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사이언스] 무한동력의 꿈을 실현할 ‘핵융합’의 비밀 / YTN 사이언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0 янв 2016
  • 비현실적인 꿈만 같은 무한동력, 핵융합으로 실현할 수 있을까?
    환경을 위해 획기적인 에너지 개발이 필요한 시점!
    차세대 미래에너지로 꼽히는 핵융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핵융합연구소를 설립해 핵융합 에너지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는데?
    한국의 태양을 만드는 KSTAR의 이모저모와
    핵융합뿐만 아니라 공업과 농업까지 다방면에서 쓰이고 있는 만능 해결사, 플라즈마!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의 건설상황까지!
    차세대 미래 무한에너지, 핵융합의 세계로 함께 가보자.
    -
    과학 좋아하는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
    YTN사이언스의 다양한 채널을 만나보세용! :)
    홈페이지 ▶ science.ytn.co.kr/
    페이스북 ▶ / ytnscience
    네이버밴드 ▶ band.us/band/68281794
    네이버포스트 ▶ post.naver.com/my.nhn?memberN...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489

  • @user-dy6jl1gb1l
    @user-dy6jl1gb1l 6 лет назад

    근데 태양같은 별하고 핵융합발전하고 조금 다른게 핵융합도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중수소와 삼중수소로 하는 핵융합이고 하나는 탄소사이클이라는 핵융합이 있습니다. 태초의 별하고 핵융합발전은 첫번째 방법을 사용하고 태양같은 현재의 별은 두번째방법을 사용한다고 하네요

  • @cometrue9091
    @cometrue9091 5 лет назад +8

    유에프오 운용수준 급 기술입니다 ..한국의 미래 여기에 있군요 군사기술 항공분야부터 접목해서 군사강국의 꿈을 ..

  • @user-eu6ct3jq2m
    @user-eu6ct3jq2m 6 лет назад +1

    그냥 모든 에너지는 유한 아니면 반영구임. 무한은 없음. 풍력, 태양력, 수력도 시간이 많이 흐르면 흐름이 변해 기존의 설비는 소용이 없음.(물론 그 전에 설비들이 다 수명이 지나겠지만.)

  • @user-wf7gc5mo7w
    @user-wf7gc5mo7w 3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무연료 발전을한다면 어느 영역 이라 몀명합니까? 쉽게 자동차 등부터 원전 석탄등 발전을 100% 대체될시 어떤 명명을 정의합닊?

  • @nom_no
    @nom_no 5 лет назад +1

    아직은 츠라즈마 담는 용기로서 작용하는 자기장만드는데 드는 에너지가 핵융합으로 얻게되는 사용할수있는 있는 에너지보다 크기 때문에.... 그것도 현재 까지 유지 시간도 1분 남짓이 한계....

  • @user-df9cc5kf7r
    @user-df9cc5kf7r 3 года назад

    화이팅하세요

  • @user-sh8gj6yv8q
    @user-sh8gj6yv8q 3 года назад +2

    자랑스럽네요. 삶맛나요.
    😂😂😂😂😂🇰🇷⚘👍

  • @user-gn1bt6df4i
    @user-gn1bt6df4i 8 лет назад +110

    핵융합이 개발되는 미래가 상상이 안가네요. 할 수 있는게 너무 많아서... 아마 핵융합 개발 전과 후로 역사가 또 크게 바뀔 듯. KSTAR 연구하는 분들 힘내시기 바랍니다.

    • @aruiarth
      @aruiarth 7 лет назад +5

      에너지 문제는 해결되겠죠. 그리고 동력을 많이 쓰는 다양한 발명품들(비행체,이동수단,... 무기류)이 생겨나면서 또 새로운 시대를 만나겠죠

    • @user-eu6kq7qv7h
      @user-eu6kq7qv7h 7 лет назад +2

      근데 핵융합 터지면 큰일 나지 않나요

    • @user-td5tk8dj5k
      @user-td5tk8dj5k 7 лет назад +19

      우영 핵융합은 터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1억도씨 이상에서 발생하기에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 @AroU_
      @AroU_ 7 лет назад +29

      핵융합은 어찌보면 원자폭탄을 거꾸로 돌린거라 터질래야 터질수가없어요 최악에경우 벽이 녹는다해도 에너지를 잃고 스스로 멈추는데다 원자력발전소처럼 방사능나올만한 연료를 쓰지않기때문에 방사능걱정도 전혀없습니다 원자력발전소보다 효율도 훨씬좋기때문에 상용화만되면 대박인 에너지에요

    • @user-sf7dc7hi8h
      @user-sf7dc7hi8h 6 лет назад

      aruiarth ㅓㅕ5

  • @user-ui3kd6tz3f
    @user-ui3kd6tz3f 3 года назад

    인류가 반드시 이뤄야만 하는 핵융합 청정에너지화로 푸른 파라다이스 구축
    힘내라 대한민국 핵융합팀 ~~

  • @emi279
    @emi279 7 лет назад +2

    우리국가안보를위해 하루속히은밀하게 핵무기 군위성등 과학자님들의 수고의손길을 기대합니다 ..화이팅

  • @user-th4tj4cy2u
    @user-th4tj4cy2u 4 года назад +8

    원자력 재처리에 들어가는
    연구비를 핵융합으로
    돌려야겠네요.
    진짜 미래에너지는 핵융합이
    성공하느냐 여부에 달려있네요.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원자력 재처리기술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3 года назад

      @@user-ll3gv2tx8y 확실히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기술은 정말 필요함
      하지만 일단 핵융합과의 우선순위에선 한국같은 상황에선 무조건 핵융합 실현여부가 더 우선순위이죠

  • @user-vu4db1ul4n
    @user-vu4db1ul4n 3 года назад

    현재로는 엉뚱한 생각일찌 모르겠으나
    긍극적으로는 소규모가정용으로도 만들 수가 있다면 좋겠습니다만...
    가능성은 있겠는지요? 즉 "소형이동형
    KSTAR"를 만들 수가 있을 런지요?

  • @user-ov7bb1rz7h
    @user-ov7bb1rz7h 7 лет назад +8

    감사합니다,,,이거덕분에핵융합원리이해!!^^

  • @freesia911
    @freesia911 3 года назад

    대한민국 화이팅!!

  • @user-zh4fq9lk6w
    @user-zh4fq9lk6w 3 года назад

    속히 상용화를 이룹시다

  • @progress999able
    @progress999able 4 года назад +9

    핵융합으로 달리는.자동차...상상만해도 벅차다!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아직 그건 좀...

