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오세요~ 금쪽상담소? 대신 시시비비 상담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직장생활 중 헷갈리다면?
    생일챙기기, 연차,회식 참여, 옷차림 등 궁금하다면 오은영 박사님대신 노무사님이 함께 들어드립니다.
    지금 바로, 한국환경공단 시시비비 상담소로 들어오세요~
    ---------------------------------------------------
    🙋‍한국환경공단 시시비비 상담소 공감! EVENT!🙋‍
    📌이벤트 참여방법
    1. 한국환경공단 유튜브 구독🎈해당 영상 좋아요👍를 하고!
    2. 5가지 상담주제 중 가장 공감되는 부분의 타임라인과 소감을 댓글로 적고!
    3. 댓글 작성 후 구글폼 링크를 눌러 댓글 캡쳐 첨부 및 개인정보에 동의해 주세요!
    🎁경품🎁
    투썸플레이스 떠먹는 티라미수 (20명)
    URL : forms.gle/mQ7J...
    ✔ 참여기간 : 10월 30일 ~ 11월 10일
    ✔ 발표일자 : 11월 14일 오후 5시 (고정댓글에서 확인 가능❗)
    ✔ 경품은 당첨자 발표 후 7일 이내 발송됩니다! (주말 제외)
    #오은영 #상담소 #금쪽 #노무사 #한국환경공단 #회사 #직장생활 #고민상담 #사회생활 #기프티콘이벤트 #댓글이벤트 #구독이벤트 #구독자이벤트 #케이크쿠폰

Комментарии • 465

  • @Kecopr
    @Kecopr  2 месяца назад +2

    🙋‍한국환경공단 시시비비 상담소 공감! EVENT! 당첨자 발표!🙋‍
    *경품은 기입된 연락처로 7일 이내 발송됩니다.(주말 제외)
    김베굴
    @artfan1007
    @이라또-k8q
    @bisongi
    뾰로롱꼬마마녀
    김성민
    윤정근
    @juua._.a
    @donguri83
    보배상왕
    알록달록캔디
    네모고먐미
    최병남(@sdrleader)
    김지아
    @김정우-n1c
    @user-qq3ko2ff3y
    칸초오
    @구르미-s9h
    @lemonandlimeyy
    @hanulcum

    • @보배상왕
      @보배상왕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와우~~~~당첨선물받았어요 정말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정보 많이부탁드려요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 @lemonandlimeyy
      @lemonandlimeyy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 @tse23335
    @tse23335 2 месяца назад +1

    13:49
    “직장 내 복장 규정이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과도하게 자유로울 경우 오히려 직원의 개성을 억누를 수 있다”는 말이 인상 깊었습니다. 직장에서 격식을 갖추는 것은 필요하지만, 동시에 업무에 효율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개성을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특히 사무직이 아닌 경우라면, 눈살을 찌푸리지 않을 정도의 자유로운 복장을 허용하는 것이 업무 효율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엄격한 복장 규정이 업무에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당한 규정과 자유를 허용하는 균형 잡힌 복장 정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처럼 사소해 보이지만 일상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직장 내 규정과 문화를 세심하게 살펴보며 대안을 제시하는 ‘시시비비 상담소’의 역할이 무척 의미 있게 다가왔습니다. 앞으로도 직장인들이 일상에서 겪는 다양한 문제들을 다뤄 주면서 더 나은 직장 문화를 만들어 가는 데 기여해 주기를 바랍니다.

  • @luminsiti
    @luminsiti 2 месяца назад +1

    10:35에서 회식 참석 문제에 대한 이강희 차장님의 말이 진짜 직장 생활의 본질을 짚은 것 같아 업무의 연장이 아니니까 가지 말자 이 말 얼마나 당연한데도 많은 직장에서 이게 잘 지켜지지 않았잖아 회식이라는 이름으로 무조건 참석해야 한다는 압박 없이 자율성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진짜 의미 있는 소통의 자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 회식은 선택이 되어야 하고 그렇게 각자의 선택을 존중하는 문화가 직장 전체의 행복과 효율성을 높여줄 거라고 믿어 시시비비 상담소가 앞으로도 이런 직장 문화 개선에 앞장서 주길 기대해

  • @남다름-t4o
    @남다름-t4o 2 месяца назад +1

    10:35 직장 회식 문화! 이 부분이 저는 너무 공감되네요~ 회식이라는 게 참 양날의 검 같아요. 업무 스트레스도 풀고 동료들과 친목도 다질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건 맞지만, 한편으로는 개인 시간을 뺏기는 것 같아 부담스러울 때도 있거든요. 특히 육아 중인 저 같은 경우는 갑작스러운 회식 통보에 당황스러울 때가 많았어요! 그래서 노무사님이 말씀하신 '점심 회식' 제안이 정말 신선하게 다가왔어요! 퇴근 후 시간도 지킬 수 있고, 자연스럽게 과도한 음주 문화도 줄일 수 있고... 일석이조네요. 무엇보다 가장 좋은 건 '자발적 참여'를 강조하신 점이네요. 회식도 결국 구성원들의 화합이 목적인데, 억지로 참석해서 불편한 시간을 보내는 건 오히려 역효과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는 우리 회사도 이런 방향으로 회식 문화가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 @hye.123
    @hye.123 2 месяца назад +1

    6:32 이 문제가 제일 호불호가 많이 갈릴 것 같아요.
    출장 준비가 개인적인 일인지 업무에 관한 일인지에 따라 제 의견이 달라질 것 같아요.
    출장에 필요한 서류나 업무 준비에 관한 일이면 출장자를 다른 직원들이 돕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출장에 이용할 차량 주유 역시 차가 회사 차량이고, 담당자다 정말정말 주유를 미리 해놓을 상황이 아닐 경우 다른 직원이 보조해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런 상황이 아니라면 갑질이 맞죠.
    그런 심부름은 개인 비서한테나 시키는 일이죠.
    팀원에게 시킬 일은 아닙니다.😊

