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연구한 철갑상어 양식 기술, 후계자 없어 문 닫을 판 / KBS 2024.04.12.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캐비어로 불리는 알이 고가에 거래되는 철갑상어는 고급 어종에 속하는데요. 어촌 수입 증대를 위해 활발히 이뤄졌던 철갑상어 양식과 연구가 이제는 어업 인구 급감으로 명맥이 끊길 처지에 놓였습니다.
    정재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형 연구용 수조 속에 철갑상어 400여 마리가 헤엄치고 있습니다.
    철갑상어의 복부를 절개해 관을 넣자 검은 철갑상어 알, 캐비어가 확인됩니다.
    1g당 만 원에 달하는 고가의 캐비어를 검사하기 위해 소량만 채취하고 다시 봉합하는데, 외과 수술 장비까지 동원됩니다.
    인공 종묘부터 암수 구분, 캐비어 가공까지 20년 넘게 연구가 이어지면서 국내 최고 양식기술을 확보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철갑상어 연구는 올해가 마지막일 예정입니다.
    한때 5만 마리 이상 분양됐던 철갑상어는 높은 사육난이도와 어업인구 감소로 쇠퇴를 겪고 있습니다.
    충남의 어업 인구는 지난해 기준 만 3천7백여 명.
    2010년 3만여 명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 줄었는데, 특히나 내수면 어업인구는 단 570여 명에 불과합니다.
    10곳 넘게 운영되던 충남의 철갑상어 양식장도 지금은 2~3곳만 유지되고 있습니다.
    현재 남아 있는 철갑상어 양식 교육생은 단 1명뿐.
    [김두영/철갑상어 양식 교육생 : "아버지께서 철갑상어 양식을 하시는데, 처음에는 관심이 없었는데 커가면서 자라는 것을 보니까 특수한 품종이잖아요."]
    철갑상어 양식 연구가 경기와 충북, 경남에 이어 충남에서도 중단되면서, 분양과 종자 생산을 위한 철갑상어도 대부분 매각될 예정입니다.
    [노광헌/충남수산자원연구소 민물고기센터장 : "특히나 내수면 양식업계가 굉장히 열악합니다. 새로운 후계자가 유입이 잘 안되고 있어요. 어업인이 현장에 가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연구소 측은 양식 기술 명맥이 끊기는 것을 막으려 최소한의 개체 수는 유지한다는 방침이지만, 기술 이전을 받을 양식장 자체가 사라지면서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철갑상어 #양식 #캐비어

Комментарии • 52

  • @seaeo94
    @seaeo9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모든 양식업의 문제인거 같습니다.. 고수익 품종일지라도 그 가격에 팔려야 가능한거지 유통의 매점매습으로 판로 구축 또한 일반 영세한 양식장은 너무도 힘든 일입니다. 생산만 한다고 끝나는게 아닐텐데.. 일년 돈 벌어도 다음 해에 까먹는 양식.. 하면 죽어납니다. 이러니 더더욱 기피하지.. 철갑상어든 새우든 장어든 양식어종에 대한 방법론 뿐만 아니라 판로구축에 관한 지원이 필요할듯 합니다 ㅠ

  • @sfk1031
    @sfk103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1

    골병들어서 골골해도 절대로 물려주지 않는거 다 아는데
    차라리 외국인이 더 낫다고
    저말하고 바로 뒷통수 치는 동네인데
    국궁 기술 전수해달라고 하면 10년 지나도 일절 가르쳐 주지 않고 기술 전수 안되서 사장되는데도 한갑 넘어도 딱 3명밖에 안되는게 웃긴거지.

  • @산백-d2o
    @산백-d2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양식 기계 비 및 유지비,대여비 그리고 그전 까지 양식 개발 비용 빛 까지 해서 8억 인걸로
    빛이 많고 유지비 비해 이득이 적으니 인계 할테니 10억인가 달라고 해서 뉴스 뜬적있음 ㅋ

    • @Daengcoon
      @Daengcoo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빛 말고 빚 빝 아니고 빚 그저 빛

  • @drumKonggo
    @drumKongg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반대로 물어보지. 후계자가 왜? 없을까?

