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급한 구글, 회심의 AI 챗봇 바드 공개 대참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окт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863

  • @박성원-l4d
    @박성원-l4d Год назад +919

    메타버스 NFT 한창 유행할때 저걸로 뭘 하나 이런생각 부터 들었는데 챗GPT는 진짜 뭔가 큰거 오고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 @빌-m6f
      @빌-m6f Год назад +192

      솔직히 메타버스, NFT만큼 거품인 키워드가 없다고 생각함

    • @물요주세요
      @물요주세요 Год назад +120

      Nft는 개소리고 챗gpt같은게 있어야 메타버스가 제대로 돌아가겠지

    • @englishmutton
      @englishmutton Год назад +22

      작년 초에 산 메타버스 테마주는 마이너스 80퍼센트인데 엔비디아는 생각지도 않았는데 수익이 급격히 좋아졌네요

    • @박성원-b3j
      @박성원-b3j Год назад +1

      ?

    • @user-ly8rz5my7k
      @user-ly8rz5my7k Год назад +37

      @@ceasel 동감임 코인은 거품일지라도 블록체인 자체는 거품이 아니기 때문에 결국 nft는 살아남을거임

  • @닐라도
    @닐라도 Год назад +969

    구글이나 메타같은 세계적인 기업도 언제든지 날라갈수 있는 위기가 있다는게 경쟁이 참 치열하네요

    • @고양이와개구리-u9q
      @고양이와개구리-u9q Год назад +83

      큰 기업도 트렌드를 놓치거나 실수를 하거나 불법을 저지르면 날아가야 하는데.....

    • @단우-j8r
      @단우-j8r Год назад +63

      제조업이 아닌이상은 한순간이죠 제조업도 몇년못버티는 기술발전이니

    • @도로시-h6y
      @도로시-h6y Год назад +51

      그들도 그리해서 올라왔다는것이 현실

    • @Omoknuni1
      @Omoknuni1 Год назад +32

      걔내도 다른애들 밟고 올라온거임ㅋㅋ
      난 밟힐때가 되었다고 봄

    • @iililililiilillililil
      @iililililiilillililil Год назад +57

      it는 워낙 빠르게 발전하니까 트렌드 놓치는게 진짜 큰듯...구글같은 머기업도 언제든 바이든 당할수 있다는게;;

  • @Shsuususus
    @Shsuususus Год назад +26

    현대차가 자율 주행차 들고 왔는데, 하필 부산 골목 들어가서 길 못 찾는 꼴;

  • @1st_kiki
    @1st_kiki Год назад +347

    Chat GPT를 활용해서 업무에 적절히 배합하고 있는데 변수랑, 내용을 세부적으로 구체적으로 통제해주고 세부적으로 지시하면 매우 그럴써한 Ai참모로 운영할수있습니다. 구글이 ai챗봇을 개발하고 경쟁이 붙는다면 전 사무직들의 업무 효율이 매우 높아질수있다.. 반대로 인원수요가 급감할지도??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 @김바보-g8k
      @김바보-g8k Год назад +29

      원래 10만큼의 일을 하는사람이
      ai로 20 만큼 일하게되면 사람을 한명 해고하기 보단 업무량이 20으로 변하는거 뿐일듯...

    • @user-ml6bl2wp8w
      @user-ml6bl2wp8w Год назад +70

      @@김바보-g8k 대부분의 기업들은 타기업으로부터 주문량을 받는건데
      일처리가 2배빨라졌다고해서 주문량이 2배늘어나진않죠
      그럼 사람을 줄이겠죠

    • @Doubleshot-cp6iv
      @Doubleshot-cp6iv Год назад +9

      Ai 참모로 활용하는게 굿이죠 👍
      챗GPT로 도출된 자료 활용 여부의
      의사결정권은 휴먼에게!
      챗GTP가 검색기 상위호환이라는 얘기도 들리고 자체로 디바이스는 아니죠.
      그렇지만 컴퓨터나 핸드폰처럼
      인간 두뇌가 의존할 수 있는, 두뇌를 확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툴의 탄생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 @redi-dev
      @redi-dev Год назад +15

      확실히 도움이 되는건 맞는데 이게 틀린 정보를 그럴듯하게 주는 경우가 상당해서 전문지식이 뒷받침되긴 해야할거같아요
      지금 수준에서 레퍼런스 체크만 잘 되면 좋겠는데 자료가 사라진건 그럴수 있다 쳐도 링크를 지 맘대로 만드는 케이스는 좀 없었으면 합니다.

    • @WNavi
      @WNavi Год назад +5

      @Ciénega 사회는 더 복잡해지기 때문에 일이 줄어들지는 않조. 단순노동에 필요한 인원이 줄어들수는 있겠네요.

  • @PPongPong
    @PPongPong Год назад +2

    15:40 저게 하나 하나 올라갔다 떨어지구 그러는데, 결국 다 하나로 수렴될 꺼고 또 그래야 하는 것들...
    그걸 일상에서 손쉽게 쓸 수 있게 하나로 수렴시킬 수 있는 쪽이 승리... 스티브 잡스가 예전에 그런 일을 해냈지.
    전세계 모든 사람들 손에 스맛폰을 쥐게 만든 것과 같은 변화가 올꺼고, 이 변화에 먼저 준비된 사람이 되야 겠지..

  • @coconutgrumpy7344
    @coconutgrumpy7344 Год назад +147

    발전속도는 엄청 빠른데 아무도 준비가 안된거같음. 기업들은 본인들이 내놓을 ai가 어떤 영향을 줄지에 대해서는 별 관심도 없고 독점 경쟁에서 이길 생각밖에 없는거 같고, 법이나 사회 시스템은 더 뒤쳐져 있음. 처음 알고리즘이 나오고 여러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킨 뒤에 겨우 미의회 청문회에서 공식 논의가 되었음. 그리고 아직 문제를 해결하지도 않은 채 계속 기술이 이용되고 있고. 이쪽 분야에 제대로된 가이드라인이 절실함.

    • @gabriellagiselle2999
      @gabriellagiselle2999 Год назад +7

      되려 호들갑이라는 시선도 있음... 기존 베테랑들이 활용시 좋긴 하겠지만.

    • @popciclelol4891
      @popciclelol4891 Год назад +12

      우리나라 저출산 많이들 걱정하잔아요 발상전환을 해보면, 일자리가 AI의 급격한 발전으로 줄어드는 이 시대에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태어날 아이들은 대부분 AI와 일자리 경쟁에 거의 패하여 상대적 빈곤을 크게 겪을 것이고 혹자는 AI 발전으로 대체 직업이 생길거라 하던데 그 대체 직업도 AI가 하는게 훨씬 더 효율적으로 잘하지 않을까요. 그런거 보면 사회적으로 저출산 되는 과정은 기업들에게 AI로봇을 다른 나라들보다 현장에서 맘껏 사용할 수 있는 산업구조로 전환이 상대적으로 쉽고, 사회적으로는 로봇세에 대한 사회적합의를 빠르게 이룰수도 있음. 우리가 가진 현상을 단점으로 보지말고 장점으로 극대화할 필요가 있어요

    • @감자골고구마
      @감자골고구마 Год назад +8

      법은.애초에 기술보다 뒤에 있을 수 밖에 없어요....