  • @김진성-w2h
    @김진성-w2h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번 영상을 보며 제일 공감되었던 주제는 10:35에서 다룬 회식 문화와 자율 참석에 관한 부분이었어요. 😄 "업무의 연장이 아니니까 가지 말자!"라는 이강희 차장님의 말씀에 큰 공감을 했습니다! 회식이 사내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라는 건 이해하지만, 가끔은 너무 부담스럽기도 하고 개인의 시간을 침해하는 경우가 많잖아요. 💦 술을 권유받거나 원치 않는 늦은 시간까지 이어지는 회식이 반복되면 다음날 업무에도 영향을 주는 건 물론이고, 직장생활 자체에 피로감을 더하는 것 같아요.
    요즘처럼 워라밸을 중시하는 시대에는 각자의 시간을 존중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가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또 점심 회식을 제안하는 아이디어는 정말 멋지더라고요! 🍱 오전 업무 후 가볍게 모여서 소통하는 시간을 가진다면 업무 능률도 오르고, 서로의 생활에도 큰 지장이 없으니 다들 즐겁게 참여할 수 있겠죠? 오후에도 각자의 일정을 소화할 수 있어 부담 없이 회식을 즐길 수 있을 것 같아요. 🎉
    그리고 회식을 자율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면서, 불참자에게도 눈치를 주지 않고 서로의 선택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자리 잡는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 같아요. 🙌 누구나 편하게 소통할 수 있는 그런 사내 문화가 조성된다면, 업무 시간 외에도 동료들과 더 건강하고 의미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거예요. 한국환경공단의 ‘시시비비 상담소’가 이렇게 직장인들의 고민을 함께 고민해 주고, 더 좋은 사내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는 모습에 큰 인상을 받았습니다. 앞으로도 직장인들을 위한 다양한 주제와 현실적인 조언들을 기대하고 응원합니다! 😊

  • @mi9471
    @mi9471 3 месяца назад +2

    9:54 에 나온 Q4 회식 참석 문제 정말 깊이 공감됐어요
    회식에 참석하면 좋겠지만 때론 사적인 시간이 더 필요한 날도 있어서 매번 고민하게 되더라고요
    저도 회식에 대해 딱 절반의 마음을 가지고 있어요! 참석은 하고 싶지만 하루 일과 후의 쉼이 아쉽기도 하고요
    특히 업무와 회식의 경계가 모호해질 때 가끔은 부담이 되곤 하죠
    그래도 노무사님 상담을 들으니, 회식 참여에 대한 부담을 조금 덜어낼 수 있을 것 같아요
    '시시비비 상담소' 덕분에 저도 이제 좀 더 편한 마음으로 회식을 바라볼 수 있을 듯해요 😊

  • @junique1753
    @junique175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3:30 생일과 관련 해서 같이 돈을 모으거나 선물을 하는 경우에도 이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공감이 됩니다.
    하고 싶어도 경제적 부담이 되거나 개인적인 이유로 단체 행동에 참여하고 싶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도 있어서 회사 생활을 하면서 쉬운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 @Kecopr
    @Kecopr  3 месяца назад +22

    🙋‍한국환경공단 시시비비 상담소 공감! EVENT!🙋‍
    📌이벤트 참여방법
    1. 한국환경공단 유튜브 구독🎈해당 영상 좋아요👍를 하고!
    2. 5가지 상담주제 중 가장 공감되는 부분의 타임라인과 소감을 댓글로 적고!
    3. 댓글 작성 후 구글폼 링크를 눌러 댓글 캡쳐 첨부 및 개인정보에 동의해 주세요!
    🎁경품🎁
    투썸플레이스 떠먹는 티라미수 (20명)
    URL : forms.gle/mQ7JqCAnUYuQt6QJ7
    ✔ 참여기간 : 10월 30일 ~ 11월 10일
    ✔ 발표일자 : 11월 14일 오후 5시 (고정댓글에서 확인 가능❗)
    ✔ 경품은 당첨자 발표 후 7일 이내 발송됩니다! (주말 제외)

  • @dslee2486
    @dslee2486 2 месяца назад +2

    10:57 서로간에 불편하게 하지 않고, 즐겁게 나눌 수 있는 회식문화가 중요하다고 말씀하시는 부분에서 많은 공감이 되었네요.

  • @츠바사-i3s
    @츠바사-i3s 3 месяца назад +1

    6:25 세번째질문
    본인의 일은 본인이 했으면 합니다. 이런 경우 저런 경우 다 이해관계 따지다 보면 문제될 일이 세상에 어디 있겠나요..ㅠㅠ 정말 힘든 사회생활, 직장생활~

  • @begonia999
    @begonia999 2 месяца назад +1

    10:58 회식 문화 개선을 위해 다양한 직군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특히 MZ세대의 경우, 개인의 삶과 일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이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외국계 기업의 경우, 이미 자유로운 회식 문화가 정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사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기업 문화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지영강-z9q
    @지영강-z9q 3 месяца назад +2

    💚 01:45 생일챙기기문제💚 공감해요
    지극히 개인적인 상황을 단체행동으로 만들어버리는 건 정말 싫어요! 참여하기도 불참하기도 눈치보이고 불편하고 어떻게해도 진심을 왜곡시킬 수 있어서 꼭 시장되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해요.