  • @kissoff9891
    @kissoff989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2

    20년 연구하면 뭐함? 상품성이 낮으니 사업성이 없는거고 그러니 후계자가 없지
    20년째 사업성 확보 못했으면 명맥 끊겨도 딱히 아깝진 않다

  • @yeonzonza5737
    @yeonzonza573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난 좀 이해가 잘 안가는데.... 캐비어는 없어서 못먹고 비싸서 못먹는 사치식품으로 유명하지 않던가? 그걸 양식기술 개발할 때는 그만큼 돈벌이가 되니까 했을거 아냐? 근데 그 기술 받아서 양식할 사람이 없다? 이게 말이 돼나? 돈벌이가 안돼니까 안한다는 뜻인데... 캐비어가 똥값이 될 리도 없는데 왜 사람들이 안하려고 하지?? 뭔가 수지타산이 안맞는다는 건데 왜 안맞을까? 캐비어는 분명 고가로 팔리므로 만드는 즉시 돈이 되는데 그걸 왜 안해? 앞뒤가 안맞는소린데...

    • @한빈qwer
      @한빈qwe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사육난이도가 도라이수준이고 초기비용은 엄청 높은데 회수하려면 최소7년은 기다려야 해서 기초자본도 많아야 하는데 사람도 구하기 힘드니.... 기존에 하던 사람들 아니면 접근하기가 쉽지않죠

    • @yeonzonza5737
      @yeonzonza573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한빈qwer 아하.... 리스크가 크군요...

    • @한빈qwer
      @한빈qwe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yeonzonza5737 그리고 그 자본으로 내수면 하려면 장어키우는게 더 수요가 있고 자금회수도 바로바로되서.... 여러가지로 애매한 포지션이죠

    • @2분과학3분과학
      @2분과학3분과학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제 아무도 안할꺼니가 지금 들어가면 독점으로 가격 폭등 시킬 수 있음

    • @채희준-g5l
      @채희준-g5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국에서 대량으로 양식해서 팔아먹음 돈이 될리없지

  • @user-fl8xr3mx6o
    @user-fl8xr3mx6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돈이 안되면 없어지는게 당연한거지.
    욕심에 엄한 사람들 희생 강요하지마라.

  • @jinukmen5294
    @jinukmen529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첨부터 생산성 단가 맞지 않았지.
    들어가는 비용이 워낙 많이 들고 수입으로 충분하고 무엇보다 국내선 소비가 그리 흔치않다.

  • @RR-xh2xz
    @RR-xh2x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2

    시골에 가면 노인네들이 텃세 부리고 노예 부리듯 갑질 하는데 왜 감?

  • @jun31230
    @jun3123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지역사회 소멸 걱정하면서 엄한데다 관람차 케이블카 설치좀 그만하고,
    이런거 연구소, 양식장, 판매업체들 싸그리 지역에 유치해서 지원금도 주고 인력지원 해주고면서 철갑상어 캐비어 관광특구로 키워봐라

  • @빅토리카02
    @빅토리카0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도시의 매력이 좋ㅇ아서

  • @성채연-o1d
    @성채연-o1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사업접고싶으니 바통받을 호구구함

  • @서윤오-n1f
    @서윤오-n1f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갑자기 배우고 싶다

  • @디에스이레
    @디에스이레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돈이 안되니 후계자가 없지 ㅋㅋㅋ 지금 연구하는 연구원들 가족들도 안하는거 보면 답 나온거 아님? 진짜 힘들어도 돈 잘되면 가족들은 기를 쓰고 강제로라도 시킴

  • @불뿜는도롱뇽
    @불뿜는도롱뇽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연구센터에서 직접양식하믄 되지모...