    • @dontneed289
      @dontneed289 Год назад

      저런 대형 모델들은 기본적으로 평가 기준에 성능 외에도 편향(bias), 공정(fairness), 그리고 사회적 이슈(societal issue)를 고려하는 편입니다. 미친듯이 성능만 또 쫓지는 않아욤

    • @_ziu_
      @_ziu_ Год назад +1

      원래 모든 법은 기술 발전보다 느립니다.
      아무리 대비를 하려 해도 기존에 없던 것들에 대한 대비를 완벽하게 할 순 없으니까요.

  • @valentinohose1723
    @valentinohose1723 Год назад +94

    전자공학 전공공부하는데 chatgpt활용하여 공부하면 효율이 말도안되게 좋아지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아마 업무에도 잘 활용하면 마찬가지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ai 붐은 진짜라는 느낌이 강하게 드네요.

    • @하요-y4n
      @하요-y4n Год назад +10

      현직 개발자인데도 미쳤음 보조프로그램으로 쓸만함

    • @ongs5526
      @ongs5526 Год назад +25

      고체, 광학 물리연구원인데 엉망입니다. 연구용 보조로도 쓸 수 없습니다. 매번 레퍼런스 체크를 해야하며 그렇게 쓰느니 그냥 원하는 논문 찾아 빠르게 보는게 빠릅니다. 전공 공부에 사용하지 마세요

    • @valentinohose1723
      @valentinohose1723 Год назад +14

      @@ongs5526 분야별로 답변 퀄리티가 많이 다르긴 하더라고요. 물리같이 수식이 많이 들어간 분야는 답변의 퀄리티가 현저히 떨어졌지만 프로그램 언어의 경우에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물론 간간히 오류는 있지만 그래도 확실히 도움은 되었어요.

    • @tirads
      @tirads Год назад +20

      윗분말씀대로 chatgpt 이녀석이 학술적으로 엄밀한 답을 주는게 아니라 그냥 그럴싸한 말을 잘하는 거더라구요. 농담으로 chatgpt 는 문과생이 분명하다고도 하죠ㅋㅋㅋ

    •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Год назад +1

      진짜 개발할때 서치보조로 쓰기 좋음.
      개발할때 특정 기능에 대해서 활용하기 좋은 라이브러리를 추천해달라거나,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를 알려달라는 답변같은건
      정말 정확하게 잘알려줌.

  • @PH-st3qf
    @PH-st3qf Год назад +9

    ChatGPT랑 바드 둘 다 쓰는 중인데 둘 다 신뢰도가 떨어지는 답변을 확정적으로 대답하더라. 그리고 챗GPT는 문장을 쭉쭉 써내려가는 반면에 바드는 한번에 답변을 주고 답변도 뭔가 좀 더 사람인척 하는 느낌. 바드는 정보가 많이 없는 걸 물어보면 검색하고 오느라 하세월이고 챗GPT는 아몰랑 시전. 근데 바드 한글 깨지더라. 정발 전에 고치겠지?

  • @북극곰-u8z
    @북극곰-u8z Год назад +230

    네이버는 검색엔진이 아니라 그냥 네이버카페, 블로그를 누더기처럼 기워놓은 거임....

    • @이선영-t2r5n
      @이선영-t2r5n Год назад +9

      한국판 야후

    • @comaxTIC
      @comaxTIC Год назад +9

      구글도 검색엔진 맛탱이갔어요

    • @김지훈-h3n
      @김지훈-h3n Год назад +1

      @@comaxTIC 근데 요새 구글 검색엔진 왜 터짐?

    • @user-gz2qe9wk9t
      @user-gz2qe9wk9t Год назад +6

      갈라파고스 그 자체 ㄹㅇ

    • @ktj4355
      @ktj4355 Год назад +4

      @@comaxTIC 안갔어요 이상한거뜨는거면 님이 그런거만 보는거임 ㅇㅇ

  • @schellanker1816
    @schellanker1816 Год назад +23

    결국엔 구글이 처음 나오고 아이폰이 처음 나왔을때처럼 모두가 우와우와해도 자연스럽게 삶에 녹아들 것 같아요

  • @dotmanvincent
    @dotmanvincent Год назад +427

    일단 오류가 나건 어쩌건 간에 대중에게 공개된 수준이 이정도라면 실제 연구하고 있는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해야할지 감이 안오네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AI의 발전 속도는 상상을 초월하는 단계에 다다랐을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 @kirby_say_POYO
      @kirby_say_POYO Год назад +43

      진짜요 발표가 저렇게 빠른거보면 현재 우리가 열광하는 챗gpt는 진짜 옛버전인가싶어요

    • @thunder5311
      @thunder5311 Год назад +20

      ChatGPT 로 일자리가 줄어드느냐?
      지난 인류의 역사를보면 바퀴, 전기, 산업화등 매번 그소리가 나왔지만
      일자리가 줄어들면 다른 일자리가 늘어납니다
      이번 Chatgpt를 씀으로 생산성이 증가되고 사용자는 사고력이 좋아지겠죠
      인간은 늘 발전합니다

    • @마동글
      @마동글 Год назад +21

      현재 가장 타격이 예상되는 직종은 번역 통역 회화 관련 직종일거라 봅니다.
      판타지 소설처럼 기기로 인해 외국말을 바로 알아 듣는 현실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봄.

    • @loleiha6574
      @loleiha6574 Год назад +99

      @@thunder5311 형 그거 아니야.... 그 생각하고 있으면 아직 인공지능이 뭔지 모르는거....

    • @성이름-f8l7o
      @성이름-f8l7o Год назад +27

      @@thunder5311 어.. AI에 대해 좀 크게 파고들면 이소리 절대 못할거 같은데 형...

  • @loleiha6574
    @loleiha6574 Год назад +16

    우리나라 지금 의대 엄청나게 진학하고 있는데 인공지능의 가장 큰 타겟 중의 하나가 의료 쪽임.
    사람을 살린다는 숭고한 책임 직무에 이런 말을 해서 미안하긴 하지만, 이렇게 까지 몰릴 분야는 아니지 않을까? 인공지능을 알았으면 IT 쪽으로 갔어야지. 물론 그런다고 우리나라 인력이
    구글이나 마소 같은 1티어 인공지능 쪽에서 일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한국인이라고 NASA 못들어가는 거 아니잖아. 우리나라 최고 인재들인데.
    결국 최고로 똑똑한 사람들이 똑똑하지 못했다라는것 밖에 안됨. 지성이란게 세부 지식을 말하는게 아니라 식견과 인식을 아는 게 훨씬 큰 건데

    • @이성준-n5o
      @이성준-n5o Год назад +1

      .......의대갈정도 머리면 전향도 충분히 가능함...