  • @like_apples
    @like_apples 2 месяца назад +1

    9:20 이번 시시비비 상담소에서 다룬 주제 중 가장 공감되는 내용은 바로 '회식 참여'에 대한 부분입니다. 직장 내에서 회식은 종종 업무의 연장선으로 여겨지고, 참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꽤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회식이 매우 중요한 사회적 활동으로, 참석하지 않으면 동료들 간의 유대감 형성에 소외되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회식 강요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으며, 특히 개인적인 시간과 자유가 중요한 현대 사회에서 강제적인 회식 참석은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합니다.
    이와 같은 문제는 단순히 '참여'냐 '불참'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각자의 상황과 기분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회식이 업무의 연장선으로 강제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회사 분위기나 상사의 요청에 따라 참석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경우에도 사전에 '참석은 자유'라는 명확한 안내가 있다면 직원들이 더 편안하게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회식의 목적과 형식이 무엇인지 명확히 하고, 직원들의 자유로운 선택을 존중하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또한, 회식에 대한 부담이 너무 커지지 않도록 신경 쓰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예를 들어, 회식에 강제로 참석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이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별다른 불이익이 없다는 분위기가 만들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결국 회사의 목표는 직원들이 행복하게 일하고, 서로 소통하며 좋은 성과를 만들어가는 것이라 믿습니다. 그런 점에서 회식은 강제적인 것이 아니라, 직원들의 자발적이고 즐거운 참여가 이루어지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sorrjj
    @sorrjj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4:54 회사 복장규정은 정말 공감되네요. 옆사람의 눈살을 찌푸리는 의상만 아니라면 굳이 갖춰서 입어야하나라는 생각이 들어요. 조금 더 자유로운 복장이 필요한 것 같아요. 갖춰진 복장에서 너무 경직된 회사가 되지 않나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 @mollu6706
    @mollu670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3:50 복장 규정에 대해 공감해요. 제가 다니는 회사도 너무 엄격한 복장 규정이 있어서 매일매일 옷을 선택하는 것이 부담스러워요. 조금 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일할 수 있으면 좋을 텐데, 그렇지 않아서 조금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ㅠㅠ 물론 중요한 자리나 회의 등에서는 적당한 복장이 필요하지만, 일상적인 업무에서는 자유롭게 갔으면 좋겠어요~

  • @sunwookwak
    @sunwookwak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2:09 직장생활 중 회식으로 인한 고민이 많았는데, 점심회식이라면 확실히 시간이 짧고 술 문화도 자제될 가능성이 커서 더 편안하게 참여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회식이 의무감보다는 서로의 소통과 업무 후 관계를 다지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회식의 문화가 점차 변화하고 있는 만큼, 너무 공감이 갑니다!

  • @Mango_s2
    @Mango_s2 2 месяца назад +5

    13:49 너무 지나치게 규제적이거나 자유로운 복장 규정은 직원들의 개인적인 스타일을 억제할 수도 있으니 균형을 잘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궁극적으로, 복장 규정이 직원들이 자신감을 갖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벌쏘인멍뭉이
    @벌쏘인멍뭉이 3 месяца назад +4

    (09:20) 회식참여 문제.🍺😢
    노무사님들 의견도 각각 다른..
    코로나 이후로 많이 나아졌지만
    앞으로 더 나아지길 바라요.🙏
    이번 컨텐츠가 직장생활 하시는 분들께
    많은 공감과 조언으로 도움 되겠어요!👍👍
    한국환경공단 시시비비 상담소🩵좋아요!
    앞으로 더 기대하고 응원할게요!💙
    #구독 #좋아요 #알림 #공유 해요 😊

  • @nmh0504love
    @nmh0504love 3 месяца назад +1

    9:20 회식참여문제
    강제회식에 1/N을 해야한다면 저라도 너무 싫을것같아요. 회사생활하면서 회식을 통해 사람들과 교류를 하지만 회식참여를 싫어하는 사람도 있으므로 회식참여 불참시에 눈치를 주지않는 문화가 잘 만들어져야할것같아요.

  • @의리-z2m
    @의리-z2m 3 месяца назад +2

    3:45 생일 챙기기에 대한 이야기 너무 공감 됐습니다😊
    똑부러진 정답이 없어 항상 애매한거 같아요ㅋ
    시시비비 상담소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 @juua._.a
    @juua._.a 3 месяца назад +2

    가장 공감되는 주제는 회식 참석 문제에 대한 이야기였어요! 특히 10:35에서 이강희 차장님이 하신 "업무의 연장이 아니니까 가지 말자!"라는 말에 정말 속이 뻥 뚫리는 기분이었어요 😆👏 회사 밖에서도 회사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야 한다는 부담이 참 커요.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고, 개인 생활을 중요하게 여기는 분들도 많은데, 갑작스러운 회식 때문에 원하지 않는 상황을 맞는 경우가 종종 있거든요 💦 특히 술을 좋아하지 않거나, 미리 잡아둔 약속이 있는 경우에는 정말 난감하죠 😥 회식이 진정한 소통과 유대감의 자리가 되려면, 강제성이 없는 자율적 참여가 필수인 것 같아요! 점심 회식이나 각자의 선택을 존중하는 문화가 자리 잡는다면, 회식 자체가 부담스럽지 않고 즐거운 자리가 될 수 있을 거예요 😊 한국환경공단의 시시비비 상담소가 이런 사내 문화 개선에 큰 힘이 되어주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 @user-qt6hg2xy9j
    @user-qt6hg2xy9j 3 месяца назад +1

    6:44 동료직원의 출장준비에 대한것 공감했어요! 제가 신규일때.. 제가 다~~ 해드렸거든요. 아무래도 제가 겪어본 일이라 그런지 .. 그리고 그냥 선배님들이 하라고 하면 당연히 해야하는줄 알고 했던것 같아요. 요즘은 시대가 바뀌어서 , 전혀 안그렇더라구요 ~~ 그시절엔 그랬답니다 ㅎㅎ
    노무사님 상담소 유익하네요

  • @단디단왕밤빵
    @단디단왕밤빵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0:55 서로 불편하지 않고 존중하는 회식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말씀에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즐겁게 일할 수 있는 회사 분위기를 위해 꼭 필요한 이야기네요. 항상 유익한 정보로 힘이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환경공단 화이팅!

  • @네모고먐미
    @네모고먐미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0:11 회식 참여 여부를 직원들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분위기, 정말 공감됩니다! 👍✨ 회식은 서로 교류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자리이기도 하지만, 개개인이 선호하는 시간 활용 방식이나 그날의 컨디션에 따라 부담이 될 수도 있는 부분이니까요. 특히, 퇴근 후 시간을 온전히 쉬고 싶은 분들도 계시고, 또 개인적인 약속이나 가족과의 시간 등 각자 소중한 일정이 있을 수도 있잖아요! 😊
    회식 참여가 자율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정말 회식을 즐기고 싶어 하는 분들은 더욱 편안하게 참여할 수 있고, 부담을 느끼는 분들도 마음 편히 선택할 수 있어서 모두가 더 행복해질 것 같아요 💚 게다가 선택권이 보장되면, 회식이 의무처럼 느껴지기보다 즐거운 자리로 다가올 가능성이 더 커지지 않을까요? 😆 회식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사람들끼리 모이면 분위기도 자연스럽게 화기애애해지고, 참여하지 않는 분들에 대한 존중도 높아지니까 정말 좋은 방향성이라고 생각해요! 🎉
    이렇게 다양한 상황과 개인의 의견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계속해서 자리 잡히면, 직장 생활이 훨씬 더 유연하고 행복해질 것 같아요~ 🌈 그래서 회식 참여 선택권 보장, 저도 정말 정말 찬성합니다!