    • @hw0160
      @hw0160 3 года назад

      전기차로 충분

    • @user-dd7mn1fv3u
      @user-dd7mn1fv3u 3 года назад +3

      핵융합으로 달리는게 아니라 핵융합으로 발전된 전기로 가겠지

    • @s_p_m_23
      @s_p_m_23 3 года назад +2

      자체 핵융합 적용할려면 배틀크루저는 되야지ㅋㅋ

  • @user-qs9vm2ve8r
    @user-qs9vm2ve8r 3 года назад

    자동차가 오작동하는 곳의 주변에 솔라 발전시설이 어느 위치에 있는가도 확인해 보기 바람. 판의 반사지역에의해 일정위치에 교란 지역이 생길수 있음.

  • @minhaeil1945
    @minhaeil1945 6 лет назад +5

    이야 바일금속의 발견이 핵융합발전에 좋은 쓰임이 되겟네~~~ 쩐다.

  • @user-pr9ld9yh1v
    @user-pr9ld9yh1v 7 лет назад +7

    핵융합시 발생하는 에너지는 대략 2억도정도인데 그온도를 견딜수 있는 용기가 필요한데 그기술을 상용화가 기능할지 알수있으려면 2050년정도 가야 알수있는 기술이 축적된다 합니다

    • @chigum1511
      @chigum1511 7 лет назад

      망각의강 이제저거가능하죠!!
      바로
      공중부양기술로여

    • @user-dq9xk6rc3s
      @user-dq9xk6rc3s 5 лет назад

      쌩으로는 태양에 가까운온도를 견딜수없구요. 다른분들 말처럼 자기장에의한 막(마치 지구자기장이 지구를 보호하는것처럼)을형성해서 그 보호막안에 가두는 기술이 토카막이란 기술입니다. 제가 알기론 70초 이상?이 되어야 그후 발전 가능성을 점칠수 있다고 하구요. 현제까지는 kstar가 탑을 찍고 있습니다. 유럽쪽에 짖고 있습니다. 공동으로해서..그때까지 운전 시간을 늘리는 작업 위주로 할듯...

    • @borntobe7134
      @borntobe7134 5 лет назад +3

      -_-; 무슨 븅딱같은 개소리냐!! 이미 한국에서 토카막 방식으로 1분 넘게 운영한 경험이 있는데
      ㅉㅉ 2030년 이면 핵융합발전 실증연구 들어가고, 2040년이면 말그대로 확장!!!
      앞으로 10년 정도 남았다 개소리말고 걍 짜져있어~~

    • @onnya4753
      @onnya4753 5 лет назад +3

      지금동안 실험한건 1억도에 못미치는 온도였고, 성능 개량해서 곧 1억도에서 실험할거라고 알고있습니다. 핵융합반응이 일어나려면 1억도가 넘어야한데요

    • @yeoang.
      @yeoang. 5 лет назад +1

      @@onnya4753 이미 kstar에서 1억도 상회하는온도로 실험했어요

  • @timfoinc.6879
    @timfoinc.6879 7 лет назад +1

    When the trees covered the earth, the earth soil is not heated fast. But now all trees and forest are gone, these solar panels can slow down melting ice???

  • @Gunha0206
    @Gunha0206 2 года назад

    6년전만 해도 이게 말이나 되는 소린가 했는데 7년만에 30초나 작동시키니 ㄷㄷ ㄹㅇ 2040년~50년 쯤에 상용화 될 수도

  • @Novajin0
    @Novajin0 6 лет назад +2

    십여년전에 과학동아라는 잡지를 통해서 핵융합 상용화가 수십년 뒤에 이뤄질 것이라고 알게 되었는데 지금까지 연구가 잘 진행되고 있나보네요~ 기대해봅니다!

    • @sangholee6976
      @sangholee6976 6 лет назад

      30년 전의 과학잡지에도 꿈의 에너지원으로 핵융합발전이 소개되었었습니다.

  • @aruiarth
    @aruiarth 7 лет назад +21

    진짜 어려운 기술이군요. 1억도의 플라즈마를 잡아둬야한다니

  • @user-pg2zf9if8v
    @user-pg2zf9if8v 6 лет назад +3

    영화보면 우주에서 인공중력 만들고 하던데 지상에서 원심력 운동으로 인공태양 가두면 안됡가요

    • @s_p_m_23
      @s_p_m_23 4 года назад

      배틀크루저?

  • @dcsugar
    @dcsugar 5 лет назад

    좋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

  • @namutnipp
    @namutnipp 4 года назад +19

    13:09 모짜렐라??? ㅋㅋㅋㅋㅋㅋㅋ

  • @jh3794
    @jh3794 4 года назад +4

    2:36

  • @Mctavish227
    @Mctavish227 4 года назад

    핵융합이 깨끗한건 맞지만 문제점이 무엇인지도 짚어봐야할 듯. 그래야 안전하게 오래쓰지

  • @user-io7dx9ho7n
    @user-io7dx9ho7n Год назад

    에너지 혁명

  • @user-qs9vm2ve8r
    @user-qs9vm2ve8r 3 года назад

    마지막으로 핵융합발전기가 만들어지면 에너지의 회절과 같은 현상이 변형되고 지구에 더이상 태양열이 들어오지 않을수 있음. 모든 시스템은 공간안에서의 대류에의한 방식과 같고 이러한 에너지원에 의하여 주변의 시스템의 변형이 생긴다면 지구가 태양이 되게 된다. 이주 할 자신 있으면 하면 된다. 그리고 달의 상황이 그러하다 라고 보면 됨.

  • @user-rn5sk7ue9g
    @user-rn5sk7ue9g 4 года назад

    2019년 10월 25일(금)
    상온핵융합만 이뤄낼수있다면...에너지걱정없는 인류가될까? 또 그걸로 돈벌려는 놈들때문에 지금이나 그때나 별반 다르지않을듯...오늘따라 코코볼이 너무보고싶네

  • @user-gg2eg4lp9s
    @user-gg2eg4lp9s 5 лет назад

    ufo도 아마도 핵융합 반응으로 무한하게 날아다닐듯 대단합니다

  • @jh3794
    @jh3794 4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user-cv1yk7go3x
    @user-cv1yk7go3x 4 года назад

    잠깐 살모넬라균을 모짜렐라라고 하신거같은데 그냥 시비거는게 아니고 재밌었다고요

  • @user-td1gl8eb5s
    @user-td1gl8eb5s 5 лет назад

    그런식 핵융합 운운하는무리들은 잘못된 생각 미래에너지는 아주 손쉽고 부작용이 없는그런 청정 에너지이고 무한에너지이고 그래선 코드만그냥 꼽아놓기만 하면 전기가 무한정 나오는거다 자동차도 기름대신 물을 퍼넣고 간다든가 그냥 공기만 가득채움 가는 그런 자동차가 생겨난다

  • @ounkwon6442
    @ounkwon6442 5 лет назад

    History and world of humanity will forever change once we start to generate power from fusion technology.