    • @loleiha6574
      @loleiha6574 Год назад +4

      @@이성준-n5o 그러길 빌긴 하지만, 비슷한 지능과 재능으로 처음부터 인공지능으로 뻗어나간 사람하고, 의대갔다 다시 돌아와서 인공지능으로 간 사람은 기술의 축적이나 성과에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음. 처음부터 인공지능을 했으면 좋았잖아 라는 말임

    • @loleiha6574
      @loleiha6574 Год назад +3

      @@이성준-n5o 물론 그렇다고 인공지능쪽으로 가면 무조건 성공한다는 뜻은 아님. 실질적인 성공은 자동화 과도기 시기인 의대진학이 더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음. 자동화에는 시간이 걸리는데다가 인공지능 쪽은 승자독식 구조가 너무 심하기 때문에, 어설프게 가면 천재급 인재임에도 아무 성과를 못낼 수도 있음. 연구비만 타먹는 거품이 될 수도 있음. 마소나 구글에 못가면. 만약 의대 간 친구들이 설마 "여기까지 보고" 갔다면 내가 할말이 없긴한데 그건 아닌것 같아서.

    • @knboi1752
      @knboi1752 Год назад +6

      사회순응적인 그리고 계산적인 선택이니 향후에 의료계 지위가 약해지면 인력쏠림은 방향을 바꾸겠죠. 그러나 의료계 협회 파워가 세서 ㅎㅎ

    • @jjss-v4b
      @jjss-v4b Год назад

      다 돈 때문에 그러지 뭐.. 우리나라 학생들을 뭐라 그럴게 아니라 사회 구조가 그러니

  • @김준우-f5k
    @김준우-f5k Год назад +107

    사람들 농담으로 판사나 정치인등등을 AI로 대체해야된다고 했었는데 특이점이 올듯하네.. 조만간 판결이나 정책같은걸 AI한테 물어봐서 참고하든 시뮬을돌려보든해서 이용할거같네요 곧

    • @troosimimimmi
      @troosimimimmi Год назад +1

      우리나라야 배심원이 똥이지만 해외 배심원제도 이용하는 곳들은 배심원 1로 사용도 가능하겟죠

    • @MegaOscillation
      @MegaOscillation Год назад +18

      법조계에 보조 ai로는 무조건 들어감 법령, 판례만 서칭해줘도 ㄱㅆㅅㅌㅊ

    • @hyunjoongandrewkim2537
      @hyunjoongandrewkim2537 Год назад +4

      이제부턴 AI한테 전기 배터리를 뇌물로 주면 되나? ㅋㅋㅋ

    • @qwer6729
      @qwer6729 Год назад +1

      리걸테크

    • @MaknaeCarrot
      @MaknaeCarrot Год назад

      이미 있어요 ㅋ 한국계미국인이 미국에 세움 한국지사도 생겼다고 몇년 전에 들었는데.

  • @강아지고양이-g3o
    @강아지고양이-g3o Год назад +244

    챗 gpt 써보기 전엔 뭐 이리 호들갑인가 했는데 모든 사안에 대해 간단하면서도 명료한 답변 내놓는 거 보고 깜짝 놀람. 전문가 리포트 수준은 안 되더라도 대학생 보고서 수준은 되는 정보를 제공해 줌.

    • @미노타스
      @미노타스 Год назад +25

      놀라기는 일러요.. 일단 AI는 만들어 놓으면 발전 속도가 미쳤으니깐요. 저 수주내라는 말이 거짓말이 아닐 확률이 높음.. 1년만 지나면 격차가 어마어마해질듯 합니다. 우리도 대형 ai센터가 있어야하는데...

    • @물의파동
      @물의파동 Год назад +2

      무지한 자는 알아보지 못하고 호들갑이라 말한다. (바보는 자신이 바보인지 모른다.)

    • @bluerationality
      @bluerationality Год назад +19

      근데 아직은 틀리거나 완전히 지어낸 답도 꽤 되더라구요.

    • @Light_ysh
      @Light_ysh Год назад +11

      아직 0세대...즉 이제 막 탄생한 상태라 그럼.
      Ai의 최종단계 상태는 너도나도 ai 개발에 뛰어들어서 똑같은 ai만 수백개가 모여서 지들끼리 그들만의 리그를 수백번 열고
      그중에서도 가장 좋은 성적을 내는 ai가 살아남는 생존경쟁 레이스를 펼쳐야함.
      다들 착각하는게 ai는 인간으로부터 학습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음. 처음 만들어지고 개발될때는 인간으로부터 학습하는게 맞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ai의 학습역시 선대 ai로 이루어질꺼임.
      Ai는 학습하고 그것을 응용하는데에 매우 특화된 프로그램임. 그런 프로그램이 과연 학습시키고 가르치는 프로그램이 없을리가 없음. 지금은 그 학습을 담당하는 ai를 제작하는 단계인거임

    • @dihydrogenmonoxide7689
      @dihydrogenmonoxide7689 Год назад +6

      @@Light_ysh 비지도학습이랑 선생과 학생 모델은 이미 쓰이고 있습니다. 이미 쓰이고 있는데 저런거고, 지금 AI는 0세대도 아닙니다.

  • @temptoss
    @temptoss Год назад +13

    우리나라는 SM 엔터 누가 인수할지 싸우는거 구경하는데 쌀국은 AI 로 싸우는구나...

  • @3월의라이온
    @3월의라이온 Год назад +14

    내용과 별개로 MS와 구글의 CEO가 인도계인게 흥미로운 부분. 인도 IT 인재풀이 대단한건지 아니면 이런 인재들을 미국인화시키는(둘다 인도 태생이지만 국적은 미국) 미국이 대단한건지...여튼 인도계 미국인 회장끼리 박터지는 AI 전쟁이 재밌습니다.

    • @Hjnnnuihsiwka2828
      @Hjnnnuihsiwka2828 Год назад +3

      인도는 그 많은 인구를 모으고 모아서 IIT에 입학시키니..

    • @3월의라이온
      @3월의라이온 Год назад +5

      @@Hjnnnuihsiwka2828 문제는 인도 경제나 인도 사회 시스템이 그런 혁신적인 잠재 인재들을 오롯이 품지 못하는 것이란게...좋은 인재들을 나라가 제대로 써먹질 못하고 해외로 유출시키는 시스템인듯요.

  • @재자중
    @재자중 Год назад +36

    AI 경쟁 및 발전도 좋지만 적절한 발전라인이 제대로 되어있는지가 의문이네요ㄷ 터미네이터가 아닌 자비스 기대하겠습니다.

  • @MsHitman332
    @MsHitman332 Год назад +7

    AI를 전쟁에 투입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모자이크 전쟁이라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 AI를 투입하고 있죠.. 러시아 전차나 무기를 특정하기 위해서 AI를 이용해서 러시아 무기를 찾아내고 있고 지난번에 핸드폰 하다가 폭격맞은것도 AI가 특정지역에 통신이 몰리는걸 파악해서 위치를 특정해서 폭격해 버렸죠

  • @star_parfait
    @star_parfait Год назад +25

    챗gpt랑 대화하면서 소설 구상했는데 레전드급으로 딱딱 정리가 돼서 일주일은 구상했어야 할 게 하루만에 나오더라고요.....
    나중엔 등장인물을 다르게 말하는 등 길을 잃는 모습도 봤지만 대체적으로 설정을 꽤 오래 기억하고 있고 만족스러운 대답을 내놓더군요. 진짜 소설 좋아하는 친구랑 대화하는 느낌, 또는 참모를 하나 둔 기분이었습니다.