  • @용인시불가동
    @용인시불가동 3 месяца назад

    믿고 보는 통계청 자료 앞으로도 계속 좋은 정보 많이 공유 부탁드립니다.응원합니다.

  • @allegri3203
    @allegri3203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0:12 이 부분이 가장 공감됐어요. 공식적인 자리가 아니라면 참여자의 참여 여부를 체크하여 서로 불편하게 하지 않고 즐겁게 나눌 수 있는 회식문화가 정착되길 바래봅니다.

  • @iab9789
    @iab9789 3 месяца назад +4

    12:05 점심 회식 진짜 너무 좋아요!
    저녁에 회식을 하면 자연스럽게 주류를 곁들이게 되는데 이게 다음날 출근일때 정말 많은 지장이 가더라구요ㅠㅠㅠㅠㅠ
    피곤하고 일이 손에 안잡히고... 그래서 어쨋든 회식의 목적을 갖고 점심에 회식을 하면 진짜 좋을거 같아요!💛🧡

  • @jokh8109
    @jokh8109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2:17 N분의 1회식ㅎㅎ 공감합니다.😂 차장님 팩트로 말씀하셨네요! 제 경험도 상사가 오늘 회식이다~! 알고보니 공식도 아니였고 다들 익숙하게 N분의 1결제가 이루어 지더라구요

  • @aieehun
    @aieehun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0:35 회식 강제 문제에 대한 이야기는 제 경험을 떠올리게 했어요. 몇 년 전, 제가 속한 팀에서 회식이 정말 잦았거든요. 매주 몇 번씩 회식이 잡히다 보니 저도 자주 참석해야 하는 부담감이 컸어요. 그래서 가끔은 지친 기색을 보이기도 했죠. 그런 분위기 속에서 점점 더 많은 동료들이 회식에 대한 반감을 표현하기 시작했고, 결국 관리자가 회식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자는 논의를 시작했어요.

  • @홍영진-h6s
    @홍영진-h6s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2:05 점심회식 힐링나눔 가즈아^^
    빨리빨리로 구분되어 지는 대한민국의 현실에 작은 쉼표 하나 찍GO!
    친구들 함께 그것이 주는 힐링을 경험하고 말꺼예요.^^
    주어진 본분에 열심히 수고하고 노력한 만큼 하루가 더 빨리 가는 느낌이에요.
    언제나 힐링나눔 가득! 너무 수고많으셨어요.
    답답했던 어제가 어서빨리 지나가고 어느덧 또다시..
    희망이 가득해야 할 미래가 희망희망 웃음짓길 바래요.^^
    많은 분들이 행복할수 있으니까요.
    이후에도 더더욱 진취적인 내일 및 함께 응원할게요 !!

  • @hana.34
    @hana.34 2 месяца назад +2

    9:38 회식은 필참 VS 회식은 선택
    저도 반반이긴 하지만
    개인의 시간과 상황은 모두 다르니까 육아, 자기계발, 건강관리 등 각자의 중요한 일정이 있을수도 있고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지는 회식이 더 즐겁고 의미 있을것 같아요.

  • @johnkeats4421
    @johnkeats4421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0:35 회식 참석 문제 그 중에서도 이강희 차장님이 하신 업무의 연장이 아니니까 가지 말자 라는 말이 많은 공감이 되었습니다

  • @38-zr6tw
    @38-zr6tw 2 месяца назад +1

    9:44 회식에 대한 문가람, 손인도 노무사님의 의견에 둘 다 공감이 가서 재미있게 시청했어요~!
    알차고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앞으로도 더 많은 정보를 한국환경공단 채널을 통해 나눌 수 있기를 기대하겠습니다~! 응원합니다~!!🧡

  • @이정훈-g5v1h
    @이정훈-g5v1h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3:20 회식문화에 대해서는 정말로 공감합니다~
    개인적으로 술을 먹지 않는데요~ 회식을 가게되면 꼭 술을 먹게되더라구요~
    요즘은 그래도 술을 권하지는 않는데, 분위기상 한 두잔정도는 마셔야할때가 있거든요~
    저도 개인적으로 점심회식 강추합니다~

  • @shwasongsun
    @shwasongsun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8:01 확실한 한가지는 일로 만난 사이다! 이거 너무 맞말이라서 제일 공감되고 좋았던 말이였어요ㅜㅜ 회사는 공적인 공간이니까 그때는 예의를 갖춰서 서로 믿으면서 일을하고 퇴근을 하고 나서는 사적인 공간이니 배려하고 남을 생각해줘야되는게 맞는것 같아요!!! 이런 문화가 제발 더 많아지기를 바랍니다ㅜㅜ!!