  • @user-nb2gz8mm4u
    @user-nb2gz8mm4u 4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5 лет назад +5

    저것만 상용화되면 지금 원전 찬성이니 반대니 싸울일도 없을긴데 ㅜㅜ

    • @skyten21
      @skyten21 5 лет назад +3

      저거 상용화 되려면 원전마피아 놈들하고 조중동하고 싸워 이겨야함

    • @hiderocket
      @hiderocket 4 года назад

      돈있는 쓰레기들이 또 저거 선점하려고 난리치겠죠

    • @user-qr1oi5ur6c
      @user-qr1oi5ur6c 4 года назад

      현제는 핵분열로 하는 원자력이 답인듯...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skyten21 원전 운영하는데서 운영하겠죠 둘다 원자력 기술인데

  • @user-so8gi9xt9f
    @user-so8gi9xt9f 4 года назад +1

    핵융합 메모

  • @user-oj7sw3mm4r
    @user-oj7sw3mm4r 7 лет назад +32

    이거 빨리 개발해야 지구가 오염으로부 좀 해방될텐데

    • @natosdah9187
      @natosdah9187 4 года назад

      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ㅇㅈ

    • @acrossguysy
      @acrossguysy 3 года назад +1

      현실은 지구는 아무 문제없고,
      원자력발전소가 지어지는 현 인류가 위험한것이죠.
      지구는 그저 인류가 사라져도 자정능력이나 자연재해로
      그냥 원상복구 하기만 할뿐이니까요.

    • @user-yk4ix1lu7k
      @user-yk4ix1lu7k 3 года назад

      ㅇㅂㄱ ? 기@@acrossguysy

  • @user-ni7mz3vd9v
    @user-ni7mz3vd9v Год назад

    2060년쯤은 돼야 사용화가 가능할지 말지 판단할수 있다고 하던데 이번생에 볼수있으련지..

  • @LK-99
    @LK-99 5 лет назад +5

    ㄹㅇ 이기술 개발 성공하면 한국의 영향력은 엄청나질것이다

  • @antiaircraftmagic
    @antiaircraftmagic 5 лет назад +3

    마지막 희망~ 핵☆융☆합
    산업혁명~ 핵☆융☆합

  • @user-il8ly5tz9n
    @user-il8ly5tz9n 5 лет назад +2

    2년전 영상이지만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이미 유럽은 원전을 차츰 줄이고 핵융합 발전을 집중 연구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늦었지만 부지런히 따라잡아야 합니다.
    후쿠시마 사고는 남의 일이 아닙니다.
    한국은 세계 최고의 원전 밀집국가입니다.

    • @el-it2vm
      @el-it2vm 5 лет назад

      원전을 줄인 나라들은 전력이 부족해 지면 주변 나라중에서 원전이 있는 나라에게 전기를 사서 씁니다 ㅜㅜ 대표적 예시로 독일은 여름에 프랑스 원전에서 전기를 사서 씁니다 ㅜㅜㅜ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후쿠시마는 설계결함과 딱딱한 행정체계가 만나 일어난 인재...

  • @user-kw2fp3ve4y
    @user-kw2fp3ve4y 4 года назад +1

    일단 우리 과학 기술로는 극고온 과 극저온을 동시에 활성화가 불가능할 뿐더러 그 온도 차이가 1만도 이상의 차이면... 만약 핵융합을 할 수 있는 기술이 나온다면 최소 몇 백년 후임 ㅎㅎ
    이론적으로도 안정적으로 핵융합을 하는 기계를 만들려면 200년 이상이 걸린다고 하니... 실제로 수소는 아니지만 블랙홀의 원리몇 원자끼리 부딛히는 속도가 빛의 속도 이상일때 0.5초간 몇 만도를 웃도는 온도가 만들어졌죠. 그 기계가 30년이상 공들여서 몇 조를 들여서 만든건데 지금은 실패했다죠.. 원자가 1만도 이상을 내는 시간이 최대 1초 밖에 안됩니다. 수소는 더 오래 버티겠지만 제 예상은 3~4시간 정도?
    그리고 2030년에 못나옵니다. 저 Kstar는 아직은 한참 족한 기계죠..원리든 뭐든 그냥 극고온 과 극저온이 서로 활성화 된 상태면 엄청 불안정해 질껀데.. 그리고 자기장이 필요하니.
    몇백 년 이후 후손들에게 맞깁니다.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진실은이긴다 철보다 무거운 원소는 핵융합하는데 오히려 에너지가 더들어가죠 토륨으로 핵융합하는 그런건 200년이 아니라 20000년이 지나도 안나올겁니다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현재 실증로가 건설중이고 2040년대에 완공된다고 하죠?

  • @Gong-Dol
    @Gong-Dol 5 лет назад

    아니근데 중수소 원소기호가 D인게아니고 영어이름인 듀트리움의 앞글자를따서 D로 표기하는건데.... 삼중수소도 T 그래서 핵융합연료를 D-T Fuel 이라고부름

  • @realizationtomorow
    @realizationtomorow 5 лет назад +1

    재생에너지보다 핵융합이 더 훌륭한 에너지원... 태양광 풍력 이런건 땅을 많이 차지하고 태풍 불면 파손되고...

    • @user-qIinl7il2qO4z
      @user-qIinl7il2qO4z 5 лет назад

      아직 개발중인 단계라 지금은 있는거나 써야지 뭐

    • @user-dt9fu8br6t
      @user-dt9fu8br6t 5 лет назад +1

      ㅇㅇ 재생에너지들 사실 산 다 갈아내고 하는게 많아서 사실 말만 들으면 친환경적일 거 같은데 실제로는 환경오염 오짐

  • @user-qd5zb7jm4x
    @user-qd5zb7jm4x 3 года назад

    중수에 어...어떤 금속 전극사이에 전류를 내보내면 그 사이에 플라즈마가 생성되고
    그게 인공태양이니 상온 핵융합이니 뭐 그러지 않았었나?

