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중간에 모형에 대한 설명이 있어요. ^^ 태양과 지구와 달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로 조금씩 모양이 달라지는데.. 달이 지구의 주위를 하루에 약 13도 정도 공전하니까 위상이 변하는 다른 천체에 비해 그 변화의 폭이 크게 나타나는 것이지요. 영상 안에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다시 한반 확인해 주세요. ^^
지구 자전과 공전의 속도가 실로 어마어마한 점을 고려한다면 그에따른 마찰계수도 엄청나게 클 것이기 때문에 100년에 0.002초가 아니라 몇일만에도 지구 자전이 멈춰져야 하는게 정상 아닐까요? 왜 다들 엄청난 속도에 따른 마찰계수도 엄청나서 속도가 더 빨리 줄어들어야 하는게 정상이라는 생각을 안하는거죠?
전에 어렵게 느껴졌던 내용을 너무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이해가 잘 되네요. 고맙습니다.
역시 오빠는~~~☆ 교실에 우주를 품었네여~
아이랑 재밌게 봤어요^^ 태양과 달의 크기,속도가 인상 깊네요~~
재밌게 보셨다는 말씀 들으니 기분이 참 좋네요. 더 재미있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와 좋은 강의네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3학년 리완이에요. 수업 너무 재미있었어요. ^^
학생들이 보면 아주 좋을듯 합니다~ 추천!!!
네.. 교실에서 배우지 않는 우주, 누구나 한번쯤 궁금했을법한 이야기들을 풀어가 보려고 노력중입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지구 소품 딱인데
태양계 천장에 붙여놓으면
며칠안에 떨어지려나?
강의실력은 뭐 항상 최강이었음
수고하게 친구^^~~~
참 교실 녹색톤도 안정적이다^^~~~
강의감사합니다
궁긍한게 있는데요
사람들이 볼때
달이 매일 매일 모양변화한다는건
들어서 알고
그림에서도 보고 했는데요
선생님이 지금 교실 천정에 달아 놓은 것처럼
실제로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실제 모형으로 알 고 싶어요~^^
영상 중간에 모형에 대한 설명이 있어요. ^^
태양과 지구와 달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로 조금씩 모양이 달라지는데..
달이 지구의 주위를 하루에 약 13도 정도 공전하니까 위상이 변하는 다른 천체에 비해 그 변화의 폭이 크게 나타나는 것이지요.
영상 안에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다시 한반 확인해 주세요. ^^
지구 자전과 공전의 속도가 실로 어마어마한 점을 고려한다면 그에따른 마찰계수도 엄청나게 클 것이기 때문에 100년에 0.002초가 아니라 몇일만에도 지구 자전이 멈춰져야 하는게 정상 아닐까요? 왜 다들 엄청난 속도에 따른 마찰계수도 엄청나서 속도가 더 빨리 줄어들어야 하는게 정상이라는 생각을 안하는거죠?
지구의 자전, 공전 속도가 빠른 것과 마찰계수의 상관관계, 누구와 누구 사이의 마찰계수를 말하는지 이해하기가 쉽지 않네요. ^^;
마찰계수에 대해 한번 검색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주벌판 진공상태에서는 마찰이 없지 않나요?
고급 강의 공짜로 듣게 되네요. 책도 같이 써 주세요
안녕하세요! 저 4학년 선생님 반에 있는 가희에요!
엄마랑 오늘 영상을 같이 봤는데 재미있었어요!☆☆☆☆☆/☆☆☆☆☆
감사합니다!
못 느낀다는게 모두 거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