딩속도와 화질이 높아질수록 문제가 생겼는데 솔직히 문제생길정도의 과제는 없습니다! 나중에 졸업전 작품이나 개인창작 같은경우에는 문제생길수 있겠지만 그땐 알바해서 맞춥시다 대학생이잖아여>
1060ti는 누구누?
@@tenal6643 댓글 보고 CPU-Z로 확인하니 1060 3GB 네요. 알려줘서 감사합니다. (꾸벅)
@@소라민-t3v ㅇㅎ
요즘은 포토샵 ai 복원,확대,노이즈 삭제 등...이 cpu가 아닌 그래픽 카드가 거의100% 적용되어 그래픽카드가 좋아야 합니다
적어도 포토샵은 내장그래픽에 램 올리는게 최고죠...(글카 값으로 램이랑 시퓨!) 대학생들 미안.. 나도 이제 부모 입장이라.. (애는 어리지만) 쿨럭
ssd 도 중요하긴하죠 ㅋ
네 i5 이상급 내장으로 충분합니다.10년이상 i5 내장그래픽으로 포토샵 라이트룸 잘 쓰고 있습니다.램은 32G이상 추천입니다.
고사양 홈컴은 1660 슈퍼면 되겠군요. 혹시 시피유가 어느 정도면 좋을까요? 아참 램은 32기가로 해서요...
그래도 예전 10년 15년전보다는 훨씬 인식개선이 많이된게..
요즘에는 핸드폰도 100만원은 우습게넘어가고 폴더블이니 뭐 그런거는 200만원대까지도 하다보니
컴퓨터 한번살때 좋은걸로사서 오래쓰자 생각하면 200만원 300만원대까지 올라가더라도 크게 부담될정도로 비싸다고 생각되지는 않는거같네요..
제가 보기에 앞으로 그래픽 작업에는 AI를 돌리는 일이 많을 것 같은데.. AI에는 고성능 그래픽카드와 CPU가 필요하지 않나요? 이 부분도 조사해주세요 ^^ (애들도 명분이 필요함....)
라이젠5 버미어에 램 16g 3070ti 쓰고 에펙 프리미어 포토샵 쓰는중인데 별 문제 없이 돌아감. 3060까지면 최신게임은 아니더라도 웬만한 사양 덜타는 온라인게임 다 즐기고도 남고 업무용으로 쓰더라도 본인이 TA직군이나 하드웨어 리뷰어, qa테스터가 아닌이상 적당한 스펙임.
아 몰랑 4090 최고
@@강동연-v4x 내 애면 프로세서 램 그래픽 카드 하나하나 네고해가면서 이게 니 목적에 맞는거냐 니 학습에 어울리는 기기냐 다 따져서 맞춰 줄 거임. 직접 조립이 가능한 부모이니 굳이 필요 이상 오버스펙에 들어갈 돈도 아끼고 목적에 맞는 정확한 아웃풋을 내면 되는것이니. 내자식은 아몰랑 따위는 내 면전에서 안통한다. 😂
영상은 특수영상 인코딩/디코딩 전용 엔진이 있어서 그래픽카드 성능이 좌우하긴 하지만. 포토샵이나 라이트룸같은 사진 작업은 극히 일부 작업을 제외하고는 GPU를 쓰지 않기세 CPU, RAM, SSD가 훨씬 중요해집니다. 추가로 메모리 용량은 프로그램 특성을 많이 타는 거 같아요.
유튜브 편집자 하고.. 단편영화4k 편집하고 에펙 모션그래픽 하는데 i5 7세대에 1060ti로 고등학교 3년 동안 컴이 버텨준거에 감사해야하는 거였… 어쩐지 버벅거리고.. 꺼지고하더라…. 올해 대학교 입학하고 시포디 방학때 독학예정인데… 3060으로라도.. 업글 해야겠네여….
CPU와 램에 따른 결과도 같이 보여주면 좋을것 같아요!!
학생들이 이 영상을 싫어합니다.
컴퓨터 사고싶으면 직접 벌어서 사세요 부모님 돈도 땅에서 그냥 나오는게 아닙니다.
보면서도 모르겠어요 ㅜ.ㅜ 결국 어떤걸 사야하나요...
부모님, 죄송합니다. 힘들게 버신 돈 아무 생각없이 쓰고 다녔습니다ㅠㅠ
결론 : 대머리 아저씨는 착한 아저씨다...😡😡😡
엄빠가 바보가 아님. 뭐 그런거 해보겠다하면 지인들중에 그런거 하는 사람한테 일단 물어보겠지
게임도. 포토샵.프로미어.에프터.3디맥스 등 올라운드에 가장좋은것은 ARC 770 입니다~ 인텔 최적화 무시 못하요~
4k 6k 다빈치 작업하려면 1660급은 힘들던데 3060은 가야할 듯... 전 한계 느꼈네욥
같은 돈이면 CPU에 투자하는 게 훨~~씬 낫지 않나요? 13100+4090보다 13900+1050이 훨씬 빠를 것 같은데.. 가격은 후자가 넘사벽으로 저렴하구요
아니 선생님 왜 하필 소나타입니까... ㅠ_ㅠ
아아악 엄마가 이걸 봐버렸어!! 봐버렸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