  • @namutnipp
    @namutnipp 5 лет назад

    0:52 어딘가요?
    서울 강서구 서남물재생센터인가

  • @user-qs9vm2ve8r
    @user-qs9vm2ve8r 3 года назад

    플라즈마는 몇백도면 만들어지기 시작 하는데 이온다음에 제4의 상태임 문제는 낮은 온도에서 만드는 것을 해야지 높은 온도에서 한다는 것이 미친 짓이고 그런 미친짓을 하기 위해서 용기를 만드는 것을 이야기 하는데 열1억도를 만들어서 몇미터의 거리에 있어야 용기가 깨졌을때 피해를 입지 않는지등도 생각해야 한다. 6000m라고 뜨네 문제는 크기가 더클때의 경우이다 ,6km밖에 있어야 저 크기가 깨졌을때 문제가 없다?

  • @neotrash4130
    @neotrash4130 4 года назад

    토륨원자로는 왜 상용화되지 않을까요..아시는분?

    • @sim-_sim
      @sim-_sim 4 года назад +3

      스스로 중성자 분해가 안되서요
      연쇄반응이 안일어나기때문에
      따로 중성자발생장치를 유지시켜야합니다
      중성자를 간단히 발생시키는건
      우라늄인데 그럼 의미가없고
      또하나는 입자가속기 현재로선 너무 크기가크죠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토륨은 지 혼자서 임계상태에 이르지를 못해서 외부에서 중성자를 주입해줘야되는데 이게 양날의 검이죠 사고날 위험이 없는 대신 효율이 떨어지고 기술력도 많이 필요하고

  • @user-sz6kk1pc5r
    @user-sz6kk1pc5r 7 лет назад

    어쩨든 한다는 자체가 대단 ㅎㅎ

  • @user-mb8kv4so7t
    @user-mb8kv4so7t 7 лет назад +1

    자연계에 분산된 에너지를 활용하는 에너지공학이 한계에 부딧힌 화석연료문제를 해결합니다.
    일 하는 능력으로 정의 된 에너지: 입자의 운동 우주존재계 근원이 된 에너지는 질량체의 파동
    입자는 또다른 공간/입자(공간) 운동파동 율동 에너지가 근원인 우주 자연 존재계로 표현되며
    다르게 표현되는 것은 언어상의 차이일 뿐입니다.
    일을하는 능력, 에너지는 결국 입자의 운동이며 전체인 하나에서 돌고 돌아가는 자연계입니다
    화석연료의 사생아 고열의 열기관장치가 태동
    엔트로피 포화상태로 우주가 종말을 맞는다고 에너지와 질량 보존법칙에 상반된 우주종말론
    중앙집중식 단일방향 독점권력 에너지 체계를 구축했던 모순된 신념체계가 3백 년도 못가고
    무너지면서 인류의 지구의식은 우주의식으로 확장되면서 에너지 실체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자연계에 다양한 형태로 한계 없이 분산되어 이미있는 공간에너지를 활용하는 시대입니다
    자연계에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 에너지가 다양한 형태/ 수많은 성분으로 펼쳐 있습니다
    최우선으로 열 유체 동력 전기를 활용합니다
    적대적인 경쟁의식에서 융복합 상생의식으로 전환하여 순환장치를 구축하면 완성 됩니다
    청정한 자연에너지를 쓰고 횐원하면 됩니다 그래서 공간에너지 농부라고 하는 것입니다
    농사를 지어 식량을 만들지 못했던 시대에는 생존하기 위해 식량을 자연에서 얻지 못하면
    남의 것을 빼앗아서 힘있는 자만 살았습니다
    식량을 생산하는 농부들이 농시를 지으면서 부터 식량전쟁이 점차 없어지고 있습니다
    지혜로운 농부가 농사를 잘짓게해야 합니다
    자연에 이미 있는 에너지도 마찬가지입니다
    최초 화석연료의 열기관장치를 만들고 나서 무지한 독점 욕심에 눈이멀고 세뇌된 자들은
    열기관장치에 필요한 연소물질만 찾습니다
    지금까지 구축했던 열기관 기술을 유지하기 위해서 새롭게 순환하는 재생에너지 기술을
    보이지 않는 장벽을 구축하여 가로막고 있습니다
    자연계에 이미 있는 다양한 공간에너지들을 전달 변환시켜 자유롭게 활용할수 있습니다.
    상온의 열과 냉/ 유체운동이 동력을 만듭니다
    지혜로운 에너지농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공간에너지활용기술은 이미 개발되었습니다
    새로운 공간에너지활용 시대를 열기위하여! 에너지공학 농부 모임 유니온을 시작합니다.
    공간에너지 활용 기술이 실현되어야 만이 '주는자가 복이 있다, 는 말씀이 참이 됩니다
    미래 에너지농사 핵심은 공학기술 개발이며 자연이 돌아가는 물리현상을 배워야 합니다
    우주 자연계는 다양한 에너지의 바다이며 음과 양으로 갈라지면 상호간에 운동합니다
    에너지는 입자(체)가 공간(장)에서 운동하는 존재로서 우주 자연계를 이루는 근본이며
    모든 입자는 상대적인 관점에서 곧 공간입니다
    우주의 '허공청정,은 다양한 입자의 공간입니다
    자연계에 한계없이 있는 있는 공간에너지는 음과 양 상대적으로 갈라서 운동을 일으키면
    유용한 에너지로 얼미든지 활용할수 있습니다
    현재의 공학기술로 활용 가능한 공간에너지
    1. 열의 바다에서 저온과 고온으로 나눈다
    히트펌프 냉동공학기술로 냉/열을 만든다
    여름철 30도에서 0도와 60도로 열이동
    겨울철 0도에서 영하30도와 영상 30도
    극지방의 영하 60도의 냉열도 에너지이다
    2. 유체의 바다에서 저압과 고압으로 나눈다
    고기압과 저기압 차이로 바람을 일으킨다
    고온의 열로 100m/s 이상의 바람을 만듬
    3. 전자의 바다에서 고전압 전위차를 일으킴
    전자를 이동시키는 발전기로 전기를 만듬
    자력선과 도체의 상호작용 발전 효율 80
    빛을 이용하는 광전작용 발전효율 20 정도
    열을 이용하는 열전작용 발전효율 10 정도
    압력 이용하는 압전작용 발전효율 10 정도
    우주 자연계에 한계없이 분산단 공간에너지의 바다에서 음양 고저로 나누어서 공간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발견되어 있습니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고 에너지전달작용을 결합하에 순환시스템으로 구성해서 쓰면됩니다
    단일장치로 무한구동장치를 만들기는 어렵습니다
    열 유체 동력 전기를 서로 순환하여 연결시킨 융복합 에너지의 엔지니어링기술이 필요합니다
    특수한 물질을 태워 열을 만들었던 틀에서 깨어남으로 공간에너지활용기술이 실현되었습니다

    • @dwk2254
      @dwk2254 5 лет назад

      와...이거 학교에서 얼핏 배운거 같은데 생각보다 잠재성이 크고 참신한 발전방식이었네... 이런거 연구할라면 뭐 해야함? 에너지과 가면 되나...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이건 좀 사이비스러운 부분이 있는데?