  • @carlyounsh
    @carlyounsh Год назад +182

    구글은 제임스 웹 같은 민감한 주제 말고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경제 유튜버는 누구냐" 라는 질문을 했어야 했습니다. ㅋㅋㅋ

  • @user-qn6zi6zp3k
    @user-qn6zi6zp3k Год назад +14

    진짜... 예전에는 미래에 기술이 발전하면 얼마나 발전하려나 아직 몇십년은 더 있어야겠지 했는데 진짜로 특이점이 와버렸다는 느낌...

  • @user-emiya_kookejja
    @user-emiya_kookejja Год назад +16

    지금은 너무 제네럴하고 전문적이지 않음. 다만 2-3년 내로 데이터 쌓이면 급격하게 전문적이지 않을까 싶긴함.

    • @user-ml6bl2wp8w
      @user-ml6bl2wp8w Год назад +4

      2,3년이 뭐임 당장 4.0버전나오면 성능 6배향상됨

  • @aabcon
    @aabcon Год назад +39

    챗gpt가 아직까지 부족한 점이 많긴 하지만 실체가 없는 메타버스나 가치가 없는 암호화폐 nft보단 훨씬 혁신적인 것 같음
    더 발전하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됨

  • @englishmutton
    @englishmutton Год назад +10

    작년 4월부터 엔비디아에 물려있었습니다. 인베스팅 최저가 알림 뜰때마다 물타면서 버티니깐 그동안의 고생이 빛을 보는 기분이네요

    • @raccoonkami5377
      @raccoonkami5377 Год назад +2

      형이 진정한 승자야!! 축하해요!!
      물려서 1년간 버티면서 물타기 쉽지 않는데 강철멘탈 대단하시네요!!

  • @MaknaeCarrot
    @MaknaeCarrot Год назад +29

    정보쓰나미 시대에 이제는 정보를 선별/정리 해주는 걸 ai가 해준다면
    -잘 질문하고,
    -옳고 그름을 잘 판단하는 판단/사고력/확인하는 능력
    이 필요하겠네요.
    그래야 판에 휘둘리지 않고 살아남겠네.

  • @slowkim2548
    @slowkim2548 Год назад +29

    chatGPT한테 낮은 혼인율이 출산율에 영향 미치지 않을까 했는데 혼인율과 출산율은 상관없다고 답하길래 내가 챗GPT 설득해서 관계 있을 수도 있다는 답 들었음 ㅋㅋㅋㅋ

    • @lim1146
      @lim1146 Год назад +5

      그쪽엔 결혼 없이 낳은 애기들이 절반이라서 그런 거 아닐까요? 결혼 없이 애 낳는 게 금기인 한국이 특이한 걸지도..

    • @K-HQMusic
      @K-HQMusic Год назад

      유독 한국만 혼인 후 출산이 된거지,
      다른 나라들은 죄다 혼외출산이 50% 이상임.

    • @Gusehdehd
      @Gusehdehd Год назад +4

      인과관계랑 상관관계랑 구분잘해야됨. 혼인이 출산을 보장하지 않으니 어느정도 이해는 감

    • @troosimimimmi
      @troosimimimmi Год назад

      결국 검색 결과를 취합하여 이야기해주는 거라.. 논문도 양쪽 의견이 있겟죠 아직 검증되지 않은 명제니까요

  • @frstfrstfrst
    @frstfrstfrst Год назад +24

    구사장이 이렇게 가는건가.... 진심 구글은 영원할줄 알았는데

  • @ratendresse
    @ratendresse Год назад +24

    십여년전 이미지에서 동영상이 대세가 될것이다 라고 대서특필하고 유튜브 나오면서 우리의 일상이 달라진것처럼 앞으로 10년후 어떤 미래가 펼쳐질지 궁금하다.. 옛날말 틀린거 하나 없다..오래 살고 볼 일이다

  • @acadra5201
    @acadra5201 Год назад +91

    사실 구글의 무서운점은 데이터 수집인데 너무 저평가하지말고 관망해야할듯

    • @troosimimimmi
      @troosimimimmi Год назад +12

      질문 수집이 시작될겁니다 검색키워드 수집보다 더 무서움 결국 취향분석을 통해 대기업에 정보 팔아먹는게 목적이죠

    • @troosimimimmi
      @troosimimimmi Год назад +7

      거기에 인공지능이 더해져서 아예 트렌드를 추측해내는 알고리즘이 나온다면? 매트릭스 등 디스토피아 시대가 올수도 잇어요

    • @hjs4909
      @hjs4909 Год назад +2

      @@troosimimimmi 디스토피아는 참을 수 없어

    • @gyugrhjh
      @gyugrhjh Год назад +7

      인정 데이터는 구글이 최고인듯

    • @Calmdowntrader
      @Calmdowntrader Год назад +1

      Chatgpt로 검색량을 빙으로 끌어들이면 정보 격차가 줄어들 수도...

  • @quiraxical
    @quiraxical Год назад +12

    앞으로 소위 "미디어 리터러시"가 더 중요해지게 될 것 같네요. AI라고 모든 것을 다 믿는 게 아니라 걸러듣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문제는 이걸 모든 이용자가 알아야 한다는 건데 개중에는 거의 신앙에 가깝게 쓰는 분들도 있으니까요. (유튜브가 진리야 같은 느낌)
    한국어 AI의 경우에는 사실 그 토대는 이미 다 나와 있는데, 한국어 자연어처리가 꽤나 어렵습니다. 그래서 갈 길이 먼 것이지, 자연어처리가 해결되면 상당한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데빌네로
    @데빌네로 Год назад +20

    이제라도 AI활용 능력을 키워 놔야 겠네요 ㅎㄷㄷ

    • @Kuneu
      @Kuneu Год назад +2

      이정도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자체 기획한 자격증을 진짜 내놓을 것 같기도 하네요!

    • @tama2234.
      @tama2234. Год назад

      ㅋㅋㅋ어케키우게

  • @plum5019
    @plum5019 Год назад +19

    10뇬 전부터 ai 란 대항마가 온다고 했죠 지금 시작이죠 지금부터 준비 한다는거 늦었죠 우리나라 상황이 어떤지 모르겟지만 실패해도 밀고 나가야죠

  • @yeonggwonlee5815
    @yeonggwonlee5815 Год назад +13

    챗gpt 장점은 지식 있는 사람에 한해서 수월하고 정보수집이 가능한정도인듯.

    • @띠리릿-u6o
      @띠리릿-u6o Год назад

    • @iwgp1089
      @iwgp1089 Год назад +6

      이거죠 요약된 2,3차정보를 팩트체킹 하면서 걸러낼수 있는 사람은 유용한데 모든 정보가 논리적으로 코드나 언어로 표현 가능한 소프트웨어 공학 말고는 아직 신뢰도가 처참한 수준임...