  • @nina.nooooooo
    @nina.nooooooo 3 месяца назад +2

    5:55 연차사용질문 공감도 많이가고 재밌네요😊

  • @마리골드-i8x
    @마리골드-i8x 3 месяца назад +2

    가장 공감가는 부분은 네번째 주제인 직장 회식 참석 문제에 대해 손인도 노무사님의 극단적인 X에 관한 논리적인 이야기에 많은 공감이 되었습니다 조직의 융화와 유대관계 형성이라는 본래의 취지를 벗어나는 행위로 인해 점점 부정적인 인식이 강해지는 것 같습니다 다양한 세대가 함께 일하고 있는만큼 서로 소통하고 공감하며 더 나은 시너지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마련된 한국환경공단 시시비비 상담소가 더욱더 활성화 되어 올바른 사내 문화의 정착에 큰 힘이 되기를 응원합니다

  • @lemonandlimeyy
    @lemonandlimeyy 3 месяца назад +1

    9:38 회식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하루종일 회사에 있는데 업무의 연장느낌이랄까요 의무와 강요가 되는 순간 가기 싫어지는곳이라고 생각해요....😅

  • @ninoheesun
    @ninoheesun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2:00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는 조직문화 만들기가 참 중요해요!!!❤

  • @oluo6077
    @oluo6077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2:05 점심 회식이 이루어지면 음주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되어 좋을 것 같아요

  • @Kotrae
    @Kotrae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0:57 깊히 공감합니다. 예전의 강압적인 필참 회식이아닌 개인의사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차원의 파트너쉽과 사내분위기 증진을위한 선택적요소죠😊

  • @RoyalKINGchus
    @RoyalKINGchus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0:45 정말 공감 100% 입니다 회식 다음날 불참자에게 왜 안왔냐? 라고 묻는 피드백이 정말 궁금해서 일지라도 묻지 않는게 자발적 참여를 위해서도 바람직해보입니다
    직장 생활을 하면서 겪었던 혹은 앞으로 겪을 상황에 대해 현명한 판단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 적정한 해결책을 제시해주셔서 정말 공감갔고 유익했습니다

  • @김정우-n1c
    @김정우-n1c 3 месяца назад +3

    크, 이제 환경을 넘어 직장 생활까지 챙겨주는 한국환경공단의 시시비비 상담소! 노무사님들의 의견과 함께 해보니 더욱 신뢰가 가는데요
    13:19 특히 오늘 주제 중에 82%라는 가장 높은 비율로 찬성이 나온 회식 참여 의사 존중 이슈!! 회식이 싫은 게 아니라, 회식을 강제하는 게 싫다는 점을 많은 상사 분들이 아셨으면 합니다 ㅎㅎ
    참여 의사를 존중하고 특히 점심 회식처럼 시간과 에너지를 아낄 수 있는 회식이라면 싫어 할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 모두 동의 하시죠~?

  • @cbj8065
    @cbj8065 2 месяца назад +1

    10:56 문가람 노무사님의 멘트에 정말 공감합니다 사실 회식자체가 싫기보다는 그에 따르는 듣게되는 부담적인 요소가 있기 마련인데 자율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오히려 자발적으로 참여한다고 생각해요ㅎㅎ 공감되는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한국환경공단 화이팅^^

  • @깜찍이soda
    @깜찍이soda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2:05 점심 회식이 요즘 트렌드라는 이강희 차장님의 말에 정말 공감했습니다.
    저녁 회식은 다음날 출근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많아서 오히려 부담스러운데,
    점심 회식은 그런 부담 없이 모두가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라고 생각해요.
    이렇게 새로운 회식 문화를 제안해주셔서 좋았고, 앞으로 더 많은 회사들이 이런 방식을 도입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pkson4892
    @pkson4892 2 месяца назад

    12:16 요즘은 이게 바람직한 회식문화죠! 다같이 n분의 1하고, 억지로 마시거나 먹이지 않는 문화가 오히려 더 결속력도 다지면서 즐거운 회식이 되는 것 같아요!

  • @Jungkookiiil
    @Jungkookiiil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2:06 제일 좋아요! 점심 회식 진짜 좋습니다. 강력하게 O !!

  • @bonamors-b5g
    @bonamors-b5g 3 месяца назад +3

    가장 공감되는 주제는 회식 참석 문제에 대한 이야기였어요! 특히 10:35에서 이강희 차장님이 하신 "업무의 연장이 아니니까 가지 말자!"라는 말에 정말 속이 뻥 뚫리는 기분이었어요 😆👏 회사에서의 관계도 중요하지만, 결국 개인의 삶과 시간도 중요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회식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죠.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고, 개인적인 시간을 중시하는 분들도 많은데, 갑작스러운 회식에 참석해야 한다는 압박이 크더라고요 💦 특히 술을 즐기지 않거나, 이미 개인적인 약속이 있을 경우에는 정말 난감하고 불편한 상황이 많죠 😥
    회식이 진정으로 소통과 유대감을 나누는 자리가 되려면, 강제적인 참석보다는 자율적인 참여가 가능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러면서도 서로의 선택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형성된다면, 회식이 진정으로 즐겁고 의미 있는 시간으로 변할 거예요. 점심 회식처럼 가볍고 부담 없는 방식이나, 각자의 선택을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간다면 모두가 더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을 거 같아요 😊
    한국환경공단의 시시비비 상담소가 바로 이런 사내 문화를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회식이나 직장 내 문화에 대한 고민을 누구나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 자체가 정말 중요하다고 느껴요. 앞으로 더 많은 회사들이 이런 변화를 받아들이고, 건강하고 즐거운 직장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 @user-vz2cc3mi5s
    @user-vz2cc3mi5s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5:30 ‘여름에 쿨맵시를 권장하면서도 여전히 갇혀진 옷을 요구받는다면 답답할 수 있다’는 부분, 정말 와닿았어요.무더운 날씨에 꼭 필요하지 않은 격식을 차리면서도 ‘회사 분위기상’ 어쩔 수 없이 답답한 옷차림을 강요받는 일이 생각보다 많죠.그럴 때마다 업무 능률보다는 불편함이 더 커지는 걸 느낍니다.
    CCBB 상담소에서 이처럼 직장인들이 일상에서 겪는 사소하지만 중요한 불편함을 짚어 주고, 더 나은 선택권을 고민해 주시는 점이 고맙네요.조직 문화 속에서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은 곧 직원들의 만족과 능률로 이어진다고 생각해요.CCBB 상담소가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 속에서 직장인들의 작은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며 큰 변화를 만들어 주기를 응원합니다.

  • @pink81000
    @pink81000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0:57 공감합니다 서로 불편하지 않고 즐겁게 나눌 수 있는 회식 문화가 잘 자리잡으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여러가지 이야기 아주 유익했어요 한국환경공단 응원합니다

  • @하세진-o4u
    @하세진-o4u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2:05 점심회식 너무나 좋은 아이디어네요. 부담가지도 않으면서 회식도할수 있으니 너무나 좋네요

  • @크리맘
    @크리맘 3 месяца назад

    국가통계포털 정확하고 신뢰성 최고입니다 ^^ 언제나 응원합니다.