  • @dvblvar7788
    @dvblvar7788 5 лет назад +1

    빠르면 2030년대 가능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 해봅니다

    • @user-im6pu4ji5w
      @user-im6pu4ji5w 4 года назад

      2025년이면 될것 같아요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 @dvblvar7788
      @dvblvar7788 4 года назад

      @@user-im6pu4ji5w 2025년도 가능할것같긴한데 아직 어느단계까지 더 해야하는지 감이 안잡히니

  • @j.wbmwgst-max
    @j.wbmwgst-max 4 года назад

    안녕히 주무세요

  • @Jay-kp1oe
    @Jay-kp1oe 6 лет назад

    저거 만들고 소형화 시키면 그게 아크원자로 아니냐ㅏㅏ아 아인언맨 진짜로 나올지도 모르겠네.

  • @user-mu4mw6ou6s
    @user-mu4mw6ou6s 4 года назад

    나무의 나이테를 ㅡ 생각을 접목해야 ㅡ 미래의 액체상태 핵융합 방법이 ㅡ
    하생부지 천생자 올림.

  • @user-td1gl8eb5s
    @user-td1gl8eb5s 5 лет назад

    그냥 공간과 시간이 에너지다 공간은 프러스 시간은 마이너스 이렇게 코드를 만들어선 꼽아선 쓰면된다 무한 에너지임 코드꼽는데다간 공간 시간 이렇게 써놓음된다 알갓냐 아그들아

  • @beringSea
    @beringSea Год назад

    우리 인류가 1500만년동안 쓸수있는 에너지 ㄷㄷㄷ근데 중간에 기업이 껴서 에너지요금 올리면 안되는데

  • @user-gx8ey4of1i
    @user-gx8ey4of1i 4 года назад

    저온 플라즈마 에서의
    핵융합은 불가능할까?
    저온이나 고온이나
    플라즈마 이기는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높은 온도 대신에
    높은 압력을 가해도
    같은 결과를 기대할수
    있을 것이다.
    탄소로 인조 다이아를
    만드는 정도의 용기
    내부에서 플라즈마를
    발생 시킨다면?
    핵융합 반응을 도출할수
    있는것 아닐까 싶다.
    현재 1억도 혹은 2억도를
    필요로 한다는 것은
    어느정도의 압력조건인지
    궁금하다.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그 압력이 지구에서 구현할수 있는 수준이 아님 어느정도냐면 태양은 1500만도의 온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소,헬륨만 핵융합할수 있음

  • @tomlee9836
    @tomlee9836 5 лет назад

    6:34

  • @user-wr8qy6xp8x
    @user-wr8qy6xp8x 5 лет назад

    우주는 무중력이라서 되는거 아님? 안되면 안되는 이유좀요
    만약된다면 우주에서 전선만 연결하던가 배터리만 수송해주면 안됨?

    • @m2ap29
      @m2ap29 5 лет назад

      기체면 우주에선 그냥 퍼져버리잖아요. 퍼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한데 그러면 지상과 다를게 없고요.

    • @AI-ee1db
      @AI-ee1db 5 лет назад +1

      태양의 중력이 쌔서 기체를 붙잡을 수 있어서 핵융합 하는거요. 무중력이라서 되는게 아니구요.

    • @Megatondusik
      @Megatondusik 3 года назад

      우주에서 전선만 연결한다뇨.. 지금도 전선끼리 붙거나 다른 물체하고 붙기만해도 문제생겨서 전선 교체해야하는데

  • @user-im6pu4ji5w
    @user-im6pu4ji5w 4 года назад +2

    ETER를 성공시켜야 ETER에 도입된기술을 ETER회원국들이 응용해서 핵융합로를 지구촌 방방 곡곡에 건설해서 공해없는 핵융 합발전이 가능하다면 얼마나 지구촌이 행복하겠습니다.

  • @dykim8118
    @dykim8118 7 лет назад +1

    기본적으로 3억도를 버텨야 안전할텐데..

    • @H_TAE
      @H_TAE 5 лет назад

      적어도1억5천은 돼야 가동할 수 있다네요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이미 핵융합 자체가 가스토치보다 안전한데...

  • @user-bh1vk8yo9t
    @user-bh1vk8yo9t 7 лет назад +2

    초안전장치가 몇겹이상 가동되야 할것이다.

    • @user-sp3kn4mt9g
      @user-sp3kn4mt9g 7 лет назад +2

      발전 과정이 가장 안전한게 핵융합입니다. 플라즈마 유출을 많이 우려하시는데 일단 전기만 끊으면 플라즈마는 더 이상 생성되지 않고 1억도의 플라즈마 역시 밀도가 작아서 큰 피해를 끼치지 못합니다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사고나면 바로 꺼질수밖에 없는게 핵융합로고 꺼지면 바로 블랙아웃이니 안전장치는 확실하게 필요하긴 하겠다

  • @user-qs9vm2ve8r
    @user-qs9vm2ve8r 3 года назад

    2천16년 것이군, 천만원만 있으면 동하나에 쓸수있는 전기를 만들 장비 만들수있으니 이런것 하지 맙시다.

  • @Im_Korean
    @Im_Korean 3 года назад

    100,000,000C°

  • @natosdah9187
    @natosdah9187 4 года назад

    석유는 계속 채굴 해야됌 플라스틱의 원제료는 석유임ㅋ

  • @user-qs9vm2ve8r
    @user-qs9vm2ve8r 3 года назад

    했빛에너지에 대하여, 지구에서 맨특안의 지열과 토션 필드는 태양으로 가겠되고 태양의 에너지는 지구로 도달하게 되는데 이것은 일종의 대류현상과 같은 싸이클 이다. 문제는 태양열 발전은 태양열 자체를 빨아당겨서 전기를 만든다. 이때 에너지 공동지역이 생겨서 토션필드의 사이클이 없어지는 부분이 생기게 되는데 이것은 태양의 흑점이 생기는 것과 같다. 지구의 빙하기와 갔은 냉각현상도 태양열판을 지구에 깔면 생기게 된다. 이는 지구전체의 냉각을 불러오게 되며.원인은 토션필드 방식에 의한 지구와 태양의 회전 현상이 없어짐 이다.