  • @ming1000
    @ming1000 Год назад +6

    검색엔진에 저런게 다 들어가면 중립성은 사라지는게 아닌가 싶네요...그냥 지들이 원하는거만 보여줘도 모르게 될수도 있으니...

  • @dak9144
    @dak9144 Год назад +10

    신기술이 나오면 언제나 결과는 하나로 귀결된다, 포르노
    얼마나 잘 찾아주느냐가 승패를 가를것
    메타가 뜨지 못했던게 저쪽관련이 허술했던게 원인

  • @박중건-c1n
    @박중건-c1n Год назад +7

    공신력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는게 중요하겠군요.

  • @김은신-v6f
    @김은신-v6f Год назад +1

    볼때마다 너무 재밌어요
    내용도 내용이지만 듣고 있으면 기분 좋아지고 재밌어요
    머리가 좋으신듯 순발력도 있으신듯

  • @kimjj6040
    @kimjj6040 Год назад +4

    이미 세상 플랫폼의 절반 이상이 구글껀데 바드 네임드가 떨어지면 그냥 ai탭달고 바드만 깔아도 구글은 아쉬울게 없을꺼예요

  • @14x129
    @14x129 Год назад +3

    구글 참사 나고 구글 주식 샀었는데ㅋㅋ그나저나 AI가 스스로 코딩을 하는 영화속에서 보던 세상이 미래에는 올거 같네요

  • @commonknowledgEZ
    @commonknowledgEZ Год назад +67

    구글이라는 큰 회사가 저렇게 위기감을 가질 정도라는게... 네이버나 바이두도 챗gpt를 만들겠다고 하더라고요! 아직은 오류가 종종 보이지만 정말 몇 년후면 '질문을 잘 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하게 될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도 어떻게하면 창의적으로 질문할 지를 가르쳐야겠네요!

    • @13prudent53
      @13prudent53 Год назад +2

      '창의적인 질문' 메모!

    • @user-18xa7jshq8
      @user-18xa7jshq8 Год назад

      그러네요. 답을 찾는게 문제가 아니라 이젠 무엇을 질문할 것인가가 더 중요해지겠네요.

    • @이도현-r9i
      @이도현-r9i Год назад

      이 말 15년전부터 언론에 나왔음
      미래에는 ’답을 잘 찾는 능력‘보다 ‘질문을 잘 하는 능력‘이 더 중요해 질 것이라고 근데 아직도 이 이야기가 나온다는 건 안 바뀌었다는 것임 ㅋㅋㅋ

    • @sciencecoach76
      @sciencecoach76 Год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과학교육을 하는 중등 과학 교사예요 ! 저도 질문을 잘 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진다는 것에 공감하며, 몇 년 전부터 제 수업에서 의미있는 질문을 과학이라는 컨텐츠를 활용해서 만들어보고 있는데 바른 방향이라는 생각이 또 듭니다.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 @borntoright
      @borntoright Год назад +1

      네이버랑 구글, MS는 가지고 있는 데이터 양 수준이 달라서 못 이김

  • @mrp502
    @mrp502 Год назад +130

    첫 질문을 과학분야로 선정한 사람도 참 대단하다ㅋㅋ

    • @엘린-b5o
      @엘린-b5o Год назад +1

      공돌이 아니랄까봐...

  • @mandu466
    @mandu466 Год назад +83

    소름돋는건 진짜 고급정보 드가면 디테일은 떨어지지만 큰테두리는 맞음
    선수들은 그정도 정보만해도 감잡거든
    하연튼 새로운 세상임

  • @us_nauh
    @us_nauh Год назад +15

    ai가 가까워지는게 반갑지만 여러분야에서 실직자도 늘어날거 같아서 무섭네요 ㄷㄷㄷ

  • @실시간-j5c
    @실시간-j5c Год назад +38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가 피터지게 치고 박고 싸웠으면 좋겠다 인공지능이 스스로 발전할 수 있을때까지 인공지능이 모든 인류의 지능 총합을 넘어설때까지 그때가 온다면 꿈같은 세상에서 사는 것도 허상은 아니지 않을까

    • @yrh3nfnfj-vb9vc
      @yrh3nfnfj-vb9vc Год назад +4

      꿈 같은 세상에 살아서 뭐하게요

    • @user-ml6bl2wp8w
      @user-ml6bl2wp8w Год назад +10

      그런세상오면 님은 살처분대상일텐데 뭘 기대하는거지

    • @0xFFFF619
      @0xFFFF619 Год назад +13

      답글들 너무 부정적으로 생각하네. 부작용은 있지만 그건 어느때나 마찬가지였고 편리한 도구가 나와서 보다 좋은 세상이 되면 좋은거지. 인공지능도 본질적으로 편한 도구인데

    • @tjdwnd9529
      @tjdwnd9529 Год назад +8

      저 불경한 답글들과 달리 전 좋습니다 챗 GPT님 충성충성 ^^7

    • @Draoden
      @Draoden Год назад

      @@tjdwnd9529 변절자다!

  • @prsh0525
    @prsh0525 Год назад +8

    항상 잘 보고 있어요

  • @Formpanel
    @Formpanel Год назад +3

    챗gpt 써보니까 진짜 너무 신기하더라. 예전 알파고가 이세돌랑 바둑대전할때랑 지금의 바둑ai는 완전 신의 경지에 오른것처럼 지금 오류가 있어도 더 시간 지나면 완전 신의 경지에 오를듯 ㅎㄷㄷ ㅋㅋㅋ
    인간이 질문도 잘해야하고, 이게 맞는 건지 자체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잘 연습하면, 진짜 최고의 자비스인듯 .

  • @jayag2271
    @jayag2271 Год назад +3

    써봤는데 아직은 좀 오류가 많은 것 같음
    근데 최소 20년 이내에 인공지능이 사회를 급격하게 바꾸긴 할 것 같음

  • @바이칼-i9u
    @바이칼-i9u Год назад +1

    AI특이점이 점점 빨라지는듯합니다.
    2030년대 진입전에 특이점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 @pongdangjong7782
    @pongdangjong7782 Год назад +1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바드 구 볼트 프로젝트 개발 중 실험테스트 모델에 막대한 빅데이터를 넣은게 chatgpt입니다 아직 바드가 모델은 ,gpt보다 우수한데 데이터 학습이 덜 된 상태에거 급하게 출시했단느낌이드네요

  • @aimj1053
    @aimj1053 Год назад +4

    근데 챗gpt가 이미 한국어 검색도 되고 번역도 파파고보다 잘함..

  • @young3.14
    @young3.14 Год назад +22

    1:31 언급된 AI copilot 은 직역하면 안됩니다~ 하나의 명사로써 코딩을 하는데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AI 도구를 의미합니다.
    지금 대중은 chat GPT에 열광하지만 일전에 이미 프로그래머들에게는 copilot의 등장으로 보다 편안한 코딩이 가능해졌죠.
    이런 의미를 담아 이젠 web에서도 AI copilot 같은 역할을 하는 앤진의 탄생을 의미한다라고 해석하는게 맞아보입니다.