  • @Ramy_junyHyo
    @Ramy_junyHyo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0:42 자발적인 회식문화 꼭 필요해요

  • @nado84
    @nado84 3 месяца назад +2

    9:20 회식 참여!!!
    물론 다른 주제들도 모두 공감되지만 회식은 정말 끝나지 않는 주제인거 같아요.
    강제 회식 진짜 극혐이라서..
    참여자의 선택을 존중해주는 문화가 자리잡았으면 좋겠습니다.

  • @youngdokhan
    @youngdokha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15:02 복장을 서로 용인하는 문화가 생산성을 높인다라는 말이 정말 공감이 되는 거 같아요. 굳이 직업상 격식을 차릴 필요가 적은 직업을 가진 직장인은 되도록이면 눈쌀을 찌푸리지 않을 정도로 복장을 자유롭게 입는게 좋은 거 같아요.

  • @kohyeonji
    @kohyeonji 3 месяца назад +2

    01:45 생일 챙기기 부분이 가장 공감되네요. 항상 별로라고 생각하는 부분 ㅜㅜ

  • @moon-shadow217
    @moon-shadow217 3 месяца назад +1

    03:30 회사 부원들의 생일 챙기기요 집단적 행동이 강요나 강압이 될수 있다는 부분이 너무 공감가요 각자 생일은 알아서 챙기자구요 너무 부담되요

  • @user-zj8tk3ny8k
    @user-zj8tk3ny8k 3 месяца назад

    12:20 점심 회식 정말 좋아요.직장 회식 문화도 이제 변해야 할때입니다

  • @이라또-k8q
    @이라또-k8q 3 месяца назад +3

    환경공단의 시시비비상담소 잘봤어요 😊 댓글들을 둘러보니 많은 분들이 선택해주신 10:35 부분에 직장회식참여문제에 의건을 많이 내주셨는데 저 역시 요즘 회식문화와 참석에 대해서
    많은고민을하게됬네요. 저녁회식대신에 점심회식을 하는 방향을 내주신 것이 정말 좋다고 생각했어요. 워라벨 지킬 수 있는 좋은 의견이라고 생각해요😊😊

  • @츄릅-z3n
    @츄릅-z3n 3 месяца назад +2

    9:20 직장 회식 참여에 관한 주제가 가장 와닿았어요.
    강제적인 회식 참여는 오히려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모든 직원이 자율적으로 참석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야 진정한 팀워크와
    유대감을 쌓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회식이 의무가 아닌 선택이 되면, 회식 자체도
    더 즐거운 자리가 될 것 같네요. 한국환경공단의 이런 고민을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문경수-f4c
    @문경수-f4c 3 месяца назад +2

    5:13 연차사용에 대한 사유를 꼭 보고하거나 결재시스템 이외에 구두로 보고하는 것은 하지 않아도 되지 않나 하는 생각에 대해 공감합니다.
    개인의 프라이버시 일 수도 있고 개인의 연가를 사용하는 엄연히 합법적인 일에 너무 많은 격식을 차리기를 원하는 회사문화는 참 불편한 것 같습니다 ㅠㅠ

  • @churini0707
    @churini0707 3 месяца назад +1

    9:46 이강희 차장님의 말에 너무 공감합니다!
    업무의 연장이 아니니까 가지 말자! 이게 정답이죠!
    회사 이외에 다른 장소에서 회사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 수 있고, 갑작스러운 회식에 약속도 취소할 수 없을 수도 있고,
    술을 좋아하지 않는데 원치 않는 사람들과 술을 같이 마시기도 싫을 수도 있고!!
    이러한 것 때문에 회식 참여는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해야된다고 생각해요!

  • @bangpo215
    @bangpo215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0:11 회식참여에 대해 참여자의 참여 여부 선택권 이 부분이 저는 공감이 갔습니다.

  • @라인하이트
    @라인하이트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시시비비 상담소!! 직원들이 직접 의견을 접수하고 그것을 노무 자문을 받아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회사 부원들의 생일 챙기기, 연가 사용시 구두 보고를 해야 하는지, 동행하지 않는 직원에게 출장 준비 부탁, 직장 회식 참석 문제, 회사 복장 규제 문제 등 회사생활하면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주제였는데 두 노무사님들의 의견을 듣고 참고가 되어서 좋았던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알찬 컨텐츠를 기대하고 응원합니다^^❤❤🎉🎉

  • @daenggi83
    @daenggi8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09:38 회식이 더 갈등을 조장하는 사례를 많이 봐서 저는 반대네요. 저의 회식은 술을 강요하는 회식이 많았어서 술 못하는 저는 너무 힘 들었거든요. 아직 저의 세대에는 그런 문화가 남아서 저는 싫네요

  • @2feman
    @2feman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가장 공감되는 주제는 회식 참석 문제에 대한 이야기였어요 9:23 자주하던 안하던 참여 하는건 직원들의 의사에 맞기고 할 사람만 와야 되요. 불편하게 하지 않고 즐겁게 나눌 수 있는 회식문화!! 너무 공감됐어요

  • @하늘지-w9y
    @하늘지-w9y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저는 '9:54'에 나온 Q4 회식 참석 문제에 가장 공감하게 되었어요.
    저도 회식에 대해 '반반'의 입장을 가지고 있거든요. 직장에서 공과 사의 구분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기본으로 하지만, 사적인 자리를 통해 동료들과 마음을 나누는 것도 소통과 이해를 쌓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믿습니다. 다만, 여전히 회식이 "강제 참여"처럼 여겨지는 문화가 남아 있다면 그 부분은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회식은 자발적인 참여로 즐길 수 있는 자리여야 하니까요. 😊