  • @aorz70
    @aorz70 5 лет назад +2

    1995년에 개발을 시작해서 2007년에 완공된 KSTAR는 세계 최초로 초전도 코일을 사용한 토카막 형 핵융합로 이다.
    세계 공용 핵융합로인 ITER은 한국의 KSTAR를 모델로 삼아 제작될 예정이다.
    다른나라들도 모두 초전도 코일방식을 채택 하고 있으므로 한국이 최초로 개발한 초전도 코일 방식의 핵융합로 제작 기술은 세계 최초이자 세계최고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 방식보다 진보된 핵융합로 제작 기술을 가진 나라가 출현하지 않는 한 한국이 핵융합기술분야에서 세계최고라고 말하는데 이의가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2008년부터 10년동안 기술발전을 등한시 해온것 또한 사실이며 한국이 선도한 핵융합로 기술로 다른나라들이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기술발전을 도모해왔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누구인가 다시 집중력을 발휘해서 기술개발에 예산을 투입하고 노력하면 초전도 코일 방식의 토카막과 같은 식으로 상식을 뛰어넘는 한단계 더 진보된 핵융합기술을 확보할 것이라 믿는다. 필요한 것은 전 국민의 관심과 애정일 뿐이다.

  • @artforever2834
    @artforever2834 7 лет назад +35

    핵융합발전 이거 우리나라가 거의 세계 선두라고 하더만, 이거 상용화 시키면 이 기술만 수출해도 그 로얄티만 받아 먹어도 우리 나라 전국민이 펑펑 놀고 먹어도 될 정도라던데... 잘 됬으면 좋겠다. 먹고 살기 힘들다 ㅎㅎ

    • @Wnatep
      @Wnatep 6 лет назад +10

      아마 이기술을 팔아버리는 멍청한 정부는 꼭있을겁니다 반드시 5명중에 1명은 병신이 있듯이

    • @parkjeongshik8710
      @parkjeongshik8710 5 лет назад +7

      K Moon 이미 미국, 러시아, 중국, 인도, 일본, 유럽연합과 함께 프랑스에 ITER라는 연구용 핵융합로 건설 모델로 우리나라가 부품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iong1870
      @iong1870 5 лет назад +2

      다른나라랑 공동연구 하고 있다고 이 영상에서 나오고 있는데 이런 헛소리에 추천수 보소 ㅉㅉ

    • @LK-99
      @LK-99 5 лет назад

      놀기만하면 퇴화됨

    • @LK-99
      @LK-99 5 лет назад

      @@user-hr9ul2gt2n 응 맞아

  • @kimbosung9518
    @kimbosung9518 8 лет назад +3

    바바반가 예언한 2028년 새로운 에너지를 만들어냅니다 그예언이 핵융합개발이라고 본다

    • @yeoang.
      @yeoang. 5 лет назад

      @산귀신못생긴 핵융합에너지가 곧 태양에너지에요. 태양 그 자체가 거대한질량으로인해 발생하는 강력한중력으로 핵융합을 함으로써 에너지를 계속 쏟아냄으로써 무한히계속 빛나고있는것이죠
      우주에까지나가 그에너지를 끌어오는걸 고안하기보다는. 현재 프랑스에 짓고있는 iter라는 국제기구도 2020년완공 앞두고있고 그전에 우리나라가 핵융합기술 선두주자로서 kstar를먼저짓고 계속적으로 실험과 연구를 하고있네요

  • @flyingcar9713
    @flyingcar9713 3 года назад +1

    와우, 구독과 좋아요,댓글로 응원합니다~ // 항공역사를 만들어 가는 비차(飛車,비거)를 꿈꾸며 날아 왔어요. "난다 난다 비 비차 진주성에 가 보자, 비차 비차 비차다 진주성에 가보자" //이런 기록이 있네YO ~ 1451년 문종화차(火車)가 출현=>1592년 진주대첩 비밀병기인 세계최초의 비차(飛車) 비행기도 출현했다네YO~ // 이런 역사적,문헌적 사실들을 집대성하고 재창출한, 장편소설 김동민의 이 핵폭탄 콘텐츠로 뜨고 있네YO~
    흥미롭습니다~ 비차비행기, 비차택시, 비차드론, 비차초소형위성, 비차비선, 비차열차, 비차콥터...
    //하늘을 나는 유더카 - youthecar예요~~~
    //자주 들러 주세요~"구독과 좋아요,댓글도 부탁드려YO~~"
    오다
    오다
    오다
    비차타러 오다

  • @ysk8864
    @ysk8864 3 года назад

    핵융합 유지하는 기술이면 태양이 필요없게되고 우주 원리를 거스르는 것인데 그게 가능할까 ?? 태양중력만큼의 힘을 지구에서 인위적으로 유지가능하다면 인류가 우주를 정복하는것인데 그게 가능할까?? 저는 핵융합으로 현 원자력 수준 발전능력수준으로는 어려울것으로 봅니다 결국은 실패할것으로 봅니다 오히려 태양열발전이나 풍력개발 우주원자력 발전소건설이 더 나을겁니다

  • @hyangsulee1782
    @hyangsulee1782 3 года назад +2

    지구의 망나니국 중국에 기술 유출 조심하시라..

  • @user-zd8gj8qb6p
    @user-zd8gj8qb6p 6 лет назад

    만들려~

  • @user-qo9dt1oy3z
    @user-qo9dt1oy3z Год назад

    핵융합 되면, - 자원 부국 - 러시아, 사우디 등은 어떨까? - 하지만,
    내가 살아 생전 30년 내 가능 할 까도 의문이다. 희망고문.

  • @dansmith9770
    @dansmith9770 6 лет назад +8

    이런데 투자 하고, 애너지 자립하자. ㅅㅂ 맨날 사우디한테서 원료 끌어올건가 ???

    • @s_p_m_23
      @s_p_m_23 3 года назад

      투자하는뎅 ITER 참가국인뎅

  • @user-lr8yv4vn4h
    @user-lr8yv4vn4h 4 года назад +1

    과학에 끝이란 어디인가

  • @rudiments77
    @rudiments77 5 лет назад

    우리나라에서 인공 태양 만든다고 하는데 저것인가???
    그러니 결국 수소가 미래 에너지의 에너지란 말이군요. 수소가 폭팔하려면 많은 조건이 맞아야 한다고 하던데
    수소차가 안전할수 있는것도 1억도까지 온도가 올라가지 않아 안전하다고 한게 이거였나???