    • @troosimimimmi
      @troosimimimmi Год назад

      진짜 인간 사회랑 똑같죠 팀장 관리인과 그 아래에 있는 단순 노동자들... 인간은 인공지능을 만들어도 지배와 피지배에서 벗어날수 없음

  • @애옹스님
    @애옹스님 Год назад +8

    네이버, 카카오는 연예기획사 인수에 관심 쏟느라 유의미한 ai 결과물 없을 듯... 슬슬 도태된다

    • @kty198222
      @kty198222 Год назад +1

      빵집 슈퍼마켙 편의점 이런거하면 됨 ㅋㅋㅋ
      머하러 국제적으로 경쟁함 그냥 국내에서 뒷돈주고 생필품으로 가는거지 편하게

    • @nby3322
      @nby3322 Год назад

      ㅣㅣ

  • @문달-s8d
    @문달-s8d Год назад +12

    사실 새로운 AI를 코딩하고 교육시키는 AI를 이미 만들어서 프로그래머들을 해고하는거 아닐까?

    • @MaknaeCarrot
      @MaknaeCarrot Год назад +3

      구글 인사 경력자가 예전에 대체될 가능성 크다고 했어요..
      저희 계산하려면 주판기 손으로 두드렸던 걸 지금 계산기가 해주는 것처럼요

  • @이상현-s1p
    @이상현-s1p Год назад +6

    이런 ai 시대 개막에 에플은 무슨 돈벌이를 궁리할까 갑자기 이게 더 궁금하다

  • @jm28o36
    @jm28o36 Год назад

    엑셀 같은거 이제 컴활 자격증 1급 같은거 딸 필요도 없겠네요. ㄷㄷ 엑셀이나 파워포인트에 ai적용이 된다면 귀찮게 메크로나 함수를 인터넷에서 찾아서 할 필요 없이 내가 하고 싶은 함수나 메크로를 ai한테 물어봐서 바로 적용시키면 되는 세상.. ㄷㄷ

  • @puppyujin
    @puppyujin Год назад +4

    이제 구글의 시대가 정말 저무는 것인가...

  • @hjin5692
    @hjin5692 Год назад +10

    첫 질문 한 사람을 MS에서 심었다는게 학계의 점심

  • @popodream116
    @popodream116 Год назад

    1:50 30주 뒤 일수도있음요 ㅋㅋㅋ 기대

  • @yjj2826
    @yjj2826 Год назад +30

    Bing 이 검색기능이 강력하긴 한데...한국에서는 세이프가드가 걸려있어서 허허. 어쨌든 챗 GPT 적용하면 빙 다시 한번 써볼까 싶네요. 아직까진 챗GPT도 오류가 많지만 (서울시 인구가 9700만이라던가 뭐라던가...) 앞으로 검색엔진과 연결된다면 더욱 개선되겠죠.

    • @Doubleshot-cp6iv
      @Doubleshot-cp6iv Год назад

      오류 수준 심각하네 ㅋ

    • @펭-v5n
      @펭-v5n Год назад

      영어, 한국어, 일본어로 다 물어봤는데 970만이라고 잘 대답하는데?

    • @kwon_henryy
      @kwon_henryy Год назад +2

      ​@@펭-v5n 오류를 보고하면 데이터를 고치기도 하니까

    • @kssxssk
      @kssxssk Год назад +2

      @@펭-v5n 언어 생성모델인 데다가 약간의 무작위성이 있어서 항상 같은 답변이 나오지 않음

    • @Mindorie
      @Mindorie Год назад +1

      서울시 인구 9700만ㅋㅋㅋㅋ

  • @SongDaYeong
    @SongDaYeong Год назад +16

    빙검색이 구글검색보다 별로라고 놀리는 역사가 유구한것으로 기억하고 있는뎈ㅋㅋㅋㅋ 과연 미래에는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욬ㅋㅋㅋ

    • @WriterNakwanjong
      @WriterNakwanjong Год назад

      진짜 이전까지는 빙신이였음 ㅋㅋ

    • @gabriellagiselle2999
      @gabriellagiselle2999 Год назад

      근데 chat Gpt 데이터에는 구글 것이 아예 안 쓰였나요?

  • @user-frozenwhale
    @user-frozenwhale Год назад +27

    자체 코딩이 가능한 AI라면 드디어 특이점에 한 발을 걸치겠군요.

    •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Год назад

      특이점엔 아직 발톱때만큼 밖에 못걸쳤지만
      감히 컴퓨터 프로그램 따위에 특이점을 논하게 됬다는 것자체가 대단하지

  • @Contentio_
    @Contentio_ Год назад +2

    폴리투에 관심이 생겨서 여러 질문 하는데 스타니스와프2세가 사우디 왕족이라고 해서 놀랐는데. 계속 맞다고 해서 아 맞나하고 넘겼는데 새로고침하고 물어보니 절대 아니라고...

  • @요리민수
    @요리민수 Год назад +8

    생각해보면 마소가 몇년간 세계1위 기업이였는데 윈도우랑 병신같은 익스플로러 대체품만 만들고 있었을까 싶음

    • @hungrypolar
      @hungrypolar Год назад

      볍신같던 코타나 추가요

  • @rainysound1564
    @rainysound1564 Год назад +2

    저점이다. 화요일 매수 갑니다

  • @마준영-d9o
    @마준영-d9o Год назад +8

    메타버스 : 이걸로 뭐함?
    챗GPT : 이걸로 뭘 못함?

    • @11b11b1
      @11b11b1 Год назад

      ㄷㄷ 이거네

  • @slowkim2548
    @slowkim2548 Год назад +15

    마소에서 오피스 앱들 전부 AI 장착하면 레알 신세계 될 것 같은데. 말로 쳐서 명령하면 일을 수행하잖어. 그거 어느정도 되면 사무직들 많이 해고될 거임. 내가 마소 사장이면 AI 장착된 오피스 앱 100% 구독제로 전환한다.

    • @troosimimimmi
      @troosimimimmi Год назад +3

      온라인 365공짜로 뿌린 이유를 드디어 알앗네요 ㅋ

    • @hqq9249
      @hqq9249 Год назад +1

      와 상상만해도 엄청나네

    • @김영록-b8s
      @김영록-b8s Год назад +1

      ㅅㅂ 지린다 ㅋㅋㅋㄱㅋㄱㄱ 내가 ㅈ소 사장ㅈ이어도 바로 다 자르고 남는 돈으로 재투자할듯

  • @Yuywjs89
    @Yuywjs89 Год назад +6

    큰회사들이 도태되고 기술이 위협하는 시대가 다가오네..

  • @junghyuckli2190
    @junghyuckli2190 Год назад

    11:07 형 ㅋㅋㅋ 나도 보면서 딱 이생각했는데 나와서 소름 돋았어 ㅋㅋㅋ

  • @김희윤-z9v
    @김희윤-z9v Год назад +2

    gpt 한국어 느리긴해도 잘하던데요.. 언어장벽은 ai 사이에선 별루 없는거 같습니다.
    구글에게 피해를 덜본게 언어 장벽이 어느정도 영향이 있었겠지만, ai 검색 엔진에선 힘을 못쓸껄로 예상 됩니다.