  • @kimhoho3624
    @kimhoho3624 3 месяца назад +1

    4:53 실제로 이번에 해외여행을 가게 되어 3일정도 휴가를 올려야 했는데, 업무공백이 있을 것 같아 부장님께 휴가를 올리기 전 미리 말씀을 드렸더니 여행을 어디로 가는지, 누구랑 가는지 너무 캐물으셔서 난감한 경험을 했습니다. 또한 연차사용을 은근히 못하게 하는 경우도 많이 보았고(대놓고 말씀은 못하심), 연차를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는지 보고를 해야 연차를 승인하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연차는 법적으로 보장된 것이니 만큼 자유롭게 사용하고, 특히 사생활에 민감한 질문 없이 승인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costub
    @costub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2:05 점심으로 회식 진짜 너무 좋아요 ㅜ

  • @김원현-e3y
    @김원현-e3y 3 месяца назад +1

    9:37 회식문제!!! 정말 공감가요 원치않는 별 필요없는 회식 ㅠㅠ 불참할 수도 없고 시간 너무 아까워요 진짜 다같이 즐거울 수 있는 올바른 회식문화가 제대로 자리잡길 바래요!!!

  • @blassom
    @blassom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5:19 진짜 다섯가지 모두 공감이 갔지만 그중에서 가장 제가 공감가는 상담주제였어요
    올해 여름 진짜 더웠는데 지금은 아니지만 예전에 제가 다녔던 회사에서도 꼭 굳이 의복을 정확하게 갖춰입어야 한다는 마인드라서
    꾸역꾸역 여름에도 긴 정장을 입을때가 많았는데 제발 이제는 캐쥬얼하게 입고싶은대로 선은 넘지 않으면서 어느정도 복장에 대한 자율권을 주셨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답니다
    의복이 너무 불편하고 갑갑해서 일을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해요
    너무 더울땐 그에 맞는 의복으로 너무 추울땐 또 그에 맞는 의복으로 알아서 적절하게 잘 입을수 있도록 의복자율권이 근로자에게 있었음 좋겠습니다

  • @born2k579
    @born2k579 3 месяца назад

    국가통계포털 정확하고 신뢰성 뛰어나는 통계청 자료 정말 감사합니다 ❤ 응원합니다

  • @fremier
    @fremier 3 месяца назад

    넘나 편리하고 스마트한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저의 신장을 울렸어용~!^^👍👍

  • @vhxhtiv123
    @vhxhtiv12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8:01
    정말 회사는 일을 하기 위한 자리죠 ㅎㅎ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는 그나마 회식 관련해서 스트레스가 없어서 너무 좋습니다
    사실 코로나 이후로 사라진건지 회식문화가 사라지고 바로 다들 칼퇴를 하니까 너무 좋더라구요 업무 효율이나 융화보다는
    술을먹고 생기는 문제들이 더 많다고 생각해요

  • @user-ms4hz7vn4u
    @user-ms4hz7vn4u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번 한국환경공단 시시비비 상담소에서 가장 공감된 부분은 10:35 회식 참여 문제입니다. 회식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듣고, 특히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는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회식은 팀워크를 다질 수 있는 좋은 기회이지만, 모두가 편안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개인의 상황과 선택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을 것이고, 결과적으로 조직의 결속력도 높아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저녁 회식 대신 점심 회식을 제안하는 부분은 워라밸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기업들이 이런 문화를 받아들여 서로 존중하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바랍니다. 한국환경공단의 유익한 상담과 노력이 많은 이들에게 큰 힘이 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좋은 정보와 소통을 부탁드립니다! 🌟

  • @zzazzala3
    @zzazzala3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0:50 회식을 강요하는 분위기!! 저 완전 싫어요..
    물론 회식을 임의대로 참석 안하다가 갑자기 참석하면 눈치가 보이기는 해요.. 그래도 공식적인 회식에는 참석해서 축하한다거나 그래도 공식적인 회식에는 참석해서 축하한다거나 함께 기념할 자리에 얼굴을 비추면 관계도 유지하고 분위기도 맞출 수 있으니 나름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물론 가끔은 사적인 시간도 소중하니까, 서로 존중하면서 적당한 선에서 조율하면 좋겠죠. 회식도 강요보다는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자리가 되면 더 좋을 것 같아요!

  • @Jar-Honey
    @Jar-Honey 3 месяца назад +1

    5가지 상담주제 중 가장 공감되는 부분의 타임라인 9:55 직장인으로서 매번 고민되는 상황이라 공감가고 흥미롭고 좋았어요..

  • @sein-cq6jo
    @sein-cq6jo 3 месяца назад

    정확한 자료와 통계를 쉽게 구할 수 있는 KOSIS국가통계포털 너무 편리하네요👍💚💚💚

  • @ddirori2
    @ddirori2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4:30 네번째 주제인 직장 회식 참석 문제에 대해 정말 공감이 가네요. 저도 중요한 약속이 있는 날 회식으로 인해 취소해야 했던 적이 많았는데, 그 때마다 불편한 마음이 들었어요. 회식 문화가 조금씩 변화되어 점심 회식으로 대체되는 경우도 있던데, 이런 변화가 더 확산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듭니다. 직장 내에서 자율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il-fe9zn
    @il-fe9zn 3 месяца назад +2

    10:42 자발적 회식문화 너무 공감되네요
    좋은 회식문화로 자리잡길 기대합니다

  • @나무이야기
    @나무이야기 3 месяца назад +1

    9:25 회식은 선택이지 강요 강압은 안됩니다
    자주하던 안하던 참여 하는건 직원들의 의사에 맞기고 할 사람만 와야 되요
    공적인 일과 사적일은 분리 한다면서 회식을 3시간 이상 하며 술을 강제로 먹게 하는 분위기는 좋지 않습니다

  • @acanisijin
    @acanisijin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0:14 직장 회식 고민되는 순간들이 많은데
    참여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그 선택에 대해 인정하고 전혀 눈치 주지 않는 분위기면 좋겠어요
    자발적인 참여 의사가 되면 좋겠습니다 ❤❤

  • @OriOriMan
    @OriOriMan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0:59 서로 불편하게 하지 않고 즐겁게 나눌 수 있는 회식문화!! 너무 공감됐어요 ㅎ
    오늘 직장생활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 나눌 수 있어 좋았습니다 !!
    늘 좋은 콘텐츠 감사하고, 모든 직장인분들 화이팅 !! ㅎ

  • @연듀-f3z
    @연듀-f3z 2 месяца назад +1

    7:23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한건 감안해야한다고 생각해요. 다른 일이 있거나 사정이 생긴 경우에 출장준비를 대신 해줄 수 있죠.
    나도 반대로 나중에 일을 부탁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요. 다만, 이게 일이 없어도 대신 시키는거나 반복이면 문제겠죠!