  • @user-ct4br6bk2b
    @user-ct4br6bk2b 5 лет назад

    스파이 ㅋㅌ

  • @user-jb7ll4qx5z
    @user-jb7ll4qx5z 7 лет назад +2

    저거 소형화하면 ㄹㅇ아이언맨

    • @m2ap29
      @m2ap29 5 лет назад

      소형화 되도 터빈을 못돌려서 안될거에요. 열을 직접적으로 전기로 바꾸는 기술은 없으니까요

  • @ML-zw7sv
    @ML-zw7sv 6 лет назад +1

    현재상황에서는 100년안에 발전소가 건설될 수 있을까에 부정적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꽤 많죠...
    실현가능성은 있는데 발전비용이 너무나도 말이 안되게 비싸다더군요. 바다에서 중수소 삼중수소 채취하는데 쓰이는 비용과 핵융합로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이 낮아서 현재 기술로는 휴대폰 유튜브볼 전력 생산하는데 발전소 한개를 통째로 돌리고있다는 뉘앙스

    •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5 лет назад

      그럼 당장 프로젝트를 포기했겠죠.
      input보다 output이 더 큰데 왜 지금도 계속 짓고 있을까요?
      손해를 보기 위해서 발전소를 짓는다라는 논리가 나오는데

    • @user-cy5pk5jo7b
      @user-cy5pk5jo7b 5 лет назад

      ... 말도 안되는 논리같아요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그럼 지금 지어지고있는 iter는 뭔데

  • @user-qg1pd6ef5y
    @user-qg1pd6ef5y 7 лет назад +1

    1억 도 올라가서 핵융합이 되면 그에너지는 어떻게 끌어옴??

    • @parkjeongshik8710
      @parkjeongshik8710 5 лет назад +1

      대중은언제나멍청하다 아닌데요. 님이 말한건 수소폭탄임.

    • @onnya4753
      @onnya4753 5 лет назад

      그 온도로 물끓여서 전기얻는다는것 같던데요

    • @parkjeongshik8710
      @parkjeongshik8710 5 лет назад

      @@onnya4753 핵융합 반응을 어떻게 이끌어내냐는 질문같은데요.

    • @parkjeongshik8710
      @parkjeongshik8710 5 лет назад

      @@onnya4753 제가 틀렸나보네요

    • @user-im6pu4ji5w
      @user-im6pu4ji5w 4 года назад

      @@parkjeongshik8710 초고온을 유지하면서 증기를 만들어줄 매체가 열을 받아서 500도C정도 메탈 액체가 핵융합로를 순환하면서 열을 흡수해서 순수물을 끓여서 수증기를 과열시켜서 증기TUBINE을 가동해서 그회전력을
      발전기에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서 인류가 사용하는 것입니다. 분명히 성공할 것이고 가능한 이론입니다.

  • @user-mu4mw6ou6s
    @user-mu4mw6ou6s 4 года назад

    바닷물 속에 해저바닥 터널을 뚫어 지하세계를 구축 ㅡ

  • @user-du9dh8wn2j
    @user-du9dh8wn2j 7 лет назад

    저거 무기로도 만들수있나요?

    • @dykim8118
      @dykim8118 7 лет назад +4

      핵융합폭탄은 수소폭탄이란 이름으로 널리알려저 있습니다.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저원리 그대로는 안되고...

    • @hw0160
      @hw0160 3 года назад

      다른원리로

  • @user-cw3cz8mf8p
    @user-cw3cz8mf8p 5 лет назад

    근데, 핵융합으로 에너지를 발산하지만 엄청난 방사는이 발생된다는거 모릅니까? 핵발전소보다는 이미 발생되고 방사능이 어느정도 제거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게 바람직. 답답합니다. 지구가 태양입니까?

    •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5 лет назад +1

      ????? 이 분 핵분열이랑 핵융합이랑 차이를 모름??
      어덯게 이렇게 당당하게 개소리를 하지??
      님이 말하는 엄청난 방사능이 나오는건 핵분열이지 핵융합이 아니에요.
      핵융합을 이용한 수소폭탄 말하는 거면 그건 수소폭탄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그 안에 있는 원자폭탄 그러니까 핵분열과정에서 나오는 거고
      핵융합으로 방사능이 나와봤자 얼마나 나온다고 그러시는지

  • @user-mb5fh2rx4b
    @user-mb5fh2rx4b 3 года назад

    2021🌹1🍓1
    굿.🍑♥️🐷😍😊.

  • @user-mu4mw6ou6s
    @user-mu4mw6ou6s 3 года назад

    육신의 몸 태움으로 나툼의 우주법계
    노래하라 중생이여
    미간 육 안 찰나 섬광

  • @user-mi3zx2bq5w
    @user-mi3zx2bq5w 5 лет назад

    우리나라도핵융합에너지기술이상당히많이발전했네요과학자분들수고많이하셨습니다

  • @user-ru3hi2wl6w
    @user-ru3hi2wl6w 5 лет назад +2

    고마워요 여러분 과학발전으로 화성 금성 기타등등 개발 우주 우리에 힘 보여주세요 땡중 기원 합니다

  • @user-nd2xu2gn6f
    @user-nd2xu2gn6f 5 лет назад

    모비스다 모비스다. 모비스대박ㅎㅎ

  • @skyten21
    @skyten21 5 лет назад +1

    1억도라니 상상이 안간다.

  • @user-hr6vp9bk3j
    @user-hr6vp9bk3j 5 лет назад +1

    핵융합 이거 안될것 같은데요..? 영화 백튜더퓨쳐에서 2018년 즈음이면 자동차정도는 가볍게 공중부양해야 하는데..... 보급될려면 한참 멀었죠....???? 핵융합 자체가 미니태양이고, 태양의 핵융합은 느린것라고 하는데... 이것또한 다르다고 봤습니다....말은 쉬운데 미니태양을 지구에서 구현한다는것이 ..... 고대에 단순화학반응으로 무작정 금을 만들려고 했던것과 차이가 없습니다.... 차리리 금성이나 화성의 에너지를 뽑아쓰면서 그곳이 자연스럽게 테라포밍되는것이 더 현실적이지는 않을까요..?

    • @user-qIinl7il2qO4z
      @user-qIinl7il2qO4z 5 лет назад

      니가 생각하는게 현실적일까? 과학자들이 생각하는게 현실적일까?