  • @곤약인간
    @곤약인간 Год назад +1

    심심이 재평가 시급

  • @yeeaaah7110
    @yeeaaah7110 Год назад +1

    라이브 볼때부터 신경쓰인건데 옷에 배경들어가는거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imaginarydragons
    @imaginarydragons Год назад

    17:57 슈카이넷 커웃기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고창환-k9z
    @고창환-k9z Год назад +1

    챗지피틴지 찌찌파틴지 모르겠는데,
    반도체주 오르니까 좋음 ㅎㅎ

  • @호랑좌
    @호랑좌 Год назад +44

    챗GPT에게 체스를 가르쳐주고 체스 인공지능과 대결하게 시켰더니, 퀸이 룩과 스위칭을 하고 폰을 뛰어넘는 충격적인 플레이를 보여줬던 사례를 보면... 인공지능은 아직 갈 길이 멀다

    • @contizlee
      @contizlee Год назад +1

      폰 생성하기랑 퀸 색칠하기!

    • @yousube693
      @yousube693 Год назад +2

      그게 ai체스의 룰일지도..?

    • @구름냥
      @구름냥 Год назад +24

      용도 외 기능을 요구하고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저평가하는게 맞을까오

    • @가나다-z2v
      @가나다-z2v Год назад +7

      지금 두긴 둔다는 점에서 놀라워해야하는 시점인데 잘못둔다고 질책하고있음 ㅋㅋㅋㅋ 무조건 성공한다이건

    • @깡쓰맨ii
      @깡쓰맨ii Год назад

      Gpt제낀건 인공지능이 아닌가요????

  • @이백섭-r2r
    @이백섭-r2r Год назад +3

    좋좋슈보고 여기로 넘어온 내인생...

  • @채널조니댑
    @채널조니댑 Год назад +2

    chat GPT가 놀라웠던데 모르는 정보를 모른다고 하지 않고 거짓말로 지어내서 답변하기도함. 추궁하면 적당히 우기다가 오류가 있을수 있다고 얼버무림

  • @today_what
    @today_what Год назад

    11:17 담당자 해고 ㅋㅋㅋㅋ

  • @빠이쭌
    @빠이쭌 Год назад

    ㅎ 날라가지 않고 날아갔겠죠~ 날다.. 날리다.. 나르다.. 맞춤법 컨텐츠나 콩글리쉬 컨텐츠 도 잼있을 듯..

  • @pinkberry3885
    @pinkberry3885 Год назад +1

    쵸파모자 탐난다..😮

  • @집나가면고생
    @집나가면고생 Год назад +2

    저희 교수님이 chatGPT 써보곤 맹신하기 시작했습니다. 써보니 이상한 말도 가끔 하던데 걱정됩니다.

  • @backnunAndy
    @backnunAndy Год назад

    우선 모든 PC 에 (노트북은 왠만하면 스피커 + 마이크 조합은 있으니) 마이크 부터 기본으로 보드에 딸려 오는 걸로~~~

  • @teme042
    @teme042 Год назад +20

    구글에 대한 우려가 많은데 영상 내용과 유사하게 막상 chat gpt 써보면 대화는 가능할지 몰라도 사실 확인 등에 대한 오류가 빈번함.
    정말로 이 질문을 가져온 구글 마케팅 또는 기획팀 문제일 수 있고, 그렇다면 현재 마소 대비 구글 주가에서 나타나는 우려는 다소 과대평가라 생각함. 결국 구글이 학습시킬 수 있는 데이터량이 더 많을거라 생각한다면 구글도 충분히 가능성 있다고 생각함.
    장기적으로는 인터넷 상의 데이터 중 어느것이 어떤 상황에서 사실인지 거짓인지 자동 학습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 포인트가 될 것이라 예상해봄.
    [이 글은 ChatGPT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 @lllllllllllIIl
      @lllllllllllIIl Год назад

      읽다가 막줄에 뇌정지왓네 다시 읽어봐도 신기하네 이걸 gpt가 썻다닠ㅋㅋ

    • @イタチ-g5v
      @イタチ-g5v Год назад

      챗 gpt 안들어가지던데 어캐함?

  • @곰길모
    @곰길모 Год назад +8

    AI가 이제 "작문"까지 터득했습니다.
    음악을 만들고, 그림을 그리는데 이어, 문학의 측면까지 넘보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예술"이라 부르는 것들의 대표적인 3개를 이제 AI는 능숙하게 해냅니다.
    과연 아직도 AI가 "문화"의 측면은 인간을 자극할만큼 흉내내지 못할까요
    특이점이 온다

  • @PPongPong
    @PPongPong Год назад +2

    비트코인이나 NFT나 chat gpt나, 메타버스나, VR AR 이나 다 중요한 거고, 결국 하나로 수렴될 것... 뭐 어떤 건 더 나은 걸로 대체될 지도 모르고 하겠지만... 뭐 하나 안 중요한 게 없슴요...

    • @loleiha6574
      @loleiha6574 Год назад +1

      비트코인이나 NFT 는 그냥 버리는걸 추천함. 인공지능이나 메타버스처럼 엄청난 변혁이 아님

    • @PPongPong
      @PPongPong Год назад

      @@loleiha6574 변혁이 아니라 벽돌이에요. 더 큰 걸 만들기 위한 벽돌...

    • @loleiha6574
      @loleiha6574 Год назад

      @남준서 챗GPT 한테 물어보는건 어떨까 싶음. 메타버스는 진짜 혁신이 맞음. 근데 단지 그게 인공지능하고 비교되니까 상대적으로 초라한것 뿐. 진짜 혁신은 확실하고, 인류가 그 방향으로 가는건 무조건임. 근데 그렇다 하더라도 인공지능 >>>>>>>>>>>>>>>>>>>>> 메타버스 정도의 엄청난 격차가 있음. 그냥 인공지능이 다 해먹는다고 보면됨

    • @loleiha6574
      @loleiha6574 Год назад

      @남준서 메타버스는 인류의 영원한 꿈이고 미래임. 현실 세계에서 기술이 발전할 때 현실 방향으로 즉, 외적 방향으로 나아가는 길도 있지만, 현실 세계에서 가상 방향으로, 즉 내적 방향으로 나아가는 길도 있다는 것임. 이렇게 말해도 잘 이해되지 않겠지만 아주아주 쉽게 설명하면, 엄청나게 개 쩔고, 끝내주고, 개 신박하고, 엄청 흥미로운 게임이 있다고 상상해보셈.
      그게 메타버스임.

    • @loleiha6574
      @loleiha6574 Год назад

      @남준서 님이 상상력이 아주 풍부해서 엄청나게 풍요로운 유토피아를 만들겠다고 생각해 보셈. 근데 현실에서 그걸 만드는건 무지하게 힘듬. 왜냐면 현실은 실제라서 원자 단위의 제어를 하지 않으면 그런건 만들기가 엄청나게 힘듬. 에너지 측면에서 엄청난 에너지가 소모되겠지. 근데 가상세계는 그게 상대적으로 쉬움.
      그러니까 그게 메타버스임.