  • @westoul
    @westoul 3 месяца назад +1

    6:31 저도 경험해봤던 거라 가장 공감가네요😅
    저는 그나마 가끔이라 크게 뭐 없었는데 자주 저러면 어후...😂

  • @belovelys1
    @belovelys1 3 месяца назад +1

    9:13 회식참여 주제 저도 사회초년생으로 많이 공감가고 정말 좋았어요 저는 술을 잘 못해서 회식이 정말 부담스럽더라구요ㅠㅠ하지만 신입이라 빼기가 힘들어서 꼭 참석하긴 하는데 회삭할때마다 많이 힘들어요

  • @habbah-mx2ei
    @habbah-mx2ei 3 месяца назад

    국민 삶에 통계를 한걸음 더 가까이! 국가통계포털이 국민 일상 속에 스며들기를~^^

  • @2025대박나자
    @2025대박나자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0:14 회식 참여 여부에 대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분위기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엔 회식이 의무처럼 여겨졌는데, 이제는 개인의 의사와 선택이 존중되는 문화가
    자리 잡았으면 좋겠어요. 특히 요즘 MZ세대는 워라밸을 중시하니까, 부담 없이
    선택할 수 있는 회식 분위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환경공단 시시비비 상담소에서 이 문제를 다뤄주셔서 좋았어요!

  • @오그리토그리-n2q
    @오그리토그리-n2q 3 месяца назад

    한눈에 쉽게 볼수 있는 통계~!! 대한민국 통계청, 응원합니다.^^

  • @skdud1593
    @skdud159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9:37 직장 회식 참석 문제!! 저도 솔직히 반반이긴 합니다 ㅎㅎ 정말 개인에 따라 다른 부분이라 참여자의 선택에 따라 참여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특히 문가람 노무사님의 의견이 정말 공감이 많이 갔네요😊

  • @abinyaaa
    @abinyaaa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1:45
    회식 참여 문제에 대한 이야기, 저도 깊이 공감해요! 10:35 주제가 특히 인상 깊었어요. 저희 팀에서도 회식이 있으면 참석 여부에 대한 눈치가 너무 보여서 정말 힘들었던 적이 많거든요. 이제는 개인의 선택이 존중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회식이 서로 소통하고 유대감을 쌓는 자리여야 하는데, 강제적인 분위기라면 오히려 부담만 커지니까요. 요즘처럼 점심 회식 같은 자율적인 방식이 많아진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kanghana123
    @kanghana123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8:01 "일로 만난 사이다!!!"
    크~ 진심 사이다 같은 말이네요. 회사에서 개인적인 이야기는 선을 지키고, 퇴근 후 개인 생활에 지장 주지 말고... 하지만 일할 때는 서로 믿고 도우면서!!
    일로 만난 사이임을 잊지 말아야겠어요~

  • @민수홍-s3r
    @민수홍-s3r 3 месяца назад +1

    9:17 직장 회식 참석 문제에 대한 토론이 가장 공감되네요
    예전에는 무조건 참석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지금은 사회적 분위기가 많이 형성되어 있어서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것 같습니다. 설문조사 결과도 그렇게 나왔네요.
    앞으로는 말씀하신데로 점심 회식도 좋을 것 같네요

  • @뉴리-n75
    @뉴리-n75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3:00
    이 영상 정말 마음에 와닿았어요! 특히 10:35 회식 문화에 대한 부분은 많은 직장인들이 고심하는 주제인 것 같아요. 저도 처음 입사했을 때는 회식이 정말 힘들었거든요. 다들 눈치 보면서 참석하고, 술 한 잔 안 할까 고민하고… 그 과정에서 단순히 함께하는 시간이 아닌 부담감만 느끼게 되더라구요. 이젠 친구들과 회식 대신 소규모로 함께하는 점심이나 카페 모임을 하자는 의견이 많아졌는데, 이런 자율적인 분위기가 정말 좋습니다!

  • @형마리
    @형마리 3 месяца назад

    국가통계포털을 이용하면 우리나라의 미래를 볼 수 있지요~ 통계조사원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구구나인-i5k
    @구구나인-i5k 3 месяца назад

    12:23 점심회식문화~ 저도 적극 공감하고 찬성해요
    도움되는 정보와 함께 맛깔스럽고 잘 정돈된 영상편집이 좋았어요
    많은 분들이 영상 함께보고 에너지도 팍팍 얻고 깨알같은 정보도 얻고 즐겁고 행복한 시간이 되길 바래요

  • @sing_sing1984
    @sing_sing1984 3 месяца назад +1

    9:55 저도 직장인으로서 매번 고민되는 상황이긴 했어요 노무사님 말씀처럼 강제적인 회식이 아닌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존중하는 회식문화가 형성되었음 좋겠습니다❤

  • @miyaflower
    @miyaflower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제가 가장 공감가는 주제는 네번째 주제였던 직장 회식 참석 문제예요.
    중요한 약속이 있었는데 회식으로 인해 취소하는 경우도 많았어요.
    비공식 회식이라고 할지라도 불참하게 되면 눈치 보이고 비용도 지불해야 해서 부담이 되더라고요. 😢
    직장내 회식 문화 자체가 없어지면 좋겠네요.
    최근 회식을 점심을 함께 먹는걸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던데 그렇게 변화하면 좋겠네요. 😁

  • @BohyunSim
    @BohyunSim 3 месяца назад +1

    16:03 편한 의복이 능률을 향상시킨다는 말은 공감가네요. 예전에 넥타이에 정장 입던 시기엔 더위와 갑갑함에 집중도가 떨어졌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