  • @dtjsal
    @dtjsa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한국 인문사회과학은 20년 전에 죽었고, 이공과학은 작년에 죽었다

  • @alchealche6839
    @alchealche683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높으신 분들 처먹는 거 3숫가락만 줄이면 업계 유지는 문제가 없지 않을까
    굥은 일식만 처먹느라 케비어는 관심 없나보네

  • @L-S-H
    @L-S-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연구를 아무리 잘해도 수익사업으로 키우지 못하면 어쩔수없지.

  • @hojinkim9648
    @hojinkim964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국 떠나는 외국인 노동자 말고 한국인 직원 뽑아서 일 가르쳤으면 되지 않았을까요......?

  • @scottcello418
    @scottcello41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쟁력이 없으면 폐업하는게 맞다

  • @해적왕쵸파
    @해적왕쵸파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돈되면 후계1차는 자식이고 2차는 친척들이다 ㅡ방송보면 후계없네마네하면서 다들 자기자식들 가르키드라 ~돈이될지말지도모르고 마이너스장사 누가 떠안아주길바라는거지

  • @loveisover2049
    @loveisover204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돈 되면 하지 마래도 한다

  • @만사근본仁
    @만사근본仁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어업인구보다 정부가 연구비 축소시켜서 아닌가?

  • @aguccim8162
    @aguccim816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국에서 캐비어 먹는거 봤냐? 다 수출로 돈벌어야하는데 캐비어는 옛날부터 유럽쪽에서나 먹든거라 거기사람들이 기술이더 많겠지

  • @user-Chambbong
    @user-Chambbon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말은똑바로해야지 r&d 예산이 줄어서 할사람이 있나 없지

    • @kingehtmoon
      @kingehtmoo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대학안나옴?

    • @scottcello418
      @scottcello41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r&d 보조금 횡령이 만연한 나라라서 안타깝지 않다.

  • @농부왕부농
    @농부왕부농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식 사기꾼들 하고 똑같네 돈되면 남 안시킴 가족끼리 먹지 호구 찾고있는것

  • @뱅이골-k8o
    @뱅이골-k8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후계자같은 소리하고있네 싼값에 부려먹을 노예가 없는거지

  • @포엠-b7r
    @포엠-b7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살아남은곳은 돈벌겠네

  • @blrain5519
    @blrain551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기등이 장사하면서 유지하며누안되농 돈이안되나봄?

  • @세피로스-t2l
    @세피로스-t2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냥 먹티지

  • @ggmind
    @ggmin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댓글이 진짜 무식하다
    너희가 말하는 돈이 안 되는 이유가 바다에서 상어들이 샥스핀과 캐비어 때문에 몰살 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계속 잡고 잡아서 앞으로 바다에 상어가 많이 남아 있을 것 같냐?
    이런 양식 기술은 명맥을 유지하고 미래에 바다에서 고래와 상어와 많은 어종을 보호할 때 꼭 필요해진다

    • @전진혁-x7o
      @전진혁-x7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응 니가 그럼 전수 받으면 되겠네 ㅋㅋ

  • @Staatssi
    @Staatss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비싸게 팔고 튈려는건가??? 지금 화면에 젊은 사람인데???

  • @jayk3784
    @jayk378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거지만들어서 내쫏아요

  • @coco-v6f9i
    @coco-v6f9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건 연구비 문제가 아니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딱히 기술력도 없고 아무것도 없으니 망하는거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연구비타령하는 댓글들은 뭐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기서 얼마나 연구비 빼쳐먹은지도 모르는건가????????

  • @맥켈란-n4m
    @맥켈란-n4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맛없어 짜

  • @qst595
    @qst59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윤석열이 국가 과학기술연구개발 예산을 대폭 축소해서 이런 거냐

  • @바다가답이다
    @바다가답이다 2 месяца назад

    수익성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종자를 키워서 케비어를 생산할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10년은 걸리는데 그때까지 손가락빨고 운영가능한 자금력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그리고 그런돈 있는사람이 굳이 저걸 할까요?

  • @강형석-u1n
    @강형석-u1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관상어로 팔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