  • @iwgp1089
    @iwgp1089 Год назад +52

    챗GPT도 구라 많이 쳐서 잘 걸러내야되는데...그럴듯~하게 구라치는게 아주 일품입니다 ㅋ 개발자들이나 구글링 하는 수고로움 코딩 할때 템플릿이나 샘플 찾아 복사하는 수고로움 줄여줘서 좋을까 그 외 분야에서는 어디서 써먹을까 싶네요. AI 라고 해봐야 어차피 딥러닝인데 인공적인 마인드가 있는 것도 아니고 확률게임이죠. 학습을 위해 투입한 그 수많은 데이터들, 그림들, 음악들 다 허락을 얻어서 학습시켜서 유료화 서비스 하는건가요. 저도 업계에 있는 개발자지만 실상보다 너무 과열되지 않나 싶네요.

    • @loleiha6574
      @loleiha6574 Год назад +8

      과열이 아니라 과소라는 말도 너무 부족할 정도로 혁신적인 변화가 기다리고 있어요. 미래로 가보시면 압니다. 지금은 뭔소린가 싶을 수 있겠지만요

    • @harry_kim6940
      @harry_kim6940 Год назад +6

      기본이 되는 거 아닐까요? cs쪽에서 딥러닝 기술 개발하고, 타분야가 도메인지식 섞어서 연구하는것처럼. 저정도 방대한 지식 학습능력이면, 응용분야 넓어질것 같은데.
      고속 대량 학습필요한 자율주행쪽 같은곳에 특히

    • @powerful-lee
      @powerful-lee Год назад +22

      업계 개발자 맞는지 싶네요... 그정도 밖에 느끼지 못한다니

    • @마따끄-l6n
      @마따끄-l6n Год назад +2

      이미 저것만으로 인류 발전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갔다고 판단됌

    • @가나다-z2v
      @가나다-z2v Год назад +4

      나온지 몇달된 신생아가 전세계 기발자 능률을 벌써부터 20%씩 올리고있음. 심지어 코딩한다고 개발된것도 아닌데. 세상을 미래지향적으로 봐야지 코앞만 봐서는 절대 성공 못함

  • @user-iu9yw8nc5d
    @user-iu9yw8nc5d Год назад +2

    경쟁의 시작.. 특이점이 온다

  • @KmG_winterer
    @KmG_winterer Год назад

    02:16 ??검색만하면 개인정보도 응답할듯 ㄷㄷ

  • @250rs8
    @250rs8 Год назад +30

    ai가 진짜 무서운게 옛날에는 어떤 프로그램이든 사람이 프로그램이 A라는 결론을 도출했다면 왜 A를 택했는지 그 과정을 이해했는데 이젠 뭐... 이게 ai가 A가 답이라하면 그게 답인거시라.... 인간이 가진 직관, 논리로는 이제 이해가 안되는 수준이 왔음

    • @iwgp1089
      @iwgp1089 Год назад +2

      마르코프 연쇄라고 들어보셨나요? 지금 AI 라고 부르는 기술은 딥러닝이라는 학습 과정을 바탕으로 이 말 다음에 어떤 말이 나와야 가장 확률적으로 적합한지를 거대한 컴퓨팅 리소스를 가지고 병렬 계산 때려서 가장 적합도가 높은(=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장 다음에 올 확률이 높은) 내용을 생성하는 원리입니다. 알파고가 바둑이라면 챗GPT는 자연언어(인간의 언어) 죠. 크게...뭐 특별할게 없어요 ㅋㅋ

    • @sy5616
      @sy5616 Год назад

      @@iwgp1089 입력받은 질문+ai가 뱉었던 단어들의 집합과 그 순서까지도 참고해서 다음 단어를 뱉는건가여?

    • @yousube693
      @yousube693 Год назад +2

      @@iwgp1089 이게 엄청 많은 데이터가 쌓인다면 그야말로 인공"지능" 아닐까요?

    • @가나다-z2v
      @가나다-z2v Год назад +3

      @@iwgp1089 인간의 뇌도.. 뭐 비슷하죠.. 특별하게없긴 해요

    • @가나다-z2v
      @가나다-z2v Год назад

      @@user-jo1wk5fi3e 딥러닝의 원리자체가 인간의 뇌의 뉴런을 모방한건데요? 뉴런을 모방해서 인풋에 따른 결과겂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더니 일을 잘한더란겁니다. 근데 그 모델이 왜 일을 잘하는지는 수학적으로나 과학적으로나 증명된게 없어요. 인간뇌와 마찬가지로요. 딥러닝의 결과물을 정확하게 분석해서 인간이 똑같이 시뮬레이터를 만드는건 헌대 과학기술로 불가능합니다. 뇌를 구현하는게 불가능한것과 마찬가지로요

  • @cream6117
    @cream6117 Год назад +1

    미래에는 AI에게 질문을 해서 원하는 정보를 모두 얻을 수 있으니 시간단축에 엄청 도움이 되겠네요.

  • @911VIPER
    @911VIPER Год назад +4

    '대참사' 못참지 ㅋㅋㅋㅋㅋ

  • @구구99-l7p
    @구구99-l7p Год назад +1

    ai가 의도한대로 선동당할수도 잇겟다라는 생각도 드네요ㄷㄷ ai회사가 빅브라더 그자체ㄷㄷ

  • @우어어억-w5n
    @우어어억-w5n Год назад +1

    NFT는 결국 저작권 문제일 듯.... 메타버스 내에서 얼마나 저작권이 제대로 인정 받을 것인가

  • @msgreenhill000
    @msgreenhill000 Год назад +1

    문제는 진짜 경쟁에 다들 미쳐있다는거임

  • @kjbkjb1003
    @kjbkjb1003 Год назад

    22:47 지금보다 2배가 더 올라야 한다 or 지금의 3배가 되어야 한다

  • @konekokosokosokossorikorokoro
    @konekokosokosokossorikorokoro Год назад

    주가 조정 및 경쟁사 견제(ai 이미지 회손) 일지도?

  • @chip9178
    @chip9178 Год назад +4

    GPT랑 초성게임하는거 개웃기던데
    제시어 달라니까
    ㅅㅂ,ㅂㅅ 이러고있음 ㅋㅋㅋㅋ

  • @뽀어멈-y4h
    @뽀어멈-y4h Год назад

    와 저번주 털고 나왔는데 신이 도우셨네요ㅜㅜㅜㅜ

  • @강명현
    @강명현 Год назад +1

    쩐주님을 주제로...

  • @도시로들로바다로
    @도시로들로바다로 Год назад +1

    2000년대 야후의 아서을 넘은 구글의 상황과 같네요

  • @호로날두
    @호로날두 Год назад +1

    선다 피차이는 구글을 말아 먹은 대표적인 경영자로 기억될 것임. 구글의 오픈 정책을 줄이면서 답보상태에 머물게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