    • @user-hr6vp9bk3j
      @user-hr6vp9bk3j 5 лет назад

      니라고 했으니 나도 말 놓겟다.. 고대의 현자들이라는 작자들이 금만든다면서 혹세무민 하며 중금속 중독으로 죽어갔다..

    •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5 лет назад

      2018년이 아니라 비행기가 아닌 하늘나는 자동차는 이미 한참전에 만들어졌어요.
      그게 아니라 사람이 제트부스터 타고 날아가는 것도 몇 년 전에 만들었는데;;
      상용화가 되지 않는 이유는 비행기와 자동차의 경계가 무엇이냐? 라는 한계때문이지
      과학기술의 한계때문이 아니죠
      현재 과학기술은 뇌파만을 이용해서 페이스북을 하는 수준까지 올라와 있는 상황이에요.
      아직 상용이 되지 않아 과학기술이 어디까지 와있는지 모르는 듯 하신데
      확실한건 칠선님께서 생각한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기술진보가 이뤄줬다. 라고 보시면 됩니다.
      또 미니태양을 구현하는 것 이라고 했는데 틀린 말은 아니지만 지금 핵융합은 그정도까진 아니에요.
      인류는 이미 핵융합을 지구에서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그게 수소폭탄이죠
      하지만 핵융합을 하기위해(즉 수소탄을 터트리기 위해서) 핵분열을 사용해야할 정도의 에너지를 써야 1억도의 온도를 높인다는 점
      그 막대한 온도를 담아둘 그릇 이 가장 큰 문제이지
      그것도 이제 1억도의 온도를 올리는 데에도 문제 해결이 됐고 지속적으로 온도를 담을 그릇만 완성돼면 실현 가능합니다.
      하지만 금성이나 화성의 에너지..(무슨 에너지인지 모르지만) 를 뽑아쓴다는게 현실적이라는 건 한참 나갔네요.
      제가 보기엔 칠선님께선 행성이나 항성급 에너지를 끌어다 쓰는 것과 항성이 에너지를 쓰는 메카니즘을 따라하는 것의 난이도를 잘 못 생각하신 듯 한데
      당연히 전자가 훨씬 어렵고(항성이나 행성까지 에너지를 어덯게 지구까지 운반할 것인가의 문제부터;;) 후자는 이미 지구에서 성공한 이력이 다수 존재합니다.(아직까진 무기로써이긴 하지만요.)

    • @user-cy5pk5jo7b
      @user-cy5pk5jo7b 5 лет назад

      이분 좀 이상해... 영화를 현실에 빗대시네...

    • @m2ap29
      @m2ap29 5 лет назад

      오히려 컴퓨터 분야는 영화에서 예측한 것 보다 훨씬 빠르고 많이 진보했잖아요. 그리고 핵융합 자체는 60년대에 이미 성공한 것이고요.

  • @hw0160
    @hw0160 3 года назад

    이거 분명히 반대하는 사람들있다

  • @victor45815
    @victor45815 4 года назад

    자기장으로 1억도까지 가열했다가 전기공급 갑자기 끈기면 멜트다운이네

    • @pop-qh6er
      @pop-qh6er 4 года назад

      차이나 신드롬 같은건가?

    • @user-ll3gv2tx8y
      @user-ll3gv2tx8y 4 года назад +3

      아니고 그냥 바로 식음

    • @victor45815
      @victor45815 4 года назад

      @@user-ll3gv2tx8y 7개월만의 답장 감사용^^*

    • @user-ur2km4bg5i
      @user-ur2km4bg5i 3 года назад

      녹아내릴 일은 없음

  • @user-mj4jp7lw4g
    @user-mj4jp7lw4g 2 года назад

    전쟁도안했는데 집을뺐기고 노숙자신세가되는세상 광명뉴타운에는 국가유가족에게 입주권도안주고 강제로내쫒아버리는것은 국민차별 노숙자양성 양극화시대 보이지않는 전쟁이다 라는 말이 왜 집을뺐겨버리고 노숙자신세가되는지 .모든뉴타운에서 집을뺐겨버린원주민들에게 입주권이라도 찾아주어야 진짜민주주의정부 한다는것

  • @user-rr8jx2ns1y
    @user-rr8jx2ns1y 7 лет назад

    무한에너지 개발할께 는 시간이 필요하는 데 지금은 우리나라 시간이 없는데
    16~2025년정도 에 망한북한이랑 전쟁할수도 모르는데 우리나라 못이기면 플라지마기술북한에 손이 들어오는데 이러위험한 기술 서울에 있습면 안돼.. 만들거면 부산에 만들어야하는데..아니면 거제도라든거

    • @user-rr8jx2ns1y
      @user-rr8jx2ns1y 7 лет назад

      유튜브에 무기라든가 방어구나 방탁복 정보가 있습니다 저도 부산에 살고 군에 못들어 가지만 어린께 개꿈이 현실에 일어나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일어나지만 전쟁는 시간이라 연구가 필요하지떄문에 우리나라플라지마 기술보다 북한 핵만들는거보다 핵이 더 빨리만들고 있습니다 1~3,5차시험 조금성공하는거 보이지만 김정은는 아직는 불말이 있는거 갑습니다.그럼 다음시험은 언제지 알수없고 무슨핵무기만들지 알수없습니다.그래서 전쟁을하는시간이 언제지 알수없고 뉴스에 또 핵시험한다 정보가 올리수도 모른니다.. 북한2~3세대통령이 생각하고 개발했지만 실패하핵은보간하고 다음핵시험할수도 모른니다 7월핵시험은 성공했다는데 제생각은 잘모른니다.다음핵은 전보다 강하연구할수도

    • @user-pr9ld9yh1v
      @user-pr9ld9yh1v 7 лет назад +1

      엄가현식 설에 있으나 부산에 있으나 뭔차이?? 요즘 전쟁이 6.25때 처럼 전선형성해서 밀고 밀리고 그렇게 진행될줄암??? 현대전에서 육군은 주둔지 점령ㅇㅣ나

    • @onnya4753
      @onnya4753 5 лет назад

      가짜예언가 작작 믿으셈

  • @user-pk2rt6td2r
    @user-pk2rt6td2r 2 года назад

    ..

  • @user-nt6qh3rz7h
    @user-nt6qh3rz7h 6 лет назад

    모든 기술은 무기와도 연결되지

    • @onnya4753
      @onnya4753 5 лет назад

      핵융합무기는 이미 나와있어요. 수소폭탄